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037B1 - 식품 가온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가온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037B1
KR910005037B1 KR1019870001363A KR870001363A KR910005037B1 KR 910005037 B1 KR910005037 B1 KR 910005037B1 KR 1019870001363 A KR1019870001363 A KR 1019870001363A KR 870001363 A KR870001363 A KR 870001363A KR 910005037 B1 KR910005037 B1 KR 910005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chamber
food
open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682A (ko
Inventor
마사후미 하마자끼
Original Assignee
쵸오리 가부시기가이샤
콘노 에이끼
후쿠비카가꾸 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유우겐가이샤 하마, 코포레이숀
야기 구마키찌
마사후미 하마자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602156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3486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02156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34868U/ja
Priority claimed from JP215658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34874U/ja
Application filed by 쵸오리 가부시기가이샤, 콘노 에이끼, 후쿠비카가꾸 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유우겐가이샤 하마, 코포레이숀, 야기 구마키찌, 마사후미 하마자끼 filed Critical 쵸오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10Lunch 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품 가온 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가온용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액체수납 용기의 개방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3도는 작동위치에서 지지체를 갖는 제1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4도는 액체수납용기의 수정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액체수납용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가압봉을 갖는 액체수납용기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액체수납용기의 개방단부가 확대도시되어 있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가온용기의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용기의 수정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9도는 제7도 및 제8도의 액체수납용기에 가압봉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본체 12 : 하부벽
14 : 융기부인 중앙부 18, 16 : 제1,2체임버
24 : 덮개 28 : 폐쇄부재
30 : 발열반응제 32 : 금속보호층
34 : 지지체 36 : 측벽
42 : 액체수납용기 44 : 물
본 발명은 식품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청주(Japanese Sake), 커피, 스프, 국수(noodle)등의 식품을 외부에서 열에너지를 가하지 않고도 가열시키기 위한 발열성 반응제를 사용하는 식품가온용기에 관한것이다. 이같은 종류의 종래의 식품가온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2,288,895호, 미합중국 특허 제3,369,369호, 본 실용신안공보 제57-2867호, 일본 실용신안출원 제59-101882호, 59-16826, 59-162828호, 59-171629호와 60-70235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들 공지기술에서는 산화칼슘과 물의 수화반응과 같은 화학적 발열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열을 사용하여 식품을 가온한다. 이 기존의 참고예들에서는 반응제가 용기 본체에 결합된다. 발열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해서 반응유발 액체를 그 반응제와 혼합하는데, 일본 실용 신안공개공보 제59-10188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의 외부에서 액체를 공급하거나 또는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60-7023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핀등의 니들(needle)부재를 통해 용기 본체에 결합된 액체 봉지(bag)을 파열시킴으로써 혼합한다.
후자 형태의 가온용기는 예컨대 용기자체외에 물병을 지녀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된다.
그러나, 상기 형태의 가온용기는 다음의 문제들을 갖는다. 즉, 발열반응, 특히 산화칼슘과 물사이의 수화반응(hydration reaction)은 매우 활성적이어서 산화칼슘이 물과 혼합된 즉시 수화반응이 개시되어 증기를 포함하는 팽창된 고온 기체가 발생된다.
산화칼슘 전량과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양의 물이 공급된다면, 많은 양의 고온 기체가 매우 빠르게 발생되며, 그 일부는 때때로 반응하지 않은 물과 함께 그 용기 본체로부터 분출된다. 이같은 가열증기등의 분출은 인체 및 외장에 위험할 뿐아니라 포함되어 있는 산화칼슘양에 대해 물이 불충분하므로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공지기술은 그 액체 모두가 봉지가 수동으로 파열되는 순간에 산화칼슘에 공급되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피할 수가 없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가온용기는 일정량의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므로, 가열된 식품의 온도는 식품의 최초온도에 좌우되고 식품의 최초온도는 주위온도에 좌우된다, 예컨대, 수용물, 즉 식품이 40℃ 내지 45℃의 온도가 되는 것이 적합함을 가정하고 가온용기가 0℃ 내지 5℃의 주위온도에서 수용물이 상기 온도가 되도록 설계되었다면 이 가온용기가 약 25℃의 주위온도에서는 그 수용물이 65℃까지 과하게 가열될 것이다. 반면에 가온용기가 그 수용물의 온도를 약 20℃ 내지 25℃까지 가온하도록 되어 있다면 용기가 0℃내지 5℃의 주위온도에서 사용될 때 가온용기의 수용물은 기껏해야 단 30℃까지만 가열될수 있다.
