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555B1 - 전자악기의 듀엣음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악기의 듀엣음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555B1
KR910005555B1 KR1019880018089A KR880018089A KR910005555B1 KR 910005555 B1 KR910005555 B1 KR 910005555B1 KR 1019880018089 A KR1019880018089 A KR 1019880018089A KR 880018089 A KR880018089 A KR 880018089A KR 910005555 B1 KR910005555 B1 KR 91000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tone
melody
soun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643A (ko
Inventor
전익범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555B1/ko
Priority to US07/424,814 priority patent/US5166465A/en
Priority to DE3943217A priority patent/DE3943217C2/de
Priority to GB9000038A priority patent/GB2227873B/en
Publication of KR90001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using a common processing for different operations or calculations, and a set of microinstructions (programme) to control the sequence thereo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245Ensemble, i.e. adding one or more voices, also instrumental voices
    • G10H2210/261Duet, i.e. automatic generation of a second voice, descant or counter melody, e.g. of a second harmonically interdependent voice by a single voice harmonizer or automatic composition algorithm, e.g. for fugue, canon or round composition, which may be substantially independent in contour and rhyth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악기의 듀엣음 발생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전자악기 시스템도.
제2도는 종래의 듀엣음 발생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악기 시스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듀엣음 발생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마이컴 13 : 자동반주스위치
15 : 듀엣스위치 17 : 건반스위치
19 : 음색선택스위치 21 : 음원집적회로
23, 25, 27, 29, 31, 33 : 버퍼 35, 37, 39 : 인버터
41 : 코드 및 베이스필터 43 : 리듬발생기
45, 47, 49 : A,B,C 음색필터 51, 53, 55 : 프리앰프
57 : 메인앰프 59 : 스피커
본 발명은 전자악기의 듀엣(Duet)음 발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개의 음색을 가지는 듀엣음 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듀엣(Duet)음이란 이중주를 말하는 것으로, 현재의 멜로디 음과 다른 코드음을 출력하는 상태의 음이다.
상기와 같은 듀엣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종래의 전자악기 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종 제어스위칭 신호와 멜로디건반 스위칭신호를 입력하여 해당 음원 제어데이터 및 그 발생을 제어하는 마이컴(11)과, 스위칭상태에 따라 자동반주신호, 듀엣발생신호, 음색선택신호, 멜로디발생을 위한 키신호들을 발생하여 상기 마이컴(11)에 입력시키는 자동반주스위치(13) 듀엣스위치(15), 건반스위치(17), 음색선택스위치(19)와, 상기 마이컴(11)의 코드 및 음원 제어 데이터에 의해 해당음원 및 코드음을 발생 출력단자(OUT1)(OUT3)로 출력하는 음원발생 직접회로(이하 음원 IC라 함)(21)과, 상기 마이컴(11)에 제어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 음원(21)의 코드 및 베이스(Chord and Base)를 필터링하는 코드 및 베이스필터(41)와, 상기 마이컴(11)의 제어에 의해 리듬을 발생하는 리듬발생기(43)와, 상기 음원 IC (21)의 음원 출력을 각각 입력하여 상기 마이컴(11)의 제어에 의해 각각 필터링 출력하는 A,B,D 음색필터(45)(47)(49)와, 상기 A,B,C 음색필터(45)(47)(49)의 출력을 증폭 출력하는 프리앰프(51)와, 상기 코드 및 베이스필터(41)와 리듬발생기(43)의 출력을 각각 필터링 출력하는 프리앰프(53)(55)와, 상기 프리앰프(51)(53)(55)의 출력을 증폭하여 스피커(59)로 출력하는 메인앰프(57)로 구성된다.
