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233B1 -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233B1
KR910006233B1 KR1019830002080A KR830002080A KR910006233B1 KR 910006233 B1 KR910006233 B1 KR 910006233B1 KR 1019830002080 A KR1019830002080 A KR 1019830002080A KR 830002080 A KR830002080 A KR 830002080A KR 910006233 B1 KR910006233 B1 KR 910006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conduit
solid fuel
compartment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566A (ko
Inventor
에이치.세일러 윌리암
샤드 화이트 저스틴
Original Assignee
티.에이.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샤드 화이트 저스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이.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샤드 화이트 저스틴 filed Critical 티.에이.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4000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02C13/18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1/00Preparation of lump or pulverulent fuel in readiness for delivery to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2Pneumatic feeding arrangements, i.e. by air bl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1/00Pretreatment of solid fuel
    • F23K2201/10Pulveri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석고 처리 평로에 설치한 본 발명에 따른 석탄을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의 부분평면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을 따라 취한 도면으로 일부는 정면도로 도시한 수직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4-4를 따라 취한 도면으로 장치의 버너부분의 축방향 부분 수직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5-5를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선 6-6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선 7-7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제8도는 제3도의 선 8-8을 따라 취한 도면으로 장치의 분쇄기 부분의 수직 확대 단면도.
제9도는 제3도의 선 9-9를 따라 취한 도면으로 장치의 분쇄기 부분의 석탄 및 공기 유입 도관의 수평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도면으로 장치의 분쇄기 부분의 수평 단면도.
제11도는 제8도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수평 단면도.
제12도는 제8도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수평 단면도로서, 하부의 보이지 않는 부분은 점선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 12 : 분쇄기
13 : 도관 14 : 버너
15 : 송풍기 16 : 도관
17 : 도관 18 : 도관
20 : 하우징 20a : 플랜지
20b : 볼트 24 : 베어링
25 : 베어링 26 : 임펠러 축
27 : 임펠러 28 : 임펠러
29 : 임펠러 30 : 임펠러
31 : 임펠러 32 : 환형 공간
34 : 환형 격벽 35 : 유동 통로
36 : 모터 39 : 환형 공간
40 : 유입 개구부 41 : 유입 개구부
42 : 도관 43 : 도관
44 : 편향 스커트 45 : 배출 도관
48 : 점화 도관 49 : 점화 오리피스
50 : 밸브 53 : 스파이너
54 : 보조공기 도관 55 : 점화 격실
60 : 점화 토오치 61 : 점화 통로
62 : 투시공
본 발명은 석탄 또는 다른 화석 연료와 같은 고체 연료를 분쇄하고, 상기와 같이 분쇄된 연료를 공기 스트림에 부유시켜 연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furnace)내에서 분쇄된 형태의 고체 연료를 연소시키는 것은 수십년 동안 행해져 왔으며, 그 초기 형태는 미세하게 분쇄된 석탄을 파이프를 통해 노의 연소실로 단순한 방식으로 송풍시켜 열 및 온도의 발생을 증가시키기 위해 통상적인 노 연소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석탄은 주화염의 열에 의해 점화되나, 특정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화염의 크기, 형태, 산화 특성 또는 환원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연료 유동비 또는 연료/공비 비율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주화염의 부분적인 열에 의해 점화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분쇄 밀(grinding mill)에서 공기를 전달 매체로 하여 공급는 분쇄된 석탄을 연소시키기 위해 대규모 산업용 노에 사용되는 버너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에 대해서는 명칭이“연료를 분쇄, 공급 및 연소시키는 수단”인 1925년 6월 16일 미합중국 특허 제1,541,903호에 기재되어 있다. 반송공기는 통상“주공기”라고 부른다. 주연소 공기는 버너에“보조”공기로 공급되며, 상기 보조공기의 공급 비율에 따라 화염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는 버너에 공급되는 주 혼합물의 석탄/공기의 비율 및 보조공기의 유동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었다. 그러나 가능한 조절비율, 즉 최대 연소비에서 최소 연소비까지의 비율이 3 : 1정도이며, 특정 목적에 사용하기 위한 화염형태를 조절할 수가 없게 된다.
상술한 관점에서 정확한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화염 특성을 선택 및 조절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조절비율이 큰 상업 설비에 이용하게 되면, 연소가 불안정해지거나 또는 화염이 꺼지게 된다.
석탄을 기후에 대한 방비책이 없이 더미로 저장하기 때문에, 석탄은 사용할 때에 대개 젖어 있게 된다. 따라서, 분쇄 침연소장치에서는 통상적으로 석탄이 공급되는 분쇄밀의 앞부분에 석탄 건조장치를 설치하거나 또는 반송 공기만이라도 예열시켜 사용한다.
공기 스트림에 부유되는 분쇄된 고체 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는 특정 경우에, 버너의 배출단에 그리고 버너의 점화 도관으로부터 하류로 연장된 부분에 예정된 고정 위치에 장착되는 원추형 편향기를 사용한다. 따라서, 명칭이“파동 연료 스트림의 직접 점화”인 스미스등의 1980년 9월 9일 미합중국 특허 4,221,174호에서는 배출된 연료 혼합물의 최적 점화 상태를 제공하도록, 산소 또는 불활성 가스와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공기중에 부유되는 분쇄된 석탄을 방산시키기 위해 상기와 같은 편향기를 사용한다. 명칭이“정제형태의 유기 섬유성 연료의 연소방법 및 장치”인 구너만의 1981년 2월 10일 미합중국 특허 제4,249,471호에서는, 가연성 가스와 혼합되어 점화 및 연소될 수 있는 공기 스트림중에 떠있는 분쇄된 톱밥 또는 이와 유사한 유기질섬유를 방산시키기 위해 상기와 같은 편향기를 사용한다.
