KR200178131Y1 - 피가공체의 척킹장치 - Google Patents

피가공체의 척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131Y1
KR200178131Y1 KR2019950002490U KR19950002490U KR200178131Y1 KR 200178131 Y1 KR200178131 Y1 KR 200178131Y1 KR 2019950002490 U KR2019950002490 U KR 2019950002490U KR 19950002490 U KR19950002490 U KR 19950002490U KR 200178131 Y1 KR200178131 Y1 KR 200178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workpiece
inclined surface
hole
ope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424U (ko
Inventor
서종원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50002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131Y1/ko
Publication of KR960028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4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1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12Threaded cam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B23B2231/2083Collets comprising screw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피가공체의 내외경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고 피가공체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가공할 수 있도록 된 척킹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콜릿(72)을 수축/팽창시키는 작동부재(80)는 그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된 스크류부재(90)의 회전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작동부재(80)는 척킹 부재(70)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피가공체(50)의 내외경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가공체의 척킹장치
제1도는 종래 척킹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척킹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척킹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피가공체 60 : 척바이스
70 : 척킹부재 71 : 고정부
72 : 콜릿 80 : 작동부재
90 : 스크류부재 100 : 이동부재
본 고안은 척킹장치에 권한 것으로서, 특히 피가공체를 척킹한 상태에서 피가공체의 내외경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가공체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가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척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척킹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척 바이스(20)에 척부재의 고정부(42)가 고정되고 작동부재(30)에 의해서 수축/팽창되는 척부재의 콜릿(41)이 피가공체(10)의 원통부를 척킹시키는 것이다.
이때 작동부재(30)는 콜릿(41)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부(4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2)와 콜릿(41)의 경사면(41')과 슬라이딩되는 경사부(31)를 가진다. 이 작동부재(30)를 회전시키면 그 작통부재(30)가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경사부(31)가 콜릿(41)의 경사면(41')에 슬라이딩 되면서 콜릿(41)을 수축 또는 팽창시킨다. 콜릿(41)의 팽창시에는 작동부재(30)의 나사부(32)가 고정부(42)에 결합되는 방향(좌측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수축시에는 나사부(32)가 고정부(42)로부터 해제되는 방향(우측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콜릿(41)의 팽창시에는 그 외주면이 피가공체(10)의 내경에 밀각되어서 미가공체(10)를 척킹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가공체(10)를 척킹한 상태에서 피가공체(10)의 외주면을 소정의 공구로서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척킹장치는 작동부재(30)가 피가공체(10)의 중공을 통하여 콜릿(41)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미가공체(10)를 척킹시키게 되므로, 미가공체(10)의 내경을 가공시에는 그 작동부재(30)와 간섭되어서 가공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콜릿(41)의 척킹력이 작동부재(3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결정되게 되므로, 미가공체(1O)를 회전시키면서 가공시에는 작동부재(30)가 고정부(42)로부터 해제되는 방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피가공체(1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가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가공체를 척킹한 상태에서 그 내외점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으며 피가공체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가공할 수 있도록 피가공체를 척킹시키는 척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일측에 중공의 공간부를 가지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피가공물의 내경에 밀착 또는 분리되도록 팽창/수축 가능한 콜릿이 형성된 척킹부재와, 상기 콜릿의 중심을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몸체와 그 타측에 상기 콜릿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콜릿의 중심축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척킹장치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서 왕복이송될 때 콜릿이 팽창/수축되면서 피가공체를 척킹시키도록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범위는 그 경사면이 콜릿의 단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지만, 약간 벗어남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된 작동부재의 몸체에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여 지지공을 형성하여서, 상기 관통공의 경사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작동부재의 축방향에 수직한 나사공이 형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공을 통하여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는 스크류부재를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상하로 이동되고 동시에작동부재가 그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척킹장치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나타낸 제2도를 참조하면, 일측에 중공의 공간부(73)를 가지는 고정부(71)가 형성되고 타측에 피가공물(50)의 내경에 밀착 또는 분리되도록 팽창/수축 가능한 콜릿(72)이 형성된 척킹부재(70)가 척 바이스(6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척 바이스(60)는 척킹부재(70)를 고정한 채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콜릿(72)의 중심을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공간부(73)에 위치되는 몸체(81)와 그 타측에 상기 콜릿(72)의 내주면(72')에 접촉되는 경사면(82)을 가지는 작동부재(80)가 척킹부재(70)의 축방향으로 소정의 이동수단에 의해서 왕복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공간부(73)에 위치된 작동부재(80)의 몸체(81)에 작동부재(80)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83')을 가지는 관통공(8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71)에 상기 관통공(83)과 대응하여 지지공(7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83)의 경사면(8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경사면(102)을 가지며 상기 작동부재(80)의 축방향에 수직한 나사공(101)이 형성된 이동부재(100)를 상기 관통공(83)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지지공(71')을 통하여 스크류부재(90)를 상기 나사공(101)에 결합시킨다. 이때 스크류부재(90)는 외부에서 회전조절 가능하도록 일부를 노출시킨다.
한편, 상기 콜릿(72)의 내주면(72')과 이에 접촉하는 작동부재(80)의 경사면(83')은 상기 콜릿(72)에 결합되는 피가공체(50)의 결합방향으로 점차 내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척킹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스크류부재(90)를 회전시키서 이동부재(10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작동부재(80)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그 경사면(82)이 콜릿(72)의 내주면(72')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콜릿(72)은 작동부재(80)로부터 해제됨으로써 수축된다. 이 수축된 콜릿(72)에 피가공체(50)를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스크류부재(90)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이동부재(1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작동부재(80)는 왼쪽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그 경사면(82)이 콜릿(72)의 내주면(72')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콜릿(72)은 왼쪽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사면(82)에 의해서 팽창되어 피가공체(50)를 척킹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에 따른 척킹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종래 콜릿을 수축/팽창시키는 작동부재를 회전조작하기위하여 그 일단부가 피가공체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피가공체의 내외경을 동시에 가공할 수 없는 반면에, 본 고안에서는 작동부재(80)를 척킹부재(70)의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피가공체(50)의 내외경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둘째 종래에는 콜릿의 척킹력이 작동부재의 회전 조임력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작동부재의 풀림을 방지하기 의해 피가공체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가공할 수 없는 반면에, 본 고안에서는 작동부재(80)의 조임력이 스크류부재(90)에 의해서 결성되므로 피가공체(5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가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일측에 중공의 공간부를 가지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피가공물의 내경에 밀착 또는 분리되도록 팽창/수축 가능한 콜릿이 형성된 척킹부재와, 상기 콜릿의 중심을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몸체와 그 타측에 상기 콜릿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콜릿의 중심축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된 작동부재의 몸체에 그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여 지지공을 형성하여서, 상기 관통공의 경사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작동부재의 축방향에 수직한 나사공이 형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공을 통하여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는 스크류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상하로 이동되고 동시에 작동부재가 그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내주면과 이에 접촉하는 작동부재 경사면은 상기 콜릿에 결합되는 피가공체의 결합방향으로 점차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킹장치.
KR2019950002490U 1995-02-16 1995-02-16 피가공체의 척킹장치 KR200178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490U KR200178131Y1 (ko) 1995-02-16 1995-02-16 피가공체의 척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490U KR200178131Y1 (ko) 1995-02-16 1995-02-16 피가공체의 척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424U KR960028424U (ko) 1996-09-17
KR200178131Y1 true KR200178131Y1 (ko) 2000-05-01

