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280B1 - 연마로울을 구비한 스케일 제거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연마로울을 구비한 스케일 제거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280B1
KR910006280B1 KR1019870007762A KR870007762A KR910006280B1 KR 910006280 B1 KR910006280 B1 KR 910006280B1 KR 1019870007762 A KR1019870007762 A KR 1019870007762A KR 870007762 A KR870007762 A KR 870007762A KR 910006280 B1 KR910006280 B1 KR 910006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wheel
polishing wheel
disk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370A (ko
Inventor
히로시 가지다니
Original Assignee
후나야마 가부시끼가이샤
후나야마 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나야마 가부시끼가이샤, 후나야마 겐진 filed Critical 후나야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9/00Methods, machines, or devices not covered elsewhere, for working metal by removal of material
    • B23D79/12Machines or devices for peeling bars or tubes making use of cutting bits arranged around the workpiece, otherwise than by tu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24B21/1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involving a contact wheel or roller pressing the belt against the work
    • B24B21/14Contact wheels; Contact rollers; Belt supporting ro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5Scale remover or preventor
    • Y10T29/4517Rolling deformation or d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마로울을 구비한 스케일 제거 연마장치
제1도는 스케일 제거 연마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스케일 제거 연마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연마로울 주요부위의 평면도.
제4도는 디스크형 휠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로울 주요부위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화살표Ⅱ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부터 취해진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로울 주요부위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화살표Ⅲ에 의하여 지시된 방향으로 부터 취해진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케일 제거 연마장치 2 : 가이드레일
3 : 공작물 4 : 운반장치
5 : 서스펜딩 섹션 6 : 서스펜딩 바
7 : 가이드 휠 8 : 실린더
8A : 피스톤 로드 9 : 상승 : 하강부재
10 : 가이드바 10A : 조절너트
11 : 베아링부재 12 : 스프링
13, 14 : 회전축 13A, 14A : 키이홈
15, 16, 18 : 스프라켓 17, 20 : 체인
21 : 키이기능 스피링 지지대 21A : 키이부위
21B : 스프링구멍 21C : 스프링
22 : 연마 휠 23 : 엔티-프릭션 박판
24 : 스토퍼 25, 26 : 칼라
26A : 원통부 26B : 플랜지
26C : 축공 27 : 키이기능 스프링 지지대
27A : 키이부위 27B : 스프링
27C : 와셔 27D : 세트 스크류
28 : 로크 핀 29 : 연마로울
본 발명은 연마로울을 구비한 스케일 제거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특별하게는 강판(공작물)표면의 스케일(산화피막)을 제거하고 그리고 강판상에서 저속으로 가압 회전하는 연마 휠로 스케일이 제거된 표면을 연마하는 제강소용 연마로울을 구비한 스케일 제거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스케일(산화피막), 예를들어 제강소내의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은 산세척 시스템에 의해 제거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강판의 질이 향상되어감에 따라 스케일의 강성 혹은 인성의 증가가 수반되었다. 이것은 필연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강에 따른 산세척율의 저하를 야기시키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스케일제거 시스템은 산세척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작동하는 압연라인에 직접 연결되는 형태로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개량되어져야 한다는 것이 필요하다. 즉, 높은 효율 및 강판 이송속도를 증가시킨 스케일제거의 요구가 증가되어져 왔다. 이것은 산세척 시스템 대신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거나 혹은 산세척 시스템과 함께 동시에 사용되어질 수 있는 저렴하고 고성능의 스케일제거 연마장치의 요구를 증가시켜 왔다.
