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795A -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 Google Patents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795A
KR20020014795A KR1020017014473A KR20017014473A KR20020014795A KR 20020014795 A KR20020014795 A KR 20020014795A KR 1020017014473 A KR1020017014473 A KR 1020017014473A KR 20017014473 A KR20017014473 A KR 20017014473A KR 20020014795 A KR20020014795 A KR 20020014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heating
closure
cavit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존 시얼리
로버트 네일 리차드슨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써모틱 디벨로프먼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써모틱 디벨로프먼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1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79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5/00Devices using endothermic chemical reactions, e.g. using frigorific mixtures
    • F25D5/02Devices using endothermic chemical reactions, e.g. using frigorific mixture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6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okers (AREA)
  • Packag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자체-가열 콘테이너(10)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내부 캐비티(22)와 가열 메커니즘을 위한 외부 캐비티(20)를 가지며, 가열 메커니즘은 가열이 요구될 시 혼합되도록 배열된 제 1 및 2 화학 반응성 재료를 포함한다. 폐쇄부(30)는 외부 캐비티(20)를 폐쇄한다. 가열 메커니즘은 화학물이 혼합되도록 작동되고, 이에 따라 발열반응이 일어나면, 스팀 또는 뜨거운 공기와 같은 증기가 생성된다. 폐쇄부(30)는 콘테이너의 고리형 숄더(102)와 결합하는 고리형 밀봉 플런저(100)를 지지한다. 밀봉 플런저(100)는 분위기에 대해 외부 캐비티를 밀봉하여 화합물의 반응성을 유지한다. 하지만, 증기가 발생되어 외부 캐비티(20)의 압력이 증가되면, 밀봉 플런저(100)는 숄더(102)로부터 이동하고, 이에 따라 증기는 분위기로 배기된다.

Description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SELF-HEATING OR SELF-COOLING CONTAINERS}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음료 콘테이너에 대한 많은 제안들이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출원공개공보 WO 96/29255호에는, 외부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한 의도된 기저부를 갖추고 있다는 것과, 캔에 수용된 내용물을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수단이 이런 외부 캐비티 내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음료 캔과 동일한 외부 치수 및 형상을 가진 캔이 공지되어 있다.
캔의 내용물에 대한 가열 또는 냉각은, 분리된 경우에는 안정하지만, 혼합된 경우에는 발열반응 또는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두 종류의 화학 반응물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 5,626,022호에는, 필요시 반응물들을 혼합할 수 있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캔용 인서트의 많은 실시예들 중 한 실시예가 설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구조는 파괴될 수 있거나 천공될 수 있는 베리어를 이용하여 두 반응물을 분리하고, 캔을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반응이 필요할 경우, 스파이크 또는 천공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베리어를 파괴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자체-가열 콘테이너는 에너지원으로서 발열반응을 이용하여 콘테이너의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발열반응은 생석회(산화칼슘)와 물을 혼합함으로써 열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런 발열반응은 스팀과 뜨거운 공기를 생성하는데, 이들이 소정의 방식으로 콘테이너로부터 배출되지 않으면 압력 증가에 따른 잠재적인 위험성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산화칼슘은 흡습성을 띠기 때문에, 반응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주위 분위기로부터 격리되어 유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위 분위기로부터 반응물을 밀봉할 필요성과, 반응물로부터의 증기 발생으로 인한 압력의 증가를 배제할 필요성이 서로 상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런 상충되는 문제를 처리하여 해결한다.