Family

ID=1940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490U KR200178131Y1 (ko) 1995-02-16 1995-02-16 피가공체의 척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1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424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6042A (en) Tool holder with centering adjustment
EP046133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center of a collet
KR20110072415A (ko) 자동 선반의 소재 조임력 조절장치
JP4613161B2 (ja) 素材ガイド装置及び自動旋盤
KR200178131Y1 (ko) 피가공체의 척킹장치
JP2004322291A (ja) 被加工物保持具
KR200303531Y1 (ko) 탑 죠오 가공장치
KR100563589B1 (ko) 편심가공용 유압 콜렛척 조립체
KR100385365B1 (ko) 선반용 척의 죠오 가공을 위한 죠오 고정장치
JP4482501B2 (ja) クランプ装置
JPH08229714A (ja) チャック装置
CN221388969U (zh) 一种涨力芯轴夹具
US6612558B1 (en) Apparatus for fixing substrates
SU1542701A1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910006295Y1 (ko) 드럼 코아 고정 장치
JPS601924Y2 (ja) コレットチャツク装置
JP2019084635A (ja) チャック装置
JPH09155609A (ja) コレットとスリーブとこれらを備える工具ホルダ
SU1731452A1 (ru) Зажимной патрон
JPH05301105A (ja) 薄肉円筒品の加工装置
SU1399020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зки тонкостенных труб
RU2100948C1 (ru) Щетка
RU1814996C (ru) Цанговый патрон
JP2005186182A (ja) 旋盤
JPS5826731Y2 (ja) 工作物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