산세척법과 다른 공지의 스케일 제거방법에는 펠트직물 혹은 동종, 벨트 샌더, 플랩-타입 휠(정밀연마 및 연삭 휠), 와이어 브러쉬,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나이론 브러쉬, 쇼트 블라스트(shot blasts), 가루의 연마 미립자를 사용하는 액체기름 숫돌(liquid hones)등을 사용하는 유연한 연마로울 등이 있다. 이러한 공지의 방법들은 각각의 결점을 구비하고 있다. 즉, 그러한 유연한 연마로울들은 연마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벨트 샌더 및 플랩-휠은 적절한 연마력을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마모를 야기시킨다. 와이어 브러쉬는 볼록한 면을 과도하게 연마시키고 오목한 부분은 불충분하게 연마시키는 반면 사용도중 와이어가 종종 파손되곤 한다. 쇼트 블라스트는 강판을 고속으로 이송시키는 용으로는 부적합하다. 액체기름 숫돌의 사용은 극히 많은 양이 동력을 소비한다. 연마입자 부착물로부터 강판에 떨어진 미세한 가루는 종종 품질이 좋지 않은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된 종래기술 고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되었고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마로울을 구비하고, 연마공구중에서 극히 커다란 연마력 및 극도의 연마율을 구비한 비교적 값이 싸고 단단한 디스크형 연마 휠의 사용과, 예를들어 커다란 폭의 강판의 불규칙한 표면을 연마 휠이 밀접한 접촉을 하고 있는 동안 연마를 충분히 처리할 수 있는 스케일제거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측면에 따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치프레임, 베아링부재, 베아링부재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평행 연마로울, 각각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연마로울, 대응하는 칼라를 통하여 회전축상에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디스크형 연마 휠, 대응하는 디스크형 연마 휠 및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고 동시에 키이로서 작용하는 스프링 지지대, 평행한 연마 로울들중 하나의 디스크형 연마 휠의 위치는 다른 인접한 연마로울의 디스크형 연마 휠의 위치와 다르고 그리하여 전자의 연마 휠들은 후자의 연마 휠들의 대응하는 2개의 인접면 사이의 칼라에 면하여 각각 위치되어지고, 베아링부재는 장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져 장치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가압장치에 의해 수직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회전축, 대응 칼라를 통하여 회전축상에 연속적으로 장착되고 각각의 축공이 성형된 복수의 디스크형 연마 휠, 그리고 회전축 및 대응 축공의 원주표면상에 형성된 대응 요면 사이에 배치되고 동시에 키이로서 각각 작용하는 스프링 지지대로 구성되는 연마로울이 제공된다.
연마로울은 복수의 디스크형 연마 휠이 대응 칼라를 통하여 회전축상에 장착됨으로서 준비된다. 칼라에 대응하는 강판부위는 연마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2개의 회전축은 베아링부재상에 평행하게 장착되고, 두 개의 회전축중 일측의 회전축상에 있는 각각의 연마 휠은 타측 회전축상의 칼라 배치의 위치에 면하고 위치된다.
베아링부재는 그것이 장치프레임에 관하여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치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베아링부재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가압되어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하여, 연마 휠이 가압되어졌을때, 회전속도는 감속되지만 강판(공작물)의 표면과 미끄럼 접촉할 수 있는 연마 휠의 위치에서 강판의 표면은 스케일의 제거를 위하여 고르게 연마되어질 수 있다.
동시에 키이로서 작용하는 스프링 지지대는 연마 휠 및 회전축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연마 휠은 그것이 강판의 불규칙한 표면을 충분히 연마하고 있는 동안에는 아이들링없이 회전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도면의 참조로서 기술되어질 것이다. 도면에서, 제1도는 스케일제거 연마장치의 측면도이고; 제2도는 정면도이고; 제3도는 연마로울의 주요부위의 정면도이고; 제4도는 디스크형 연마 휠 및 동시에 키이로서 작용하는 스프링 지지대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는 측면도이다.
스케일제거 연마장치(1)는 공장내에 설치된 한쌍의 오버헤드 가이드 레일에 매달려 있다. 가이드 레일 아래쪽에는 강판(3)을 운반 혹은 이송시키기 위한 운반장치(4)가 배치되어 있고, 운반장치(4)는 소정의 속도화 화살표(A)의 방향으로 강판(공작물)(3)을 운반 혹은 이송시킨다. 서스펜딩부(5)는 4각프레임 형상이며, 서스펜딩부의 4개의 모서리에는 서스펜딩바(suspending bar)(6,6)가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제공되어진다. 각각이 서스펜딩바(6)의 상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 휠(7)이 장착된다. 반면에, 가이드레일(2,2)은 H-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하여, 가이드 휠(7,7)은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2) 각각의 요면부 안쪽 상하에 장착되고 그리하여 각각의 요면부내에서 자유롭게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다.