본 발명은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콘테이너의 외부 반응 캐비티와, 이런 캐비티용 폐쇄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폐쇄부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폐쇄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 관형 외주벽을 포함하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가 제공되며, 상기 관형 외주벽에는 분리형 제 1 및 2 캐비티가 연장되어 있고, 제 1 캐비티는 콘테이너의 내용물을 수용하고, 제 2 캐비티는 가열 또는 냉각 메커니즘을 하우징하며, 제 1 단부 부재는 제 1 캐비티를 폐쇄하고, 제 2 단부 부재는 제 2 캐비티를 폐쇄하며, 제 2 단부 부재는 제 2 캐비티를 폐쇄하기 위해 외주벽에 고정된 폐쇄부를 포함하며, 폐쇄부는, 주위 분위기에 대해 제 2 캐비티를 밀봉하도록, 하지만 제 2 캐비티 내의 과다한 압력이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열된 밀봉 수단을 유지하거나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에 있어, 가열 또는 냉각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된 증기, 예를 들면 냉각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된 고압가스, 또는 발열반응에 의해 생성된 스팀 및/또는 뜨거운 가스는 밀봉 수단에 의해 제 2 캐비티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밀봉 수단은 주위 분위기로부터 제 2 캐비티를 밀봉하도록 작용하며, 이에 따라 가열 또는 냉각 메커니즘의 반응물이 사용되지 전까지 이들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한다. 사실상, 밀봉 수단은 단방향 밸브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는 임의의 가열 또는 냉각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출원공개공보 WO 96/29255호에는 이에 대한 다양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열 또는 냉각 메커니즘은, 콘테이너의 제 2 캐비티 내에 수용된 제 2 화학 반응물과 제 1 화학 반응물을 포함한다. 화학 반응물들은 콘테이너의 내용물에 대한 가열 또는 냉각이 요구되기 전까지 분리되어 유지된다. 화학 반응물들은 요구되기 전까지 폐쇄부와 밀봉 수단에 의해 분해되는 것이 억제된다.
폐쇄부는 임의의 필요 구조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폐쇄부는 현재 계류중인 국제특허출원 PCT/GB00/00700에 설명된 것과 같은 폐쇄부일 수 있다. 상기 국제특허출원에 설명된 것과 같은 폐쇄부는 가열 또는 냉각 메커니즘의 반응물 중 하나를 위한 콘테이너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폐쇄부는 제 2 캐비티를 위한 간단한 폐쇄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폐쇄부에는 제 2 캐비티를 폐쇄하기 위하여, 외주벽과 결합되도록 적당히 형상화된 외주림이 제공되고, 밀봉 수단은 이런 폐쇄부에 지지되거나 이에 유지된 연속 밀봉 부재이다.
예를 들면, 연속 밀봉 부재는 제 2 캐비티의 개구 주위에 결합된다. 게다가, 연속 밀봉 부재는 외주벽 및/또는 콘테이너의 임의의 다른 적당한 부분에 결합된다.
한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는 폐쇄부와 연결된 고리형 밀봉 플랜지이며, 이는 과다한 압력이 제 2 캐비티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런 폐쇄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밀봉 플랜지는 이에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형 밀봉 플랜지의 형상과 구조는 경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랜지는 힌지 수단에서 폐쇄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랜지는 과다한 압력을 배출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힌지 수단은 밀봉 플랜지의 좁거나 가는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밀봉 플랜지는 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상화되거나 가늘게 형성되어, 과다한 압력의 배출을 위한 가요성과 이동성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는 제 2 캐비티를 밀봉하기 위한 고리형 밀봉 링이며, 이는 제 2 캐비티로부터 과다한 압력이 배출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링은 플라스틱 재료 또는 고무와 같은 찌그러지거나 변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밀봉 링은 분위기에 대해 제 2 캐비티를 밀봉하기 위한 통상의 용적을 가질 수 있지만, 외부 캐비티 내의 과다한 압력에 의해 보다 작은 용적으로 찌그러지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다한 압력이 배출된다.
