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327B1 - 전자화일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화일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327B1
KR910005327B1 KR1019880002875A KR880002875A KR910005327B1 KR 910005327 B1 KR910005327 B1 KR 910005327B1 KR 1019880002875 A KR1019880002875 A KR 1019880002875A KR 880002875 A KR880002875 A KR 880002875A KR 910005327 B1 KR910005327 B1 KR 91000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onic filing
code
cod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686A (ko
Inventor
겐 오시마
다케노리 오사나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6327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2967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6327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296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632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866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11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66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mass storage, e.g. in document filing systems
    • H04N1/217Interfaces allowing access to a single user
    • H04N1/2175Interfaces allowing access to a single user with local image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화일링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의 1실시에에 관한 전자화일링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놓은 블록도.
제1b도는 CRT표시장치의 화면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입력되는 정보가 화상정보인지 코드정보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설명도.
제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일링장치에서 사용되는 광학디스크의 평면도.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일링장치에사용되는 다른 광학디스크의 평면도.
제3a도는 검색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검색표제를 도시해 놓은 도면.
제3b도는 검색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정보테이블을 도시해 놓은 도면.
제4도는 검색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표제구조를 도시해 놓은 도면.
제5도는 검색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관리테이블을 도시해 놓은 도면.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검색표제에 식별부호를 붙혀 놓은 일례를 "0" 및 "1"를 도시해 놓은 도면.
제7a 내지 제7c도는 각각 전자화일링장치에의해 편집되는 코드정보와 화상정보 및 화상편집된 화상의 표시상태를 도시해 놓은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시스템버스 14, 32b : CPU
16 : 키보우드 18 : CRT표시장치
20 : 포인팅장치 22 : 디스크장치용 인터페이스회로
24 : 주메모리 26 : 광학디스크장치
28, 30 : 자기디스크장치 32 : 스캐너
32a : 동작부 32c : 메모리
34, 34' : 광학디스크 36, 38 : 자기디스크
40 : 페이지메모리 42 : 표시메모리
44 : 작업표시메모리 46 : 확대/축소회로
48 : 종횡변환기 50 : 화상버스
52 : 표시콘트롤러 54 : 프린터
56, 58 : 스켄너용 및 프린터용 인터페이스회로
60 : 부호화/복호화회로 62 : 범용통신프로세서
64 : 업무용 통신프로세서 CRM : 제어모듈
MM : 메모리모듈 IPM : 화상프로세싱모듈
CCM : 통신제어모듈 Cr : 커어서
T : 검색표제 PT : 화상정보테이블
Pn : 정보번호 K1~K3 : 키정보
MA ; 기록개시어드레스 P1 : 정보길이
Ps : 용지의 크기 TS : 표제구조
Kn : 키수 Kna : 키명칭
T1, T2 : 제1 및 제2형태 Cn : 자리수
MT : 관리테이블 B : 바인더
BC : 바인더카다로그 Bn : 바인더명칭
Pa, Ta : 코드기억어드레스 EC, EC' : 정보기록영역
Ei, Ei' : 화상정보기록영역
본 발명은 전자화일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학기억장치에 코드정보가 기억시켜 지는 기능을 갖는 전자화일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사무자동화에 따른 워드프로세서등을 가지고 작성한 문서와 같은 정보를 기억시켜 놓은 수단으로 자기디스크가 널리 보급되어져 있으나, 최근 정보량의 증가에 따라 자기디스크에 필요한 정보를 모두 기억시켜 놓는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문서같은 것에는 코드정보와 화상정보가 공존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생기에 되었는데, 그 때문에 종래 사용해 오고 있는 코드정보를 기억시켜 놓은 자기디스크에 비해 그 자기디스크의 기억용량이 점점 더 부족하게 되고 있다.
또 일반적으로 자기디스크를 기억매체로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이 자기디스크는 필요로 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검색정보의 기억영역이 적었기 때문에, 상기 검색정보에 필요한 항목이 충분하지 못하여 상기 검색정보도 적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 때문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고 하는 것이 문제로 되고 있는 바, 그러한 현상은 정보량의 증가에 따라 한층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검색정보가 많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자기디스크에 기억시켜줘야 할 검색정보의 기억영역이 많아지게되고, 그 때문에 검색에 필요한 일반정보(피검색정보)의 기억영역이 적어지게됨으로서 바람직스럽지 못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 다량으로 발생하는 문서와 도면과 같은 화상정보를 기억시켜 여러 종류의 정보를 처리하도록 된 예로 예컨대 미국특허 4,661,988호에 기제된 화상정보화일링장치가 개발되어 있는 바, 이 화상정보화일링장치는 2차원스캐닝장치와 시간카운터, 문자발생기, 페이지버퍼 및 CRT표시장치로 구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원고의 화상정보는 2차원스캐닝장치에서 광학적으로 독출되어 기억매체인 광학디스크에 기억시켜진다 그와 더불어 시간 카운터에 의해 발해진 시간정보에 따른 문자정보가 문자발생기에서 만들어지게 되고 또 화상정보에 부가되어 상기 시간을 표시해 주는 문자 패턴이 독출/기록되게 된다면 수기문서(手記文書)의 1페이지에 해당하는 상기 화상정보가 페이지버퍼에 일시적으로 기억되게 된다. 