서스펜딩부(5)로부터 복수의 실린더(8,8)가 매달려있고, 하방으로 향하고 있는 피스톤 로드(8A)를 구비하고 있으며, 피스톤 로드의 하단부는 상승/하강 부재(9)에 고정되고 상승/하강 부재(9)는 복수의 실린더(8)의 작동에 의하여 자유롭게 상승하강된다. 상승/하강 부재(9)는 4각프레임의 형태이고, 상기 부재의 4모서리에는 상기 부재(9)에 수직으로 관통된 가이드 구멍(9A,9A)이 있다. 가이드 구멍(9A,9A)을 통하여 각각의 가이드바(10,10···)가 사각프레임부재(9)에 수직으로 매달려질 수 있도록 조절너트(10A,10A)에 의하여 상승/하강 부재의 상단부상에 조여진다. 가이드바(10,10)는 베아링부재(11)의 하측단부에 고정된다. 각각의 가이드바(10)의 외부 원주표면 둘레에 걸쳐 상승/하강 부재(9) 및 베아링부재(11) 사이에 스피링(12)이 쿠숀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촉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베아링부재(11)는 사각프레임 형태이고, 복수의(본 설명이 경우 2개) 회전축(13,14)은 가이드 레일(2)의 세로방향에 수직으로 각각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회전축(13,14)은 각각의 스프라켓(15,16)을 구비하고 한쪽 단부에 고정 장착되며 스프라켓 둘레에 걸쳐 타이밍 체인(17)이 장착된다. 다른 스프라켓(18)은 회전축(13)의 일단에 고정 장착된다. 이 세번째 스프라켓(18) 및 베아링부재(11)상에 장착된 모터(19)사이에 걸쳐 모터(19)가 회전 구동될 때 화살표(B)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축(13,14)이 공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체인(20)이 장착된다.
제3도 및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축(13,14)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외부 주위표면내에 4개로 방사상으로 분할된 위치에 키이홈(13A···,14A···)구비하고 있다. 상기 키이홈(13A···,14A···)내에 동시에 키이로서 작용하는 스피링 지지대(21,21···)가 고정되어 있다.
키이로서 작용하는 스프링 지지대(21)는 그것이 키이부위(21A)는 축상의 길이가 연마 휠의 폭 혹은 두께와 같은 입방체 형태로 구성되고, 스프링 지지대(21)의 기초부위를 구성하며, 기초부위는 대응 키이홈(13A,14A)내에 고정될 수 있는 크기이며 스프링(21C)이 고정되는 스프링 구멍(21B)을 구비한 상부내에 형성된다.
연마 휠(22)은 디스크와 같은 형상이다. 그것은 회전축(13,1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축공(22A)을 구비하고 있다. 축공(22A)의 내부주의 표면에는 동일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요면부(22B,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면부의 내부표면 및 축공의 잔존 내부주위 표면둘레에 걸쳐서 스프링(21C) 혹은 동종의 것이 미끄러져나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앤티-프릭션 박판(23)이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연마 휠(22)은 직경 300mm 및 1인치 폭을 구비한 비트리파이드형 #150 연마 휠이다.
각각의 회전축(13,14)은 일단에 스토퍼(24)를 구비하고 고정 장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스토퍼(24)가 상기와 같이 장착되고, 칼라(25)는 인접연마를 사이에 끼워지고, 키이 기능 스프링 지지대(21)는 키이홈(13A···,14A···)안에 고정되고, 스프링(21C)은 키이기능 스프링 지지대의 스프링 구멍(21B) 바닥 및 연마 휠의 요면부(22B) 바닥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로 배열이 이루어질때, 연마 휠(22)이 회전축(13,14)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4도에 도시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키이부위(21A)는 대응 요면부(22B)의 측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연마 휠(22)이 회전축(13,14)의 회전에 따라 확실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태로부터, 복수의 연마 휠(22)은 칼라(25)가 두 개의 인접 연마 휠 사이에 끼워지면서 각각의 회전축는(13,14) 상에 연속적으로 장착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연속적인 배치에 있어서, 전방 회전축(13)의 연마 휠은 일측의 회전축(13 혹은 14)의 각각의 연마 휠의 폭중심은 타측의 회전축(13 혹은 14)의 대응 칼라의 폭중심과 대응하는 방법으로 후방 회전축(14)의 연마 휠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이것은 상기와 같이 하지 않으면 공작물의 표면에 발생할 연마되지않는 부위를 없애기 위한 목적이다. 회전축(13 혹은 14), 칼라(25), 연마 휠(22) 및 키이기능 스프링 지지대(21)가 하나의 연마로울(29)을 구성한다. 이러한 연마로울(29)은 대응 회전축의 축상길이에 따라 길이가 증가되고 감소한다. 또한, 공작물이 회전축(13)의 세로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비스듬하게 놓여진 상태로 움직이며 연마될 때, 공작물 표면상에 연마되지 않은 부분이 없이 하나의 연마로울(29)만으로도 연마되어질 수 있다.