상술한 문제들은 여러주위온도에서 사용하도록 다양한 체적의 발열반응제 및 또는 액체를 갖는 여러종류의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하려면 제조공정이 증가되고 제조비용이 중대되며, 사용자가 제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소하도록 가온용기에서 고온 개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어려움을 덜어주도록 되어 있는 식품가온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의 온도를 조절하게끔 발생될 열에너지의 양이단순한 조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식품가온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반응 유발액체를 쉽고 안전하게 발열반응제에 공급할 수 있는 식품가온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액체병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식품가온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가온용기는 일반적으로 용기본체와 액체수납용기와 지지체로 이루어진다. 이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식품을 수납하는 제1체임버와 발열반응제를 수납하는 제2체임버가 형성되어 있다. 액체수납용기는 가압될 때 수축하여 그 부피를 줄일수 있으며, 상기 제2체임버 외부에 배치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연결되고 제2체임버내로 연장되어 개방 단부에서 끝나는 도관을 포함한다. 지지체는 액체수납용기의 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체의 활주 이동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부를 가압하여 액체가 도관을 통해 발열반응하는 제2체임버로 배출된다.
상기 용기본체는 측벽과 상부로 융기한 융기부를 갖는 하부벽으로 이루어지며, 제1체임버는 융기부 외측의 측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체임버는 상기 융기부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액체수납용기의 본체부는 가요성물질로 이루어진다. 이 용기본체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거의 가압됨에 따라 탄성수축할 수 있는 주름측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관의 개방단부에는 이 도관을 개폐하는 플러그(pulg)가 끼워질 수 있고, 이 플러그는 용기본체부가 수축될 때 액체 압력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압봉은 액체수납용기로 연장되고 용기본체부의 하부벽부근에 위치한 하단부와 가압봉이 용기본체부의 수축에 따라 위로 움직일 때 플러그를 가압하는 상단부를 갖는다.
보조액체수납용기가 제2체임버에 배치될 수 있고, 발열반응제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보조용기는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용융될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로인해 개방단부로부터 액체에 의해 발생된 최초 발열반응은 그 반응을 지속시키는 액체를 추가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용기를 융용시킨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면, 액체수납용기의 도관은 그 종방향 중간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팽창부를 구비한다. 상기 팽창부는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개방단부로부터 액체에 의해 유발된 최초 발열반응은 그 반응을 지속시키는 액체를 추가로 공급하기 위한 팽창부를 용융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가온용기는 식품 수용을 위한 제1체임버와 발열반응제 수용을 위한 제2체임버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 상기 제2체임버 외측에 배치된 하부와 제2체임버내에 배치되고 액체를 제2체임버내로 배출시키는 개방단부를 갖는 상부 및 이 상부 및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도관으로 이루어진 액체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는 압축시 수축되도록 되어 있어 그 체적이 감소되고 압력 제거시 원래의 체적으로 복원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는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한 열에 의해 용융될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서, 발열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공급된 액체의 체적이 상기 하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그로인해 발생된 열에너지를 조절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명확해질 것이다.
제1도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온용기는 합성수지재, 알루미늄 또는 기타 금속재로 이루어 질수 있는 거의 원통형의 중공용기본체(10)를 포함한다. 이 본제(10)은 상부 개방단부와 하부벽(12)을 가지며, 이 하부벽의 융기부인 중앙부(14)는 상단부쪽으로 융기되어 융기된 벽의 외측의 제1체임버(16)와 그 내측의 제2체임버(18)로 분리한다. 제1체임버(16)은 소망의 음식 또는 음료수(20)로 채워진 후 도시되어있지 않지만 어떠한 종래의 구조물도 쉽게 개방하는 개폐수단을 갖는 뚜껑(22)으로 폐쇄된다.
