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42B1 - 진공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공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942B1
KR910005942B1 KR1019880007712A KR880007712A KR910005942B1 KR 910005942 B1 KR910005942 B1 KR 910005942B1 KR 1019880007712 A KR1019880007712 A KR 1019880007712A KR 880007712 A KR880007712 A KR 880007712A KR 910005942 B1 KR910005942 B1 KR 910005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tyrene
silicone oil
expandable polystyrene
preparation
vacuu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407A (ko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한남화학 주식회사
유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화학 주식회사, 유영학 filed Critical 한남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7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942B1/ko
Publication of KR900000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942B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진공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성형시간 특히 냉각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진공 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폴리스티렌 발포체는 기포가 독립기포로 되어 있어 발포제의 비산이 늦어 냉각시간이 길어지는 결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자는 기포 구조를 연속기포로 하면 냉각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데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연속기포가 생기게 하는 방법으로는 물리적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이 있으나 물리적인 방법에 의할 경우 예비 발포 및 성형시에 고압의 증기를 사용해야 하는 난점이 있고 고압증기를 사용할 경우 내열성이 약한 폴리스티렌 발포체의 수축 및 용융이 문제가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화학적인 방법에 의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폴리스티렌비드는 분자량이 작을수록 기포 구조가 약하기 때문에 가공시에 연속기포가 많이 생기며, 실제로 중량평균 분자량을 10만대로 하여 종래 제품과 비교 실험한 바 약 50%의 냉각시간 단축 효과를 얻었다. 그러나 중량평균 분자량 10만대로는 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어 강도를 요하는 분야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중량평균 분자량을 크게하고 중량평균 분자량을 크게 하므로서 줄어드는 연속기포를 첨가제를 첨가하여 연속기포로 변화시켰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첨가제는 실리콘 오일이며, 이때 사용하는 실리콘 오일의 점도는 500cps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첨가량은 폴리스티렌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0.5중량부가 적당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폴리스티렌 발포제는 전자 현미경으로 확인한 바 연속기포가 많았다.
본 발명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발포제가 함유된 폴리스티렌비드에 점도 500cps 이하의 실리콘 오일을 폴리스티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0.5중량부 혼합하여 본 발명 진공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진공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은 예비 발포기에서 0.3-1.0kg/㎠G의 증기압으로 비중 0.30-0.016까지 발포하여 공기 유통이 좋은 곳에서 1-2일간 방치 후 자동형물 진공 성형기에서 0.6-1.2kg/㎠G의 압력으로 성형하여 진공도 700mmHg 이상으로 잔류가스를 제거하면 냉각시간이 기존 발포체보다 50%단축되며, 표면이 미려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용량100ℓ 반응기에 스티렌 단량체 40kg과 물10ℓ분산제로 트리칼슘포스페이트 100g, 분산보조제로 알킬벤젠술폰산소다 1g, 중합촉매로 벤조일퍼옥사이드 160g과 tert-부틸퍼벤조에이트 50g을 넣고 90℃에서 6시간 중합하고 120℃에서 펜탄 4kg을 압입 5시간 반응시킨 후 30℃까지 냉각 배출, 중화, 수세, 건조한 것에 실리콘 오일 200g을 넣고 혼합하여 본 발명 진공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발포성 폴리스티렌을 예비발포기에서 0.5kg/㎠G로 발포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1일간 방치후 진공도 700mmHg의 진공성형기에서 증기압 0.8kg/㎠G로 성형하면 냉각시간이 50초 소요되고 표면이 미려한 폴리스티렌 발포체가 얻어진다.
[실시예 2]
실리콘오일을 100g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바 냉각시간이 70초 소요되었다.
[실시예 3]
실리콘오일을 40g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바 냉각시간이 80초 소요되었다.
[비교실시예]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바 냉각시간이 100초 소요되었다.

Claims (1)

  1. 스티렌 당량체에 분산제, 분산조제, 중합촉매를 가하여 중합시킨 다음 펜탄을 압입한 통상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100중량부에 500cps 이하의 실리콘오일 0.01∼0.5중량부를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 제조방법.
KR1019880007712A 1988-06-25 1988-06-25 진공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 제조방법 KR91000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7712A KR910005942B1 (ko) 1988-06-25 1988-06-25 진공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7712A KR910005942B1 (ko) 1988-06-25 1988-06-25 진공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407A KR900000407A (ko) 1990-01-30
KR910005942B1 true KR910005942B1 (ko) 1991-08-09

Family

ID=1927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712A KR910005942B1 (ko) 1988-06-25 1988-06-25 진공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9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407A (ko) 199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8245A2 (en) Process for producing pre-foamed particles of polypropylene resin
US4029614A (en) Particulate expandable styrene polymers having good processability
EP1485429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mpositions based on expandable vinylaromatic polymers with an improved expandability
CA1147099A (en) Fast-cooling styrene polymer foams
KR910005942B1 (ko) 진공성형용 발포성 폴리스티렌 제조방법
JPH04185616A (ja) 発泡性スチレン系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
US3520833A (en) Method of making expandable polymers
JP3474995B2 (ja) 発泡性スチレン系重合体粒子の製法
US3832312A (en) Process for making foamed styrene polymers photodegradable
JP2002302567A (ja) 生分解性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系樹脂予備発泡粒子の連続製造方法
JP2991746B2 (ja) 発泡性ビーズの製造法
US4994499A (en) Method of adding flame retardant to vinyl aromatic polymers made in a one-step process
US3207712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xpandable particles of styrene polymer
JPS5921341B2 (ja) 発泡性熱可塑性重合体粒子の製造法
US3742103A (en) Method for preparing and molding expandable, non-equimolar styrene-maleic acid half ester copolymer particles
US3449268A (en) Process for making foamable isotactic polystyrene
US4003858A (en) Process for producing expandible styrene polymers useful in the manufacture of shaped cellular articles
JPS6338063B2 (ko)
JPH0234640A (ja) 発泡性熱可塑性樹脂粒子の製造法
KR100397529B1 (ko) 이형성이 우수한 발포성 스티렌 수지 입자의 제조방법
WO1995033790A1 (en) Coating composition for expandable beads
KR100759187B1 (ko) 기계적 강도와 발포력이 동시에 우수한 발포 스티렌 수지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80214B1 (ko) 발포성 스티렌 중합체 수지비드의 제조방법
JPS6026502B2 (ja) 発泡性熱可塑性重合体粒子の製造法
CA2041537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styrenic foam using an alcohol-alkane blowing agent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