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160Y1 - 수도밸브의 작동봉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수도밸브의 작동봉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60Y1
KR910006160Y1 KR2019880019134U KR880019134U KR910006160Y1 KR 910006160 Y1 KR910006160 Y1 KR 910006160Y1 KR 2019880019134 U KR2019880019134 U KR 2019880019134U KR 880019134 U KR880019134 U KR 880019134U KR 910006160 Y1 KR910006160 Y1 KR 910006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haft
operating
rotating plate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9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804U (ko
Inventor
박세락
Original Assignee
박세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락 filed Critical 박세락
Priority to KR2019880019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160Y1/ko
Publication of KR900009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001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valves or valv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도밸브의 작동봉 가공장치
제 1 도는 본고안의 전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가공에 의해 완성된 작동봉의 사용상태 정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상태 "A"에서 본 상태의 측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상태 "A"에서 본 상태의 평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B"에서 본 상태의 요부도.
제 6 도는 제 4 도의 C-C'선에서 본 상태의 요부작동 상태도.
제 7 도는 제 4 도의 D-D'선에서 본 상태의 요부작동 상태도.
제 8 도는 제 4 도의 E-E'선에서 본 상태의 요부작동 상태도.
제 9 도는 제 4 도의 "F"부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4 : 주동축
11 : 크랭크 선별기 12 : 호퍼
14 : 중심축 15 : 회동판
16 : 래칫휘일 17 : 래칫로드
18 : 작동축 19, 21 : 마찰판
20 : 구동축 25 : 풀리
40 : 압봉 42 : 홀더
43 : 바이트 43a : 절단인
44 : 홈가공부 46 : 이동관
47 : 홈절단인 48 : 경사레버
53 : 척
본 고안은 주로 수도밸브에 유통로를 차단토록 손잡이의 조작으로 상, 하 동작되는 작동봉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외주면과 요홈부등의 가공부를 신속하고 연속적으로 가공케하므로서, 부분필요한 인력의 낭비를 없앰과 동시에,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널리 보급할수 있도록 고안된 수도밸브의 작동봉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었던 작동봉의 제작은 그 대개가 선반이나 이와 유사한 공작기계에 일일이 인위적으로 작동봉을 고정시켜 외주면을 절삭케 하고, 그외 필요로 한 요홈부나 끝단부의 라운드는 또다른 공작기계로 옮겨서 가공하므로, 많은 작업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소비자들이 높아지는 생산원가에 의해 고가인 제품을 구입해야만 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으로 인해 가공완성되는 작동봉(S)은 첨부도면 제 2 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수도밸브(V)의 유통로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은 나선부(S')가 형성되고, 상단은 요홈부(S")가 파여져 밸브핸들을 회전시킬때 나선부(S')가 나사진행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유통로를 차단토록 되는 구성은 이미 알고있는 바와같다.
이러한 작동봉(S)을 제작하는 과정으로는 우선, 봉재를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단조의 가공방법에 의해 봉재를형상으로 성형하고, 봉재하부의 돌출부에 나사에 의해 나선부(S')를 절삭 가공하고, 나선부(S')를 제외한 환봉의 외주면을 소정의 직경으로 잘삭하며, 요홈부(S")를 절삭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의 나선부(S')를 제외한 환봉의 외주면과 요홈부(S")를 가공키 위하여 비교적 원시적인 수작업에 의해 선반과 같은 환봉가공기의 척에 나선부(S')를 고정하여 바이트로 환봉의 외주면을 절삭하고, 또한 2차적인 작업으로 요홈부(S")가 파여지게 하는 방법에 의해 무수히 많은 소재를 일일이 선반의 척에 고정시킨 후, 복잡한 수작업에 의해 외주면과 홈을 가공하는데 많은 인력의 낭비와 시간의 소요로 인해 생산가격이 향상되는 원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능률적이어서 조립체계에 있어, 다음의 생산가공라인 및 조립라인에 정상적으로 공급치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일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정의 형태에 나선부(S')까지 이미 가공되어져 있는 작동봉의 외주면을 연속적으로 가공함과 동시에, 요홈부(S")가 파여지는 가공이 이루어지고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작동봉을 대향 생산할수 있도록 한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공기본체(1)내에서 발생된 모터(M)의 구동력이 감속기(2)에 긴장된 벨트(3)를 통해 제 3 도와 제 4 도에 도시된 주동축(4)을 일정속도로 회동시키면 주동축(4)의 양단에 형성된 베벨기어(5), (5')에 의해 제 1 종동축(6)과 제 2 종동축(7)은 각각 정속도로 회전된다.