그러면 이 페이지버퍼에 기억시켜진 상기 화상정보가 CRT표시 장치에 의해 상기 시간정보를 표시해 주는 문자패턴과 더불어 표시되어 시각적으로 알아 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화상정보화일링장치는 상기 광학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임의의 화상정보를 검색해서 독출해 내는 것과 같은 처리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학디스크는 자기디스크와 비교한다면 현격하게 기억용량이 크고 검색능력도 우수하다. 그런데 이러한 화상전자화일링장치에 있어서는 피검색정보로서 화상정보만이 광학디스크에 기억시켜질 수 있는 것이어서, 코드정보를 기억시켜 놓을 경우에는 일단 코드정보를 화상정보로 변환시킨 다음 광학디스크에 기억시켜 놓게 된다. 그러므로 워드프로세서나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사무자동화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코드 정보를 그대로 광학디스크에 기억시켜 놓은 것은 곤란한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발명된 것으로, 코드 정보와 화상정보를 쉽게 기억시켜 검색하는 것이 가능함과 더불어 충분한 기억용량을 얻을 수 있어 검색효율이 뛰어난 전자화일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화일링장치는, 피검색정보를 이 피검색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검색정보와 함께 기억시켜 놓은 광학메모리수단과, 상기 검색정보를 지정해줌으로 상기 광학메모리 수단에 기억시켜진 상기 피검색정보를 재생시켜 주는 재생수단, 코드정보를 상기 피검색정보로서 공급해 주기 위한 정보공급수단 및, 이 정보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시켜지는 상기 코드정보를 상기 광학메모리수단에 기억시켜주는 기억수단을 갖추어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전자화일링장치는, 처리되어질 화상정보를 공급해 주기 위한 제1정보공급수단과, 처리되어 질 코드정보를 공급해 주기 위한 제2정보공급수단, 검색정보와 대응하는 피검색정보로서 상기 제1 및 제2정보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상기 화상정보와 코드정보의 형태를 나타내는 식별부호를 상기 검색정보에 부가해 주는 부가수단, 상기 부가수단에 의해 상기 식별부호가 부가된 상기 화상정보와 코드정보를 통합해서 처리해 주눈 처리수단, 상기 처리수단에 의해 통합해서 처리되어진 상기 피검색정보를 기억시켜 주는 기억수단, 상기 제1 및 제2종보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어진 상기 피검색정보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설정해주는 설정수단 및, 상기 검색정보를 지정해 줌으로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져 있는 상기 피검색정보를 재생해 주는 재생수단을 갖추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해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전자화일링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놓은 블록도로서, 시스템버스(12)에는 제어수단으로서의 CPU(14)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 CPU(14)는 정보의 기억과 검색 및 편집처리등에 따른 각종 장치를 제어해 주기 위한 것으로 멀티테스크(MULTITASK)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이 CPU(14)에는 코멘드정보와 같은 각종 정보를 입력시켜 주기 위한 키보우드(16) 및 CRT표시장치(18)의 화면위에 표시되는 커어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마우스라 칭하는 포인팅장치(20)가 각각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이 포인팅장치(20)에는 상기 커어서의 위치들을 지시해 주기위한 예컨대 도시되어 있지 않는 제1보턴 및 제2보턴이 설치되어져 있다.
또 시스템버스(12)에는 디스크장치용 인터페이스회로(22)와 CPU(14)의 동작프로그램등이 기록되는 주메모리(24)각각 접속되어 있는 바, 그중 디스크장치용 인터레이스회고(2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DMA(Direct Memory Access Circuit)가 설치되어 있으면서 화상정보가 기억되는 광학디스크장치(26)가 접속됨과 더불어 자기디스크장치(28)(30)가 각각 접속되어 있고, 상기 광학디스크장치(26)는 뒤에는 상세하게 설명될 2차원 스캐닝장치(스케너(scanner):32)에 의해 독출되어 상시 CUP(14)를 거쳐 공급되는 화상정보등을 광기억매체로서의 광학디스크(34)에 순서대로 주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자기디스크장치(28)는 예컨대 워드프로세서나 개인용 컴퓨터등에 의해 처리된 자기디스크(36)가 장착되는 것으로 예컨대 플로피디스크장치로 구성되게 된다. 한편, 자기디스크(38)가 장착된 자기디스크장치(30)는 광학디스크(34)위의 검색정보나 화상편집을 할 때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등이 기억시켜지는 것으로 예컨대 하드디스크장치로 구성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상기 전자화일링장치는, 이 장치에 입력되는 정보가 예컨대 워드프로세서들에 의해 처리되어진 코드정보라 한다면 이 코드정보는 자기디스크(36)로부터 자기디스크장치(28)를 거쳐 입력되게 된다. 또 이 코드정보를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 놓은 경우에는 뒤에 상세히 설명될 검색 표제(retrievaltitle)를 설정해서 코드정보의 등록을 지시하게 되고, 자기 디스크(36)로부터 자기 디스크장치(28)를 거쳐 읽어 들여진 코드정보는 인터페이스회로(22)를 거쳐 주메모리(24)로 기억시켜지게 되며, 이 주메모리(24)에 기억시켜진 코드정보가 인터페이스회로(22)를 거쳐 광학디스크장치(26)에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이 코드정보는 광학디스크장치(26)로부터 광학디스크(34)로 공급되게 되어 그 광학디스크(34)의 코드정보기억영역에 기억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또 시스템버스(12)에는 그 일부가 버퍼메모리로서 동작하게 되는 페이지메모리(40)와 표시메모리(42), 작업표시메모리(44), 화상정보를 확대/축소해 주게 되는 확대/축소회로(46) 및 화상정보의 종횡변환을 실행하는 종횡변환기(aspect converter : 48)가 각각 접속되어 있는바, 이들 회로부는 시스템버스(12)와 화상버스(50)사이에 접속되어져 있다.