밀봉 수단이 단방향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 수단이 분위기로부터 제 2 캐비티를 밀봉하지만, 제2 캐비티로부터의 과다한 압력 배출을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양상에서, 2psi를 초과하는 압력을 배출하기 위해, 밀봉 수단이 일반적으로 가요적이거나 변형되고 또는 이동될 필요가 있다.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은 밀봉 수단이 폐쇄부의 외주에 위치하며 연속적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런 밀봉 수단은 다른 부위에 위치되고 및/또는 불연속이거나 단속적일 수 있다. 필요시, 하나 이상의 각 밀봉 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국제출원공개공보 WO 96/29255호에서, 가열 또는 냉각 메커니즘을 지지하는, 콘테이너의 제 2 캐비티는 콘테이너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제 1 캐비티 내에 연장된다. 본 발명은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의 임의의 특정 형상 또는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내용물을 포함하는 제 1 캐비티를 제 2 캐비티가 둘러싸는 콘테이너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 1 및 2 캐비티는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제 1 캐비티의 단부 부재는, 제 2 캐비티의 단부 부재에 대해 외주벽의 마주하는 단면에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필요시 제 1 및 2 단부 부재는 외주벽의 동일한 단면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는, 냉각 또는 가열이 요구되는 임의의 내용물을 포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콘테이너는 음료용으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음식물 또는 약품용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수 설계의 가열 메커니즘을 갖춘 자체-가열 음료 콘테이너에 관하여 이하 설명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자체-가열 및 자체-냉각 콘테이너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며, 콘테이너의 내용물과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콘테이너는 외부 캐비티를 가지며, 가열 또는 냉각 수단은 이에 수용되고, 외부 캐비티는 폐쇄부에 의해 폐쇄된다. 본 발명은 이런 장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메커니즘의 다른 구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콘테이너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외주벽(12)을 갖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의 음료 콘테이너(10)일 수 있으며, 한 쪽 단부는 상단부 부재(14)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국제출원공개공보 WO96/29255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콘테이너의 기저 단부 부재(16)는 만입되어, 외주벽(12) 내로 연장된 기다란 외부 캐비티(20)를 형성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콘테이너의 상부 부재(14)와 기저부재(16), 그리고 외주벽(12)은 함께 내부 캐비티(22)를 형성하며, 이에 음료가 수용된다. 외부 캐비티(20)는 이런 내부 캐비티(22) 내로 연장되지만, 이들은 기저부재(16)의 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콘테이너(10)는 종래의 음료 캔과 같은 동일한 외부 치수와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캔이 기존의 필링 라인(filling line)에서 필링되고 처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캔(10)의 외부 캐비티(20)는 가열 메커니즘을 포함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열 메커니즘은 제 1 반응 재료, 예를 들면 생석회(산화칼슘)일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한다. 생석회가 있는 캐비티(20)는 폐쇄부(30)에 의해 폐쇄된다. 자체-가열 캔에 있어, 이런 폐쇄부(30)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캔(10)의 내용물을 가열하고자 할 경우, 상부 부재(14)로 세워지도록 뒤집으면, 폐쇄부(30)의 기저부가 접근 가능하게 된다. 이하 설명될 기저부의 하부에 있는 버튼(button)을 누르게 되면, 폐쇄부(30) 내의 물 챔버(42)가 개방되어 폐쇄부(30)로부터 물이 반응 캐비티(20)내의 생석회로 흘러들게 되고, 이에 따라 발열반응이 발생한다. 사용자는 캔의 내용물이 만족할 만한 온도로 가열될 때까지 캔을 뒤집힌 상태로 유지한다.
도 2는 PCT/GB00/00700에 설명된 폐쇄부와 매우 유사한 폐쇄부(30)를 도시하고 있다. 폐쇄부(30)는 캐비티(20)를 폐쇄할 뿐만아니라 물을 담기 위한 콘테이너를 형성한다. 폐쇄부(30)는 플라스틱 재료로 주형제작되며, 도면부호 32로 전체적으로 기재된 기저 부재와 도면부호 34로 전체적으로 기재된 리드를 포함한다. 기저 부재(32)는 고리형 외주림(36)을 가진 실질적으로 원형인 기저부이다. 이런 림은 고리형 리세스(38)를 형성하며 폐쇄부(30)가 캔(10)의 기저부에 클립핑되도록 할 수 있다. 외주림(36)의 반경방향 안쪽으로는 입상한 외주벽(40)이 있으며, 이는 물을 포함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챔버(42)를 형성한다. 벽(40)의 자유단부는 리드(34)가 수용되는 챔버(42)의 원형 개구를 형성한다. 기저부재의 중앙부에서는, 기저부재(32)가 입상한 플런저(44; plunger)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런저(44)는 리드(34)의 장착부(46)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된 상단부를 가지고 있다.
플런저(44)는 고리형 홈(48)에 의해 기저부재(32) 내에 형성된 버튼(50)의 기저 중앙에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버튼(50)은 고리형 홈(48)의 반경방향 안쪽에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리드(34)의 장착부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돌출부(46)를 포함하며, 이는 챔버(42)가 물로 채워진 후에 플런저(44)의 상부로 클립핑된다. 리드(34)는 또한 입상한 림(56)을 가지며, 이는 리드(34)가 스냅식으로 고정될 때, 입상한 벽(40)에 의해 형성된 개구에 수용된다. 또한, 리드(34)는 챔버(42)에서 발생된 압력이 림(56)을 챔버(42)의 개구 내면에 대해 타이트하게 접촉되도록 힘을 가하는 방식으로 림(56)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향하는 형상을 이룬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10)에 폐쇄부(30)가 클립핑되면, 폐쇄부는 캐비티(20)에 생석회를 유지하고 챔버(42)에 물을 유지하면서 생석회를 확실하게 분리하도록 작용한다.