제2도는 종래의 듀엣음발생 흐름도로써, 제1도의 마이컴(11)의 프로그램이다. 제2도의 흐름도는 크게 두개의 상태로 분리된다. 자동반주와 자동반주가 아닌 경우이며, 자동반주모드에 있어서 멜로디건반 즉, 제1도의 건반키가 눌려지고 듀엣스위치가 "온"되어지며 듀엣음이 발생토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듀엣음 발생과정을 설명한다. 지금 제1도의 악기 시스템에 있어서, 건반스위치가(17)가 스위칭되어 A 음색 예를들면 피아노 음색선택 신호를 마이컴(11)에 입력시키면, 마이컴(11)의 키스켄닝에 의해 A 음색선택 상태를 인지하고 출력단자(S1)로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여 A 음색필터(45)을 인에이블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반주스위치(B)가 "온"되면 상기 마이컴(11)은 키스켄닝 동작에 의해 이를 인식하여 자동반주모드라고 판단하여 코드음을 발생하기 위한 코드데이터를 음원 IC (21)으로 출력하고 출력단자(S7)로 코드 및 베이스필터 인에이블 신호 및 리듬인에이블 "하이"를 출력하여 코드 및 베이스필터(41) 및 리듬발생기(43)을 인에이블시킨다. 이때 마이컴(11)로부터 코드데이터를 입력하는 음원 IC (21)는 해당 코드음을 발생하여 출력단자(OUT3)로 출력하며 이로인해 코드 및 베이스필터(41)로부터는 필터링된 코드음이 출력된다. 또한 인에이블된 리듬발생기(43)로부터는 소정의 리듬이 발생된다.
상기의 코드 및 리듬발생은 각각의 프리앰프(53)(55)를 통하여 1차 소정 증폭되고 메인앰프(57)에서 믹싱되어 스피커(59)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건반스위치(17)의 멜로디 선택을 위한 키가 눌려지면, 듀엣키가 눌려졌는가를 검색하게 된다. 상기의 검색상태에 듀엣스위치(15)가 오프인 경우에는 한개의 건반에 한개의 채널을 할당하여 음이 발생하도록 하고, "온"인 경우 출력중인 코드의 밑음에 해당하는 음의 멜로디키가 눌려졌는가를 검색한다. 상기의 검색결과가 출력중인 코드의 밑음에 해당하는 음의 멜로디 키가 눌려진 경우라면 출력중인 코드의 밑음에 해당하는 데이터 및 눌려진 멜로디키의 데이터를 2개의 채널에 할당하여 음원 IC (21)에 입력시킨다. 이때 음원 IC (21)는 상기 마이컴(11)의 데이터를 따른 음원을 발생하여 출력단자(OUT1)으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11)에서 2개의 채널에 할당된 데이터를 음원 IC (21)가 연속적으로 출력함으로써 듀엣음이 출력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현재 출력되는 코드(chord)가 C코드일 경우에는 C코드의 밑음에 해당하는 "도"음이 2개 채널중 하나의 채널에 할당되고, 또 다른 채널에 "파"음이 할당되어 음원 IC (21)의 출력단(OUT1) 출력된다.
상기 음원 IC (21)로부터 출력되는 듀엣음은 인에이블 되어진 A 음색필터(45)에 입력되어 출력시에는 A의 음색을 가지는 듀엣음으로 출력된다. 한편, 전술한 검색과정의 검색결과가 출력중인 코드의 밑음에 해당하는 멜로디키가 눌려진 경우라면 출력중인 코드가 장조인지 단조인지를 검색하여 그에 해당하는 장,단조의 듀엣음을 발생되도록 눌려진키의 데이터와 장,단조음을 이루는 데이터를 음원 IC (21)로 출력한다. 이때 음원 IC (21)는 상기의 데이터들에 해당하는 음원을 발생하여 A 음색필터(45)로 출력하여 듀엣음을 발생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도의 악기 시스템에서 제2도의 흐름도에 의해서 발생되는 듀엣은 단음색의 음으로써 음색의 다른 듀엣음을 발생시킬 수 없었다. 즉 하나의 악기음으로써 듀엣음을 발생시킴으로써 현저한 이중주를 발생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듀엣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 악기에 있어서, 눌려지는 멜로디음과 화음을 이루는 음을 각각 다른 음색으로 동시에 출력하여 두개의 듀엣음이 서로 다른 악기 음색으로 각각 출력되도록 하는 이중음색 듀엣 발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악기 시스템도로써, 전술한 제1도중 음원 IC (21)의 출력단자(OUT1)의 출력을 공동 입력하여 소정 제어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A,B,C 음색필터(45)(47)(49)에 입력시키는 제1, 제2, 제3버퍼(23)(25)(27)가 접속되고, 상기 음원 IC (21)의 출력단자(OUT2)으로부터의 출력을 공통입력하여 소정 제어에 의해 상기 A,B,C 음색필터(45)(47)(49)에 입력시키는 제4, 제5, 제6버퍼(29)(31)(33)가 접속되며, 상기 마이컴(11)의 출력단(S4)(S5)(S6)의 출력을 각각 반전하여 상기 제4, 제5, 제6버퍼(29)(31)(33)에 인에이블신호로 제공하는 제1, 제2, 제3인버퍼(35)(37)(39)가 접속되어 구성되며 그 이외의 참조번호 및 구성은 제1도와 동일하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써, 이중음 듀엣 발생흐름이다. 