여기서 작업표시메모리(44)에는 코드정보를 화상정보로 변환시켜 주는 데에 필요한 문자 FONT(문자패턴)등이 기억되어 있고, 상기 확대/축소회로(46) 및 종횡변환기(48)는 모듈화되어 있으며, 또 표시메모리(42)에는 표시 콘트롤러(52)를 거쳐 CTR표시장치(18)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캔너(32)는 원고를 예컨대 노광주사해 줌으로서 원고의 화상정보에 따른 전기신호를 얻기 위한 것으로, 이 스캐너(32)에는 독출원고의 크기와 농도 및 독출밀도와 같은 파라메터(처리정보)를 설정해 주는 동작부(32a)와, 이 스캐너(32)를 제어해 주는 CPU(32b) 및, 상기 동작부(32c)에 의해 설정되어진 각종 파라메터를 기억하게 되는 메모리(32c)가 설치되어져 있다.
또 프린터(54)는 상기 스캔너(32)에 의해 독출된 화상정보 또는 광학디스크장치(26)로부터 독출된 화상정보를 인자출력해 주는 것인데, 상기 스캔너(32) 및 프린터(54)는 각각 스캔너용 인터페이스회로(56)와 프린터용 인터페이스회로(58)를 거쳐 부호화/복부호화회로(60)에 접속되어 있고, 이 부호화/복호화회로(60)와 인터페이스회로(56)(58)는 모듈화되어져 있다.
한편, 시스템버스(12)에는 범용통신트로세서(62)가 접속되어 있는 바,이 범용통신프로세서(62)는 RC-232C와 GPIB 및 SCSI용 인터페이스이고, 이 범용통신프로세서(62)에는 업무용 통신프로세서(64)가 접속되어 있는 바, 이 업무용 통신프로세서(64)는 단거리통신망(LAN)용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CPU(14)와 인터페이스회로(22)는 제어모듈(CPM)로 구성되고, 주메모리(24)와 페이지메모리(40), 표시메모리(42), 작업표시메모리(44) 및 표시콘트롤러952)는 메모리모듈(MM)로 구성되며, 확대/축소회로(46)와 종횡변환기(48), 인터페이스회로(56)(68) 및 부호화/복호화회로(60)는 화상프로세싱모듈(IPM)로 구성되고, 범용통신프로세서(62)와 업무용 통신프로세서(64)는 통신제어모듈(CCM)로 구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전자화일링장치에서 코드정보 또는 화상정보를 처리해 주게 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코드정보 또는 화상정보를 입력해 주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코드정보 또는 화상정보를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 주는 경우에는 입력시키는 정보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판별할 필요가 있는 바, 즉 이들 정보의 판별은 CPU (14)에 의해 하게 되어있어 예컨대 입력되는 정보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미리 CRT표시장치(18)의 화면위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 운용자가 키보우드(16) 또는 포인팅장치(20)를 조작해서 CRT 표시장치(18)위의 커어서(Cr)를 이동시켜 주고, 이 커어서(Cr)에 의해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T 표시장치(18)위에 표시되는 코드정보 또는 화상정보에 대응한 표시가 지시되게 되고, 이러한 지시를 받아 입력되는 정보를 CUP(14)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판별하게 된다.
제3a도 및 제3b도는 광학디스크(34)에 기억된 정보 각각에 대응해서 부여되는 검색정보로서의 검색표제(T)와 화성정보테이블(PT)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제3도에 도시된 검색표제(T)는 정보번호(Pn)와 복수개의 키정보(K1~K3)로 이루어져 있는 바, 이 복수개의 키정보(K1~K3)는 최대 20항목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지는 정보의 내용등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 이들 커정보(K1~K3)를 지정해 줌으로서 광학디스크(34)에 기억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검색표제(T)와 광학디스크(34)위의 정보는 검색표제(T)위에 기억시켜져 있는 정보번호(Pn)와 제3B도에 도시된 정보테이블(PT)에 기록되어져 있는 정보에 의해 1:1로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표제(T)을 알게 되면 광학디스크(34)위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 제3b도에 도시된 상기 정보테이블(PT)에서 Ma는 광학디스크(34)위의 기록개시어드레서, P1은 정보길이, PS는 용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제3a도에 도시된 상기 복수개의 키정보(K1~K3)는 제4도에 도시된 표제구조(TS)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바, 즉 참조부호 Kn은 상기 표제구조(TS)중 키의 수, 부호 Kna는 각 키정보(K1~K3)마다의 키명칭(차량,장소,풍경), 부호1과 T2는 각각 제1형태(가격과 문자 및 간지(일본표의문자)의 속성)와 제2형태(변수항목과 고정항목의 속성), 부호 Cn은 자리수를 나타내고 있다.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상기 검색표제(T)와 정보테이블(JPT)들을 관리해 주기 위한 관리테이블(MT)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 관리테이블(MT)은 예컨대 최대800바인더를 관리해 주는 것이 가능하게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바인더(B)로 구성되는 바인더카다로그(BC)와 각 바인더(B)마다의 검색표제(T) 및 정보 테이블(PT)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각 바인더(B)는 바인더명칭(Bn)과 표제구조(TS), 검색표제(T)의 기억어드레스(Ta) 및 정보테이블(JPT)의 기억어드레스(Pa)로 구성되어져 있는 바, 여기서 1개의 바인더(B)당 최대 30,000의 화상을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되는 코드에 대해서는 광학디스크(34)의 