캔(10)의 자체-가열이 필요될 경우, 캔을 전술한 바와 같이 뒤집는다. 버튼(50)을 누른다. 버튼(50)의 중앙부가 과도하게 눌리게되면, 버튼은 초기의 볼록한 돔 형상에서 실질적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변화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버튼은 두 형상 모두에서 안정적이다. 버튼(50)의 이런 변화는 챔버(42)의 개구로부터 리드(34)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플런저(44)를 이동시킨다. 일반적으로, 버튼(50)의 눌림은 챔버(42)의 리드(34)를 확실하게 개방할 것이며, 이에 따라 물이 신속하게 캐비티(20)의 생석회로 방출되어, 자체-가열 반응을 시작한다. 하지만, 콘테이너(10)가 뒤집혀 있기 때문에, 리드가 확실히 또는 완전히 개방되었는지의 여부는 중요하지가 않다. 이런 양상에서, 리드가 어느 정도 개방되어 있는 한, 챔버(42)로부터 물의 유동은 시작될 것이고, 이는 리드의 완전한 개방을 보장할 것이다.
설명되고 도시된 자체-가열 콘테이너는 종래의 필링 라인에서 채워질 수 있고, 콘테이너의 내용물은 필요시 살균 또는 저온살균과 같은 처리가 행하여 질 수 있다. 완전하게 채워진 콘테이너를 뒤집고, 생석회의 적절한 양을 채운 다음, 이미 물로 채워진 폐쇄부를 클립핑하는 것은 간단한 일이다. 일반적으로, 콘테이너(10)에 폐쇄부(30)를 간단하게 클립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나사산(screw thread) 또는 다른 장착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유체 콘테이너와 같이 구성된 폐쇄부(30)의 특정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 콘테이너는 입상한 벽(40)과 리드(34)를 제거함으로써 생략될 수 있다. 그 다음, 기저 부재(32)는 외부 캐비티(20)를 폐쇄하기 위하여 캔(10)을 클립핑할 수 있는 폐쇄부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가열 수단이 외부 캐비티(20) 내에 제공된다. 이런 폐쇄부에는, 제공된 가열 수단이 작동되도록 버튼(50) 및/또는 플런저(44)가 제공될 수 있다.
생석회는 강한 흡습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이의 반응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분위기로부터 밀봉될 필요가 있다. 또한,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 스팀 및 뜨거운 공기가 생성된다. 안전을 위하여, 생성된 스팀 및 뜨거운 공기를 외부 캐비티(20) 내에서 과다한 압력이 증가되도록 두기보다는 콘테이너로부터 배출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런 두 필요성은 서로 상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폐쇄부에는 단방향 밀봉부(100)가 제공되며, 이는 분위기로부터 외부 캐비티(20)를 밀봉하고, 동시에 과다한 압력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방향 밀봉부는 폐쇄부(30)와 일체식으로 형성된 고리형 밀봉 플랜지(100)로 제공되며, 입상한 벽(44)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밀봉 플랜지(100)는 폐쇄부(30)가 외부 캐비티(20)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을 때, 밀봉 플랜지(100)가 기저 단부 부재(16)에 형성된 고리형 숄더(102)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형상을 이룬다.
밀봉 플랜지(100)는, 폐쇄부(30)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적당한 가요성을 가지도록 처리된다. 따라서, 분위기 압력의 적용은 숄더(102)에 대해 밀봉 플랜지(100)를 밀므로써, 밀봉부가 유지되고 외부 캐비티(20)내의 생석회가 분위기로부터 밀봉된다. 그러나, 외부 캐비티(20)의 압력이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면, 고리형 숄더(102)와 접하는 곳으로부터 밀봉 플랜지(100)를 구부러지게 하거나 변형시키며, 이에 따라 과다한 압력을 배출하기 위한 경로가 형성된다. 이런 양상에서, 마이크로홈(도시 안됨)이 폐쇄부(30)의 고리형 리세스(38)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공기 및 스팀이 콘테이너의 바깥쪽으로 배출된다. 게다가 및/또는대안적으로, 배출부 또는 리세스(도시 안됨)는 폐쇄부(30)의 외주벽 또는 캐비티(20)의 벽, 또는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스팀의 배출을 위한 임의의 경로는, 외부 캐비티(20)내의 과다한 압력에 의해 밀봉부가 움직일 때까지, 밀봉부(100)에 의해 폐쇄될 것이다.
