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537B1 - 와이어 연선기의 연선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연선기의 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537B1
KR910005537B1 KR1019890002523A KR890002523A KR910005537B1 KR 910005537 B1 KR910005537 B1 KR 910005537B1 KR 1019890002523 A KR1019890002523 A KR 1019890002523A KR 890002523 A KR890002523 A KR 890002523A KR 910005537 B1 KR910005537 B1 KR 910005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re
interlocked
plat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703A (ko
Inventor
김진기
Original Assignee
김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기 filed Critical 김진기
Priority to KR1019890002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537B1/ko
Publication of KR90001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4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e.g. by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7/00Twisting wire; Twisting wire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이어 연선기의 연선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회전경판의 평면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동모우터 2 : 축관
3 : 심공 4 : 회전경판
5 : 안내공 6 : 면판
7 : 안내구 7' : 안내심공
8 : 공급보빈 9, 9' ,9" : 안내로울러
10 : 소재 11 : 지지판
12 : 연선회동체 13, 13' : 안내로울러
14, 15 : 풀리 16 : 밸트
17 : 감속기 18 : 축간
19, 20 : 풀리 21 : 변속기
22, 23 : 연동풀리 24 : 꼬임조절 몸체
24' : 풀리 24" : 안내통공
25 : 꼬임조절 로울러 26 : 교정로울러
27, 27' : 인출드럼 28, 28' : 카운터로울러
29 : 권취스풀 30 : 모우터
31, 31' : 다층연 공급보빈 32 : 소재
33 : 연선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다층연 연선으로된 와이어 연선기의 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과 그 문제점]
일반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스틸코드(일명 스트랜드)등의 와이어 로우프 제품은 여러 가닥의 소재가 일정한 연선방향과 핏치 간격으로 연선되어 있는데 이의 연선장치는 연선하는 회전경판과 연선교정부, 카운터부, 권취스풀부 등이 수평적으로 장치되어 있어 시설 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상 비능률성이 있음은 물론 제품의 품질이 저조하고 재료의 허실현상이 많아서 그 결과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고안의 요지]
본 발명은 이상의 제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능률적이고 합리적인 작업을 할 수 있게 하고자 고안한 것인데 이의 고안 요지는 내측연 소재공급과 외측연 소재공급을 단일화시킴으로서 다층연 제품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게하고 또한 연선교정부와 카운터부 및 권취스풀부 등은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므로서, 시설면적을 최소화하고 카운터부의 근접스위치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과권취로 인한 재료손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수단]
이를 제1도 및 제2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제2도는 회전경판 및 보빈면판의 평면도를 나타낸것으로 이의 구성은 주동모우터(1)와 연동되는 축관(2)의 심공(3)으로는 내측연 소재(10) 및 외측연 소재(32)(32')가 안내될 수 있게 하고 축관(2)의 상부에는 주면에 좌우로 두개의 안내공(5)을 천설한 회전경판(4)이 축착되며 회전경판(4)의 상부에는 비회동체인 지지판(11)과 면판(6)이 설치되며, 면판(6)과 지지판(11)의 사이에는 다수의 공급보빈(8)이 유착되며, 축관(2)의 상단에는 다수의 로울러(9)를 유착한 안내심공(7')이 천공된 안내구(7)가 보울트에 의해 지지판(11)에 체착되어 있으며 그 상방으로는 감속기(17)의 축간(18)에 축착된 풀리(15)와 밸트(16)에 의해 연선회동체(12)의 풀리(14)가 연동되며 연선회동체(12)의 심공(12')구부에는 다수의 안내로울러(9)가 유착되고, 감속기(17)의 축간(18) 상단에는 꼬임조절 몸체(24)의 풀리(24)가 밸트(16)에 연동되게 하고 풀리(23)의 축간(23') 북위는 빈속기(21)가 장치되며, 꼬임조절 몸체(24) 내부에는 안내통공(24")과 그 하방에는 다수의 꼬임조절 로울러(25)가 유착되며, 꼬임조절 몸체(24)의 하방으로는 연선교정부(26)와 핏치 조절용 인출드럼(27)(27')이 축설되며 인출드럼(27)의 축간(22')에 축착된 풀리(22)는 감속기(17)와 연동되며, 인출드럼(27') 전방에는 카운터(A)를 장착한 카운터로울러(28)(28')가 유착되고 그 하방에는 토오크모우터(30)와 연동되는 권취스풀(29)이 장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장치를 실시함에 있어서는 먼저 주동모우터(1)를 가동시키면, 축관(2)이 회동됨에 따라 이 축관(2)에 축착된 회전경판(4)이 함께 회동되면서 면판(6)위에 유착되어 있는 다수의 공급보빈(8)에서 내측연 소재(10)가 풀림과 동시 연선되어진 상태에서 즉 안내로울러(9') 및 안내구(7)에 유착된 안내로울러(9)에 안내된 후 축관(2)의 심공(3) 및 안내로울러(9")를 통해 회전경판(4)의 안내공(5)을 통과한 후 연선회동체(12)의 심공(12') 입구에 유착된 안내로울러(9)에 안내된다.
이때 연선회동체(12)는 감속기(17)의 축간(18)에 축착된 풀리(15)와 밸트(16)에 의해 연동되는 풀리(14)의 회전으로 동시회전되면서 연선된다.