크기가 5미크론 또는 그 이하인 미세한 입자가 필요한 경우에 리토픈, 산화티타늄, 코코아, 황, 활석등과 같은 물질을 분쇄하는데 계단식 임펠러(impeller)를 사용하여 부서지기 쉬운 고체 물질을 충돌시켜 분쇄하여, 충돌된 물질을 다른 정지된 충돌 부재에 대해 외부로 배출시켜, 고체 물질을 자생적으로 마멸시키는 와류 공기 유동내로 유입시키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리켄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2,392,331호 및 제2,497,088호와 재커링의 미합중국 특허 제3,071,330호는 이와 같은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분쇄된 석탄을 연소시키는 버너와 함께 사용하던 지금까지의 분쇄기 또는 분쇄밀은 충돌 분쇄 방식이며, 예로써 전기한 크리테의 미합중국 특허 제1,541,903호에서는 해머 밀 (hammer mil)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가열석고처리 평로 및 증기 보일러에 사용하는 산업용 노와 회전 가마 및 금속 노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고체 연료를 분쇄 및 연소시키기 위해 습윤된 석탄을 장치내에서 효율적으로 분쇄하고,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예열된 공기 대신에 대기중의 공기를 반송 매체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분쇄 과정중에 발생하는 내부열에 의해 습윤된 물질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고, 버너내에서 분쇄된 연료를 즉시 점화시켜 효율적인 화염 전파를 위한 온도를 생성시키기 위해 신속한 가열을 할 수 있게 하고, 현재 사용하는 설비에 비해 높은 조절 비율로 제공할 수 있게 하고, 특정 목적에 사용하는 필요한 화염 형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하고, 버너의 점화 격실내의 연소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염소 상태를 조절하도록 장치의 전체적인 연소상태를 최적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전기한 목적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은 현재의 고체 연료 분쇄 및 연소장치의 결점을 감소 내지는 배제시킬 수 있으며, 현재 사용하는 장치의 3 : 1의 조절비에 비해 15 : 1 또는 이보다 높은 조절 비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버너는 와류를 발생시키고 노의 점화 격실안에서 공기중에 부유되는 분쇄된 고체 연료 스트림의 양을 조절하고 연소 화염의 형태 및 특성을 조절하도록 적합하게는 가동적으로 위치하는 2중 테이퍼형단부 밸브 부재의 형태인 밸브형 연료 연소 노즐수단을 도관을 통한 스트림과 나란하게 분쇄된 고체 연료용 연소 도관의 배출 단부에 갖는다. 버너를 통과하는 연료의 속도 및 양은 주로 공기의 양과 분쇄기에 공급되는 고체 연료의 양에 의해 조절된다.
여기에서, 분쇄기는 고체 연료가 분쇄기내에서 그 고유한 작동상태로 분쇄될 때 고체 연료에 독특한 건조작용을 제공한다.
버너 밸브를 설치할 때에는 작동 상태를 관찰하여 실제 작동 상태하에서 최대 작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치한다. 순간적인 점화는 유체 연료 파일럿 점화기(pilot ignitor)와 함께 초기 밸브 설치로 얻어지고 신속한 화염 전파는 내화성 물질로 된 열을 보유 및 굴절시키는 점화 격실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점화 격실은 본 발명에 따라 일체식 블록으로 형성되고, 이곳을 통하여 버너의 전면으로부터 화염 관찰 투시공이 연장된다. 화염 특성을 관찰함으로써 밸브를 최적 작동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분쇄된 석탄은 선택적인 비율로 소모될 수 있으며, 다양한 산업용 공정 또는 공간 가열 목적에 부합되도록 화염 기둥의 형태, 크기 및 산화 또는 환원 특성과 온도를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을 수행하는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입자의 약80%가 40미크론의 크기를 갖고 표준 200메쉬의 망을 전부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하게 분쇄된 석탄을 연소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석고처리평로(11)의 노 부분(1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미세하게 분쇄된 석탄은 분쇄기(12)로부터 도관(13)를 통해 버너(14)의 일부분으로 마련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판(14a)에 의해 노(10)의 전방 돌출 부분(10a)에 부착된 버너(14)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공급된다.
송풍기(15)는 도관(16)을 통해 버너(14)에 보조공기를 공급하며, 주 공기를 분쇄기(12)에서 공급되는 부유 상태의 분쇄된 석탄을 도관(13)을 통해 반송한다.
주 공기는 제3도에 도시된 도관(17)을 통해 분쇄기(12)에 공급되고, 채굴된 석탄(최대직경이 5.08cm정도)은 도관(18)을 통해 공급된다.
버너에서 그리고 버너를 지나서 연소를 돕는 제3의 공기는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버너 주위에서 노의 전면에 마련된 일련의 개구(19)를 통해 공급된다.
본 장치의 분쇄기는 비록 기계적인 충돌 방식을 사용하여 분쇄를 수행하지만 미세한 분쇄는 주로 건조 상태하에서 입자끼리의 충돌에 의해 자생적으로 수행되는 점이 동일 종류의 다른 장치에 비해 독특한 점이다. 하향 통풍식 분쇄기(12)는 그 자체가 신규한 것이기 때문에 이후에 상세히 도시 및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종류의 다른 분쇄기도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의“고체 연료의 분쇄 및 연소방법 및 그 장치”인 1981년 9월 23일 출원되어 계류중인 출원번호 제304,860호에 기재 및 도시된 상향 통풍식 분쇄기도 사용할 수 있으며, 분쇄기가 수직 방위로 된 것이 중력의 효과를 이용할 수 있어서 적합하며 다른 방위로 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하향 통풍식 분쇄기(12)는 제8도 내지 제12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하부벽(21)과 상부벽(22)를 갖는 분할된 원통형하우징(20)은 스탠드(23)에 의해 수직 위치로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의 2개의 반원형 부분들은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20a) 및 볼트(20b)로 함께 고정된다. 회전 가능한 임펠러 축(26)의 양 단부는 하부벽 및 상부벽에서 베어링(24,25)으로 저어널되어 있고, 임펠러 축에는 하우징의 상부 유입단으로부터 하부 배출단까지 연속적인 분쇄 단계를 수행하는 상호 격설된 일련의 임펠러(27,28,29,30 및 31)가 고정된다. 임펠러는 불투과성의 동일한 직경의 원형판으로 구성되며, 각 원판의 외측 연부와 하우징의 내측 원통형 벽사이에는 비교적 좁은 환형공간(32)이 형성된다. 임펠러 원판은 쐐기형 칼라(collar, 33) 및 고정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축(26)에 장착된다. 일련의 수평 환형격벽(34)은 각 임펠러 세트의 상호 인접한 임펠러사이에서 외주연 고정부로부터 하우징(20)의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임펠러에 의해 야기되는 원심력에 대향하게 임펠러 축 방향으로의 유동을 야기시킨다. 임펠러들은 각 격벽(34)로부터 격설되어 그 사이에 환형공간(32)에 연속되는 유동 통로(35)를 마련한다. 브래킷(37)으로 하우징(20)에 지지되는 전기 모터(36)는 밸트 및 풀리 구동부(38)를 통해 임펠러 축 (26)을 구동시킨다.