본체(10)의 벽에는 종이 또는 발포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본체(10)의 하부벽(12)위로 연장되어 원통형 개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수직부(24a)를 갖는 단열덮개가 끼워져 있다. 상기 하부수직부(24a)는 하부벽(12)의 바로 아래 위치에는 제2체임버(18)용 폐쇄부재(28)을 지지하는 내부로 연장되는 환상의 플랜지(2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임버(18)은 부재(28)에 의해 폐쇄되기전에 발열반응제(30)로 채워지는데,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열반응제(30)은 물과 혼합될 때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산화칼슘을 포함한다. 금속보호층(32)는 특히 본체(10) 및 융기부인 중앙부(14)가 합성수지일 경우 융기부(14)의 내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액체 흡수물질은 발열반응제(30)과 폐쇄부재(28)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폐쇄부재(28)내에 배치되어 물의 누출을 막을수 있다
수직측벽(36)을 갖는 접사형태의 지지체(34)는 덮개(24)의 수직부(24a)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측벽(36)의 상단부는 플랜지(26)의 하부표면과 접촉되어 있다. 지지체(34)의 하부벽(38)의 중앙부에는 액체수납용기(42)를 지자하기 위해 평편한 상단부를 갖는 상부로 연장된 돌출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액체수납용기(42)는 가요성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으로 거의 원통형으로 만들어지고 이것을 가압될 때 변형되거나 수축되어 액체, 이 실시예의 경우는 물(44)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위를 위해 액체수납용기(42)는 벨로우즈형으로 주름진 측벽(46)을 갖는다. 또한, 액체수납용기(42)는 가압될 때 수축될 수 있는 탄성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액체수납용기(42)는 지지체(34)의 돌출부(40)에 배치되고 폐쇄부재(28)과 지지체(34)사이에, 즉 제2체임버(18)의 외부에 배치된다. 액체수납용기(42)의 바닥은 대개 수직부(24a)의 하부연부의 약간 위에 위치한다.
액체수납용기(42)는 그것의 상부벽의 개구(48)에 의해서 폐쇄부재(28)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52)를 통해 제2체임버(18)로 연장되는 도관(50)과 일체로 연결된다. 도관(50)의 상단부(54)는 그것의 최상부에서 제2체임버(18)로 개방되므로 상단부(54)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체임버(18)로 흐를 수 있다. 상기 단부(54)는 거기에 단단하게 끼워지는 플러그(56)에 의해 폐쇄된다. 플러그(56)은 플라스틱, 목재 또는 금속과 같은 어떠한 소망의 물질로도 이루어질수 있지만 점토, 규조토, 천연 또는 합성고무, 소맥분, 전분, 물유리, 버터 또는 그것의 조성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54)는 깔대기 형태이며, 플러그(56)이 놓여진 어깨부(shoulder portion)(58)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플러그(56)이 작은 수압으로 제거되고 플러그(56)이 들어올려지면 물통로가 제공되며, 조립중에 플러그를 쉽게 삽입하는 것이 보장된다.
제1도를 보면, 전체 조립체가 보존위치에 있을때가 도시되어 있으며, 지지체(34)는 덮개(24)의 수직부(24a)에 끼워진다. 용기에 담겨지는 수용물(20)을 가열할 필요가 있을 때, 지지체(34)를 수직부(24a)에서 잡아당기고 거꾸로된 상태로 테이블과 같은 고정 부재상에 놓이는데, 즉 하부벽(38)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표면을 형성한다. 액체수납용기(42)의 바닥이 하부벽(38)상에 놓여지도록 벽(38)이 덮개(24)에 끼워진 후, 덮개(24)뿐만 아니라 본체(10)이 아래로 가압되어 액체수납용기(42)가 주름측벽(46)이 접히면서 수축된다. 따라서, 물(44)는 도관(50)위로 흐르게되고 플러그(56)은 수압에 의해 개방단부(54)로부터 제거되거나 들어올려져서 그 물은 제2체임버로 흘러들어간다. 유출수와 산화칼슘(30)사이에 수화반응으로 열에너지가 발생되는데, 이것은 층(32)와 벽(14)를 거쳐 수용물(20)을 가열시키기 위해 제1체임버(16)으로 전달된다.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양은 수화반응 정도, 즉 산화칼슘(30)에 공급되는 물의 체적에 좌우된다. 따라서, 최대 에너지를 발생시킬 필요가 없을 때, 예컨대 전체 조립체가 받게될 주위를 고려하여 지지체(34)는 소정량의 물이 제2체임버(18)로 유출될 정도로 수직부(24a)에 대하여 위로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되는 것은 지지체(34)의 측벽(36)상에 대한 지시표지(indication mark)를 사용함으로써 쉽게 이루어질수 있다.