기억영역위에다 코드정보의 기억 영역과 화상정보의 기억영역을 나눠주는 방식과, 상기 검색정보에 식별부호를 붙혀 정보를 식별해 주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는 바, 그중 전자는 다시 상기 광학디스크(34)의 크랙단위로서 코드정보의 기억영역과 화상정보의 기억영역을 분할시켜 주는 방식과, 광학디스크(34)의 블록단위로서 코드정보의 기억영역과 화상정보의 기억영역을 분할시켜 주는 방식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제2a도는 상기 방식가운데 광학디스크(34)의 기억영역을 트랙단위로서 분할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광학디스크(34)는 그 기판의 표면이 코팅되어진 것으로 이 디스크의 형태는 예컨대 텔루륨이나 비수무스의 금속층을 갖는 유리질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져 있다, 또 기준위치표지(드)의 외곽선을 지지해주는 노취(notch)는 상기 금속코팅의 중심부근에 배치되게 되고, 트랙형상은 나선형상 및 동심 원형상중 어떤 형상으로 되어도 좋으나, 여기서는 동심원형상으로 해 놓은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하여 제2a도에서 광학디스크(34)위를 코드정보기억영역(EC)과 이 화상정보기억영역(Ei)으로 나누고 있는데, 이들 기억영역(Ec, Ei)은 광학디스크(34)j에서 완전하게 나뉘어져 있지 않고 CPU(14)측의 제어에 의해 나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트랙에 의해 코드정보기억영역(EC)과 화상정보기억영역(Ei)을 나뉘어지게 됨으로서,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진 정보를 독출하는 경우에 트랙번호를 인식한다면 그 트랙내의 정보가 코트 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b도는 코드정보의 기억영역과 화상정보의 기억영역을 블록마다 분할시킨 경우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여기서 블록으로는 예컨대 광학디스크(34')의 메모리영역을 나누고 있는 "00"으로부터 '31"까지로 32셋터부위로 분할된 범위각 분할부가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00"으로부터 "15"까지를 코드정보 기억 영역(EC)A로 "16"으로부터 "31"까지를 화상정보 기억영역(Ei')으로 각각 나눌 수 있게 되고, 그외의 광학 디스크(34')의 구성은 전술한 바 있는 제2A도에 도시된 광학디스크(34)의 구성과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화일링장치에 있어 먼저 화상정보를 입력해 주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정보를 광학디스트(34)에 기억시켜 놓는 경우 먼저 스캔너(32)에 입력되는 만큼 원고를 셋팅해서 입력시켜질 정보가 미리 CRT표시장치(18)의 화면위에 표시되도록 해 놓고, 이어 운용자가 키보우드(16)또는 포인팅장치(20)를 조작해서 CRT표시장치(18)위의 커어서(Cr)를 이동시켜 주며, 이 커어서(Cr)에 의해 CRT표시장치918)위에 표시된 정보인 화성정보에 대응한 표시를 지시한다. 그 지시를 받아 입력시켜지는 정보가 화상정보임을 CPU(14)가 판별하게 된다.
이와 같이 CPU(14)에서 입력되는 정보가 화상정보라고 판별된다면 스캔너(32)의 동작부(32a)에서 그 원호의 크기나 독출밀도들을 설정해 놓은 상태로 독출이 개시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그 독출시켜진 원고의 화상정보가 인터페이스회로(22)와 부호화/복호화회로(60), 종횡변환기948) 및 확대/혹소회로(46)를 거쳐 페이지메모리(40)에 기억시켜지게되며, 이 페이지메모리(40에 기억시켜진 화상정보에 대응한 화상이 CRT표시장치(18)에 표시해 주는 경우에는 상기 화상정보가 페이지메모리(40)로부터 표시메모리(42)로 전송된다. 이 표시메모리(42)에 기억시켜진 화상정보에 대응한 화상이 표시콘트롤러(52)에서 제어되어져 CR표시장치(18)의 화면위에 표시해 주게 된다.
또 상기 페이지메모리(40)에 기억시켜진 화상정보를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 주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즉 상기 검색표제(T)의 키정보(k1~k3)를 설정해서 CRT표시장치(18)의 화면위에 표시된 화상정보를 예컨대 키보우드(16) 또는 포인팅장치(20)에 의해 광학디스크(34)에 등록시켜지도록 지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페이지메모리(40)에 기억되어 있는 지정된 화상정보가 확대/축소회로(46)와 종횡 변환기(48)를 거쳐 부호화/복호화회로(60)로 공급되게 되고, 그로부터 이 부호화/복호화회로(60)에서는 상기 화상정보가 부호화된 후 다시 확대/축소회로(46)와 종횡변환기(48), 페이지메모리(40)내의 버퍼메모리 및 인터페이스회로(22)를 거쳐 광학디스크장치(26)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공급된 화상정보는 광학디스크 장치(26)내에서 기록신호로 변환되어 도시되어 있지 않는 레이저비임에 의해 변조시켜진 다음 도시되어 있지 않는 광학헤드를 거쳐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광학디스크(34)위의 화상정보기억영역(Ei)에 공급되어 기억시켜지게 된다.
이에 대해 상기 전자화일링장치에 입력시켜지는 정보가 코드정보인 경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먼저 코드경보를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 주는 경우 입력되는 정보를 CPU(14)에서 판별해 줄 필요가 있게 된다. 예컨대 입력되는 정보가 CPU(14)에 의해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미리 CRT표시장치 (18)의 화면위에 표시하도록 해 놓고, 이어 운용자가 키보우드(16) 또는 포인팅장치(20)를 조작해서 CRT표시장치(18)위의 커어서(cr)를 이동시켜 주며, 이 커어서(cr)에 의해 CRT표시장치(18)위에 표시되어져 있는 코드정보에 대응한 표시를 지시한다. 이러한 지시를 받아 입력되는 정보가 코드정보임을 CPU(14)가 판별하게 된다.