제 3 도와 제 4 도에 도시된 주동축(4)의 스프라켓(8)과 크랭크선별기(11)의 스프로켓 사이에 긴장되어 있는 체인(9)에 의해 로드(10)가 크랭크선별기(11)를 계속 상, 하 회전운동을 반복토록 하므로서, 호퍼(12) 내에 쌓여진 소재, 즉 작동봉(S)을 일정한 위치로 공급레일(13)에 정리하여 보급케 되는 것은 이미 알려진 구조이다.
본체 (1)의 상부에 횡으로 설치되는 중심축(14) 중간에는 회동판(15)을 끼워 고정하고, 중심축(14)의 일측에는 편심구동에 의한 이동력을 받기위한 래칫휘일(16)이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첨부도면 제 5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제 1 종동축(6)에 형성된 제 2 편심캠(2c)의 회동으로 래칫로드(17)가 상승될때, 래칫휘일(16)을 일정각도(본 고안에서는 60°)씩 회전시켜 동축상에 설치된 회동판(15)로 동시에 회전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판(15)에는 중심축(14)에서 방사상으로 정확히 6등분된 위치에 수개의 작동축(18)을 각각 설치한다. 상기의 작동축(18)을 제 6 도와 같이 우측단은 암나사공(18')이 자공봉(S)의 나선부(S')와 동일형상으로 가공되어져 있고, 그 좌측단은 마찰판(19)이 고정 설치되어져, 또하나의 구성으로 회동판의 베어링에 끼워져 있다. 상기의 작동축(18)은 구동축(20)의 우측단에 형성된 또다른 마찰판(21)에 작동축(18)의 마찰판(19)이 접할 때에만 구동모터(M')의 회전력에 의해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되고, 구동축(20)이 작동축에서 분리되는 순간에 작동축의 회전은 정지된다.
상기의 구동축(20)은 첨부도면 제 6 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6등분된 작동축(18)중 4개의 동축선 위치에 끼워져 작동축(18)과 마주보는 일측단에 마찰판(19)을 부착하고, 축중앙부에 파여진 스플라인홈(20')부에 풀리(25)를 끼우고, 작동축의 타단이 레버(3)를 마주보도록 설치한다.
상기 작동축(18)에 끼워진 풀리(25)들에는 구동모터(M')측이 풀리에 컬벨트를 제 5 도와 같이 걸어 긴장시킨다. 따라서, 도면상 우측에 위치한 풀리(25)외에 나머지 풀리들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작동축(18)의 암나사공(18')을 마주하는 동축선상의 몸체(1)에 구멍을 뚫어 스프링(41)과 함께 압봉(40) 설치하여, 압봉(40)의 선단은 암나사공을 향하게 하고, 후단은 제 2 종동축(7)의 편심캠을 향하게 한다.
상기의 압봉(40)선단은 작동봉(S)을 작동축(18)의 암나사공(18')으로 밀어넣으며, 작동봉의 외면을 깎는 바이트홀더(42)를 설치하며, 작동봉 외면에 요홈부를 파내는 홈가공부(44)가 설치되며, 작동봉을 작동축의 암나사공에서 빼내는 고정간이 구비된 척(53)을 형성되는 등의 작업구 역할을 한다.
제 1 종동축(6)은 구동모터 (M')의 회전력을 작동축(18)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종동축에 제 1, 3, 4 편심캠(1c), (3c), (4c)을 끼워 고정하고, 제 1, 3, 4 편심캠 (1c), (3c), (4c)과 작동축(18)에 접속분리되는 구동축(20)사이를 각각의 레버(3), (33), (34)로 연결하고, 상기 레버(31), (33), (34)는 시이소오 구동하기 위한 지지핀(32)으로 고정시킨 위치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더라도 스플라인(20')에 의해 구동축(20)은 좌, 우 위치이동이 가능케된다.
또한, 제 2 종동축(7)에 제 5, 6, 7, 8 편심캠(5c), (6c), (7c), (8c)이 고정 되어 있으며, 수개의 압봉(40)과, 제 5, 6, 7, 8 편심캠 (5c), (6c), (7c), (8c) 사이를 수개의 작동레버 (35), (36), (37), (38)로 연결한다.
상기의 작동레버 (35), (36), (37), (38)는 각각 중김핀(39)을 축으로 회동되며, 압봉(40)을 내측중앙을 향해 이동케 하고, 스프링(41)의 탄력에 의해 원위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의 가공작업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랭크 선별기(11)에 의해 정위치로 계속 공급되는 작동봉(S)은 공급레일(13)에 안내되어, 첨부도면 제 4 도에서와 같이 작동축(18)과 압봉(4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들의 중심위치에 오게 된다.
