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41B1 - 중합온도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중합온도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941B1
KR910005941B1 KR1019860011336A KR860011336A KR910005941B1 KR 910005941 B1 KR910005941 B1 KR 910005941B1 KR 1019860011336 A KR1019860011336 A KR 1019860011336A KR 860011336 A KR860011336 A KR 860011336A KR 910005941 B1 KR910005941 B1 KR 910005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ization
temperature
valve
control
cont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089A (ko
Inventor
다다시 아사누마
미쯔루 이또우
가네오 이또오
요시유끼 후나꼬시
아끼히꼬 나까지마
Original Assignee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도쯔까 야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952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533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95280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53303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도쯔까 야스아끼 filed Critical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19/0013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10/06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051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19/000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heat exchange system
    • B01J2219/00056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heat exchange system involving measured parameters
    • B01J2219/00058Temperature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051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19/000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heat exchange system
    • B01J2219/00056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heat exchange system involving measured parameters
    • B01J2219/00058Temperature measurement
    • B01J2219/00063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91Control algorithm
    • B01J2219/00193Sensing a parameter
    • B01J2219/00195Sensing a parameter of the reaction system
    • B01J2219/002Sensing a parameter of the reaction system inside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91Control algorithm
    • B01J2219/00211Control algorithm comparing a sensed parameter with a pre-set value
    • B01J2219/00213Fixed parameter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91Control algorithm
    • B01J2219/00211Control algorithm comparing a sensed parameter with a pre-set value
    • B01J2219/0022Control algorithm comparing a sensed parameter with a pre-set value calculating dif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91Control algorithm
    • B01J2219/00222Control algorithm taking actions
    • B01J2219/00227Control algorithm taking actions modifying the operating conditions
    • B01J2219/00238Control algorithm taking actions modify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heat exchang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6/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6/902Monomer polymerized in bulk in presence of transition metal containing cataly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합온도의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중합장치의 일례로서, 비응축가스의 일부가 환류냉각기에서 연장된 비응축가스배출관으로 반환되어 상기 비응축가스가 재순환되고,
제2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중합장치의 다른예로서, 비응축가스의 나머지 부분이 환류냉각기의 증기도입관으로 반환된다.
제3도는 실시예 1에 의해 중합을 행한 경우의 조작시간과 반응온도의 관계를 비교실험결과와 함께 도시하는 그래프.
제4도는 실시예 2에 의해 중합을 행한 경우의 조작시간과 반응온도의 관계를 단른 비교실험결과와 함께 도시하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합조 2 : 환류냉각기
3 : 송풍기 4, 5, 6, 7, 8, 9, 11 : 라인
21, 22, 23, 24 : 유량제어밸브 31 : 온도계
32 : 제어기