작동에 있어서, 공작물(강판)(3)은 150mpm의 이송속도로 제1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운반장치(4)에 의해 이송되고, 반면에 상승/하강부재(9)는 실린더(8)의 작동에 의해 하강된다. 공작물(3)은 연마 휠(22)의 하단부에 의해 접촉되는 상태로 가압된다. 연마 휠(22)의 원주속도는 600mpm으로 정해지고 인치당 1암페어 로드가 작용하게끔 가압은 조절된다. 바람직한 원주속도는 약 500 내지 800mpm 범위내에서 정해진다.
냉각수는 분당 12리터의 비율로 공작물(3)의 표면전체에 걸쳐 뿌려진다.
그리하여, 공작물(3)의 표면상에 스케일은 12 내지 13미크론 두께에 대응하는 양만큼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5도 및 제6도는 키이기능 스프링 지지대와 일체로 만들어진 칼라를 도시하고 있다.
칼라(26)는 외부 주위표면에 플랜지(26B)를 구비한 일단의 개방부인 원통부위(26A)를 구비하고 있으며 잔존 외부 주위표면부위로부터 키이기능스프링 지지대(27)가 원주상으로 같은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위치에 방사상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스프링 지지대(27)는 키이기능 부위(27A)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것의 방사상 외부 단면은 스프링(27B)이 방사상으로 팽창 혹은 수축되어 스프링(27B)이 와셔(27C)와 함께 방사상 외부 단부에 고정 장착되어지는 방법으로 스프링(27B)과 함께 고정 장착된다.
원통부위(26A)의 외부 주위표면에 걸쳐 연마 휠(22)이 고정되고 와셔(27C,27C,…)는 휠(22)의 요면부(22B)의 바닥에 위치된다.
그리하여, 연마 휠(22)은 동축으로 위치되는 상태로 칼라(26)의 원통부위(26A)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리하여, 칼라(26)가 회전될 때, 스프링 지지대(27)의 키이기능 부재(27A)는 연마 휠(22)의 요면부(22B)의 측면에 대하여 인접하게 되고 연마 휠(22)은 칼라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 지속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칼라(26)의 축공(26C)이 회전축(13,14) 둘레에 고정되고 칼라(26)는 로크 핀(28)에 의해 회전축 외부 주위표면상에 고정되어, 연마 휠(22)이 회전축(13,14)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제7도 및 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라를 도시하고 있다. 칼라(26)와 관련되고 상기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어진 것처럼, 동일부위, 혹은 동일기능을 구비한 부위 혹은 부재들은 동일한 부재번호로서 지칭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판스프링이 키이기능 스프링 지지대(27)로 대체될 수 있다. 판스프링은 칼라(26)의 원통부위(26A)의 외부 주위표면에 세트 스크류(27D)에 의해 지지되는 기초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판스프링(27)의 끝단부는 칼라(26)의 회전방향으로 향하고 있고 끝단부는 원통부위(26A)의 외부 주위표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러한 상태로서, 복수의(이경우 6개) 판스프링(27)은 원주상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위치에 원통부재(26A)하여금 외부 주위표면상에 장착된다. 연마 휠(22)이 판스프링(27)의 끝단부가 각각의 요면부(22B)내에 고정되게 하기 위한 기술된 구조를 구비한 원통부위(26A)의 외부 주위표면에 걸쳐 고정될때, 연마 휠(22)은 그것에 관하여 동축으로 위치된 원통부위(26A)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제8도에 있어서, 회전축(13)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될 때, 연마 휠(22)은 회전축과 공동으로 회전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마로울(29)은 복수의 디스크형 연마 휠(22)이 그 사이에 끼워진 칼라를 통하여 하나의 회전축상에 연속적으로 장착되므로서 구성되어진다.