최상부에 있는 임펠러(27)는 제10도에 도시된것처럼 임펠러(27)의 상부면을 4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4개의 방사상 바아(27a)를 갖는다. 바아(27a)는 칼라 주위에 환형 공간(39)을 남기도록 판의 외주연으로부터 칼라(33)를 향해 짧게 내향 연장된다. 이 임펠러는 유입되는 공기 및 석탄을 수용, 혼합 및 분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석탄 조각을 바아(27a)와 하우징 벽에 충돌시키고, 석탄 조각이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날 때 석탄조각들끼리의 충돌로 석탄을 분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된 유입 개구부(40,41)는 제3도에 도시된 공급 도관(42,43)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우징(20)의 상부벽(22)를 관통하여 마련된다. 개구부중에서 하나는 주 공기를 공급하는데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채굴된 석탄 또는 특정예에 사용되는 다른 고체 연료를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양 개구부는 임펠러 축(26)의 직경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장 적절하게 분배시키기 위해서는 개구부의 형상을 연신된 장방형으로 하고 그 종방향 측면들을 제9도에 도시된 것처럼 임펠러 축을 향해 오목하게 만곡된 곡선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 공기와 연료의 공급 통로를 서로 바꾸어서도 할 수 있기 때문에, 개구부와 개구부 내로 도입되는 도관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구부(41) 및 공급 도관(43)을 고체 연료 공급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편향 스커트(Skirt)(44)를 마련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개구부에 비해 연료를 공급하는 개구부의 크기를 작게할 수도 있다.
고체 연료는 분쇄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임의의 강철 검출기(도시 생략)를 통해 그 공급 도관으로 반송된다.
각 임펠러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처럼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제2단계 임펠러(28)는 제11도에 도시된 것처럼 4개가 아닌 6개의 방사상 바아(28a)를 가지며, 제3단계 및 제4단계 임펠러(29 및 30)는 제1단계 임펠러(27)와 마찬가지로 제8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4개의 바아(29a 및 30a)를 갖는다.
제5단계, 즉 마지막 단계에서는 공기중에 부유되는 분쇄된 고체 연료를 제12도에 도시된 접선방향 배출도관(45)을 통해 배출하며, 이 배출 도관(45)은 도관(13)을 통해서 (1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5단계 임펠러(31)는 다른 임펠러와 유사하게 불투과성 판의 상부 표면에 방사상으로 위치하지만 다른 임펠러의 두껍고 낮은 바아와는 달리 비교적 얇고 높게 되어 있는 4개의 공기 유동 베인(31a)을 갖는다. 또한, 고체 입자가 축적되는 경향을 막기 위해 이를 교반시키도록 판의 하부 표면에 직경방향으로 이격된 비교적 가느다란 바아(31b) 세트를 갖는다. 베인(31a)하여금 높이는 배출 출구의 높이 위로 연장되어 분쇄된 연료 및 반송공기를 배출 출구를 통해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0)의 내측 원통형 벽은 두꺼운 세라믹 라이닝 (46)으로 덮혀서 마멸 및 연속적인 마모에 견딜 수 있고 분쇄를 도울 수 있으며, 내측 원통형 벽에는 제2단계에서 제5단계까지 환형 공간(32)내로 돌출되고 상기 내측 원통형 벽에 고정된 상호 이격된 수직 충돌바아(47)가 마련된다.
제1단계로부터 제2단계로 고체 연료를 집적하기 위해서 최상부에 있는 환형 격벽(34)이외에 하향으로 만곡된 설부(34a)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기를 통해 아래로 내려오는 동안에, 와류 공기와 고체 연료 혼합물은 제1단계로부터 제2단계로 집적되고, 여기에서 공기와 연료의 혼합물은 앞서의 제1단계에서 보다 더 많은 작동 바아의 영향을 받으며, 만곡된 또는 둘둘말린 코스를 통해 일련의 단계들을 통과한다.
분쇄기에 공급되는 에너지는 습윤된 연료가 대기중의 공기와 같이 공급되더라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하여야 한다. 따라서 모터(36)로 입력되는 에너지는 임펠러 바아 및 베인의 외측 선단부 속도가 시속 216내지 240km(135 내지 150mile)정도, 적합하게는 233.6km(146mile)가 되도록 임펠러축(26)에 분당 회전수(RPM)를 제공한다.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버너(14)는 한쪽 단부가 분쇄기(12)로부터 연장된 도관(13)에 연결되고 하류단에 점화 오리피스(49)를 갖는 점화 도관(48)을 포함하는 점화 노즐로 구성된다. 상기 점화 오리피스는 하류방향으로 경사진 내향 만곡된 설부(48a)에 의해 형성되어 외측으로 흐르는 반송공기 및 부유된 고체연료 입자를 밸브 요소(50)로 향하게 하며, 상기 밸브 요소(50)는 50a 및 50b에서처럼 2중 테이퍼형 단부로 되어 있으며 고체 연료의 흐름과 일렬로 위치되어 오리피스로부터 빠져나오는 스트림에 최대 와류를 부과한다. 밸브 요소의 테이퍼형 단부의 각도는 특정 사용 목적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밸브 요소(50)는 작동 로드(51)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작동로드는 점화 도관(48)을 통해 후방으로 연장되어 도관의 엘보우(elbow, 52)의 벽에 있는 패킹 마개(51b)를 마련하여, 로드를 당기거나 밀 수 있도록 하여 밸브 요소(50)를 점화 오리피스(49)로부터 멀리 또는 가깝게 위치시켜 특정 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화염 형태를 변화시키거나 작동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고정 나사(51c)를 마련하여 밸브요소(50)를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한다.