본 발명은 일종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중합체를 제조하는 경우의 중합열제거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응기에서 발생한 증기를 냉각 및 응축하여서 중합열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합반응중에 발생되는 중합열을 제거하여서 중합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반응기의 벽을 개재하거나 반응기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에 의하여 중합열을 제거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방법으로는 대형반응조의 넓은 전열면적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액상매체의 잠열을 이용하는 환류냉각기를 사용하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다. 환류냉각기는 냉각용량이 커서 특정한 제어치를 재용함으로써 우수한 응답성으로 중합열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1983-45961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대형 반응기에서는 환류냉각기에 의해서 제거해야하는 열량이 막대하기 때문에 냉각매체의 유량을 변동시켜서 중합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한다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하다. 유량이 다른 여러 가지 냉각매체유관을 구비하여 유량이 작은 유관을 개재하여 냉각매체의 유량을 제어하여서 제열량의 미소변화에 대처하려는 특별한 설계를 면밀히 검토하였으나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는 극히 곤란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의 해소방법을 찾고자 광범위한 연구를 행하였다. 그 결과, 냉각계의 매체유량을 제어하여 극히 우수한 제어성으로 중합열을 제거함으로써 일정온도에서 중합반응을 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응계에서 휘발성액상매체의 존재하에 발생된 증기를 환류냉각기에서 응축하고, 이어서 생성된 비응축가스와 응축액을 반응계로 반환함으로써 중합열을 제거하는 냉각계가 부착된 중합장치로의 중합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비응축가스의 일부는 냉각계로 재순환되고, 비응축가스의 재순환유량과 환류냉각기의 냉각매체도입유량은 반응계의 온도에 따라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반응기를 사용하여 중합반응을 행하는 한 어떤 단량체의 중합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중합대상 단량체를 휘발성액상매체로 사용하면서 벌크중합법에 의해 행하는 중합반응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대량의 중합열을 환류냉각기를 개재하여 제고할 수 있기 때문에 일층 효과적이다. "휘발성액상매체"의 예로서는 프로판, 펜탄, 헥산, 헵탄, 데칸, 벤젠 및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 2-디클로로에탄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중합에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첨가반응을 통해서 중합할 수 있는 이중결합을 포함함과 동시에 비교적 중합열이 큰 프로필렌,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부텐-1, 헥센-1, 스티렌 및 P-메틸스티렌등을 들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단량체중 2종이상을 공중합하거나 상기 단량체중 일종 이상을 에틸렌과 공중합반응시키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중합반응을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행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중합열의 발생패턴변동을 예상하는 것이 곤란한 연속실중압반응에 적용되는 경우에 일층 효과적이다.
다음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도시한 장치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비응축가스의 일부는 환류냉각기에서 연장된 비응축가스배출관으로 반환되어 재순환된다.
단량체는 중합조(1)에서 휘발성액상매체의 존재하에 중합된다. 중합열에 의해 가열된 휘발성액상매체의 증기는 라인(4)를 통해서 환류냉각기로 도입된다. 냉각매체는 라인(8)로부터 유량제어밸브(22)를 통해서 환류냉각기(2)로 도입되고 라인(9)를 통해서 배출됨으로써 증기가 응축된다. 얻어진 응축액은 라인(5)를 통해서 반응조(1)로 반환되는 한편, 응축되지 않은 비응축가스는 송풍기(3)에 의해서 압축되고 비응축가스의 일부는 유량제어밸브(21)를 통해서 라인(7)을 개재하여 반응조(1)로 반환됨과 동시에 나머지는 유량제어밸브(23)을 통해서 라인(11)을 개재하여 라인(6)으로 반환된다. 유량제어밸브(21),(22),(23)은 온도계(주수단)(31)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기(32)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 상술한 장치에서, 송풍기(3)대신에 다른 기계적 전이수단, 예를 들면, 각종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온도계(31)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따라 작동되는 유량제어밸브(21),(22),(23)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공지된 각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유량제어밸브를 구동하는 서어보기구, 온도에 비례하는 신호를 서오보기구에 부여할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방법 또는 연산처리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통상적으로, 중합조의 온도변동에 대한 제한치를 설정하여 제한치이하인 경우에는 제어밸브(21),(23)을 작동하는 한편 제한치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밸브(22)를 작동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유량제어밸브(21),(22),(23)을 제어한다. 제열량의 대량변동은 주로 냉각매체의 유량을 변화시켜서 처리하는 한편, 제열량의 소량변동은 비응축가스의 유량을 변화시켜서 처리한다.