물체적과 열에너지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하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제1도의 설계에 따른 4개의 샘플이 준비되었으며, 액체수납용기(42)를 25㏄의 물로, 제2체임버는 65g의 산화칼슘으로 채운다. 4개 샘플중 두 개를 4.0℃의 주위온도에 두고 지지체(34)를 완전히 가압하여 제2체임버(18)로 25㏄의 물을 유출시킨다. 그 결과, 2개의 샘플의 수용물(20)은 5분후 44.5℃와 44.9℃로 가열되며, 7분후 46.4℃와 46.8℃로 각각 가열되었다. 다른 두 개 샘플을 수화반응전에 약 1시간 동안 24.2℃에서 방치시킨다. 각 지지체(34)를 수직부(24a)의 하부 연부가 측벽(36)상의 표지에 이를때까지 가압하여 15㏄의 물이 제2체임버(18)에 공급되도록 한다. 수용물(20)의 온도는 4분후 42.1℃와 42.6℃이며, 7분후 47℃와 47.6℃로 가열되었다. 발생되는 열에너지는 지지체(34)의 이동정도에 의해 조절될수 있음이 밝혀졌다.
상기 실험에서, 지지체(34)가 25㏄ 또는 15㏄의 물이 한번에 유출되도록 가압될 때, 가열된 개스가 조립체로부터 분출되며, 반응되지 않은 물이 누출된다. 그러나, 이 문제는 지지체(34)를 서서히 그리고 점차로 가압함으로써 또는 7 또는 8㏄의 물을 10내지 20초 간격으로 2 또는 3회 유출시킴으로써 해결된다. 후자의 조작을 편리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몇 가지 지시표지를 측벽(36)상에 부착할 수 있다.
제4도로 나타낸 수정실시예에서는 액체수납용기(60)이 다른 길이를 갖는 다수의 도관(62),(64)와 (66)를 가지고 있어서, 이들 도관의 개방단부로부터의 물이 제2체임버(18)의 다른 지역으로 분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과도하고 지나치게 빠른 수화반응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제5도의 다른 수정실시예에서는 한쌍의 보조 액체수납용기(70)과 (72)가 도관(50)의 중간부분의 양측면의 제2체임버(28)내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수납용기(70)과 (72)는 비교적 저온에서 용융될수 있는 박막물질로 이루어져서, 도관(50)으로부터의 물에 의해 발생되는 최초 반응으로 이들 물질을 용융시켜, 그안에 수용된 부가적 물이 방출되어 제2반응이 일어난다. 이 경우, 주액체수납용기(42)의 체적은 물의 총체적과 평형을 이루도록 감소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56)은 도관(50)을 따라 유동되는 물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가압봉(press rod)(74)가 도관에 구비되며, 이 가압봉의 하단부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수납용기(42)의 바닥부근에 위치된다. 측벽(46)을 접음으로써 압력에 의해 용기하부가 상승되면 가압봉(75)는 도관(50)에서 상승되어 플러그(56)을 위로 들어올린다. 따라서, 플러그는 아무리 단단히 연결되어 있더라도 실패없이 개방단부(54)로부터 제거될수 있다.
제7도에는 본 발명의 가온용기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로써 표시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원통형 지지체(80)은 덮개(24)의 수직부(24a)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액체수납용기(84)가 그위에 지지된 평평한 상부벽(82)를 갖는다. 액체수납용기(84)는 지지체(80)상에 지지되는 하부용기(86)과 제1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향압력을 가했을 때 접혀질수 있는 주름 측벽(88)을 포함한다. 액체수납용기(84)의 도관(90)은 제2체임버(18)로 연장되고 종방향 중간부에는 상부용기(92)로 이루어진 팽창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용기(96)와 상부용기(92)는 모두 물(44)로 채워진다. 상부용기(92)위의 도관(90)부분은 상부 개방단부(94)쪽으로 테이퍼(taper)지며, 이 개방단부는 깔대기 모양이며, 플러그(96)용 어깨부(98)을 갖는다. 액체수납용기(84)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용기(92)의 벽은 수화반응에 의해 발생된 열로 용융되기에 충분할만큼 얇다.
