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443B1 -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443B1
KR910005443B1 KR1019890007101A KR890007101A KR910005443B1 KR 910005443 B1 KR910005443 B1 KR 910005443B1 KR 1019890007101 A KR1019890007101 A KR 1019890007101A KR 890007101 A KR890007101 A KR 890007101A KR 910005443 B1 KR910005443 B1 KR 910005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motor
pulse
open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727A (ko
Inventor
서재경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송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송세창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443B1/ko
Publication of KR90001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카메라 셔터 구동장치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모우터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펄스발생기의 펄스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구성부를 전자제어하는 제어부의 회로구성을 도시하는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전자적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셔터의 노출시간을 나타내는 노출선도.
제6도는 종래의 기구적인 셔터구동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부 2 : 제어부
10 : 셔터판 14 : 파이널기어
16, 17 : 감속기어 18 : 정역회전모터
15 : 검출수단 20 : 펄스발생용스위치수단
21 : 측광부 22 : CPU
23 : 모터제어부 24 : 펄스발생부
본 발명은 사진촬영시 셔터버튼에 의해 동작되어 필름을 노광시켜 주는 카메라 셔터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의 주요 구성부를 차지하는 셔터구동장치는 여러 가지 구조가 제안되어 있으나, 대개는 필름되감기레버에 의해 필름의 미노광면이 새로 장전될 때, 챠아지레버가 활주위치로 이동 정지하고 있다가 셔터버튼이 눌려지면, 이 레버가 해방되어 활주하면서 셔터 개폐레버를 연동시켜 노광을 행하는 챠아지레버 연동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 방식의 셔터구동장치를 제6도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호 대칭방향으로 작동되는 1쌍의 셔터판(A)는 개폐레버(B)의 요동에 따라 개폐된다.
개폐레버(B)는 토오션스프링(C)에 의해 탄압되어 셔터판(A)를 항상 폐쇄시키도록 되어 있다.
개폐레버(B)의 한쪽끝단에는 개방레버(D)가 연계되어 있으며, 이 개방레버(D)는 필름재장전시에 활주위치로 이동 대기하는 챠아지레버(E)에 연결 설치되어 있다.
개방레버(D)에 의한 개폐레버(B)의 구속은 솔레노이드(F)로 흡착되는 푸쉬레버(G)의 복귀운동으로 행해진다.
셔터버튼이 조작되면, 챠아지레버(E)가 활주를 시작하고, 이에 따라서 개방레버(D)는 개폐레버(B)를 연동하여 셔터판(A)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솔레노이드(F)는 푸쉬레버(G)를 흡착하여 개방레버(D)를 간섭할 수 없게 한다.
개방레버(D)가 개폐레버(B)를 연동하는 시간이 셔터판(A)의 개방시간으로 되며, 이것은 솔레노이드(F)의 통전시간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즉, 솔레노이드(F)가 소자되어 푸쉬레버(G)가 원래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개방레버(D)가 상기한 푸쉬레버(G)에 의해 연동되어 개폐레버(B)를 해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식의 셔터구동장치는 구성부품이 많고 복잡하여 조립생산이 낮으며, 카메라의 내부에 챠아지레버가 활주할 때 충격을 일으키는 결점이 있고, 더구나 챠아지레버의 활주공간을 확보하려면, 카메라의 부피가 필요 이상으로 크게 되어 소형화에 장애를 주는 요인으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셔터구동장치와는 달리 구성부품수가 적고, 셔터판의 개폐시에 충격이 없으며, 전체로서 컴팩트하여 카메라의 소형화에 더 한층기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카메라 셔터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역가능한 소형모터로 셔터판을 개폐할 수 있게 한 카메라용 셔터구동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셔터구동장치는 1쌍의 셔터판과 정역회전모터 사이에 다수의 감속기어를 개재시켜 이루어지는 구동부와 적정노출지에 맞추어 상기한 정역회전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동부는, 제어부로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기 위하여 셔터판의 개폐상태, 그리고 정역 회전모터의 회전수 등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보유한다.
상기한 제어부는 통상의 측광회로를 통한 노출정보와, 상기한 구성부에서 보내오는 정보에 맞추어 정역회전모터의 회전방향 및 그 회전수를 제어하여, 양호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셔터 구동부(1)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로서, 1쌍의 개폐판(10)은 각각 축(11)에 의해 한쪽이 축지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개폐판(10)은 한쪽끝단에 상호 중첩되는 긴구멍(12)를 각각 보유하고 있으며, 이 긴구멍(12)로 개폐봉(13)이 삽입 위치되어 있다.
개폐봉(13)은 상기한 셔터판(10)의 외주 한쪽에 배치되는 파니널기어(14)상에 기립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파이널기어(14)는 개폐봉(13)을 경유하여 양 셔터판(10)을 개폐연동시킴과 동시에, 이들 셔터판(10)의 개폐도를 표시하기 위한 검출수단(15)을 보유한다.