또한, 키이기능 스프링 지지대는 연마 휠 및 회전축 사이에 끼워진다. 그러므로, 연마 휠이 회전축과 함께 공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연마로울(29)은 쿠숀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연마 휠이 공작물과 미끄럼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 공작물의 불규칙한 표면을 충분하게 연마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숀기능으로 인하여, 충격흡수가 가능하며, 가공물의 표면이 충격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연마로울의 저속회전동안 공작물이 가압될 때 스케일 제거가 더욱 잘 실행된다는 사실의 관점에서 볼 때, 회전축 및 연마 휠 사이의 쿠숀의 공급은 효과적이다.
더욱, 본 발명의 스케일제거 연마장치(1)에 있어서, 베아링부재는 가공물을 향하여 가압될뿐만 아니라 상기 언급된 쿠숀기능으로 인하여 각각의 연마 휠은 독립적으로 회전축에 관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마 휠은 작동동안에 공작물의 불규칙 표면에 탄력성있게 밀접한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장치는 공작물의 표면을 끝까지 처리할 수 있는 커다란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커다른 폭의 강판을 연속적으로 연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강판상의 스케일은 단단하지만 강판의 재질보다는 무르다. 그러므로, 스케일은 저속/저압으로 연마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높은 경도의 금속재질보다 쉽게 연마될 수 있다. 연마 휠은 극도로 커다란 연마 혹은 연삭력을 가지므로, 강 표면의 단단하고 경화된 스케일도 연마할 수 있다. 또한, 연마 휠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서 고속에서도 공작물을 연마할 수 있다.
또한, 공작물 연마작업중에 여러 종류의 진동이 키이기능 스프링 지지대에 의해 흡수되므로 채터링(chattering)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강판생산공장에서, 강판을 가열로울과 가열로울사이에서 열간압연한후,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어 연마장치를 강판의 수세라인 입구에 설치하여, 이 강판을 연삭가공한다(스케일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는 본 장치는 사용하지 않음).
명세서에는 특기하지 않았지만 이 스케일 연마장치(연마 휠)를 강판의 상1세트, 하1세트(합계 4휠) 또는 상2세트, 하2세트(합계 8휠)를 배설한다. 첨부한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측의 연마 휠에서 주행하는 강판의 스케일을 연삭하면, 연삭 나머지가 생기지만, 이를 하측의 연마 휠로 연삭하면 이 방법에서는 섹션라인(연마근이라 부름)이 거의 붙지않고 연삭가공마무리가 얻어지며 이는 이 연마 휠의 최대의 특징이다. 그리고 연삭되는 두께가 적기 때문에 강판상품 가치상 극히 중요한 것이다(강판의 값은 중량이 기준).
연속가공에 있어서, 강판의 주행속도는 통상 매분 300m이고 사용하는 연마 휠은 직경 405mmψ이다. 또 각 연마 휠의 내장 스프링은 SK-5라 칭하는 2㎜두께의 판스프링 2개의 세트로 한다. 연마 휠의 회전주 속도는 매분 500m이며, 연마 휠의 주행강판에 대한 압접을 1인치당 2암페어 로드로 한다. 숫돌을 복수개 연속장작한 연마 휠을 주행강판의 상측에 2세트 4개, 하측에 2세트 4개, 계 8 연마 휠을 배설한 경우, 섹션라인이 남지않고 그리고 연삭되는 두께가 적은, 극히 생산성이 높은 효과를 얻고 있다.
물론, 강판스케일(Fe2O3,Fe3O4,FeO)의 부착상황을 관찰하여 연마 휠의 회전수, 압접력을 조성하여 소재에 따른 효과를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그와같이 사용되고 있다.
더욱 실용적인 방법으로서, 강판의 양 에지에 대하여는 독립한 연삭장치를 사용하여 이들을 연마 휠의 압접부의 전후좌우상하로 배설하고, 편마모가 보이면 교환하여 가는것도 생산라인에서는 병용되고 있다.