산화칼슘(30)내에는 분배판(10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분배판은 개방단부(94)의 약간 밑에 위치하며, 이 판에는 제 말초부분으로까지 개방단부(94)로부터 제2체임버(18)의 주위부분까지 물이 확산되거나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들(나타내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내의 수용물(20)을 가열하려할 때, 지지체(80)의 바닥은 간단히 수직부(24a)에 대해 위로 가압되어 하부용기(86)을 수축하게 된다. 이렇게 하부용기를 수축함으로써 물이 도관(90)을 거쳐 상부용기(92)로 흐르고, 플러그(96)에 가해지는 수압이 증가된다. 따라서, 플러그(96)은 어깨부(98)로부터 적어도 상승되어 물이 열을 발생시키는 최초의 수화반응이 개시되는 제2체임버(18)내로 유출된다.
수화반응중, 제1체임버(16)뿐 아니라 제2체임버(18)의 온도가 증가된다. 제2체임버(18)의 온도가 상부용기(92)의 벽의 용융점보다 큰 온도에 이르게될 때, 상부용기의 벽은 용융되거나 파열되어 연속적인 수화반응을 일으키는 물을 공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같은 동작은 조립체로부터 팽창개스나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사용자가 발생되는 열에너지 양을 조절하기 원할 때, 이 열에너지의 양의 조절은 하부용기(86) 최초 수화반응을 개시하도록 수축된 직후에 지지체(8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질수 있다. 하부용기(86)은 그 주름측벽(88)의 가요성으로 인해서 정상 형태로 복원되며, 상부용기(92)로부터 물이 하부용기(86)으로 흐른다. 그러므로, 상부용기(92)에 남아있는 물의 체적이 감소되며, 이것은 후속반응으로 적은 열 에너지를 발생하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액체수납용기의 하부용기(86)이 정상형태를 취하는 최하 위치와 하부용기(86)이 완전히 수축된 최상 위치사이에서 소망지점에 지지체(80)을 유지함으로써 또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능들은 또한 하기 실험결과에 의해 다시 설명된다. 실험하기 위해 제7도의 설계에 따른 4개의 샘플을 준비하여 각각 하부용기와 상부용기(86),(92)를 8㏄와 17㏄물로 채우고 제2체임버는 65g의 산화칼슘으로 채운다. 4개 샘플중 두 개는 약 1.5시간동안 2.4℃의 주위온도에 두고 각 지지체(80)을 완전히 상부로 옮기고 거기에서 유지시켜 25cc의 물이 거의 다 반응에 사용되도록 한다. 5분후 측정된 용기 수용물(20)의 온도는 42.5℃와 43.0℃이었으며, 각각은 2분내에 44.5℃와 45.2℃로 상승되었다. 다른 두 개 샘플은 반응 개시전에 약 1시간동안 21.8℃에서 실내에 유지시킨다. 액체수납용기의 하부용기(86)을 완전히 수축시키기 위해 압력을 지지체(80)에 압력을 가하고 즉시 제거하면 물의 일부분이 하부용기(86)으로 되돌아온다. 액체수납용기의 내용물(20)은 41.5℃와 42.7℃로 4분후 가열되었으며, 각각 7분후에는 44.0℃와 45.3℃가 되었다.
제8도에 도시된 수정실시예에는 한쌍의 보조 액체수납용기(102)와 (104)가 구비되어 있으며, 보조용기는 개방단부(94)의 약간 밑의 위치와 도관(90)으로부터 제2체임버(18)의 주위를 향해 제2체임버내에 위치한다. 이 보조 액체수납용기들은 상부용기(92)가 파열되기전 최초 수화반응에 의해 용융되도록 되어 있어서 그 물이 제2체임버(18)의 주위부분으로까지 잘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수정실시예에서는 제7도에서 사용된 분배판(100)이 생략될 수 있다.
제9도에는 가압봉(106)이 결합된 액체수납용기의 또다른 실시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봉은 하부용기(86)으로부터 도관(90)을 거쳐 상부용기(92)로 위로 연장되어 있다. 제6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용기(86)의 바닥이 위로 이동될 때, 가압봉(106)의 상부 단부가 플러그(96)을 가압하여 개방단부(94)로부터 플러그가 제거 되도록 한다.