작동 로드(51)는 점화 도관(48)내에서 상호 이격된 스파이더(53)로 지지되며, 스파이더는 반송 공기 및 부유된 고체 연료 입자의 스트림에 외류를 제공하기 위해 각을 이룬 베인(53a)을 포함한다.
버너판(14a)에 고정된 접점으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며 도관(16)이 유체 연통되는 보조공기 도관(54)을 점화 도관(48)을 감싸도록 동심으로 설치한다. 도관(48)의 하류단, 즉 점화 오리피스(49)와 도관(54)의 하류단(54a)은 버너의 점화 격실(55)내로 개방되어 있으며, 버너는 열을 보유할 수 있고 반사할 수 있는 내화성 물질(56)로 형성되어 밸브 요소가 위치하는 확개된 유입 부분(55a) 및 직경이 일정한 배출 부분(55b)을 마련한다. 상기 내화 물질은 에이.피.그린 리프렉토리이스 캄파니에서 "크루시트" 라는 명칭으로 발매되는 분말 형태의 상업용 내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적합하며, 이 내화 물질을 물과 반죽하여 단일 블록인 최종 형태로 형성한다.
점화 도관(48)은 보조공기 도관(54)의 내부를 따라 활주 이동할 수 있어서 점화 오리피스(49)를 보조공기도관(54)의 하부단으로부터 가변적인 거리에 또는 우측에 위치시킨다. 도관(13)의 가요성 파이프(57)부분은 점화 도관의 이동에 부합될 수 있고, 고정 나사(58)는 점화 도관을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점화도관(48)내에서의 유체의 유동속도는 효율적인 연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도관내의 주 혼합물중에 연료가 충분히 존재하도록 분쇄된 석탄 입자를 부유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빠르거나, 또는 최소한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저화염 전파 비율을 얻을 수 있을 만큼 공기보다 석탄 입자가 충분히 많도록 그 속도가 빠르다.
실제로 주 혼합물중의 공기의 중량비는 혼합물 중량의 10 내지 30%이지만, 특정 목적에 사용하기 위해 공기 중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보조공기를 주 연료 공급 혼합물에 유입시켜 주 혼합물이 점화 및 연소될 수 있도록 석탄/공기의 비율을 조절한다. 공급되는 보조공기의 양은 특정 목적에 적합한 산화 환원 또는 화학 양론적인 연소 혼합물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내에서의 화염크기의 형태를 조절하도록 제4도에 도시된 도관(16)내의 밸브(16a)로 조절된다.
베인(59)은 보조공기가 도관(16)으로부터 도관(54)내부로 유입되는 입구에 각도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보조공기가 도관(54)내부로 유입될 때 보조공기에 조정 가능한 속도 와류 성분을 부과한다. 이러한 와류 성분은 점화 격실(55)내에서도 존재하여 화염의 형태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밸브(16a)를 사용함으로써, 밸브로 된 점화 노즐이 완전 연소되는 짧은 화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현저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노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점화 도관(48)의 위치를 점화 상태에 따라 보조공기 도관(54)에 대해 조절하고, 밸브 요소(50)를 점화 오리피스(49)로부터 약 7.62cm정도(3inch)떨어지게 위치시킨다. 다음에 분쇄기(12) 및 보조공기를 버너(14)에 공급하는 송풍기(15)의 모터를 가동시킨다.
점화를 수행하기 위해, 제4도에 도시된 점화기 토오치(torch, 60)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점화 통로(61)를 통해 점화 격실(55)내에 있는 분쇄된 고체 연료 및 공기의 고도의 와류 혼합물로 향하게 하며, 점화 통로(61)는 버너의 전면으로부터 판(14a) 및 내화 물질(56)의 블록을 통해 연장되어 점화 격실내로 개구되어 있다. 점화는 순간적으로 수행된다.
점화가 된 다음에, 내화 물질(56)을 작동 온도로 가열시키고 화염 전파를 관찰하기 위하여 토오치(60)의 화염을 약 5분간 유지한다. 이때에, 화염은 제4도에 도시된 투시공(62)를 통해 육안으로 관찰하며, 투시공(62)은 점화 통로(61)와 마찬가지로 버너의 전면으로부터 판(14a) 및 내화 물질(56)의 블록을 통해 연장되어 점화 격실(55)내로 개구된다. 단지 하나의 투시공만을 사용해서 관찰을 수행할 수 있으나, 점화 격실내의 연소 상태를 완전히 관찰하기 위해 2개 또는 그 이상의 투시공을 중요한 부분에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관찰을 수행함으로써, 밸브 요소(50)의 작동 위치를 노즐 점화 오리피스(49)로부터 최초 위치에서 전후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가 있다. 보조공기 도관의 단부(54a)에서 보조공기 도관(54)의 환형 배출 오리피스에 대해 점화 오리피스(49)의 위치를 재조정하기 위해 점화 도관(48)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항상 필요하지는 않지만, 점화 격실(55) 내부 및 격실을 지난 위치에서 적정 상태의 화염전파를 위해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노의 가동중에 내화 블록(56)은 약 1093 내지 1649℃(2000 내지 3000℉)까지 가열되어, 버너에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점화열을 제공하게 된다.