본 스케일제거 연마장치에 있어서, 앞의 연마 휠의 축상단부 및 다음의 연마 휠의 대응 축상단부는 이중으로 공작물 표면의 동일부위를 연마하여, 소위 "섹션라인"이라 불리우는 이중연마의 미세한 선이 공작물의 표면에 나타난다. 예를들어, 스케일이 제거된 강판의 경우에 있어서, 대부분의 경우 스케일 제거 후에 압연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미세한 섹션라인의 출현으로부터의 실제적인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작되지 않은 여러 종류의 강판의 대부분에 대하여, 만일 연마완료된 표면이 미적감각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본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강판의 스케일제거에 관하여 더욱 언급하자면, 강판상의 스케일은 강재질보다 무르므로 연마에 의한 제거는 쉽다. 이것은 강판의 연마를 피하면서 강판상의 스케일 제거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상기 언급된 나타난 섹션라인은 거의 없어진다는 의미이다. 스케일제거의 경우에 있어서, 약#150 내지 #280의 크기를 갖는 연마입자의 선택적인 사용은 훌륭히 연마된 강판표면을 얻기 위한 스케일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암페어 센서가 상기 언급된 모터에 연결되고, 반면에 암페어의 변화에 따른 이미 언급된 실린더용 모터 및 유압모터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하여 자동가압 조절장치가 장착된다.
그렇게 함으로서, 모터의 암페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소정의 압력수준의 제공이 유지될 수 있도록 연마 휠로부터 공작물의 표면으로의 가압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케일제거 연마장치는 다음과 같은 훌륭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A) 연마 휠이 저속으로 회전하고 연마를 실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압력수준으로 가압되는 동안 연마 휠은 공작물의 표면에 가압 접촉된다.
B) 본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연마 휠은 비교적 값이 싸다. 그리하여, 본 장치는 구식장치에 비하여 가격이 휠씬 싸게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유지 및 조절이 쉽다.
C) 본 장치의 연마로울은 키이기능 스프링 지지대가 회전축 및 연마 휠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구성되며 연마 휠은 고신뢰성으로 회전되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연마 휠은 장치프레임의 수직으로 나타나는 자체의 독립적인 쿠숀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공작물의 불규칙한 표면을 충분하게 끝까지 처리할 수 있으며, 반면에 포함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장치의 사용으로 훌륭한 연마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장치프레임과, 베아링부재와, 상기 베아링부재에 의해 수평으로 장착된 복수의 평행 연마로울과, 각각의 회전축을 구비하는 상기 연마로울과, 대응 칼라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상에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디스크형 연마 휠과, 대응하는 디스크형 연마 휠 및 대응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고 동시에 키이로서 작용하는 각각의 스프링 지지대와, 전방의 연마 휠은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인접한 후방의 연마 휠 사이에 있는 상기 칼라와 각각 마주보며 위치되는 방법으로 상기 평행면마로울중 하나의 상기 디스크형 연마 휠의 위치는 인접해 있는 연마로울의 다른 상기 디스크형 연마 휠의 위치와는 다르게 만들어지고, 상기 장치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가압장치에 의해 수직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장치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베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제거 연마장치.
  2. 회전축, 대응칼라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상에 연속으로 장착되고 원주간극이 상기 디스크형 연마 휠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서 형성되기 위한 크기로 된 축공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디스크형 연마 휠,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간극안으로 또한 상기 축 보어의 주위 표면내에 형성된 각각의 요면부 안으로 외측으로 뻗어 있는 스프링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지지대 각각은 동시에 키이로서 적용하고 상기 스프링 지지대는 전체 연마 휠을 회전축으로부터 원주외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로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고리모양의 벽의 외부주위표면의 일단부 상에 플랜지 부위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주위표면의 잔존 부위상에 원주상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위치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방법으로 상기 키이기능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로울.
