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088Y1 - 진공 보온병의 마개 - Google Patents

진공 보온병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088Y1
KR910005088Y1 KR2019880020340U KR880020340U KR910005088Y1 KR 910005088 Y1 KR910005088 Y1 KR 910005088Y1 KR 2019880020340 U KR2019880020340 U KR 2019880020340U KR 880020340 U KR880020340 U KR 880020340U KR 910005088 Y1 KR910005088 Y1 KR 910005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opper
packing
thermos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506U (ko
Inventor
윤형백
Original Assignee
윤형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백 filed Critical 윤형백
Priority to KR2019880020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088Y1/ko
Publication of KR900011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5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88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 보온병의 마개
제 1 도는 본 고안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 2a, b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a)도는 마개가 보온병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태도, (b)도는 마개가 보온병의 개부를 폐쇄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온병 2 : 개구부
3 : 마개 4 : 패킹
5 : 링 6 : 회전체
본 고안은 보온병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보온병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개 하부에 결합된 실리콘제의 고무 패킹이 마개의 회동에 따라 보온병의 개구부로 끼워질 때 압축력을 받아 외경이 커지면서 개구부를 밀폐되게 하고, 압축력을 제거할 때에는 원상태로 복귀하여 개구부로부터 분리 및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진공 보온병의 마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 보온병은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80-5844, 83-8964 호에 이미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은 마개의 본체 하부에 링형의 패킹을 끼운 회전체를 결합한 것으로, 상기 마개를 보온병의 개구부에 끼운다음, 마개를 회동시켜 패킹이 개구부를 폐쇄하면서 내부를 밀폐시킬 때 패킹이 회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패킹의 외경이 보온병의 개구부의 내경보다 크므로 개구부의 개폐시 마찰에 의해 패킹의 외경의 마모가 심하고, 보온병의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마개를 삽입할 때에는 패킹의 외경이 개구부의 내경과 밀착되면서 삽입되므로 내부에는 밀폐시키기 위해 마개를 삽입할 때에는 패킹의 외경이 개구부의 내경과 밀착되면서 삽입되므로 내부에는 압축력이 생기며 마개를 개구부에 완전히 체결하였을 때에는 보온병내에 강한 압축력이 발생하여 그 압축력이 항상 패킹이 가해지므로 장기간 사용에 따른 패킹의 변형에 따라 밀폐의 효과가 저해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마개의 저면과 회전체 사이에 끼워 있던 실리콘제의 고무 패킹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따라 패킹외경이 변화되게 하여 보온병의 개구부를 밀폐 또는 개방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있어서, 1은 상부에 개구부(2)를 갖는 통상의 보온병이며 이 개구부(2)상부에는 기체 배출홈(22)이 있는 암나사부(21)가 형성되고 암나사부(21)하측으로는 밀폐면(23)과 정지턱(24)이 형성된다.
한편 개구부(2)의 암나사부(21)와 체결되는 마개(3)의 수나사부(31)에는 기체 배출홈(32)이 형성되고 중공부(33)로는 패킹(4)과 링(5)을 순차적으로 끼운 회전체(6)가 끼워져 회전체(6)의 상부턱(62)과 마개(3)의 중공부(33)내의 턱(34)이 서로 걸리게 하며, 패킹(4)과 링(5)은 회전체(6)의 하부 플랜지(61)에 재치된 상태에서 회전체(6)와 함께 이동되도록 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보온병의 내부체, 8은 내용물이다.
여기에서 패킹(4)은 경도 65인 실리콘제 고무를 170℃에서 8∼10분간 링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며, 패킹(4), 링(5) 및 회전체의 하부플랜지(61)의 각 외경은 보온병(1)의 암나사부(21)와 밀폐면(23)의 내경 보다는 약 0.5∼1㎜정도 작게 형성하게 되고, 회전체(6)의 하부플랜지(61)의 외경이 보온병(1)의 정지턱(24)의 내경보다 커저면이 재치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 2a 도에서와 같이 마개(3)를 보온병의 개구부(2)에 삽입하게 되며, 계속 개구부(2)내로 마개(3)를 삽입하면 마개(3)점의 중공부(33)내의 턱(34)에 의해 결합된 패킹(4), 링(5) 및 회전체(6)가 개구부(2) 내부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패킹(4), 링(5) 및 회전체(6)의 외경이 개구부(2)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걸림이 없이 끼워지게 되고, 이어서 마개의 숫나사부(31)와 개구부(2)의 암 나사부(21)가 체결되며, 곧 회전체(6)의 하부플랜지(61)의 저면은 개구부의 정지턱(24)에 닿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체의 플랜지(61)의 저면이 개구부의 정지턱(24)에 닿기 이전에 이미 보온병(1)내에 있는 기체 즉 마개(3)가 삽입된 체적에 대응하는 기체의 양은 개구부(2)의 기체 배출홈(22)과 마개(3)의 기체 배출홈(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상태가 되므로 보온병(1)의 내부는 비압축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마개(3)를 회동시켜 마개(3)의 저면이 링(5)과 패킹(4)을 압축하면 회전체(6)의 상부턱(62)은 마개(3)의 중공부(33)내로 상승됨과 동시에 첨부도면 제 3b 도와 같이 실리콘제의 패킹(4)의 두께는 축소되면서 외경이 켜져 개구부(2)의 밀폐면(23)에 밀착되어 보온병(1)의 내부를 완전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태의 일 실시예로서 실리콘제의 고무 패킹(4)의 외경이 36㎜이며, 내경이 26㎜이고, 두께(T)가 14㎜인 것을 사용하여 약 12∼20㎏의 압축력을 마개(3)을 통해 패킹(4)에 가하면 패킹(4)의 외경이 2.4∼4㎜만큼 커지면서 변화하게 되므로 0.5∼1㎜정도 큰 밀폐면(23)에 외경이 밀착되게 된다.
상기의 밀폐상태에서 마개(3)를 회동시켜 체결된 나사를 풀명 마개(3)가 상부를 이동하면서 압축되어 있던 패킹(4)이 원상태로 형상이 복귀되고, 계속 마개(3)를 회동시키면 회전체(6)의 하부플랜지(61)부분이 개구부(2)의 정지턱(24)과 분리되며, 마개의 숫나사부(31)와 개구부(2)의 암나사부(21)의 분리에 의해 마개(3)을 용이하게 개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마개로 보온병의 개구부를 개폐할 때 실리콘제의 고무패킹 외경과 개구부 내경이 서로 마찰되지 않으므로 마모가 없으며, 밀폐시 보온병내에는 압축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에 대한 밀폐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마개(3)의 수나사부(31)에 결합된 패킹(4)이 암나사부(21)가 형성되고, 암나사부(21)하측으로 밀폐면(23)과 정지턱(24)이 형성된 보온병(1)의 개구부(2)를 개폐시키는 것에 있어서, 마개(3)의 수나사부(31)에 있는 중공부(33)내에 턱(34)을 형성하며, 개구부(2)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링(5)과 실리콘제의 고무패킹(4)이 재치되는 하부 플랜지(61)를 하부에 형성하고 상부에 걸림턱(62)이 돌출되게 회전체(6)를 형성하여 걸림턱(62)이 마개의 중공부(33)내의 턱(34)에 걸려 이탈되지 않게하며, 마개(3)가 개구부(2)를 개폐할 때 회전체(6)가 상하 이동되면서 실리콘제의 고무 패킹(4)의 외경이 크기가 변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온병의 마개.
KR2019880020340U 1988-12-09 1988-12-09 진공 보온병의 마개 KR910005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340U KR910005088Y1 (ko) 1988-12-09 1988-12-09 진공 보온병의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340U KR910005088Y1 (ko) 1988-12-09 1988-12-09 진공 보온병의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506U KR900011506U (ko) 1990-07-02
KR910005088Y1 true KR910005088Y1 (ko) 1991-07-20