노의 연소중에 석탄 공급 비율, 즉 조절 비율을 조정하기 위해 밸브 요소(50)는 주연료 혼합물이 점화 격실내에 유입되도록 전기한 바와 같이 로드(51)를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위치된다. 다음에 보조공기 공급비는 석탄내 공기의 비를 적절히 조절하도록 밸브(16a)로 조절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사실은 본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연소 에너지는 연료 및 공기의 유입에 따라 조절 및 유지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작업자는 화염을 조절할 때 우선 상기 방법으로 조절하고, 특정 목적에 사용하기 위해 더 이상의 조절을 하여 화염의 형태를 조절할 때는 상기 방법 이외에 베인(59) 및 밸브(16a)를 조절하여 화염의 와류를 조절한다. 필요하면, 작업자는 노의 배출 가스를 분석하여 화염의 산화 또는 환원 특성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버너가 노 또는 보일러의 필요한 작동 결과를 얻기 위한 다양한 석탄 소비에 부합할 수 있는 가능성은 주로 분쇄기와 버너의 점화 노즐내에서의 분쇄된 석탄과 공기의 혼합과, 연속적인 점화의 안정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버너에 공급되는 석탄 공급비는 15 : 1정도 또는 그 이상의 조절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안정적인 연소를 위해서 그리고 역화 또는 소화를 방지하는데 좋다. 상기 조절 범위내에서의 화염의 형태, 온도 및 산화 또는 환원 가능성은 다양하게 변화되고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보일러를 가열하는데 적합한 짧고 넓게 퍼지는 불꽃을 용이하게 얻기 위해서는 석탄 연소비를 낮추고, 비교적 빠른 연소를 위해 보조공기의 유동비를 조절한다. 산업 공정의 노에 적합한 긴 화염을 얻기 위해서는 석탄 연소 비율을 높인다. 전기한 바와 같이 공급되는 보조공기에 와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선택된 혼합비 및 석탄 연소비에서 화염 형태를 더 조절할 수 있다.
1시간에 1/4톤 내지 1/2톤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점화 노즐의 점화 도관(48)의 직경을 10.16cm(4inch)로, 공기 도관(54)의 직경을 15.24cm(6inch)로, 점화 오리피스(49)의 직경을 8.89cm(3.5inch)로, 점화 격실(55)의 부분(55b)의 직경을 35.56cm(14inch)로 그리고 전체 점화 격실의 길이를 60.96cm(24inch)로 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점화 노즐을 매니포울드(manifold)와 결합시켜 단일 분쇄기를 사용하여 2개 또는 그 이상의 버너를 가동시키거나, 또는 단일분쇄기로 하나 이상의 점화 노즐을 가동시킬 수도 있다.
허니웰사의“미니 투시경”(No. C 7027A-1023)과 같은 적외선 투시경을 각 투시공(62)에 설치하여 관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연소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이 편리하나,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법 대신에 전자장치를 이용한 관찰을 하여 밸브장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연소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노를 점화시켜 계속 가동시킬 때, 가스 또는 오일과 같은 유체연료의 점화를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표준자동제어장치로 주어진 상태에서 필요한 조절 비율에 따라 고체 연료 및 주 공기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제로 수행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 및 기재된 내용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실시예를 변형시킬 수도 있다.

Claims (42)

  1.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분쇄될 고체 연료를 유입하는 수단과 주 공기를 유입하는 수단과 계단식 임펠러 수단과 노(10) 또는 다른 가열 장치의 연소 격실에서 연소시키기 위해 주 공기 및 분쇄된 고체 연료의 스트림을 버너(14)로 보내는 배출 수단을 갖춘 하우징(20)을 가지며 비교적 굵은 크기의 고체 연료를 충돌시켜 와류 공기내에서 자생적으로 분쇄시키는 계단식 임펠러분쇄기(12)와, 점화격실(55)과 분쇄기의 배출 수단에 연통되고 점화 격실안으로 향하는 점화 오리피스(49)를 가지며 점화 격실에 유입되는 스트림을 와류 유동시키는 구조를 취하는 점화 노즐과 점화 오리피스(49)를 밸브 요소(50)로부터 멀리 또는 가깝게 조절하기 위해 점화 오리피스로부터 하류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 요소(50)를 형성하는 수단을 갖는 버너(14)와, 보조공기를 조절된 양으로 상기 스트림에 유입하는 수단과, 점화 격실내에서 와류 공기 및 분쇄된 고체 연료를 점화시키는 수단과, 점화 격실 내부의 연소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수단과, 화염의 전파 및 화염의 형성을 조절하기 위해 관찰된 점화 격실 내부의 연소 상태에 따라 밸브 요소(50)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가능한 조절 비율이 1 : 1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분쇄기(12)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축(26)과, 상기 축에 상호 격설되게 장착되며 각각의 분쇄 단계를 형성하고 하우징(20)에 못미쳐서 종결되어 그 주위에 유체 유동 공간을 마련하며 그 위에 공기 유동 및 고체 입자 충돌부재가 마련된 일련의 임펠러(27 내지 31)와, 상기 하우징의 한단부에 인접 위치하여 반송 공기 스트림을 제공하는 주 공기를 유입하는 수단과, 분쇄될 고체 연료를 유입하기 위해 하우징(20)의 한 단부에 인접한 고체 연료 유입수단과, 공기 및 분쇄된 고체 연료의 반송 스트림을 버너(14)에 보내기 위해 하우징(20)의 다른 단부에 인접하고 점화 노즐에 연결된 배출 도관 수단과, 임펠러 축(26)을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분쇄기(12)가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호 인접한 임펠러(27 내지 31)세트의 인접 임펠러 사이가 하우징의 외주연으로 연장되어 임펠러(27 내지 31)에 의해 야기된 원심력에 대항해서 임펠러 축 방향으로 유동을 안내하는 일련의 환형 격벽(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공기 유입수단 및 연료 유입수단이 제1단계 임펠러(27)에 대해 유체를 직접 배출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제2단계 임펠러(28)가 제1단계 임펠러(27)에서 보다 더 많은 충돌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단계 임펠러(27)와 제2단계 임펠러 사이의 환형 격벽(34)이 제1단계에서 배출되는 물질을 제2단계로 집적하기 위해서 임펠러(27 내지 31)의 축을 향해 내측으로 만곡된 배출 설부(3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20)의 내측면에 유동공간내에서 하우징의 외주연으로 이격 위치한 충돌바아(47)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20)이 상부벽에 의해 상단부가 폐쇄되고 임펠러 축(26)와 함께 수직으로 위치하는 원통형이며, 임펠러(27 내지 31) 및 환형 격벽(34)이 수평으로 연장되며, 주 공기 유입수단 및 고체연료 유입수단이 하우징의 상부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주 공기 유입수단 및 고체 연료 유입수단이 임펠러 축의 직경방향 양측에서 하우징의 상부벽을 관통하는 연신된 대체로 장방형인 개구부(40,41)를 각각 포함하며, 공급도관(42,43)이 각각의 