KR1019870007762A 1986-07-16 1987-07-16 연마로울을 구비한 스케일 제거 연마장치 KR910006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67464A JPS6328549A (ja) 1986-07-16 1986-07-16 スケール研摩装置
JP167464 1986-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370A KR880001370A (ko) 1988-04-23
KR910006280B1 true KR910006280B1 (ko) 1991-08-19

Family

ID=1585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762A KR910006280B1 (ko) 1986-07-16 1987-07-16 연마로울을 구비한 스케일 제거 연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64201A (ko)
JP (1) JPS6328549A (ko)
KR (1) KR910006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3816A (en) * 1989-07-20 1993-10-19 Krupp Polysius Ag Material crushing roller construction
TWM417989U (en) * 2011-01-28 2011-12-11 Green Energy Technology Inc Grinding mechanism
JP5435115B2 (ja) * 2012-12-18 2014-03-05 株式会社ナカヨ通信機 内線アナログ電話システム
CN104875099A (zh) * 2015-06-09 2015-09-02 郭斌 一种钢条高强度打磨除锈装置
CN110328592A (zh) * 2019-08-07 2019-10-15 包头威丰新材料有限公司 一种cb线料盘表面氧化镁氧化皮清刷的设备
CN115609086A (zh) * 2022-12-16 2023-01-17 江苏东方成套设备制造集团有限公司 倒棱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619A (en) * 1915-03-01 1916-09-12 Julian F Fullen Grinding and sharpening device.
US1782269A (en) * 1928-09-17 1930-11-18 Marchesini Peter Abrading machine
US1988577A (en) * 1933-01-04 1935-01-22 Scrimgeour William Abrading machine
US2243492A (en) * 1939-07-20 1941-05-27 Harry T Floyd Meat tenderizer
US2702766A (en) * 1950-10-21 1955-02-22 Scovill Manufacturing Co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rip material through treating units
US2953291A (en) * 1957-11-15 1960-09-20 Huck Company Resilient bearers
US3199798A (en) * 1961-04-17 1965-08-10 Frontier Sixty Corp Crushers
US3597881A (en) * 1968-11-13 1971-08-10 Murray Way Corp Grinder for grinding the faces of edge-supported workpieces
US3888048A (en) * 1973-07-23 1975-06-10 Ford B Cauffie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cale from metal sheets
JPS5541228U (ko) * 1978-09-07 1980-03-17
US4250588A (en) * 1979-03-05 1981-02-17 Par Enterprises Bench top printed circuit board scrubbing device
US4406029A (en) * 1981-08-19 1983-09-27 Kunz Maschinen - Und Apparatebau Gmbh Machine for removing burrs from sheet metal or the like
JPS5923946A (ja) * 1982-07-30 1984-02-07 Nec Corp デイジタル信号伝送の誤り訂正方式
US4551878A (en) * 1984-12-03 1985-11-12 Turley John W Strip wip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370A (ko) 1988-04-23
US4964201A (en) 1990-10-23
JPH0350666B2 (ko) 1991-08-02
JPS6328549A (ja) 198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4991A (en) Microfinishing and roller burnishing machine
KR910006280B1 (ko) 연마로울을 구비한 스케일 제거 연마장치
US4635405A (en) Continuous arcuate feed assembly
US27235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ce finishing
CN211867358U (zh) 一种自动打磨抛光设备
EP0435897B1 (en) A method for grinding steel
US3435566A (en) Method of deburring a flat workpiece
US4592169A (en) Disc grinder with floating grinding wheel
JPH06297326A (ja) 研摩方法及び研摩装置
KR100497079B1 (ko) 대형 압연밀의 보강용 롤 쵸크 베어링 폴리싱 장치
US3529384A (en) Sanding machine
JP3704846B2 (ja) 圧延鋼板の表面検査用砥石掛け方法および装置
SU1138297A1 (ru) Шлифовально-полировальный станок дл обработки камн
US1656324A (en) Machine j
KR200201704Y1 (ko) 석재 연마기용 다축 연마헤드
US1575520A (en) Work-carrying device for grinding machines
KR102265468B1 (ko) 회전 연삭체 이동형 연삭장치
EP0808723B1 (en) Method to remove chromium plating and engraving from gravure rollers and machine suited to carry out such a method
US4765097A (en) Surface-dressing rollertool
CN202846311U (zh) 砂带机的工件靠磨装置
KR100856290B1 (ko) 롤 연마기의 연마지석 교체장치
KR950003856Y1 (ko) 스트립의 부분결함 제거용 그라인딩 장치
CN212762904U (zh) 抛光机上的磨盘固定机构
JPH055203U (ja) 冷間圧延機のワークロールインライン研磨装置
US3212166A (en) Needle bar burnishing machin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8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