그래서, 워드프로세서등에 의해 처리되는 것으로써 자기디스크(36)로부터 자기디스크장치(28)를 거쳐 코드정보가 입력되는 되는 바, 이 코드정보를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 주는 경우도 앞에서 설명된 화성정보를 등록해 주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되게 된다. 즉 검색표제(T)를 키보우드(16)또는 포인팅장치(20)로 설정시켜 코드정보의 등록을 지시하게 되고, 이어 자기디스크(36)로부터 자기디스크장치(28)를 거쳐 읽어 들여진 코드정보가 인터페이스회로(22)를 거쳐 주메모리(24)에 기억시켜지게 되며, 이 주메모리(24)에 기억시켜진 코드정보는 인터페이스회로(22)를 거쳐 광학디스크장치(26)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이 광학디스크장치(26)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 있는 화상정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의 처리가 이루어지게 되어 광학디스크(34)의 코드정보기억영역(EC)에 기억시켜지게 된다.
그런데, 코드정보는 화상정보로 변환시켜진 상태에서 광학디스크(34)에 기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코드정보와 화상정보의 변환 및 등록을 키보우드(16) 또는 포인팅장치(20)로 지시한다면 자기디스크장치(28)를 거쳐 자기디스크(36)로부터 읽어 들여진 코드정보는 인터페이스회로(22)를 거쳐 먼저 주메모리(24)에 기억시켜지게 되고, 이 주메모리(24)에 기억시켜진 정보는 작업표시메모리(44)에 공급되므로 작업표시메모리(44)에 있어 입력시켜지는 코드정보에 대응한 문자 FONT가 독출되게 된다. 즉, 이 문자 FONT 즉 화상정보는 페이지메모리(40)에 기억되게 되고, 또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해서 변환시켜진 화상정보는 표시메모리(42)와 표시콘트룰러(52)를 거쳐 CRT표시장치(18)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페이지메모리(40)에 기억시켜진 화상정보는 확대/축소회로(46)와 종횡변환기(48)를 거쳐 부호화/복호화회로(60)로 공급되게 되고, 그로부터 이 부호화/복호화회로(60)에서는 상기 화상정보가 부호화되어진 다음 다시 확대/축소회로(46)와 종횡변환기(48), 페이지메모리(40)내의 버퍼메모리 및 인터페이스회로(22)를 거쳐 광학디스크장치(26)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광학디스크장치(26)에 공급된 화상정보는 광학디스크(34)에 공급되어 그 화상정보기록영역(Ei)에 기록시켜지게 된다.
한편, 광학디스크(34)에 기억되어 있는 코드정보와 화상정보는 검색표제(T)를 입력해 줌으로서 검색결과를 출력시킬 수 있는 바, 즉 이 겸색결과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검색되어진 정보의 기억영역(EC, Ei)에 의해 그 정보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CPU(14)에서 판별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운용자측에서 피검사정보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의식할 필요가 없다.
또 검색출력된 화상정보는 주지된 바와 같이 CRT표시장치(18)위에 표시됨과 더불어 편집될 수 있는데, 코드정보인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화성정보로 변환시켜진 상태에서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디스크(34)로부터 독출시켜진 코드정보는 인터페이스회로(22)를 거쳐 주메모리(24)에 기억시켜지게 되고, 이 주메모리(4)에 기억시켜진 코드정보는 작업표시메모리(44)에 공급되어져 작업표시메모리(44)에 있어 입력되는 코드정보에 대응한 문자 FONT가 독출시켜지게 된다. 즉 이 문자 FONT, 즉 화상정보는 표시메모리(42)에 기억시켜져 표시콘트롤러(52)에 의해 CRT표시장치(18)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 표시상태에있어서는 화상의 끊어 붙임과 이동 및 회전과 같은 주지의 편집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편집이 처리된 화상정보를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 주는 동작은 전술한 바 있는 코드정보를 화상정보로 변환시켜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 주는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상시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정보를 처리해 주는 전자화일링장치의 광학디스크(34)에 코드정보를 그대로 기억해 줄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광학디스크(34)를 통상적인 화상정보의 기록매체로서 뿐만아니라 워드 프로세서나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사무자동화기기의 기억매체로서 이용할 수도 있데 된다. 그런고로 전자화일링장치의 광학디스크장치(26)를 이들 사무자동화기기의 중핵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래도 광학디스크(34)를 사용한 전자화일링장치는 자기디스크(36)에 비해 기억용량이 크기 때문에 다량의 정보를 기억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검색정보가 많아도 검색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화상정보 뿐만아니라 코드정보를 포함한 총합적인 전자화일링장치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 코드정보와 화상정보를 광학디스크(34)위의 다른 기억영역에 기억시켜 놓고, 그에 따라 코드정보와 화상정보를 독출하게 되는 겨우 어떤 기억영역으로부터 독출하는가에 따라 그 독출정보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그래도 독출한 정보를 표시해 주는 경우에 있어서는 코드정보라면 화상정보로 변환시켜 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운용자로서는 정보를 검색해 주거나 표시해 주는 경우 대상으로 되는 정보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전혀 의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검색등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력시켜진 정보의 종류별을 키보우드(16) 또는 포인팅장치(20)에 의해 지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바, 예컨대 CPU(14)에 의해 정보가 입력된 단자를 판별하도록 함으로서 코드정보가 입력되었는지 화상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즉 자기디스크장치(28)가 접속된 인터페이스회로(22)를 거쳐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정보가 코드정보임을 판별하게 되는 한편, 인터페이스회로(56)를 거쳐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정보가 화상정보임을 판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별하게 된다면 정보를 입력할 때 그 정보의 종류를 운용자가 의식할 필요가 없으므로 한층 조작성이 다양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학디스크(34)의 기억영역을 분할시켜 놓고 그 영역을 인식함으로서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판별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광학디스크(34)상의 기억영역을 나눠주는 방식의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정보를 기억시킬 때 코드정보와 화상정보에 다른 식별정보를 부가해서 기억시켜주는 방식이 있다. 즉 코드정보와 화상정보를 식별부호에 의해 구별해 주는 방식으로 그 식별부호를 예컨대 정보검색용 정보표제중에 설정시켜 놓음으로서 실시할 수가 있다.