한편 다층연 공급보빈(31)(31')에서 공급되는 외측연 소재(32)도 축관(2)의 심공(3) 및 안내로울러(9")와 회전경판(4)의 안내공(5)을 지나 연선회동체(12)의 심공(9)으로 안내되어 다시 축관(2)의 회동에 심공(3)으로 안내되어 내측연 소재(10)와 합연되며, 이와 같이 합연된 연선(33)은 안내로울러(13)(13')를 거쳐 꼬임조절 몸체(24) 내부에 유착되어 있는 다수의 꼬임조절 로울러(25)를 지나 연선교정부(26)로 이송된다.
이때 꼬임조절 몸체(24)는 무단변속기(21)에 의해 회전이 조절되어지면서 즉 꼬임력이 조절되고 무단변속기(21)에 설정된 회전수에 의해 꼬임상태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조절된 후 연선교정부(26)를 통과한 다음에는 감속기(17)와 벨트(16)에 의해 연동되는 풀리(22)와 축간(22')에 끼움고정된 인출드럼(27)(27')의 크기에 따라 즉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의 관계에 의해 핏치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연선교정된 연선(33)은 카운터로울러(28)(28')를 통과한 후 토오크모우터(30)와 연동되는 권취스풀(29)에 의해 권취되므로서 완성된다.
이때 카운터로울러(28')의 카운터(A)에는 두개의 카운터 근접스위치를 부착시켜 연선(33)의 권취량을 확인하는 것인바 제1차 또는 제2차 카운터는 동일한 것으로 이를 두개로 한것은 2차 카운터 및 1차 카운터를 대비 관찰하여 고장상태를 즉각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며 2개의 카운터(A)가 고장났을 경우는 기계가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고안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내측연 소재(10)의 안내통로와 외측연 소재의 안내 통로를 단일화시켜 다층연선이 가능하게 하였고, 회전경판(4)이 회전되면서, 1차 연선을 하고, 연선회동체(12)가 회동하면서 2차 연선이 이루어지게 되어있으므로 즉 2번 연선이 함께 이루어지므로 2배의 연선효율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내부에서 소재가 공급되고 외부에서 권취가 이루어짐으로서 제품의 권취상태 및 제품의 불량상태를 외부에서 신속히 파악할 수 있고 또한 권취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어 설치면적 또한 극소화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주동모우터(1)와 연동되는 축관(2)에는 안내심공(3)을 형성하고 축관(2)의 상부 외주에는 좌우에 안내공(5)을 천설한 회전경판(4)이 축착되며, 회전경판(4)의 상부에는 회전되지 않는 면판(6)과 지지판(11) 및 안내구(7)가 장치되어 있으되, 면판(6)과 지지판(11) 상간에는 다수의 내측연 소재(10)의 공급보빈(8)이 유착되고, 안내구(7)의 심공(7') 상주연에는 다수의 로울러(9)가 유착되며, 안내구(7) 상방에는 심공(12')의 구부에 다수의 로울러(9)가 유착된 연선회동체(12)의 풀리(14)를 위치시켜 감속기(17)의 축간(18)에 축착된 풀리(15)와 밸트(16)로 연동되게한 것에 있어서 무단변속기(21)에 의해 연동되는 꼬임조절 몸체(24)의 통공(24") 내측에는 다수의 꼬임조절 로울러(25)와 연선교정부(26)가 장치되며, 그 하방으로는 감속기(17)에 의해 연동되는 인출드럼(27)(27")이 축착되고, 그 전방에는 카운터로울러(28)(28') 및 로울러(30)에 의해 연동되는 권취스풀(29)이 설치되어진 와이어 연선기의 연선장치.
KR1019890002523A 1989-02-27 1989-02-27 와이어 연선기의 연선장치 KR910005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2523A KR910005537B1 (ko) 1989-02-27 1989-02-27 와이어 연선기의 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2523A KR910005537B1 (ko) 1989-02-27 1989-02-27 와이어 연선기의 연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703A KR900012703A (ko) 1990-09-01
KR910005537B1 true KR910005537B1 (ko) 1991-07-31

Family

ID=1928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523A KR910005537B1 (ko) 1989-02-27 1989-02-27 와이어 연선기의 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5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703A (ko) 199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59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xial feed of ribbon material
US2464860A (en) Wire strand machine
JPS6218250B2 (ko)
US4133167A (en) Cable making machines
US3431718A (en) Method and machines for twisting together strands of material
US4768725A (en) Apparatus for winding a filament onto a former, having guide structure for reducing filament bending
US1911925A (en) Wire stranding machine
KR910005537B1 (ko) 와이어 연선기의 연선장치
KR100339710B1 (ko) 와이어 연속 권취장치
US3251178A (en) Apparatus for making rope strand or yarn
EP0952245B1 (en) Individual-spindle-drive type multi-twister
US5775195A (en) Rotary braider machine
CN1226941A (zh) 用于喂入和压平絮条的装置
KR100403172B1 (ko) 로프 제조장치
JPH05321177A (ja) 多重より線糸巻き装置
KR100318186B1 (ko) 와이어 연선기의 피치 조절장치
US3942310A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garlands
JPS62500731A (ja) らせん状に巻かれた或いは撚られた糸を造るための機械の作業ユニツト用接線方向ベルト駆動機構
US20030122028A1 (en) Twist controlling device, rotatable nip and axial feed system
EP0461844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tranding machines
US4641794A (en) Wire accumulator
US2307821A (en) False twisting apparatus
JP3235564B2 (ja) 単錘駆動型多重撚糸機
KR200293248Y1 (ko) 투포원 연사기의 전자구동 시스템 및 그 구동제어방법
JPH11228021A (ja) 巻取機のトラバー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7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