Family

ID=7061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340U KR910005088Y1 (ko) 1988-12-09 1988-12-09 진공 보온병의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0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557A (ko) * 2000-11-02 2001-04-16 이용준 액체 정량 조절용 튜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506U (ko) 199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200507599B (en) Closure and methods for placing and removing such a closure
US4440309A (en) Hermetical stopper for liquid receptacle
JPS59174476A (ja) ペ−スト状ないしは液状物質取出し容器の底面自動閉鎖弁
KR910005088Y1 (ko) 진공 보온병의 마개
ITPD960076A1 (it) Tappo perfezionato per bottiglie atto ad esser impiegato nella prima fase di lavorazione di spumanti col metodo champenois e per la tappatu
CN111634549B (zh) 一种内置容舱的瓶盖
US3527375A (en) Cover for beaded cylindrical beverage container
JPS5876154A (ja) 遠心分離機用の容器およびその閉塞手段
ES2009615A6 (es) Tapon de seguridad.
EP0283629B1 (fr) Conditionnement pour préparations extemporanées
CN102687971A (zh) 一种盖子
CN109368012B (zh) 一种儿童防护包装容器及其使用方法
JPS624525Y2 (ko)
JPH08151060A (ja) ボトルのコック
EP0489622A1 (fr) Dispositif de bouchage pour flacons
KR200394215Y1 (ko) 강력 접착제 보관용기
CN211919548U (zh) 容器及包含该容器的混合装置
KR200396092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CN212606881U (zh) 一种容舱分置的双物料合装瓶
JP3140776U (ja) ボトルキャップ
CN209225732U (zh) 自锁式组合套装瓶组件
JP3069658U (ja) 高気密保存容器
JPS6316636B2 (ko)
CN202739507U (zh) 一种盖子
JPH033539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