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158Y1 - 유아용 보행기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보행기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158Y1
KR910005158Y1 KR2019880020413U KR880020413U KR910005158Y1 KR 910005158 Y1 KR910005158 Y1 KR 910005158Y1 KR 2019880020413 U KR2019880020413 U KR 2019880020413U KR 880020413 U KR880020413 U KR 880020413U KR 910005158 Y1 KR910005158 Y1 KR 910005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height
slider
upper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456U (ko
Inventor
구남서
Original Assignee
구남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남서 filed Critical 구남서
Priority to KR2019880020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158Y1/ko
Publication of KR900011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4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 A47D13/043Baby walkers with a seat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아용 보행기의 높이조절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요부를 보인 일부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작동도로서 보행기의 높이를 높이는 상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작동로드로서 보행기의 높이를 낮추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나사축 9 : 슬라이더
10, 11 : 브로켓트 12 : 조절손잡이
본 고안의 유아용 보행기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인의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88-13810호를 개량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기에는 바퀴를 가진 하부본체와 상부본체 사이에 지지간을 엇갈리게 설치하여 중간의 지축에 의해 절첩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간의 전방 상부간과 상부본체의 연결부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서 유아의 체격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같은 보행기에 있어서 선출원의 높이 조절장치는 상부본체에 고정되는 브라켓트와 지지간의 상부간을 협지하는 슬라이더에 스톱퍼와 나사판을 끼워 일방톱니에 의해 끼워 걸려지도록 하고 나사판 하단의 요홈부에는 스프링과 와셔를 끼운 상태로 나사축 하단에 레버를 결착시켜서 된 구성으로 이는 레버를 제쳐두고 나사판을 풀어주므로서 스톱퍼와 브라켓트의 톱니가 이탈되어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임의의 위치에 높이를 고정시킨 후 다시 나사판을 완전히 조여주고 레버를 원상태를 제쳐주므로서 체결이 완료되는 록킹장치를 이중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선고안은 나사판과 레버를 동시에 체결하여 이중으로 체결력을 갖도록 하므로서 안정성은 있지만, 부품수가 많고 복잡하여 제작 공정이 어렵고 고장율도 그만큼 많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높이를 조절할때 마다 보행기 자체를 뒤집어서 사용해햐하는 불편함은 물론 유아를 탑승시킨 상태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등의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선고안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보완하고자 개량 고안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퀴(2)를 가진 하부본체(1)와 상부본체(3) 사이에 지지간(4) (5)을 엇갈리게 설치하여 중간의 지축(6)에 의해 절첩될 수 있게 한 것에 있어서, 지지간(5)의 전면부 상부간(A)에 연결구(7)를 삽착하여 나사축(8)과 나사조립된 슬라이더(9)에 보울트로 고정하고 나사축(8)은 상부본체(3) 저면에 보울트로 고정된 양 브라켓트(10) (11)에 체결하여 공회전되도록 하며 전단에는 조절손잡이(12)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상부본체(3) 저면에 고정된 양측 브라켓트(10) (11)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축 (8)이 공회전 되도록 삽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전단의 조절손잡이(12)를 어떤 방향으로 돌려주더라도 나사축(8)은 제자리 회전하게 되고, 지지간(5)의 상부간(A)을 연결구(7)로 삽착한 슬라이더(9)는 나사축(8)과나사로 조립되어있어 나사축(8)의 회전에 따라 전, 후 이동이 되는 것이다.
이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은 제 4 도의 상태처럼 적당한 높이가 되도록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하다가 상부본체(3)의 높이를 낮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때에는 조절손잡이(12)를 우측으로 들려주면 나사축(8)이 우측으로 회전되면서 나사조립된 슬라이더(9)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양지지간(4) (5)은 지축(6)을 중심으로 접혀지면서 상부본체(3)가 내려앉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부본체(3)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때에는 조절손잡이(12)를 역방향으로 들려주면 슬라이더(9)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양지지간(4) (5)을 세우게 되여 상부본체(3)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상부본체(3)의 저면에 공회전되는 나사축(8)을 설치하고 나사축 (8)에는 지지간(5)의 상부간(A)을 삽착한 슬라이더(9)를 나사조립하여 나사축(8)내에서 슬라이드되도록 하므로서 조절손잡이(12)만의 정, 역회전에 의해 높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 손잡이를 회전시키기 전에는 체결력이 절대로 풀려질 우려가 없어 일시에 주져앉은 일이없는 안전성이 있는 것이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자공정이 손쉽고,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유아를 탑승시킨 상태에서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바퀴(2)를 가진 하부 본체(1)와 상부본체(3) 사이에 지지간(4) (5)을 엇갈리게 설치하여 일측지지간에 설치된 슬라이더(9)가 평행 안내봉을 따라 진퇴이동 되게한 것에 있어서, 지지간(5)의 상부간(A)에 고정된 슬라이더(9)에 나사구멍을 형성하여 나사축(8)에 나사끼움하고 상부본체(3) 저면에 고정된 양브라켓트(10) (11)에 나사축(8)을 공회전되도록 체결하여 그 전단에 조절손잡이(12)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 유아용 보행기의 높이조절장치.
KR2019880020413U 1988-12-12 1988-12-12 유아용 보행기의 높이조절장치 KR910005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413U KR910005158Y1 (ko) 1988-12-12 1988-12-12 유아용 보행기의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413U KR910005158Y1 (ko) 1988-12-12 1988-12-12 유아용 보행기의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456U KR900011456U (ko) 1990-07-02
KR910005158Y1 true KR910005158Y1 (ko) 1991-07-20

Family

ID=1928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413U KR910005158Y1 (ko) 1988-12-12 1988-12-12 유아용 보행기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1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23B1 (ko) * 2001-08-31 2009-12-15 톰슨 라이센싱 컬러 비디오 디스플레이 신호 프로세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23B1 (ko) * 2001-08-31 2009-12-15 톰슨 라이센싱 컬러 비디오 디스플레이 신호 프로세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456U (ko) 199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3359Y1 (ko) 휠체어용 전동장치
KR950013804A (ko) 자동차 페달 및 페달길이 조절장치
US8201840B2 (en) Vehicle steering head
DK0816163T3 (da) Barnesæde med bevægelige sidelæn
JPH0616171U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910005158Y1 (ko) 유아용 보행기의 높이조절장치
TWI635012B (zh) Link set for preventing swinging and locking device with two front wheel carriers
JP3694346B2 (ja) 調節自在のアームレスト
TWM562251U (zh) 用於具兩前輪載具之防止搖擺、具鎖定裝置的連桿組
CN214823571U (zh) 一种带有锁紧装置的汽车转向管柱
KR0135749Y1 (ko) 낚시받침대의 각도 조절장치
JP3167750B2 (ja) 自動二輪車のペダルおよびフートレスト装置
JP2575965Y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114324U (ja) 介助バー
KR19980023221U (ko) 텔레비젼방향조정장치
JPH0510018Y2 (ko)
KR960009488Y1 (ko) 휠 로더(wheel loader)용 틸팅(tilting)식 조향핸들 장치
KR200209008Y1 (ko) 가변 위치식 페달 조립체
KR870003084Y1 (ko) 경운기용 탑승 운전장치
ATE60674T1 (de) Antriebsvorrichtung zum schrittweisen verstellen eines teiles und insbesondere der rueckenlehne eines fahrzeugsitzes.
JPH0339442U (ko)
JPH0224337Y2 (ko)
KR890003004Y1 (ko) 썰 매
JPH051467Y2 (ko)
JPS62224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