다음의 본 발명의 제어밸브 제어방법을 일층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각 밸브의 개폐도는 설정치와의 차에 비례하는 함수와, 설정치의와의 차를 시간에 대하여 미분한 다른함수와, 설정치와의 차를 적분한 또 다른 함수를 조합하여서 제어한다. 상기 세 함수중 어느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각 장치 및 각 중합계에 따라 다르므로 명시할 수 없다. 그러나, 설정치와의 차가 소정치이하이고 미분치의 절대치가 설정치이하인 경우에는 밸브(23)만을 제어하고, 미분치의 절대치가 설정치이상인 경우에는 밸브(22)를 제어한다. 미분치가 소정치이하가되면, 밸브(22)의 개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밸브(23)을 제어한다. 온도변동에 대응하는 각 밸브개폐도의 제어함수는 소정기간의 상기 적분치에 따라서 변화시킬 수도 있다. 밸브(23)의 개폐도는 변동폭의 중간에 고정하거나, 밸브(22)와 연동시켜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22)의 변동에 의해 기인된 제열량의 변동을 일부 흡수하도록 밸브(23)을 개방할 수 있다. 제어밸브의 제어방법은 반응기의 제어 특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은 제2도에 도시한 장치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비응축가스의 나머지부분은 증기도입관으로 반환되어 환류냉각기로 도입된다.
중합조(1)에서 휘발성액상매체의 존재하에 단량체가 중합된다. 중합열에 의해서 가열된 휘발성액상매체의 증기는 라인(4)를 통해서 환류냉각기(2)로 도입된다. 라인(8)로부터 유량제어밸브(22)를 통해서 환류냉각기(2)로 냉각매체가 도입된 후에 이것이 라인(9)를 통해서 배출됨으로써 증기가 응축된다.
얻어진 응축액은 라인(5)를 통해서 반응조(1)로 반환되는 한편, 응축되지 않은 비응축가스는 송풍기(3)에 의해서 압축되고 비응축가스의 일부는 유량제어밸브(21)을 통해서 라인(7)을 개재하여 반응조(1)로 반환된다. 상술한 구조는 제1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비응축가스의 나머지부분은 유량조절밸브(24)를 통해서 라인(12)를 개재하여 라인(4)로 도입하거나 유량조절밸브(23)을 통해서 라인(11)을 개재하여 환류냉각기(2)에서 연장된 비응축가스 도입관(6)으로 도입된다. 중합조(1)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계(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에 따라서 유량제어밸브(21),(22),(23),(24)는 각각 제어기(32)에 의해서 제어된다.
온도계(31)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따라 작동되는 유량제어밸브(21),(22),(23),(24)를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공지된 각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유량제어밸브를 구동하는 서오보기구, 온도에 비례하는 신호를 서오보기구에 부여할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방법 또는 연산처리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통상적으로, 중합조의 온도변동에 대한 제한치를 선정하여 제한치이하인 경우에는 제어밸브(21),(24),(23)을 작동하는 한편 제한치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밸브(22)가 제어밸브(21),(24) 및/또는 (23)과 연동되도록 작동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유량제어밸브(21),(22),(23),(24)를 제어한다.
제1도의 장치에서는 밸브(21)에 의해서 행한 제어를 제2도의 장치에서는 3개의 제어밸브(24),(23),(21)에 의해서 행한다. 제어는 일반적으로 두 방법, 즉 밸브(21)에 의한 제어를 우선으로 하거나 밸브(23),(24)에 의한 연동제어를 우선으로하여 행한다. 반응기의 형상, 냉각매체의 온도, 반응기의 온도등에 따라서 우선으로 해야할 제어방법이 다르다. 냉각매체와 반응기의 온도차가 큰 경우에는, 밸브(23),(21)에 의한 연동제어를 행함으로써 제어성이 우수한 경우가 많다. 비교적 많은 양의 비응축가스가 포함된 경우에는, 밸브(24)에 의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제어성이 우수한 경우가 많다.
제열량이 대량변동은 주로 냉각매체의 유량을 변화시켜서 처리하는 한편, 제열량의 소량변동은 비응축가스의 유량을 변화시켜서 처리한다.