이어서, 모터(M)의 구동으로 제 1 종동축(6)과 제 2 종동축(7)이 회전하면 제 1 편심캠(1c)은 캠곡선에 접촉되어 있는 레버(31)의 상단이 우측으로 이동시켜 구동축(20)의 마찰판(21)이 작동축(18)의 마찰판(19)에 접속시켜 구동모터(M')의 회전력이 작동축(18)에 전달됨과 동시에, 제 5 편심캠(5c)은 첨부도면 제 6 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35)를 회전이동시켜서 압봉(40)은 작동봉(S)의 나선부(S')를 작동축(18)의 암나사공(18')에 나사결합시키게 되어 작동축(18)에 작동봉(S)이 결합된다.
이와같이, 레버(31), (33), (34)와, 작동레버(35), (36), (37), (38)를 동시에 내측이동과 외측이동을 하게되나, 제 2 편심캠(2c)는 래칫로드(17)를 승하강시켜서 래칫로드(17)는 래칫휘일(16)의 치차를 제 5 도와 같이 회전시켜주므로 회동판(15)이 자연적 간절회전이 이동을 하게된다.
이러한 회동판(15)의 이동은 회동판에 어떠한 구동축(20)이나 압봉(40)이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동판(15)에서는 내부에 베어링으로 축설된 각각의 작동축(18)에 되어 있음에 따라 작동축(18)이 60°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360°의 1/6인 다음의 위치에 도달한 작동축(18)과 작동봉(S)은 제 3 편심캠(3c)과, 제 6 편심캠(6c)이 전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레버(33)와 작동레버(36)를 전진이동시켜 작동축(18)과 작동봉(S)은 고속회전시키게 하고, 압봉(40)의 끝단에 고정설치된 홀더(42)가 작동봉(S)에 근접되며, 바이트(43)가 작동봉(S)의 외주면을 점차가공케 됨과 동시에, 홀더(42)의 중앙위치에 고정설치된 절단인(43a)은 작동봉(18)의 우측단부를 절삭시켜형으로 끝부분 라운드 가공과 중앙삼각홈을 동시에 가공케 된다.
중앙삼각홈은 필요에 따라 작동봉(S)의 다음 가공시 드릴이나 탭가공을 위한 중심을 표시 안내하는 목적으로 가공된다.
이렇게 외주면 가공이 끝난다음에는 마찰판(19), (21)이 분리되고, 압봉(40)이 후퇴된 다음, 래칫휘일(16)과 래칫로드(17)에 의해 회동판(15)과 이에 축설된 작동축(18), 작동봉(S)이 동시에 다음 위치로 이동되어 제 3 편심캠(3c)에 의해 레버(33)가 압판(50)으로 동시 전진이동케 되는 구동축(20)이 작동축(18)과 함께 회전되면 제 7 편캠(7c)의 위치전환으로 동레버(37)가 압봉(40)을 전진이동할 때는 첨부도면 제 8 도에서 가상선의 위치에 있는 홈가공부(44)가 실선의 위치로 이동된다.
홈가공부(44)는 그 내측에 압축스프링(45)으로 탄력설치된 이동간(46)이 작동축(18)의 선단에 접할때, 이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홈절단인(47)이 가공할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계속하여 압봉(40)이 전진함에 따라 경사레버(48)가 홈절단인(47)의 상단을 압입하여 경사레버(48)의 경사진 위치 이동거리(t)의 길이만큼 홈절단인(47)이 하강되어 작동봉(S)의 요홈부(S")를 가공하는 것이며, 완전히 가공된 후에는 전기와 역순으로 스프링(49)의 탄력에 의해 홈절단인(47)은 상승된 후, 이동관(46)과 홈가공부(44) 전체가 후퇴된다. 이동관(46)은 볼트(51)에 의해 안내홈(52)에 걸려지게 하므로서 이탈을 방지하였다.
상기의 과정을 거치며, 외주면과 라운드가 동시 가공되고, 작동봉(S)에 필요로 한 요홈부(S") 가공한 다음에는 이를 분리토록 래칫휘일(16)에 의해 회동판(15)과 작동축(18), 작동봉(S)은 척(53)의 위치로 오게 된다.