전술한 것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가온용기는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양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주위온도에 관계없이 소망의 온도로 그 수용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에 수납되는 액체를 발열반응제에 점차로 공급함으로써 팽창개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범주와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 및 제조될 수 있다.

Claims (22)

  1. 식품을 수용하는 제1체임버와 발열반응제를 수용하는 제2체임버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가압될 때 수축할 수 있어서 그 체적이 감소되며, 상기 제2체임버의 외측에 배치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체임버내로 연장하며, 개방단부를 갖는 도관을 포함하는 액체수납용기 및; 상기 액체용기의 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의 활주 이동으로 상기 본체부를 가압하게 되며 발열반응하기 위해 액체가 도관을 통해 제2체임버내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측벽과 위로 융기된 융기부를 갖는 하부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체임버는 상기 융기부의 외부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체임버는 상기 융기부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임버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융기부에 끼워지고 중앙부에 상기 도관이 제2체임버내로 연장하도록 하는 구멍이 구비되어 있는 폐쇄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벽으로 끼워지고, 하부 연장부를 갖는 단열덮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하부 연장부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수납용기의 본체부는 가요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수납용기의 본체부는 원통형이며, 가압될 때 탄성적으로 수축될수 있는 주름진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수축될 때 액체압력에 의해 제거될수 있으며, 상기 개방단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관의 개방단부에 끼워지는 플러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단부는 깔대기 형태이며 그 바닥에 어깨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는 상기 어깨부에 놓여져서 액체압력에 의해 깔대기 형태의 개방단부에서 상부로 이동될수 있어서 액체가 상기 제2체임버내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수납용기에서 연장되는 가압봉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압봉은 액체수납용기의 본체부의 하부벽 부근에 배치된 하단부와 이 가압봉이 본체부의 수축에 의해 상부로 이동될 때 상기 플러그를 가압하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임버내에 배치되고 발열반응제로 둘러싸이며, 그 발열반응으로 발생한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지는 보조 액체용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개방단부로부터의 액체에 의해 일어난 최초 발열반응으로 그 반응을 지속시키기 위한 액체를 추가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보조 액체용기가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액체수납용기의 도관의 종방향 중간부에는 발열반응에 의한 열로 용융될수 있는 액체 수용을 위한 팽창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개방단부로부터의 액체에 의해 발생되는 최초의 발열반응으로 그 반응을 지속시키도록 추가로 액체를 공급하게 상기 팽창부가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반응제는 산화칼슘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수납용기는 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액체수납용기가 다른 길이를 갖는 다수의 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14. 식품을 수용하는 제1체임버와 발열반응제를 수용하는 제2체임버를 갖는 본체 및; 상기 제2체임버의 바깥쪽에 위치한 하부와, 상기 제2체임버내에 배치되고 액체를 상기 제2체임버내로 배출하는 개방단부를 갖는 상부 및 이를 하부와 상부를 연결하는 도관으로 이루어진 액체수납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는 가압될 때 수축하도록되어 있어 그 체적이 감소되며, 압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체적으로 복원되며, 상기 상부는 발열반응에 의한 열로 용융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져서 발열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공급되는 액체 체적이 상기 하부에 의해 조절되어 발생될 열에너지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수납용기의 하부는 원통형이며 가압될 때 탄성적으로 수축될수 있는 주름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부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체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하부를 가압하여 수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수납용기의 개방단부 부근의 상기 제2체임버내에 배치되며, 상기 개방단부로부터 액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멍이 구비되어 있는 분배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식품가온용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임버에 배치되어 있고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지고, 액체를 확산하기 위해 상기 개방말단으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이차 제2체임버의 주위로 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보조 액체수납용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19. 식품수용을 위한 제1체임버와 발열반응제 수용을 위한 제2체임버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발열반응제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수납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용기는 가압될 때 수축하도록 되어 있는 측벽을 구비하여 체적이 감소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깔대기 형태의 개방단부를 갖는 도관 및; 상기 개방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본체부가 수축될 때 액체압력에 의해 상기 개방단부에 분리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개방단부로부터 액체가 유출되도록 되어 있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탄성과 점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그 중간부에 발열반응으로 발생한 열에 의해 용융되도록 되어 있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도관에서 연장되는 가압봉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수축에 의해 가압봉이 이동되어 상기 개방단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온용기.