다음은 제2도에 도시한 장치의 제어밸브 제어방법을 일층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제1도의 장치의 제어밸브와 마찬가지로, 각 밸브의 개폐도는 설정치와의 차에 비례하는 함수와, 설정치와의 차를 시간에 대하여 미분한 다른함수와, 설정치와 차를 적분한 또 다른 함수를 조합하여서 제어한다. 상기 세함수중 어느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각 장치 및 각 중합체에 따라 다르므로 명시할 수 없다. 그러나, 설정치와의 차가 소정치이하이고 미분치의 절대치가 설정치이하인 경우에는 밸브(24)만을 제어하고, 미분치의 절대치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밸브(22)를 제어한다. 미분치가 소정치이하가 되면, 밸브(22)의 개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밸브(24)를 제어한다. 온도변동에 대응하는 각 밸브개폐도의 제어함수는 소정기간의 상기 적분치에 따라서 변화시킬 수도 있다. 밸브(24)의 개폐도는 변동폭의 중간에 고정하거나, 밸브(22)와 연동시켜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22)의 변동에 의한 제열량의 변동을 일부 흡수하도록 밸브(24)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밸브의 제어방법은 반응기의 제어특성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중합열을 제거함으로써 우수한 제어성으로 중합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이유는, 환류냉각기에서 응축되지 않은 비응축가스량을 제어함으로써 환류냉각기의 증기도입량, 다시말해서 증기의 응축량에 대한 미소제어를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즉, 제열량을 미소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반응기에서 중합반응의 온도제어성이 극히 높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에서 중합반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염화폴리비닐, 폴리프로필렌등과 같이 중합온도에 의해서 품질이 크게 변화하는 중합체인 경우에도 균질의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벌크중합에서는, 온도변화가 압력변화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므로 온도변화는 슬러리등의 이송에 대한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공업적 규모로 벌크중합을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그 가치가 극히 높다.
다음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일층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에 도시한 온도제어계를 가짐과 동시에 내용적이 40㎥인 중합조에서 삼염화티탄과 디에텐알루미늄클로라이드로 구성되는 촉매의 존재하에 액상프로필렌을 액상매체로 사용하면서 액상프로필렌의 벌크중합을 연속적으로 행하였다.
중합조는 냉각가능한 재킷(최대제열량; 600Mcal/hr)으로 피복하였다. 냉각매체로서 대략 일정온도의 냉각수를 재킷에 도입하여 중합열의 일부를 제거하였다.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환류냉각기(최대제열량; 2,000Mcal/hr)를 사용하여 중합조의 온도를 제어하였다.
대략 30㎥의 슬러리가 유지되도록 중합조를 제어함과 동시에 촉매로서 삼염화티탄올 1.2kg/hr의 속도로 장입하면서 연속중합을 행하여 24tons/hr의 속도로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였다. 조작중에, 중합조에 수소가스를 장입하여 기상의 수소농도가 7%로 유지되도록 하여서 얻어지는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량을 제어하였다.
상술한 조건하에서 중합온도를 70℃로 제어하면서 10시간동안 중합을 행하였다. 비교하기 위해서, 제어밸브(23)은 폐쇄하고 제어밸브(21)은 개방한 종래의 방법으로도 조작을 행하였다. 제3도는 10시간 조작중의 온도변화를 도시한다. 비교예에 있어서, 온도는 대폭적으로 변화하였다. 온도가 낮은 경우, 즉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중합조로부터 슬러리의 배출이 곤란하였다. 한편, 온도가 높은 경우, 즉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슬러리의 배출량이 많았다. 따라서 슬러리의 용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얻어진 폴리프로필렌의 입체정규성을 불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된 온도에 따라 하기의 방법으로 제어밸브(21),(22),(23)을 제어하였다.
온도계(31)에 의해 검출된 중합조의 온도는 제어기(32)에 의해 설정온도 70℃로 제어되었다. 상기 검출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고 중합조온도의 변화율이 제한치이하인 경우에는 제어밸브(23)의 개방도를 작게하였다. 한편, 중합조온도의 변화율이 상기 제한치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밸브(22)의 개방도를 크게하고 제어밸브(23)의 개방도도 제어하였다.
한편, 중합조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과 반대로 각 제어밸브를 조작하였다.