개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장방형으로 연신된 공기 유입 개구부(40)의 긴변이 임펠러 축을 향해 오목하게 대체로 일정하게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주 공기 유입개구부(40) 및 그 도관(42)과 연료 유입개구부(41) 및 그 도관(43)이 상호 호환성있게 사용되도록 유사하게 형성되며, 고체 연료 유입개구부(41)로 선택된 개구부가 공기 유입개구부(40)의 크기보다 작아지도록 편향 스커트(44)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배출 도관 수단이 하우징(20)의 원통형 측벽을 통해 최하부 단계의 임펠러에 접선적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단계의 임펠러(31)가 주 공기 및 이에 연행된 분쇄된 연료의 반송 스트림을 방출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임펠러의 상부표면에 고정되어 개구부의 높이내에서 배출 도관내로 돌출된 베인(31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분쇄기(12) 및 이를 작동시키는 수단이 대기중의 공기의 유입으로 작동되는 동안에 하우징내에 고체 연료 건조열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에너지가 작동중에 유입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버너(14)의 점화 격실내(55)의 연소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수단이 버너의 전면을 통해 연장되어 점화 격실안으로 개구되는 1개 이상의 투시공(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버너의 점화 수단이 버너(14)의 전면을 통해 연장되어 점화 격실(55)내로 개구되며 점화 격실내로 향하는 점화기(60)를 갖는 통로(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제3공기를 유입하여 점화 격실(55)을 형성하는 수단을 둘러싸기 위해 노(10)안으로 제3공기를 유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버너(14)의 점화 노즐이 점화 도관(48)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점화 오리피스(49)가 점화격실(55)을 향해 경사진 만곡된 원주형 설부에 의해 점화 도관의 하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버너(14) 점화 노즐의 밸브 요소(50)가 2중 테이퍼형 단부로 되어 있으며, 노즐의 점화 오리피스(49)를 통해서 유동하는 물질의 유동방향에 나란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버너(14)의 점화 노즐이 점화 도관(48)을 포함하고 노즐의 점화 오리피스(49)가 점화 도관의 하류단에 형성되며, 버너 도관에 있는 보조공기 유입수단이 상기 점화 도관에 동축으로 이를 둘러싸며 버너의 점화 격실(55)안으로 개구되는 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점화 도관(48)이 점화 격실(55)에 대한 점화 오리피스(49)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보조공기 공급 도관 및 점화 격실에 대해 종방향 활주가 가능하며, 점화 도관을 선택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버너(14)의 점화 노즐이 점화 도관(48)을 포함하고 노즐의 점화 오리피스(49)가 점화 도관의 하류단에 형성되며, 점화 노즐의 밸브 요소(50)가 점화 오리피스(49) 및 점화 도관(48)를 통해 후방으로 상기 도관의 외부 위치로 연장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다른 단부에서 종결되는 연신된 로드(51)의 한 단부에 고정되며, 노즐을 통해 유동하는 물질에 와류를 부과하기 위해 경사진 베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점화 도관내에 상호 격설된 스파이더(53)가 상기 로드(51)를 활주식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21.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노 또는 다른 가열장치의 연소실내에서 연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즉시 점화되어 화염을 신속하게 전파할 수 있도록 주 공기 및 이에 연행된 분쇄된 연료의 스트림을 마련하기 위해 대기중의 공기 흐름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연료를 건조시킬 수 있는 충분한 열을 발생시키도록 고체 연료를 충돌시키고 자생적으로 분쇄 상태하에 둠으로써 고체 연료를 분쇄하고, 상기 스트림을 보조공기와 혼합시키면서 밸브형 점화 오리피스를 갖는 점화 노즐을 통해 열을 보유 및 반사하는 내화 물질로 형성된 점화 격실안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스트림이 노즐 및 점화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 이에 와류를 발생시키고, 점화 격실내에서 와류 스트림을 점화시키고, 점화 격실의 연소 상태를 관찰하여 화염 전파 및 필요한 화염 형태를 위한 최적 연소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점화 오리피스를 통한 밸브 개구의 범위를 조정하고, 연료를 분쇄하여 이를 점화 격실안에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점화 및 점화 격실의 내화 물질의 초기 가열이 유체 연료 파일럿 버너로부터의 화염을 점화 격실안에 분사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노 또는 다른 가열장치로의 열공급이 특별히 높은 조절비를 얻기 위해 분쇄기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방법.
  24. 고체 연료 분쇄기에 있어서, 상부벽을 갖고 수직하게 위치한 하우징(20)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수직한 축(26)과, 상호 이격된 배열상태로 상기 축에 고정되고 주위에 외주연 유동공간을 마련하도록 유동공간내에 위치한 상호 이격된 대체로 수직한 충돌바아가 내측 원통형 표면에 마련된 하우징에 못미치게 종결되고 그 위에 공기 와류식 고체 입자 충돌부재를 갖춘 일련의 수평한 임펠러(27 내지 31)와, 하우징에 고정되고 임펠러에 의해 작용된 원심력에 대항해서 임펠러 축(26)을 향해 유동시키도록 상호 인접한 임펠러 세트의 각 인접 임펠러들 사이에서 외주연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환형 격벽(34)과, 반송 공기 스트림을 마련하도록 주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하우징의 상부벽에 있는 공기 유입수단, 분쇄될 고체 연료를 유입하기 위해 하우징의 상부벽에 있는 고체 연료 유입수단, 하우징의 하단부에 인접한 배출 도관 수단(45)과, 임펠러 축(26)을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 분쇄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주 공기 유입수단 및 고체 연료 유입수단이 임펠러 축의 직경방향 양측에서 하우징의 상부벽을 통해 개구되는 대체로 장방형인 연신된 개구부(40,41)와 각각의 개구부에 연통되는 공급도관(42,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 분쇄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장방형의 연신된 유입 개구부(40, 41)들의 긴 변들이 대체로 일정하게 임펠러 축을 향해 오목하게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 분쇄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주 공기 유입개구부(40) 및 그 도관(42)과 연료 유입개구부(41) 및 그 도관(43)이 상호 호환성있게 사용되도록 유사하게 형성되며, 고체 연료 유입개구부(41)로 선택된 개구부가 공기 유입개구부(40)의 크기보다 작아지도록 편향 스커트(44)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 분쇄기.