코드음의 출력되는 상태에서 멜로디건반이 눌려지고 듀엣스위치가 "온"되었는가를 검색하는 단계까지의 루틴은 전술한 제2도의 흐름과 동일하고, 자동모드가 아닌 루틴의 흐름도 상기 제2도와 동일하다. 단, 자동모드 반주상태에서 멜로디건반 키가 눌려지고, 듀엣키가 "온" 되었을 때의 흐름과정이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선택된 음색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소정의 제1, 제2음색필터를 인에이블하는 제1단계와, 멜로디음과 상기 멜로디음과 화음을 이루는 듀엣음을 상기 제1음색필터와 제2음색필터에 입력되도록 신호패스를 형성하고 출력중인 코드 밑음에 해당하는 음의 멜로디키가 눌려졌는가를 검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출력중인 코드 밑음에 해당하는 음의 멜로디키가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단시에 출력중인 코드의 밑음에 해당하는 음 및 눌려진 해당 멜로디음을 발생하여 상기 제2단계에서 형성된 패스를 통해 상기 제1, 제2음색필터에 입력토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출력중인 코밑음에 해당하는 음의 멜로디키가 눌려졌다고 판단시 현재 출력중인 코드가 장조인가를 검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의 검색결과 장조 코드시에 눌려진 멜로디키의 음 및 이음과 장3도 되는 음의 음원은 IC의 출력단 OUT1과 OUT2를 출력할 수 있도록 각 음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의 검색결과 장조가 아닐시 눌려진 멜로디키의 음과 상기 음과 단3도 되는 음이 음원 IC의 출력단 OUT1과 OUT2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각 음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제3도의 음원 IC (21)가 1개의 출력단자(OUT1) 또는 (OUT2) 단자가 5개의 음색발생 채널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에 설명한다. 지금 상기 제3도의 자동반주스위치(13)가 오프된 경우에는 제4도의 (102)검색과정에서 자동코드가 아니라고 판단함으로써 듀엣스위치(15) "온"되더라도 듀엣모드는 실행되지 않게 된다.
상기(102)검색과정에서 자동반주모드가 아니라면 (103)과정에서 마이컴(11)이 출력단자(S6)(S7)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코드 및 베이스필터(41)와 리듬발생기(43)을 디스에이블시킨다. 그리고 단자(S4)(S5)(S6)로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제5, 제6버퍼(23)(25)(27)을 인에이블시킨다.
상기와 같이 듀엣이 아닌 상태에서는 마이컴(11)의 제어에 의해 음원 IC (21)의 출력단자(OUT1)에서만 음이 발생됨으로써 A의 음색필터(45)로만 출력이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음원 IC (21)의 출력이 A 음색필터(45)만으로 입력되는 것은 "음색선택스위치(19)"의 선택에 따른 것이며 상기 음색선택스위치(19)의 스위칭 변화에 의해 상기 음색선택은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3도에서 자동반주선택스위치(13)을 C코드로 "온"하로 듀엣스위치(15)은 "오프"한 상태에서 음색선택스위치(19)의 선택이 "A"음색을 선택한 스위칭 상태라면 마이컴(11)의 출력단자(S1-S7)은 하기 표 1-1와 같이 출력되고 음원 IC (21)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건반스위치(17)의 멜로디 선택에 의해 하기 표 1-2와 같이 출력된다.