제6a도 및 제6b도는 검색정보로서 검색표제(T')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검색표제(T')와 광학디스크(34)위의 화상정보는 검색표제(T')위에 기억시켜져 있는 정보번호(Pn) 및 정보테이블(도시되어 있지않음)에 기록된 정보에 의해 1:1로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검색표제(T')가 나누어 진다면 광학디스크(34)의 화상정보를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검색표제(T')중 식별부호(CI)를 설치해 주었는데, 이 식별부호(CI)가 "0"인 경우에는 화상정보, "1"인 경우에는 코드정보라고 설정해 놓게 된다면 식별부호(CI)에의해 그 정보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6A도에 도시된 검색표제(T')는 식별부호 (CI)가 "0"이므로 화상정보이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6b도에 도시된 검색표제(T')는 식별부호(CI)가 "1"이므로 코드정보임을 알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검색표제(T')의 다른 부분(복수개의 키정보(K1~K3))에 대해서나 정보테이블과 표제구조 및 관리테이블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는 제1실시예인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식별부호(CI)를 갖는 검색표제(T')를 사용한 경우에는 입력시켜지는 정보를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주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 여기서는 전술한 바 있는 제1실시예와 다른 동작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화상정보를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키는 경우에는 입력시켜지는 정보가 CPU(14)에 의해 판별되게 되고, 스캔너(32)에 입력된 만큼 원고를 셋팅해서 입력시켜질 정보를 미리 CRT표시장치(18)의 화면위에 표시하도록 해놓는다. 이어 운용자가 키보우드(16) 또는 포인팅장치(20)를 조작해서 CRT표시장치(18)위의 커어서를 이동시켜 주고, 이 커어서에 의해 CRT표시장치(18)위에 표시된 정보인 화상정보에 대응한 표시를 지시한다. 이러한 지시를 받아 입력시켜지는 정보가 화상정보인 것을 CPU(14)가 판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보면 에컨데 페이지메모리(40)에 기억시켜진 화상정보를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주는 경우에는, 우선 상기 검색표제(T')의 키정보를 설정해서 CRT표시장치(18)의 화면위에 표시된 화상정보를 예컨대 키보우드(16) 또는 포인팅장치(20)에 의해 광학디스크(34)에 등록시켜지도록 지정한다. 그렇게 하면 화상정보로서 상기 검색표제(T')의 식별부호 (CI)에 "0"이 서정되게 되고, 상기 페이지메모리(40)에 기억되어 있던 화상정보가 확대/축소회로(46)와 종횡변환기(48)를 거쳐 부호화/복호화회로(60)에 공급된다. 그래서 이 부호화/복호화회로(60)에서는 상기 화상정보는 부호화된 후 다시 확대/축소회로(46)와 종횡변환기(48), 페이지메모리(40)네의 버퍼메모리, 인터페이스회로(22) 및 광학디스크장치(26)를 거쳐 광학디스크(34)에 공급되어 기록시켜지게 된다.
이에 대해 상기 전자화일링장치에 입력되는 정보가 코드정보인 경우 예컨데 워드프로세서등에 의해 처리된 코드정보가 자기디스크(36)로부터 자기디스크장치(28)를 거쳐 입력된다. 이 코드정보를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 주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 있는 화상정보를 등록시켜 주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하게 되는데, 즉 코드정보로서 상기 검색표제(T')의 식별부호(CI)에 "1"이 설정시켜지게 된다. 그래서 자기디스크(36)로부터 자기디스크장치(28)를 거쳐 독출된 코드정보는 인터페이스회로(22)를 거쳐 주메모리(24)에 기억시켜지게 되고, 이 주메모리(24)에 기억시켜진 코드정보는 인터페이스회로(22)를 거쳐 광학디스크장치(26)에 공급된 다음 광학디스크(34)에 공급되어 기억시켜지게 된다.
또 코드정보는 화상정보로 변환시켜진 상태로 광학디스크(34)에 기억시켜 줄 수도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필요한 키정보를 키보우드(16)등에 의해 입력되고 있어 코드정보와 화상정보의 변환 및 등록을 지시한다. 그렇다면 검색표제(T')에 화상정보를 나타낸 식별부호"0"이 설정시켜지게 되고, 이어 자기디스크(36)로부터 자기디스크장치(28)를 거쳐 독출된 코드정보는 인터페이스회로(28)를 거쳐 비로소 처음으로 주메모리(24)에 기억시켜지게 된다. 그래서 이 주메모리(24)에 기억시켜진 코드정보는 작업표시메모리(44)에 공급되게 되므로 작업표시메모리(44)에서는 입력시켜지는 코드정보에 대응한 문자 FONT가 독출된 다음 그 문자 FONT가 페이지메모리(40)에 기억된다.