  28. 제24항에 있어서, 배출 도관 수단이 하우징(20)의 원통형 측벽을 통해 최하부 단계의 임펠러에 접선적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단계의 임펠러(31)가 주 공기 및 이에 연행된 분쇄된 연료의 반송 스트림을 방출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임펠러의 상부 표면에 고정되어 개구부의 높이내에서 도관내로 돌출된 베인(31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 분쇄기.
  29. 제24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측 원통형 표면이 세라믹으로 덮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 분쇄기.
  30. 제24항에 있어서, 주 공기 유입수단과 연료 유입수단이 제1단계 임펠러(27)에 대해 직접 배출식으로 배열되며, 제2단계 임펠러(28)가 제1단계 임펠러(27)에서 보다 많은 충돌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분쇄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제1단계와, 제2단계 임펠러 사이의 환형 격벽이 제1단계에서 배출되는 물질을 제2단계에서 집적하도록 임펠러 축(26)방향으로 내향 만곡된 배출 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 분쇄기.
  32. 제24항에 있어서, 분쇄기(12) 및 이를 작동시키는 수단이 대기중의 공기의 유입으로 작동되는 동안에 하우징내에 고체 연료 건조열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에너지가 작동중에 유입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 분쇄기.
  33. 노 또는 다른 가열장치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분쇄된 고체 연료용 버너에 있어서, 점화 격실(55)을 형성하는 수단과, 점화 오리피스와 이로부터 멀리 또는 가깝게 조정하기 위해 점화 오리피스의 하류 스트림에 가동적으로 장착된 밸브 요소(50)를 가지며 공기 및 분쇄된 연료를 점화 격실안으로 와류식으로 유동시키는 구조를 취하며 분쇄된 연료 및 주 공기의 스트림을 와류식으로 점화 격실안에 배출시키는 밸브형 점화 노즐과, 조절된 양의 보조공기를 상기 스트림에 유입하기 위한 수단과, 점화 격실안에서 공기 및 분쇄된 고체연료의 와류를 점화시키는 수단과, 점호 격실내의 연소 상태를 관찰하는 수단과, 화염 전파 및 화염 형태를 변화시키도록 점화 격실내의 관찰된 연소 상태에 따라 밸브 요소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된 고체 연료용 버너.
  34. 제33항에 있어서, 점화 격실내(55)의 연소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수단이 버너의 전면을 통해 연장되어 점화 격실안으로 개구되는 1개 이상의 투시공(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된 고체 연료용 버너.
  35. 제33항에 있어서, 점화 수단이 버너(14)의 전면을 통해 연장되어 점화 격실(55)내로 개구되며 점화격실내로 향하는 점화기(60)를 갖는 통로(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된 고체 연료용 버너.
  36. 제33항에 있어서, 점화 노즐이 점화 도관(48)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점화 오리피스(49)가 점화 격실(55)을 향해 경사진 만곡된 원주형 설부에 의해 점화 도관의 하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된 고체 연료용 버너.
  37. 제33항에 있어서, 밸브 요소(50)가 2중 테이퍼형단부로 되어 있으며, 노즐의 점화 오리피스(49)를 통해서 유동하는 물질의 유동방향에 나란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된 고체 연료용 버너.
  38. 제33항에 있어서, 점화 노즐이 점화 도관(48)을 포함하고 점화 오리피스(49)가 점화 도관의 하류단에 형성되며, 보조공기 유입수단이 상기 점화 도관에 동축으로 이를 둘러싸며 점화 격실(55)안으로 개구되는 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된 고체 연료용 버너.
  39. 제38항에 있어서, 점화 도관(48)이 점화 격실(55)에 대한 점화 오리피스(49)위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보조공기 공급 도관 및 점화 격실에 대해 종방향 활주가 가능하며, 점화 도관을 선택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된 고체 연료용 버너.
  40. 제33항에 있어서, 점화 노즐이 점화 도관(48)을 포함하고 노즐의 점화 오리피스(49)가 점화 도관의 하류단에 형성되며, 밸브 요소(50)가 점화 오리피스(49) 및 점화 도관(48)을 통해 후방으로 상기 도관의 외부 위치로 연장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다른 단부에서 종결되는 연신된 로드(51)의 한 단부에 고정되며, 노즐을 통해 유동하는 물질에 와류를 부과하기 위해 경사진 베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점화 도관내에 상호 격설된 스파이너(53)가 상기 로드(51)를 활주식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된 고체 연료용 버너.
  41. 제33항에 있어서, 점화 격실이 열을 보유 및 반사하는 내화물질로 주조된 단일체 블록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된 고체 연료용 버너.
  42. 제28항에 있어서, 최하부 단계의 임펠러가 하우징(20)의 하부벽 상에 정지하려는 어떠한 입자도 방출시키는 것을 돕기 위한 부재를 그 하부측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 분쇄기.