[표 1-1]
Figure kpo00001
[표 1-2]
Figure kpo00002
상기 표 1-1, 표 1-2 상태는 A 음색이 선택되고 C 코드 출력시 채널 할당 및 각 제어신호상태를 나타낸것으로, 마이컴(11)의 단자(S1)이 "하이"(S4)가 "하이"(S7)(S8)이 "하이"이므로 A 음색필터(45)가 인에이블되고 코드 및 베이스필터(41)가 인에이블, 리듬발생기(43)이 인에이블된 상태이다. 또한 S4의 출력에 의해 제1버퍼(23)의 출력이 A 음색필터(45)에만 입력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표 1-2와 같은 채널 데이터가 음원 IC (21)에 입력되면, 상기 음원 IC (21)의 출력단자(OUT1)으로부터는 4채널과 5채널 데이터가 출력되어 A 음색필터(45)에 입력되고 (OUT3)로부터는 1, 2, 3 채널의 코드음이 출력된다. 따라서 코드음은 제4도의 104, 106, 108 과정에 의해서 코드 및 베이스필터(41)에 입력되며 제4,5채널의 멜로디음은 제4도 110,112과정을 거쳐 107,109,115,117과정을 거쳐 발생된다.
한편 자동반주스위치(13), 건반스위치(17), 저술한 스위칭 상태에서 듀엣스위치(15)가 "온"되고 음색스위치(19)가 A 음색과 B 음색을 차례로 선택하였을 경우 이를 스탠하는 마이컴(11)은 하기 표 2-1와 같은 상태의 제어신호를 각 출력단자로 출력하고, 채널데이터를 하기 표 2-2와 같이 출력한다.
[표 2-1]
Figure kpo00003
[표 2-2]
Figure kpo00004
상기 음색선택스위치(19)의 음색 선택이 A, B가 차례로 선택되었음으로 제4도 116과정에서 상기 표 2-1와 같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A, B 음색필터(45)(47)을 선택 인에이블되고, 118 과정에서 제1버퍼(23)인에이블, 제5버퍼(31)을 인에이블시킨다.
만약, 제3도의 자동반주스위치(13), 건반스위치(17), 음색선택스위치(19)가 전술한 바와같이 스위칭되어진 상태에서 듀엣스위치만이 "온"된 경우에는 단음색 듀엣으로써 마이컴(11)은 하기 표 3-1와 같은 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A 음색필터(45)만을 인에이블시키고 채널데이터를 하기 표 3-2와 같이 출력시킨다.
[표 3-1]
Figure kpo00005
[표 3-2]
Figure kpo00006
상기 표 3-1와 같이 마이컴(11)의 단자(S1)만이 "하이"임으로 A 음색필터(45)만이 인에이블되고, 단자(S4)가 "하이"임으로 상기 A 음색필터(45)는 음원 IC (21)의 출력단자(OUT1)의 음원 출력입력하게 된다. 이때 단자(S7)(S8)이 "하이"이므로 코드 및 베이스필터(41)와 리듬발생기(43)는 전술한 바와같이 출력된다.