검출수단(15)는 양 셔터판(10)의 위치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형식의 것을 적용하더라도 무방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널기어(14)에 고정설치되는 검출봉(15a)와, 그리고 상기한 양 셔터판(10)이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한 검출봉(15a)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오픈센터(15b) 및, 이와는 반대로 양 셔터판(10)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한 검출봉(15a)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크로스센서(15c)로 구성되어 있다.
오픈센서(15b)와 크로스센서(15c)는 통상적인 콘텍트스위치형으로 되어, 검출봉(15a)와 접촉될 때, 스윗칭-온신호를 발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파이널기어(14)는 다수의 감속기어(16)(17)을 경유하여 정역회전모터(18)의 구동기어(19)와 치차연결되어 있다.
이 정역회전모터(18)의 정역회전수는 다수의 감속기어(16)(17)에 의해 감속되어, 파이널기어(14)에 이르러서는 양 셔터판(10)을 개폐할 수 있는 정도의 원주각 범위로 축소된다.
따라서 양 셔터판(10)의 개방도를 가변시키려면 필수적으로 정역회전모터(18)의 회전수를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정역회전모터(18)의 회전수 측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정역회전모터(18)의 회전수신호는 감속기어(16)(17)의 어느 한쪽에, 후술하는 펀스발생부로 접속되는 펄스발생용 스윗치수단(20)을 설치하여 얻고 있다.
펄스발생용 스윗치수단(20)은 감속기어의 상면에 소정패턴상으로 프린트된 펄스패턴(20a)와, 이 펄스패턴(20a)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1쌍의 리이드(20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펄스패턴(20a)는 도전물질로 되어 있고, 또 제2도의 도시와 같이 둘레가 요철모양을 형성하고 있어서, 회전중에 양 리이드(20b) 사이가 단속되어 회전수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제3도는 상술한 본 발명의 구동부(1)을 전자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2)는 측광부(21), CPU(22), 모터제어부(23) 및 펄스발생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측광부(21)은 통상의 측광회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피사체의 주변 광량을 측정한 신호를 CPU(22)로 입력시켜 준다.
CPU(22)에는 상기한 측광신호외에도 오픈센서(15b)와 크로스센서(15c)를 통한 셔터판(10)의 개폐상태신호가 입력되고, 또 통상의 셔터버튼(25)를 통하여 출력명령 신호가 그리고 펄스발생기(24)에서 발생하는 펄스신호가 각각 입력된다.
한편, 상기한 CPU(22)의 출력단은 모터제어부(23)의 입력단으로 접속되고, 또 모터제어부(23)의 출력단은 상술한 정역회전모터(18)로 접속되어진다.
펄스발생기(24)는 정역회전모터(18)의 회전에 따라, 상술한 펄스발생용 스윗치수단(20)을 통하여 회전수신호를 인가받아서 상기한 CPU(22)에 펄스신호로 입력시켜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제4도의 플로우챠트로 설명한다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되면 측광회로(21)이 동작하여 측광량을 노출정보로서 CPU(22)에 입력하여 준다.
한편, CPU(22)에는, 상기한 측과량 외에도 오픈센서(15b)와 크로스센서(15c)로부터의 신호도 인가되기 때문에, CPU(22)는 크로스센서(15c)가 스윗치-온상태인가를 판단하여 스윗치-온일 때에는 셔터판(10)이 폐쇄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셔터버튼(25)의 조작단계로 넘어간다.
또, 크로센스(15c)에서 스윗치-오프신호가 인가될 때에는 모터제어부(23)으로 정역회전모터(18)을 역방향 구동시켜 셔터판(10)을 폐쇄하라는 명령을 내려서, 크로스센서(15c)로부터 스윗치-온신호가 입력될때까지 정역회전모터(18)이 역방향으로 구동되게 한 다음, 셔터버튼(25)의 조작단계로 넘어간다.
셔터버튼(25)가 촬영자에 의해 조작되면, CPU(22)는 카메라 각부분의 기능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 때는 에러표시단계로 넘어가서 촬영자에게 고장임을 알려주고, 정상일때는 정역회전모터(18)에 정방향 구동명령을 발하여 셔터판(10)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노출을 시작한다.
정역회전모티(18)의 구동시간은 상기한 측과회로(21)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CPU(22)가 결정하며, 또 정역회전모터(18)의 구동 중에, 회전수는 펄스발생기(24)에 의해 검출되어 CPU(22)에서 계수되면서 셔터판(10)의 복귀점을 체크하게 된다.
정역회전모터(18)의 회전수가 셔터판(10)의 복귀점에 해당하게 되었을 때, CPU(22)는 모터제어부(23)에 정역회전모터 정지신호를 발하여 소정시간동안 정역회전모터를 정지시킨 다음, 이어서 정역회전모터(18)의 역방향 구동명령을 내려서 셔터판(10)이 폐쇄되게 한다.