척(53)의 위치에는 제 4 편심캠(4c)에 의해 레버(44)가 위치 이동되어, 동력전달되는 구동축(20)과 작동축(18)은 풀리 (25)가 첨부도면 제 5 도에서 도시한 것과같이, 역회전토록 되어 있음에 따라, 작동봉(S)은 위에서 역회전을 유지한 상태에서 척(53)이 압봉(40)과 함께 전진이동되어, 작동봉(S)의 우측단을 척(53)이 고정시킴에 따라 나선부(S')는 고정된 상태이고, 암나사공(18')이나 사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작동축(18)에서부터 작동봉(18)을 분리할수 있는 것이며, 척(53)이 후퇴될 때는 척(53)의 상단에 파여진 장공(53')으로 수직 방향에 고형설치된 고정간(54)이 척(53)의 입구를 벌려지게 하므로, 척(53)이 후퇴됨과 동시에, 작동봉(S)이 분리, 낙하되며, 안내판(55)을 따라 다음의 가공위치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 즉 작동봉(S)이 작동축(18)에 나사결합되고, 외주면과 라운딩가공, 요홈부가공, 척(53)에 의한 완성품 분리작업과 시간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므로서, 계속 반복될 때 각각의 위치에서는 동일한 작업만을 행하게 되어, 연속적으로 래칫휘일(16)이 1/6회전할 때마다 1개의 가공완성품이 제작될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거의 모든 동작이 동시에 작동으로 반복되며, 이루어지므로서 인력의 낭비없이 신속히 대량생산을 할수 있어 생산원가가 저하됨은 물론, 소비자들로 하여금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몸체(1) 외부에 설치되는 모터(M)의 구동력이 벨트(3)를 통해 크랭크선별기(11)와 양측의 제 1, 2 종동축(6), (7)으로 양분이 되게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동축(6)과 제 2 종동축(7)에 제 1, 3, 4, 5, 6, 7, 8 편심캠(1c), (3c), (4c), (5c), (6c), (7c), (8c)을 설치하며, 몸체(1) 상단 양측에 전후이동되는 구동축(20)과 압봉(40)을 설치하며, 상기 제 1∼8 편심캠(1c∼8c)과 구동축(20) 및 압봉(40) 사이를 시이소오 구동하는 레버캠(31), (33), (34), (35), (36), (37), (38)으로 연결하고, 상기의 구동축(20)과 압봉(40) 사이에는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수개의 작동축(18)이 방사형 위치에 베어링으로 지지된 회동판(15)이 설치하고, 상기 회동판(15)의 중심축(14)에 고정된 래칫휘일(16)과, 제 1 종동축(6)상의 제 2 편심캠(2c)의 래칫로드(7)에 의해 회동판(15c)이 간헐적으로 회전되게 하며, 상기 작동축(18)은 별도의 구동원(M')과 연결된 구동축(20)의 풀리(25)와 마찰판(21)과 작동봉(18)의 마찰판(19)을 거쳐 회동판(15)에서 회동되게 하고 상기 작동축(18)의 암나사공(18')과 일치 하여 전후이동하는 압봉(40)의 선단에는 작동봉(S)의 외면을 가공하기 위한 바이트홀더(42)와 홈가공부(44) 및 척(53)을 설치하여 작동봉(S)의 외면과 요홈을 순차 가공하는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의 작동봉 가공 장치.
KR2019880019134U 1988-11-26 1988-11-26 수도밸브의 작동봉 가공장치 KR910006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134U KR910006160Y1 (ko) 1988-11-26 1988-11-26 수도밸브의 작동봉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134U KR910006160Y1 (ko) 1988-11-26 1988-11-26 수도밸브의 작동봉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804U KR900009804U (ko) 1990-06-01
KR910006160Y1 true KR910006160Y1 (ko) 1991-08-19

Family

ID=1928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9134U KR910006160Y1 (ko) 1988-11-26 1988-11-26 수도밸브의 작동봉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1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804U (ko) 199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160Y1 (ko) 수도밸브의 작동봉 가공장치
US2804142A (en) Device for cutting lengths from elongated, in particular tubular, material
CN110355573B (zh) 一种阀门端盖加工装置
KR100191290B1 (ko) 슬롯팅 기계
KR0130863B1 (ko) 파이프 절단장치
KR19990012096U (ko) 파이프 절단기
CN111203567B (zh) 一种轴类零件螺旋钻孔装置
US2097646A (en) Metalworking machine
JPS63212451A (ja) 管端部内面研掃装置
CN107252929B (zh) 全自动锁胆毛刺清除机
CN2191053Y (zh) 椭圆工件车削装置
US39429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aling washers
CN214815274U (zh) 一种摩托车主轴下料装置
CN111761006B (zh) 一种螺纹加工装置
CN2276385Y (zh) 坡口机
KR930005248B1 (ko) 와이어 가닥과 같은 신장된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콘베이어장치
CN220007905U (zh) 塑料产品快速截断装置
KR100416913B1 (ko) 1차절삭가공된 피봇 스크류 반제품을 2차 절삭가공하기위한 장치
US3344450A (en) Apparatus for the automatic manufacture of pipe unions
CN210648610U (zh) 一种钻中心眼装置
KR930004408Y1 (ko) 타정기용 소재의 가공장치
KR200260161Y1 (ko)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절단기
US1888610A (en) Nail machine
CN2405705Y (zh) 圆钢旋风剥皮机
KR200351127Y1 (ko) 다축 파이프 나사가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