또한, 상기 표 3-2의 1,2,3채널의 데이터는 코드데이터로써 음원 IC (21)에 입력시 출력단자(OUT3)로 출력된다. 4,5채널 데이터는 멜로디 데이터로서 만약 "다"음이 눌러지면 현재 코드가 C 음이므로 C의 볕음에 해당 "도"음이 채널 5에, 채널 4에는 "파"음이 할당되서 Duet 효과를 내게된다. 현재 코드가 장조이면 멜로디가 흐름의 밑음에 해당하는 음일때는 채널 5에는 이음과 장3도를 이루는 음을 멜로디건반이 코드의 밑음이 아닌 경우는 채널 5에는 끝음을 할당해서 Duet 효과를 내게 된다. 한편 현재코드가 단조일때는 멜로디건반이 코드의 밑음에 해당할때는 채널 5에 이음과 단3도를 이루는 음을 할당하고 그외의 경우는 장조와 같다. 듀엣음의 선택은 단음색시의 듀엣음과 이중음색 듀엣음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음원발생 집적회로의 출력단자 다수개의 음색필터 사이에 3-상태 버퍼를 사용하고 듀엣 및 음색선택에 따라 상기 3-상태 버퍼와 음색필터를 제어하여 이 음색 듀엣음을 발생시킬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이중음을 재생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자악기의 듀엣음 발생 방법에 있어서, 각종 제어스위칭 신호와 멜로디건반 스위칭신호를 입력하여 해당 음원 제어데이터 및 그 발생을 제어하는 마이컴(11)과 스위칭 상태에 따라 자동반주신호, 듀엣발생신호, 음색선택신호, 멜로디발생을 위한 키신호들을 발생하여 마이컴(11)에 입력시키는 자동반주스위칭(13), 듀엣스위칭(15), 건반스위치(17), 음색선택스위치(19)와, 상기 마이컴(11)의 코드 및 음원제어데이터에 의해 해당 음원 및 코드음을 발생 출력단자(OUT1)(OUT3)로 출력하는 음원발생 집적회로(21)과, 상기 마이컴(11)의 제어에 의해 인에블되어 상기 음원발생 집적회로(21)의 코드 및 베이스(Chord and Bass)를 필터링하는 코드 및 베이스필터(41)와, 상기 마이컴(11)의 제어에 의해 리듬을 발생하는 리듬발생기(43), 상기 음원발생 집적회로(21)의 음원출력을 각각 입력하여 상기 마이컴(11)의 제어에 의해 각각 필터링 출력하는 A, B, C 음색필터(45)(47)(49)와, 상기 A, B, C 음색필터(45)(47)(49)의 출력을 증폭 출력하는 프리앰프(51)와, 상기 코드 및 베이스필터(41)와 리듬발생기(43)의 출력을 각각 필터링 출력하는 프리앰프(53)(55)와, 상기 프리앰프(51)(53)(55)의 출력을 증폭하여 스피커(59)로 출력하는 메인앰프(57)와, 음원발생집적회로(21)의 출력단자(OUT1)의 출력을 공통 입력하여 소정 제어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A, B, C 음색필터(45)(47)(49)에 입력시키는 제1, 제2, 제3버퍼(23)(25)(27)가 접속되고, 상기 음원발생 집적회로(21)의 출력단(OUT2)으로부터의 출력을 공통입력하여 소정 제어에 의해 상기 A, B, C 음색필터(45)(47)(49)에 각각 제공하는 제4, 제5, 제6버퍼(29)(31)(33)가 접속되며, 상기 마이컴(11)의 출력단(S4)(S5)(S6)의 출력을 각각 반전하여 상기 제4, 제5, 제6버퍼(29)(31)(33)에 인에이블신호로 제공하는 제1, 제2, 제3인버터(35)(37)(39)가 접속되어 구성되어 선택된 음색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소정의 제1, 제2음색필터를 인에이블하는 제1단계와, 멜로디음과 상기 멜로디음과 화음을 이루는 듀엣음을 상기 제1음색필터와 제2음색필터에 입력되도록 신호패스를 형성하고 출력중인 코드 밑음에 해당하는 음의 멜로디키가 눌려졌는가를 검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출력중인 코드 밑음에 해당하는 음의 멜로디키가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단시에 출력중인 코드의 밑음에 해당하는 음 및 눌려진 해당 멜로디음을 발생하여 상기 제2단계에서 형성된 패스를 통해 상기 제1, 제2음색필터에 입력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출력중인 코드 밑음에 해당하는 음의 멜로디키가 눌러졌다고 판단시 현재 출력중인 코드가 장조인가를 검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의 검색결과 장조 코드시에 눌려진 멜로디키의 음 및 이음과 장3도 되는 음의 음원은 IC의 출력단 OUT1과 OUT2를 출력할 수 있도록 각 음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의 검색결과 장조가 아닐시 눌려진 멜로디키의 음과 상기 음과 단3도 되는 음이 음원 IC의 출력단 OUT1과 OUT2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각 음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색 듀엣음 발생 방법.