셔터판(10)이 완전히 폐쇄되어 크로스센서(15c)로 부터 스윗치-온신호가 입력되면 셔터버튼 조작가능한 상태로 넘어가서 대기한다.
상기한 과정 중에, 정역회전모터(18)이 지정회전수를 초과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과회전을 하게 되면, 오픈센서(15b)가 스윗치-온신호를 CPU(22)에 입력하여 정역회전모터(18)의 구동정지명령을 내리게 한다.
상술한 제어과정에 있어서, 셔터판(10)의 개방도는 피사체의 촬영여건에 맞게 여러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제5도는 셔터판(10)의 개방도를 완전개방과 1/2개방의 2단계로 설정한 예에 관련하는 셔터판(10)의 개폐선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개폐선도에서 초기의 사선은 정역회전모터(18)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셔터판(10)이 개방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수평선은 정역회전모터(18)이 정지되어 셔터판(10)의 개방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또 말기의 사선은 정역회전모터(18)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셔터판(10)이 닫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개폐선도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은 셔터판(10)의 개방과정에서 통과되는 광량에 상응하는 것이므로, 셔터판(10)의 1/2개방은 완전개방시의 개폐선도가 차지하는 면적의 대략1/2에 해당되게 해야 하며, 면적의 분할방식은 셔터판(10)의 개방도나 개방유지시간의 어느 하나를 나누거나 혹은 양자를 절충하여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여 셔터판(10)의 개방도를 어렵지 않게 여러 단계로 설정하여, 보다 양호한 촬영이 행해지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셔터판의 개폐작동을 정역회전정역회전모터로 행함에 따라, 복잡한 구성의 부품이 필요치 않게 된 것이므로 카메라를 더 한층 소형화할 수 있고, 또 노출단계를 여러 단계로 설정해여 놓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촬영성능도 대폭 향상할 수 있으며, 생산공정에 있어서도 조립성이 양호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수의 절감으로 인한 생산원가의 절액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5)

  1. 피사체를 측광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CPU가 셔터판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1쌍의 셔터판을 개폐시키기 위한 파이널기어와 다수의 감속기어 및 정역회전정역회전모터가 상호 치차연결되고, 상기한 셔터판의 개폐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한 정역회전모터의 회전수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용 스윗치수단이 상기한 파이널기어 및 감속기어의 소정위치에 상기한 설치된 구동부와, 통상의 측광희로에서 보내지는 측광신호와 상기한 검출수단의 셔터판 위치신호를 CPU가 받아 모터제어부로 상기한 정역회전모터의 구동명령을 발하고, 상기한 펄스발생용 스윗치수단이 발하는 정역회전모터의 회전수 신호를 받아 상기한 CPU로 펄스입력시켜, 상기한 정역회전모터의 회전수가 계수되게 하는 펄수발생부 이루어진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파이널기에서 고정설치되는 검출봉과, 상기한 양 셔터판이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한 검출봉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오픈센서 및 이와는 반대로 양 셔터판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한 검출봉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크로스 센서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오픈센서와 크로스센서는 통상적인 콘택트 스윗치형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펄스발생용 스윗치수단은 감속기어의 상면에 소정 패턴상으로 프린트되는 펄스패턴과, 이 펄스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1쌍의 리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펄스패턴은 외주방향으로 요철을 형성한 톱니형상으로 프린트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KR1019890007101A 1989-05-26 1989-05-26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KR910005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7101A KR910005443B1 (ko) 1989-05-26 1989-05-26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7101A KR910005443B1 (ko) 1989-05-26 1989-05-26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727A KR900018727A (ko) 1990-12-22
KR910005443B1 true KR910005443B1 (ko) 1991-07-29

Family

ID=1928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101A KR910005443B1 (ko) 1989-05-26 1989-05-26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4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727A (ko) 199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46944A (en) Fading structure for motion picture cameras
US5079574A (en) Motor-driven camera
US4752796A (en) Still camera
US6334718B1 (en) Camera having a lens barrier
KR910005443B1 (ko) 카메라 셔터구동장치
US4839677A (en) Focal length switching type camera
US5253004A (en) Control device for camera
KR970005436Y1 (ko)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EP0393622A2 (en) Electric drive device for camera
US6393218B1 (en) Camera
JPH0675266A (ja) シャッタ制御装置
GB2392252A (en) Film winding and mirror-shutter operations for an SLR camera
US3877040A (en) Switch arrangement for electronic shutter of ttl single lens reflex camera
JP2837235B2 (ja) プレビュー機構
JPH075468Y2 (ja) シャッタ装置
US3825941A (en) Release switch device for a camera
US4030820A (en) Automatic fading device for motion picture camera
JPH02277032A (ja) カメラの電動駆動装置
JPH04281684A (ja) 露光装置
JPH046931B2 (ko)
JPH0915675A (ja) カメラの絞り制御装置
JPH0626893Y2 (ja) シャッタ装置
JPS636741Y2 (ko)
JP2002023221A (ja) カメラ
JPH04693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