또한, 제어기(32)에 의한 중합조온도 변화율을 연산처리한 온도변화율 함수에 따라 제어밸브(21)을 귀환 제어함으로써 제어계의 안정성이 증대되었다.
[실시예 2]
제2도에 도시한 온도제어계를 가짐과 동시에 내용적이 40㎥인 중합조에서 삼염화티탄과 디에틸렌알루미늄 클로라이드로 구성되는 촉매의 존재하에 액상프로필렌을 액상매체로 사용하면서 액상프로필렌의 벌크중합을 연속적으로 행하였다.
중합조는 냉각가능한 재킷(최대제열량:600Mcal/hr)으로 피복하였다. 냉각매체로서 대량 일정온도의 냉각수를 재킷에 도입하여 중합열의 일부를 제거하였다.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환류냉각기(최대제열량:2,000Mcal/hr)를 사용하여 중합조의 온도를 제어하였다.
중합조내의 슬러리가 대략 30㎥으로 유지되도록 중합조를 제어함과 동시에 촉매로서 삼염화티탄을 1.2㎏/hr의 속도로 장입하면서 연속중압을 행하여 24tons/hr의 속도로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였다. 조작중에, 중합조에 수소가스를 장입하여 기상의 수소농도가 7%로 유지되도록하여서 얻어지는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량을 제어하였다.
상술한 조건에서 중합온도를 70℃로 제어하면서 10시간동안 중합을 행하였다. 비교하기 위해서, 제어밸브(24)는 폐쇄하고 제어밸브(21)은 개방한 종래의 방법으로도 조작을 행하였다. 제4도는 10시간 조작중의 온도변화를 도시한다. 비교예에 있어서, 온도는 대폭적으로 변화하였다. 온도가 낮은 경우, 즉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중합조로부터 슬러리의 배출이 곤란하였다. 한편, 온도가 높은 경우, 즉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슬러리의 배출량이 많았다. 따라서 슬러리의 용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얻어진 폴리프로필렌의 입체정규성이 불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된 온도에 따라 하기의 방법으로 제어밸브(21),(22),(24)를 제어하였다.
온도계(31)에 의해 검출된 중합조의 온도는 제어기(32)에 의해 설정온도 70℃로 제어되었다. 상기 검출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고 중합조온도의 변화율이 제한치이하인 경우에는 제어밸브(24)의 개방도를 작게하였다. 한편, 중합조온도의 변화율이 상기 제한치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밸브(22)의 개방도를 크게하고 제어밸브(24)의 개방도도 제어하였다. 한편, 중합조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과 반대로 각 제어밸브를 조작하였다.
또한, 제어기(32)에 의한 중합조온도변화율을 연산처리한 온도변화율 함수에 따라 제어밸브(21)을 귀환제어함으로써 제어계의 안정성이 증대되었다.
[실시예 3]
수소농도를 15%로 증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제어성이 약간 불량하였기 때문에, 밸브(24)는 폐쇄하고 밸브(21),(23)은 밸브(22)와 연동되도록 제어하였다.
즉, 온도계(31)에 의해 검출된 중합조의 온도는 제어기(32)에 의해 설정온도 70℃로 제어되었다. 상기 검출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고 중합조온도의 변화율이 제한치이하인 경우에, 제어밸브(22)의 개방도는 변화시키지 않고, 제어밸브(23)의 개방도는 작게하는 한편, 밸브(21)의 개방도는 밸브(23)과 연동되도록 증가시켰다. 한편, 중합조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과 반대로 각 제어밸브를 조작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면, 우수한 제어성으로 일정온도에서 중합반응을 행할 수 있다.