KR1019870001363A 1986-02-19 1987-02-19 식품 가온 용기 KR910005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021564U JPS62134869U (ko) 1986-02-19 1986-02-19
JP???61-21565 1986-02-19
JP???61-21563 1986-02-19
JP???61-21564 1986-02-19
JP1986021563U JPS62134868U (ko) 1986-02-19 1986-02-19
JP2156586U JPS62134874U (ko) 1986-02-19 1986-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682A KR870007682A (ko) 1987-09-21
KR910005037B1 true KR910005037B1 (ko) 1991-07-22

Family

ID=2728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363A KR910005037B1 (ko) 1986-02-19 1987-02-19 식품 가온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773389A (ko)
KR (1) KR910005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5135A (en) * 1987-08-10 1990-01-23 Fukub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Self-heating container
US4928495A (en) * 1989-06-22 1990-05-29 Israel Siegel Self cooling and self heating container
US5040970A (en) * 1990-04-12 1991-08-20 Robertshaw Controls Company Burn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TE125344T1 (de) * 1990-08-30 1995-08-15 Omniglow Corp Chemilumineszentes lichtelement.
US5230216A (en) * 1992-07-27 1993-07-27 Israel Siegel Magnetic sorption self cooling and self heating containers
US5233836A (en) * 1992-08-10 1993-08-10 Israel Siegel Sorption temperature changing inserts
WO1994005136A1 (en) * 1992-08-20 1994-03-03 Thomas Nello Giaccherini Self-heating food and beverage container and appliance
US5626022A (en) * 1994-05-31 1997-05-06 Insta-Heat, Inc. Container with integral modul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CA2152452C (en) * 1995-06-22 1998-02-03 Robert Freiman Self heating container
US5935486A (en) 1996-08-02 1999-08-10 Tda Research, Inc. Portable heat source
US6128906A (en) * 1999-02-10 2000-10-10 Chill-Can International, Inc. Non-metallic food or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contained therein
US6289889B1 (en) 1999-07-12 2001-09-18 Tda Research, Inc. Self-heating flexible package
US6266879B1 (en) 1999-08-26 2001-07-31 Ontro, Inc. Container with integral modul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2001130652A (ja) * 1999-11-02 2001-05-15 Office Ozawa:Kk 収納バッグ
DE10003534A1 (de) * 2000-01-27 2001-08-16 Ebbecke Reinhard Einwegbehälter zur Erwärmung und Kühlung von Flüssigkeiten
US6338252B1 (en) * 2000-03-13 2002-01-15 Smartcup International Heat transfer container
US6564558B1 (en) * 2000-10-05 2003-05-20 Seymour Michael L Disposable self-cooling, self-heating container
US6640801B2 (en) * 2001-08-29 2003-11-04 Tempra Technology, Inc. Heat pack with expansion capability
FR2836544B1 (fr) * 2002-02-28 2004-10-15 Thermagen Emballage de boisson auto-refrigerant et dispositif de declenchement associe
EP1362537A1 (en) * 2002-05-17 2003-11-19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Self heating or cooling container
ES2306872T3 (es) * 2002-05-17 2008-11-16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Contenedor autocalentador/autorefrigerante.
US6845542B2 (en) * 2002-08-27 2005-01-25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ortable, fully contained and disposable suction device
US20040112367A1 (en) * 2002-12-11 2004-06-17 Mauro Zaninelli Heating or chilling sack container
EP1625334B9 (en) 2003-05-21 2012-07-25 Alexza Pharmaceuticals, Inc. Percussively ignited self-contained heating unit
US20050000508A1 (en) * 2003-07-03 2005-01-06 H. Joshua Schreft Self-contained temperature-change container assemblies
EP1562009A1 (en) * 2004-02-06 2005-08-10 Thermagen S.A. Actuating device for self cooling packaging
US7117684B2 (en) * 2004-03-15 2006-10-10 Ontech Delaware Inc. Container with integral modul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US20060162344A1 (en) * 2004-03-15 2006-07-27 Ontech Delaware Inc. Container with modul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US7025055B2 (en) * 2004-03-15 2006-04-11 Ontech Delaware Inc. Tray for selectably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US20050235653A1 (en) * 2004-04-26 2005-10-27 Avista Technologies, Llp Temperature changng package
CA2565957C (en) * 2004-05-06 2015-03-17 Tempra Technology, Inc. Thermostatic temperature control for self-heating containers
US7131289B2 (en) * 2004-06-29 2006-11-07 The Glad Products Company Container
GB2422659B (en) * 2005-03-12 2007-04-18 Sabbir Ahmed Bham Self-heating or self-cooling containers
WO2007059122A1 (en) * 2005-11-14 2007-05-24 Heat Wave Technologies Llc Self-heating container
NL1033425C2 (nl) * 2007-02-19 2008-08-20 Vincent Stefan David Gielen Inrichting en werkwijze om een individuele hoeveelheid warme drank vers te bereiden.