KR1019830002080A 1982-05-14 1983-05-13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KR910006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834782A 1982-05-14 1982-05-14
US378,347 1982-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566A KR840004566A (ko) 1984-10-22
KR910006233B1 true KR910006233B1 (ko) 1991-08-17

Family

ID=2349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080A KR910006233B1 (ko) 1982-05-14 1983-05-13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118455B1 (ko)
KR (1) KR910006233B1 (ko)
AU (3) AU566176B2 (ko)
CA (1) CA1203435A (ko)
DE (1) DE3371938D1 (ko)
WO (1) WO1983004085A1 (ko)
ZA (1) ZA8330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4960A (en) * 1984-05-03 1988-04-05 Bougard Jacques L Equipment for direct fuel firing
DE4302430A1 (de) * 1993-01-29 1994-08-04 Dkm Deutsche Kohle Marketing Verfahren zur Energiegewinnung aus festen Brennstoffen und Kombibrenner
US9039407B2 (en) 2006-11-17 2015-05-26 James K. McKnight Powdered fuel conversion systems and methods
BRPI0718901A2 (pt) 2006-11-17 2013-12-10 Summerhill Biomass Systems Inc Métodos para produzir energia, e para operar um dispositivo de combustão, dispositivo, forno adaptado para deflagar combustível em pó, motor, combustível em pó, dispersão de combustível em pó, e, kit para adaptar um dispositivo de combustão
AU2009233850B2 (en) * 2008-04-07 2014-04-10 Edward Bacorn Powdered fuel conversion systems and methods
CN105849464B (zh) * 2013-11-08 2017-10-27 施政 调节燃烧器内的火焰特性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4C (de) * 1877-09-05 C. MEHLER, Maschinenfabrikant in Aachen Zerkleinerungsmaschine für Erze, Steine und dergl
FR589749A (fr) * 1924-02-09 1925-06-04 Pulvérisateur pour installations de charbon pulvérisé
US1541903A (en) * 1924-04-25 1925-06-16 Raymond Brothers Impact Pulver Means for pulverizing, feeding, and burning fuel
US1676511A (en) 1926-02-01 1928-07-10 Int Comb Eng Corp Pulverized-fuel burner
US1841587A (en) * 1927-12-03 1932-01-19 Drake Non Clinkering Furnace B Combustion of pulverized or similar fuel
US1713297A (en) * 1928-03-26 1929-05-14 Olston Otto Centrifugal air-float pulverizer
GB317710A (en) * 1928-08-18 1930-10-30 George Francis Pettinos Improvements in grinding mills
US1721879A (en) * 1928-11-20 1929-07-23 Hazlehurst Henry Edward Pulverized fuel burner
GB329963A (en) 1929-02-27 1930-05-27 John Graves Mckea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ronts for furnaces
GB352516A (en) * 1930-02-12 1931-07-13 Arthur Dock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wdered fuel burners
US2392331A (en) * 1940-11-27 1946-01-08 Henry G Lykken Pulverizing and classifying machine
US2440285A (en) * 1943-04-28 1948-04-27 Henry G Lykken Pulverizing and classifying machine having a rotor comprising superimposed sections
US2497088A (en) * 1943-08-17 1950-02-14 Henry G Lykken Vortical classifying machine
US2561388A (en) * 1945-08-20 1951-07-24 Microcyclomat Co Classifier units for friable material pulverizers
US2561564A (en) * 1948-08-23 1951-07-24 Comb Eng Superheater Inc Pulverizing mill separator, having whizzer and directional vanes
GB795887A (en) 1954-07-26 1958-06-04 Bayer Ag Method of and device for burning fuels
GB899816A (en) * 1958-11-18 1962-06-27 Altenburger Maschinen G M B 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rinding machines
US3065919A (en) * 1960-09-06 1962-11-27 Colorado Mfg & Mining Co Inc Ore concentrator
NL6412244A (ko) * 1964-04-25 1965-10-26
US3873034A (en) * 1971-12-30 1975-03-25 Chisso Corp Apparatus for producing synthetic pulp
US3934522A (en) * 1974-11-01 1976-01-27 The Detroit Edison Company Coal burning system
FR2348438A1 (fr) * 1976-04-16 1977-11-10 Colmant Cuvelier Bruleur pour carburant pulverulent
US4173189A (en) * 1977-01-21 1979-11-06 Combustion Engineering, Inc. Boiler cold start using pulverized coal in ignitor burners
US4221174A (en) 1978-05-16 1980-09-09 Combustion Engineering, Inc. Direct ignition of a fluctuating fuel stream
US4318355A (en) * 1979-09-12 1982-03-09 Nelson Wilbert K Burner structure for particulate fuels
US4241673A (en) * 1979-11-05 1980-12-30 Combustion Engineering, Inc. Direct ignition of pulverized coal
US4321034A (en) * 1980-04-03 1982-03-23 Clearfield Machine Company Coal burners, rotary furnaces incorporating the same and methods of oper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715387A (en) 1987-11-26
AU601469B2 (en) 1990-09-13
CA1203435A (en) 1986-04-22
EP0118455A1 (en) 1984-09-19
DE3371938D1 (en) 1987-07-09
EP0118455A4 (en) 1985-07-30
KR840004566A (ko) 1984-10-22
AU601470B2 (en) 1990-09-13
AU1604983A (en) 1983-12-02
WO1983004085A1 (en) 1983-11-24
ZA833054B (en) 1984-01-25
AU7715487A (en) 1987-11-26
AU566176B2 (en) 1987-10-08
EP0118455B1 (en) 1987-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0338A (en) Solid fuel pulverizer for pulverized fuel burning system
US4630554A (en) Pulverized solid fuel burner and method of firing pulverized fuel
US4748919A (en) Low nox multi-fuel burner
JPH018803Y2 (ko)
US4351251A (en) Combustion apparatus
CA1172913A (en) Mixer for dual register burner
US4531461A (en) Solid fuel pulverizing and burning system and method and pulverizer and burner therefor
KR101547583B1 (ko) 분말연료 전환 시스템 및 방법
GB1576345A (en) Burner for powdered fuel
US2698050A (en) Combustion for liquid fuels
US4492171A (en) Solid fuel burner
JPH032780B2 (ko)
KR910006233B1 (ko) 고체 연료를 분쇄하여 연소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US6145450A (en) Burner assembly with air stabilizer vane
JPS63311007A (ja) 石炭燃料の炉のためのバーナ組立体
US3989443A (en) Multiple fuel burner and usage in rotary kilns
KR101476563B1 (ko) 조절 범위가 연장된 고체 연소 고온 가스 발생기
CA1228796A (en) Low pressure loss burner for coal-water slurry or fuel oil
CN101315188A (zh) 冶金气体燃烧器
US1969371A (en) Fuel burner
US3367384A (en) Methods for burning fuel, burners and systems for burning fuels and apparatus in which said burners and/or systems are parts thereof
US3180289A (en) Slagging cyclone furnace
US19248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rning pulverized fuel
US59132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fluidization of fuel particles in coal burning boilers and fluidized bed combustion
US1951862A (en) Apparatus for burning pulverized fu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