Claims (4)

  1. 반응계에서 휘발성액상매체의 존재하에 발생된 증기를 환류냉각기에서 응축하고, 이어서 생성된 비응축가스와 응축액을 반응계로 반환함으로써 중합열을 제거하는 냉각계가 부착된 중합장치의 중합온도제어방법에 있어서, 비응축가스의 일부는 냉각계로 재순환되고, 비응축가스의 재순환유량과 환류냉각기의 냉각매체도입유량은 반응계의 온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온도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응축가스의 일부는 냉각계의 환류냉각기에서 연장된 비응축가스배출관으로 반환되어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온도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응축가스의 일부는 냉각계의 환류냉각기의 증기도입관 및 환류냉각기에서 연장된 비응축가스배출관으로 반환되어 재순환되고, 도입관 및 배출관의 비응축가스재순환유량과 환류냉각기의 냉각매체도입유량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온도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휘발성액상매체는 중합대상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온도의 제어방법.
KR1019860011336A 1985-12-27 1986-12-27 중합온도의 제어방법 KR910005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95281A JPS62153302A (ja) 1985-12-27 1985-12-27 重合温度の制御方法
JP60-295281 1985-12-27
JP29528085A JPS62153303A (ja) 1985-12-27 1985-12-27 重合温度の制御方法
JP60-295280 198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089A KR870006089A (ko) 1987-07-09
KR910005941B1 true KR910005941B1 (ko) 1991-08-09

Family

ID=2656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336A KR910005941B1 (ko) 1985-12-27 1986-12-27 중합온도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742131A (ko)
KR (1) KR910005941B1 (ko)
CN (1) CN1008739B (ko)
AU (1) AU567021B2 (ko)
BE (1) BE906047A (ko)
CA (1) CA1257450A (ko)
DE (1) DE3643136A1 (ko)
FI (1) FI865036A (ko)
FR (1) FR2593507B1 (ko)
GB (1) GB2184736B (ko)
IT (1) IT1198251B (ko)
NL (1) NL190582C (ko)
PT (1) PT840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3383B2 (ja) * 1991-10-01 1999-07-2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スチレ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FI90474C (fi) * 1991-05-30 1994-02-10 Borealis Polymers Oy Säätömenetelmä olefiinien polymeroinnissa käytetyn reaktorin lämpötilan säätämiseksi
RU2122005C1 (ru) * 1992-05-29 1998-11-20 Амоко Корпорешн Способ полимеризации альфа-олефинов
US5521392A (en) * 1994-04-29 1996-05-28 Efos Canada Inc. Light cure system with closed loop control and work piece recording
US5532487A (en) * 1994-11-23 1996-07-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ear-infrared measurement and control of polyamide processes
US6391484B1 (en) * 1999-07-06 2002-05-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processor temperature monitoring and control
DE102005001768A1 (de) * 2005-01-13 2006-07-20 Vinnolit Gmbh & Co.Kg Profit-Center Vintec Verfahren zur Polymerisation von vinylhaltigen Monomeren
SG138525A1 (en) * 2006-06-13 2008-01-28 Sumitomo Chemical Co Method for measuring concentration of propylene polymer slurry, and process for producing propylene polymer
WO2013124627A1 (en) * 2012-02-22 2013-08-29 Compactgtl Limited React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2633935B (zh) * 2012-05-09 2014-03-12 中国天辰工程有限公司 一种san连续本体法生产工艺
US10274907B2 (en) * 2013-10-28 2019-04-30 Wpt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otal plant shutdown due to low temperature excursion
US11486409B2 (en) 2013-10-28 2022-11-01 Wpt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otal plant shutdown due to low temperature excursion
CN108348888A (zh) 2015-11-11 2018-07-31 弗卢伊泰克投资有限公司 用于以连续的方法执行化学反应的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3004A (en) * 1957-09-12 1961-12-12 Phillips Petroleum Co Process for automatic control of polymerization reactions by measurement of coolant vapor volume and apparatus therefor
DE1495145B2 (de) * 1963-10-10 1971-05-06 Badische Anilin & Soda Fabrik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m abfuehren der reaktionswaerme bei der polymerisation in dispersion bzw loesung