한편, 광학디스크(34)J에 기억시켜져 있는 코드정보와 화상정보는 검색표제(T')를 입력해 줌으로서 검색을 출력해 줄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검색된 정보의 검색표제(T')에 부착된 식별부호(CI)에 의해 그정보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CPU(14)에 의해 판별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코드정보와 화상정보를 광학디스크(34)위에 다른 식별부호를 붙혀 기억시켜 놓고, 그에 따라 코드정보와 화상정보가 독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식별부호를 판별함으로서 그 독출된 정보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쉽게 판별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식별부호를 붙혀놓음으로서 화상정보와 코드정보를 광학디스크(34)에 기록할 경우에는 1장의 광학디스크(34)에 예컨대 코드정보만을 기억시켜 놓을 수 있어 실용상 대단히 편리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식별부호(CI)를 검색표제(T')에 마련해 놓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데 정보테이블등에 설정시켜 놓을 수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전자화일링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드정보를 화상정보로 변환시킴으로서 예컨대 다음과 같은 화상편집처리를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화상정보와 코드정보로 이루어진 화상을 합성 편집하는 경우에 먼저 워드프로세서등에 의해 처리되어진 코드정보가 자기디스크(36)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리 CRT표시장치(18)상에 화면위에 입력시켜지는 정보가 화상정보인지 코드정보인지를 운용자가 키보우드(16) 또는 포인팅장치(20)에서 지시한다. 그러면 이러한 경우에는 CRT(14)에 의해 입력시켜지는 정보가 코드정보임을 판별하게 된다.
그리하여 입력되는 정보가 코드정보인 것이라고 판별된 다음 상기 자기디스크(36)로부터 자기디스크장치(28)를 거쳐 코드정보가 입력되게 되고, 그로부터 자기디스크장치(28)에서 독출된 코드정보는 인터페이스회로(22)를 거쳐 주메모리(24)에 기억시켜지게되며, 이 주메모리(24)에 기억시켜진 코드정보는 작업표시메모리(42)에 공급되게 되어 여기서 코드정보에 대응한 문자 FONT가 독출시켜지게 된다. 즉 이 문자 FONT가 변환시켜지니 코드정보 즉 화상정보로서 표시메모리(42)에 기억시켜지게 되고, 그리하여 표시메모리(42)에 기억시켜진 변환후의 코드정보는 표시콘트롤러(52)에 의해 CRT표시장치(18)의 화면위에 표시되도록 된다. 제7a도는 이러한 코드정보에 대응한 문자 "TITLE"를 CRTVY시장치(18)의 화면위에 표시한 이례를 도시해 놓은 것이다.
한편,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정보가 예컨대 스캔너(32)에 의해 입력시켜지게 되고, 이렇게 입력시켜진 정보는 앞에서 설명된 바 있는 코드정보인 경우와 마찬가지로해서 CPU(14)에 의해 화상정보라고 판별하게 된다. 상기 입력되는 정보가 화상정보로 판별된 다음 화상정보는 인터페이스회로(56)와 부호화/복호화회로(60), 종횡변환기(48) 및 확대/축소회로(46)를 거쳐 페이지모모리(40)내의 도시되어 있지 않는 버퍼메모리에 공급되어 기억시켜지게 된다. 그때 동시에 표시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문자 FONT가 작업표시메모리(44)로부터 상기 페이지메모리(40)내의 버퍼메모리(도시되어 있지않음)로 동시에 공급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버퍼메모리에는 제7a도에 도시된 문자와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정보의 논리화를 취한 정보가 기억시켜지게 된다. 그 결과 표시메모리(42)에는 제7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TITLE"과 화상정보를 편집해서 화상정보가 기억시켜지게 된다. 그래서 이 표시메모리(42)에 기억되어 편집된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이 CRT표시장치(18)의 화면위에 표시되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편집된 화상을 예컨대 프린터(54)로 출력시키는 경우는 키보우드(16) 또는 포인팅장치(20)에 의해 페이지메모리(4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이 확대/축소회로(46)와 인터페이스회로(58)를 거쳐 프린터(54)에 공급된다. 그래서 이 프린터(54)에서는 제7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화상이 인자출력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화상편집처리에 있어 전술한 예에서는 화상정보의 입력에 스캔너(32)를 사용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광학디스크(34)로부터 독출된 화상정보에도 좋은 것이다. 단 이러한 경우인 화상정보의 입력은 이미 설명했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또 스캔너(32)이외에도 팩시밀리등으로 화상정보를 입력시켜 주도록 해도 좋다.