KR1019880018089A 1988-12-31 1988-12-31 전자악기의 듀엣음 발생 방법 KR910005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8089A KR910005555B1 (ko) 1988-12-31 1988-12-31 전자악기의 듀엣음 발생 방법
US07/424,814 US5166465A (en) 1988-12-31 1989-10-20 Duet-sound generating method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DE3943217A DE3943217C2 (de) 1988-12-31 1989-12-23 Elektronisches Musikinstrument
GB9000038A GB2227873B (en) 1988-12-31 1990-01-02 Duet-sound generation i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8089A KR910005555B1 (ko) 1988-12-31 1988-12-31 전자악기의 듀엣음 발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643A KR900010643A (ko) 1990-07-09
KR910005555B1 true KR910005555B1 (ko) 1991-07-31

Family

ID=1928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8089A KR910005555B1 (ko) 1988-12-31 1988-12-31 전자악기의 듀엣음 발생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66465A (ko)
KR (1) KR910005555B1 (ko)
DE (1) DE3943217C2 (ko)
GB (1) GB22278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709B2 (ja) * 1999-03-01 2004-06-14 ヤマハ株式会社 付加音発生装置
US9424859B2 (en) * 2012-11-21 2016-08-2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Canada Ltd. System to control audio effect parameters of vocal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4534B1 (ko) * 1968-10-09 1973-07-21
NL7015768A (ko) * 1969-10-29 1971-05-04
US3789718A (en) * 1971-12-30 1974-02-05 Baldwin Co D H Voltage controlled chord organ
US3809791A (en) * 1972-08-21 1974-05-07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3922943A (en) * 1973-11-12 1975-12-02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provided with a voltage-controlled monophonic playing section operated by a manual or pedal tone-playing section
USRE29144E (en) * 1974-03-25 1977-03-01 D. H. Baldwin Company Automatic chord and rhythm system for electronic organ
US4240317A (en) * 1977-09-09 1980-12-2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4105521A (en) * 1978-02-07 1979-08-18 Kawai Musical Instr Mfg Co Chorus effect device for electronic instrument
JPS5573097A (en) * 1978-11-27 1980-06-02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Automatic code playing unit i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315452A (en) * 1979-08-02 1982-02-16 Whirlpool Corporation Electronic organ percussive modulator
JPS5654494A (en) * 1979-10-09 1981-05-14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694397A (en) * 1979-12-28 1981-07-30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6144491A (en) * 1980-04-12 1981-11-10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Electronic music instrument
US4287804A (en) * 1980-07-09 1981-09-08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timbre selection
JPS582893A (ja) * 1981-06-30 1983-01-08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US4489636A (en) * 1982-05-27 1984-12-25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having supplemental tone generating function
JPS61254991A (ja) * 1985-05-07 1986-11-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楽器
JPH01140594U (ko) * 1988-03-22 1989-09-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27873B (en) 1993-08-25
DE3943217C2 (de) 1994-01-13
GB9000038D0 (en) 1990-03-07
KR900010643A (ko) 1990-07-09
DE3943217A1 (de) 1990-07-05
US5166465A (en) 1992-11-24
GB2227873A (en) 1990-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8789A (en) Tone effect imparting device
KR910005555B1 (ko) 전자악기의 듀엣음 발생 방법
US5302776A (en) Method of chord i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system
US3806623A (en) Single note selecting storage circuit
US5319152A (en) Chord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nd automatic accompaniment apparatus
JPS6262358B2 (ko)
GB1466117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automatic bass accompaniment
US2698360A (en) 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quality and tone volume of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s
CA1160873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997073A (ja) 電子楽器の音色割り当て装置
JP2522794Y2 (ja) 電子楽器
JPH075878A (ja) 自動伴奏装置
JP3246911B2 (ja) 電子楽器
JPS5913755B2 (ja) 自動伴奏装置
KR970008438B1 (ko) 전자악기의 스테레오 효과음 발생방법
GB1448971A (en) Musical-tone generator
JPS637396B2 (ko)
KR930008568B1 (ko) 전자악기에서의 자동 반주 코드 발생방법
JPH06250660A (ja) 電子楽器
KR910004414B1 (ko) 전자악기에서의 음색 믹싱장치 및 방법
RU1816460C (ru) Устройство цветового сопровождени музыкальных произведений
JP3100293B2 (ja) 楽音音響データの切換装置及び切換方法
KR970008442B1 (ko) 전자악기의 데몬스트레이션 방법
US4404883A (en) Integrated harmony generating circuit for electronic organ
JP3509140B2 (ja) 電子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