DE2038363B2 (de) * 1970-08-01 1974-10-03 Chemische Werke Huels Ag, 4370 Mar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ühlen von Polymerisationsansätzen
DE2504659B2 (de) * 1975-02-05 1980-01-17 Chemische Werke Huels Ag, 4370 Marl Verfahren zum geregelten Abführen der Reaktionswärme bei Polymerisationsreaktionen in Dispersion bzw. Lösung
US4024329A (en) * 1975-07-03 1977-05-17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removing heat from a chemical reaction
JPS56110701A (en) * 1980-02-07 1981-09-02 Sumitomo Che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heat from polymerizer
DE3123115A1 (de) * 1981-06-11 1982-12-30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homopolymerisaten oder copolymerisaten des propylens
JPS58201801A (ja) * 1982-02-01 1983-11-24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重合反応熱の除熱方法
US4488239A (en) * 1982-04-22 1984-12-1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olefin oxidation reactor
US4491924A (en) * 1982-04-22 1985-01-0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Olefin oxidation reactor temperature control
IN160886B (ko) * 1983-04-25 1987-08-15 Babcock & Wilcox Co
JPS6053513A (ja) * 1983-09-01 1985-03-27 Kuraray Co Ltd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の連続製造法
JPS60248702A (ja) * 1984-05-24 1985-12-09 Mitsubishi Rayon Co Ltd 重合反応制御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089A (ko) 1987-07-09
GB2184736A (en) 1987-07-01
FI865036A (fi) 1987-06-28
CN86108822A (zh) 1987-07-01
FI865036A0 (fi) 1986-12-10
DE3643136C2 (ko) 1992-04-30
FR2593507B1 (fr) 1991-02-01
US4742131A (en) 1988-05-03
CN1008739B (zh) 1990-07-11
CA1257450A (en) 1989-07-11
GB2184736B (en) 1990-01-31
NL190582B (nl) 1993-12-01
GB8629668D0 (en) 1987-01-21
DE3643136A1 (de) 1987-07-02
NL190582C (nl) 1994-05-02
NL8603181A (nl) 1987-07-16
AU567021B2 (en) 1987-11-05
FR2593507A1 (fr) 1987-07-31
PT84017A (en) 1987-02-01
IT8622855A0 (it) 1986-12-23
IT1198251B (it) 1988-12-21
PT84017B (pt) 1993-03-31
BE906047A (fr) 1987-04-16
AU6639486A (en) 198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941B1 (ko) 중합온도의 제어방법
CA1190348A (en) Diluent and inert gas recovery from a polymerization process
US4390669A (en) Process for multi-step gas-phase polymerization of olefins
EP0848021B1 (en) Ethylene polymerization Processes and products thereof
Vicente et al. Maximizing production and polymer quality (MWD and composition) in emulsion polymerization reactors with limited capacity of heat removal
ATE125273T1 (de) Copolymerisate des propylens mit anderen alk-1- enen.
US3257362A (en) Control of olefin polymerization reactions
US3644583A (en) Production and recovery of a solid mixed homo- and copolymer
US6967230B2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olefins
KR890004064B1 (ko)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US3349070A (en) Bulk polymerization process
JPH0574601B2 (ko)
JPH0574602B2 (ko)
US6753387B1 (en) Temperature controlling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reactors
US3057840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 a butadiene polymerization process
JPH0542442B2 (ko)
US3341622A (en) Process for conducting a continuous polymerization reaction
US2938020A (en) Process for polymerization of olefins
US3475517A (en) Process for making block polymers of olefins
US4659755A (en) Method of continuously operating a counter-flow washing column
WO2005061554A1 (ja) ポリオレフィ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A1259746A (en) Copolymerization process of propylene
US3272789A (en) Treatment of olefin polymers to remove catalyst residues
CA1286839C (en) Polymerization process of propylene
US3324098A (en) Polymerization of butene-1 in the presence of a minor amount of isobutyl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