또 화상정보와 코드정보가 합성편집되어진 화상은 광학디스크에 기억시켜 놓아도 좋은데 , 이러한 경우의 기억방법은 앞에서 설명했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편집처리는 화상편집처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바, 예컨데 추출과 삭제와 같은 편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해서 코드정보를 화상정보로 변환한 다음 그 변환된 정보에 대해 편집을 처리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피검색정보로서의 화상정보 또는 코드정보가 입력시켜진 경우 제어수단에 의해 광학디스크에 기억시켜 줌으로서 코드정보의 화상정보를 쉽게 기억검색할 수가 있고, 또 충분한 기억 용량을 얻을 수 있게 됨으로서 검색효율이 우수한 전자화일링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8)

  1. 광학메모리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거나 광학메모리에 정보를 기입해주도록 된 전자화일링장치에 있어서, 코드정보가 저장시켜지는 메모리수단과, 이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코드정보를 출력시켜 주는 제1처리수단, 이 제1처리수단에 의해 출력시켜주는 코드정보와 광학메모리상의 코드정보를 검색해 낸 검색정보가 기억시켜지는 기억수단, 이 검색정보를 지시해 주는 지시수단 및, 광학메모리로부터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지시되는 검색정보에 대응된 코드정보를 검색해 내는 제2처리수단을 갖추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산이 키보우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이 포인팅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4. 광학메모리로 정보를 기억시켜 주도록 된 전자화일링장치에 있어서, 자기적으로 코드정보를 지정해 주는 메모리수단과, 이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코드정보를 독출시켜주는 독출수단 및, 광학메모리상에 독출수단에 의해 독출시켜진 코드정보를 기록해 주는 기록수단을 갖추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5. 광학메모리에 제1 및 제2정보가 기억시켜 지도록 된 전자화일링장치에 있어서, 처리될 제1정보를 수신하는 제1수신수단과, 이 제1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제1정보와 광학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1정보의 위치를 지시해 줌으로서 제1형태의 정보가 묘사된 제1식별정보로 이루어진 제1어드레스정보가 기억시켜지는 제1기록수단, 처리될 제2정보를 수신하는 제2수신수단 및, 이 제2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제2정보와 광학메모리에 기록되어져 있는 제2정보의 위치를 지시해 줌으로서 제2형태의 정보가 묘사된 제2식별정보로 이루어진 제2어드레스정보가 기억시켜지는 제2기억수단을 갖추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가 화상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정보가 코드정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수단이 2차원 스캐닝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신수단이 자기 기록매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수단이 팩시밀리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신수단이 자기기록 매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화상정보로 코드정보를 변화시켜 주는 변화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를 변화되어진 화상정보의 형태로 표시해 주고, 상기 제1 및 제2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정보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지시해 주는 표시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코드정보가 변환수단에 의해 화상정보로 변환시켜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를 변환되어진 형태로 표시해 주고, 상기 제1 및 제2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정보가 코드정보인지 화상정보인지를 지시해 주는 표시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신수단이 복수개의 단자로 각기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단자로 수신되는 정보가 상기 단자에 정보와 더불어 수신되어 결정되는 화상정보 또는 코드정보를 결정해 주는 결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신수단이 복수개의 단자로 각기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단자로 수신되는 정보가 상기 단자에 정보와 더불어 수신되어 결정되는 화상정보 또는 코드정보를 결정해 주는 결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이 키보우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이 포인팅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이 키보우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이 포인팅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일링장치.
KR1019880002875A 1987-03-18 1988-03-18 전자화일링장치 KR910005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63273 1987-03-18
JP62063272A JPS63229678A (ja) 1987-03-18 1987-03-18 電子フアイリング装置
JP62-63272 1987-03-18
JP62-63274 1987-03-18
JP62063273A JPS63229679A (ja) 1987-03-18 1987-03-18 電子フアイリング装置
JP62063274A JP2728664B2 (ja) 1987-03-18 1987-03-18 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686A KR880011686A (ko) 1988-10-29
KR910005327B1 true KR910005327B1 (ko) 1991-07-25

Family

ID=2729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875A KR910005327B1 (ko) 1987-03-18 1988-03-18 전자화일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282997B1 (ko)
KR (1) KR910005327B1 (ko)
DE (1) DE385497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3870A (ja) * 1988-09-30 1990-04-04 Toshiba Corp 情報記憶装置
JPH0293865A (ja) * 1988-09-30 1990-04-04 Toshiba Corp 情報記憶装置
JP3058333B2 (ja) * 1989-07-25 2000-07-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検索装置及び方法
US5012334B1 (en) * 1990-01-29 1997-05-13 Grass Valley Group Video image bank for storing and retrieving video image sequences
US5396588A (en) * 1990-07-03 1995-03-07 Froessl; Horst Data processing using digitized images
EP0538812A2 (en) * 1991-10-21 1993-04-28 FROESSL, Horst Multiple editing and non-edit approaches for image font processing of records
WO1996024909A1 (fr) 1995-02-08 1996-08-15 Sony Corporation Dispositif d'edition d'imag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8879A (ja) * 1983-03-30 1984-10-11 Toshiba Corp 画像情報記憶検索装置
JPS59229709A (ja) * 1983-06-10 1984-12-24 Toshiba Corp 画像情報記録装置
JPS60196854A (ja) * 1984-03-19 1985-10-05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検索システム
JPS6254329A (ja) * 1985-05-22 1987-03-10 Hitachi Ltd フアイル装置へのデ−タの登録方法および検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82997A2 (en) 1988-09-21
EP0282997B1 (en) 1996-02-07
KR880011686A (ko) 1988-10-29
DE3854975D1 (de) 1996-03-21
EP0282997A3 (en) 1993-03-03
DE3854975T2 (de) 199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404B1 (ko) 화상데이터용 고속검색 시스템
EP0435316B1 (en) Image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EP0051258B1 (en) Electronic document information filing system
KR910005327B1 (ko) 전자화일링장치
JPH0221024B2 (ko)
JPH0361226B2 (ko)
JPH03202966A (ja)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
US5355355A (en) Electronic file apparatus capable of storing code data and image data into optical memory
JPS6226035B2 (ko)
EP0158766B1 (en) Electronic processing with forms
JPH03202958A (ja) 画像情報記憶検索装置
JP2713987B2 (ja) 情報処理装置
JP2728664B2 (ja) 情報処理装置
JP282905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H06195343A (ja) 文書格納表示方式
JPS63229678A (ja) 電子フアイリング装置
JPS63229679A (ja) 電子フアイリング装置
JP278794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H0325235Y2 (ko)
JPH07200613A (ja) 画像検索装置
JPH07168849A (ja) 画像情報処理装置
JPH08263512A (ja) 文書検索装置
JPH0540462A (ja) 文字パターン登録方式
JPH07508364A (ja) 文書を蓄積および表示す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87515A (ja) 画像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