US8556108B2 (en) * 2007-09-26 2013-10-15 Heat Wave Technologies, Llc Self-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heating a comestible substance
US20090078711A1 (en) * 2007-09-26 2009-03-26 Heat Wave Technologies, Llc Self-heating apparatuses using solid chemical reactants
US8578926B2 (en) * 2009-03-09 2013-11-12 Heat Wave Technologies, Llc Self-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heating a comestible substance
US8360048B2 (en) * 2009-03-09 2013-01-29 Heat Wave Technologies, Llc Self-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heating a comestible substance
US9055841B2 (en) * 2009-04-07 2015-06-16 Heatgenie, Inc. Package heating apparatus
US8721572B1 (en) 2010-06-10 2014-05-13 Eyedetec Medical, Inc. Systems, devices, kits and methods for therapy of the eye
EP3368832B1 (en) * 2015-10-29 2020-08-05 Tempra Technology, Inc. Portable heating for small quantities of consumer product
IL277080B2 (en) 2018-03-02 2023-11-01 Michael Mark Anthony Process and device for salting and dehumidifying for cooling beverages and other food products and manufacturing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1424A (en) * 1969-09-15 1971-02-09 Anthony C Failla Food warming by exothermic reaction
US3685507A (en) * 1970-11-02 1972-08-22 Readi Temp Heat transfer unit
US3889483A (en) * 1973-04-30 1975-06-17 Readi Temp Heat transfer package with shaped frangible ampule
US3970068A (en) * 1973-05-29 1976-07-20 Shotaro Sato Heat exchange package for food
IT1189434B (it) * 1982-12-07 1988-02-04 Grog Srl Dispositivo a perdere per autoriscaldamento od autoraffreddamento di bevande ed alimenti mediante una reazione esotermica o endotermica
US4640264A (en) * 1983-10-20 1987-02-03 Tosinobu Yamaguchi Food and drink warm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682A (ko) 1987-09-21
US4773389A (en) 198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037B1 (ko) 식품 가온 용기
US9879882B2 (en) Instant self-heating containers
JP2927965B2 (ja) 内容物を加熱もしくは冷却するための一体的モジュールを備えた容器
US5259295A (en) Container for the preparation of hot drinks
US4615463A (en) Insulated container for a fluid receptacle
CZ128898A3 (cs) Zásobník s integrálním modulem pro ohřev a chlazení obsahu
KR20020043608A (ko)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US20050029129A1 (en) Self-contained temperature-change container assemblies with multiple barrier penetrators
KR20010102400A (ko)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US4002235A (en) Heat transfer package with a collapsible, pleated, frusto-conical, upper wall section
US4838450A (en) Container designed for fizzy drinks and made of heat-moulded plastic material
KR20020014795A (ko)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EP2911950B1 (en) Temperature changing container
JP2012500756A (ja) 製品を熱調節するための装置
US20060137535A1 (en) Heating of products
KR20000005211A (ko) 자동냉각용기에 사용되는 밸브컵과 바닥이 결합된 조립체b
KR100360676B1 (ko) 컵라면 용기
JPH01274720A (ja) 食品加熱装置
US3339806A (en) Aerosol dispensers
WO1989006107A1 (en) Heating apparatus and heating container using the same
CN105668014A (zh) 食品包装自加热或制冷装置
AU2016228257B2 (en) Instant self-heating containers
AU2015201879B2 (en) Instant self-heating containers
KR200341642Y1 (ko) 컵라면 용기
KR20050044033A (ko) 컵라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