밀봉 수단은 필요에 따라 구성되고 배열될 수 있다. 밀봉 수단은, 분위기로부터 캐비티를 밀봉함으로써 외부 캐비티의 내용물의 무결성을 보호할 필요가 있지만, 캐비티 내의 압력이 소정의 레벨, 예를 들면 2 psi이상의 압력 레벨을 초과하였을 경우, 가요성을 띠며, 이동되거나 변형될 필요가 있다.
밀봉 플랜지(100)의 가요성은, 밀봉 플랜지의 재료 및/또는 형상에서 비롯된다. 좁거나 목형상의 부분이 밀봉 플랜지(100)의 몸체 내에 결합되어 가요성을 제공하고 및/또는 힌지식 이동을 허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 링(도시 안됨)이 숄더(102)에 접하도록 폐쇄부(30)의 입상한 벽(40)의 외측 둘레에 의해 지지되어, 필요한 밀봉을 제공한다. 밀봉 링은 플라스틱 재료 또는 고무와 같은 찌그러지거나 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캐비티(20) 내의 과다한 압력에 의하여 부피가 감소되고, 이들을 배출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 플랜지(100)는 폐쇄부(30)의 입상한 벽(40)의 외주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밀봉 플랜지는 벽(40)의 둘레 중 일부분에만 연장될 수 있고 및/또는 단속적인 고리형 밀봉부가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및/또는 대안적으로, 필요로 되는 단방향 작용을 하는 밀봉 수단은 폐쇄부(30)의중앙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런 배열은, 폐쇄부(30)의 콘테이너(42)가 생략될 경우 특히 유용하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단방향 배출구는 플런저(44) 및/또는 버튼(50)의 둘레에서 폐쇄부(30)의 기저 부재(32)에 제공될 수 있다.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의 변경 및 개조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Claims (15)

  1.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로서,
    상기 콘테이너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제 1 캐비티와, 가열 또는 냉각 메커니즘을 내장하는 제 2 캐비티가 분리되어 연장되어 있는 관형의 외주벽;
    상기 제 1 캐비티를 폐쇄하는 제 1 단부 부재; 그리고
    상기 제 2 캐비티를 폐쇄하는 제 2 단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부 부재는 상기 외주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캐비티를 폐쇄하는 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는 분위기에 대해 상기 제 2 캐비티를 밀봉하도록 배열된 밀봉 수단을 유지하거나 지지하지만, 상기 제 2 캐비티내 과다한 압력의 배출을 허용하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에는 상기 외주벽상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캐비티를 폐쇄하도록 적절히 형상화된 외주림이 제공되고, 상기 밀봉 수단은 외주림의 안쪽에서 상기 폐쇄부에 지지되거나 이에 의해 유지된 연속 밀봉 부재인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밀봉 부재는 상기 제 2 캐비티의 개구 둘레에서 결합하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밀봉 부재는 상기 외주벽과 결합하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폐쇄부에 연결된 고리형 밀봉 플랜지이며, 상기 제 2 캐비티로부터 과다한 압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밀봉 플랜지는 상기 폐쇄부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7.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 2 캐비티를 폐쇄하도록 지지된 고리형 밀봉 링이며, 상기 제 2 캐비티로부터 과다한 압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한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링은 변형성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료로 제조되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9.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외주이며, 상기 폐쇄부의 외주림은 고리형이고, 고리형 홈은 상기 외주림에 의해 상기 폐쇄부에 형성되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10.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는 상기 가열 또는 냉각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작동 수단을 가지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폐쇄부에 부착되고 이로부터 입상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폐쇄부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폐쇄부에 형성된 버튼에 의해 상기 폐쇄부에 장착되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14.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비티는 상기 제 1 캐비티내로 연장하고, 상기 제 1 캐비티는 상기 외주벽의 한 단부에서 개방되고, 상기 제 2 캐비티는 상기 외주벽의 마주하는 다른 단부에서 개방되는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15.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KR1020017014473A 1999-05-13 2000-05-15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KR200200147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910984.5A GB9910984D0 (en) 1999-05-13 1999-05-13 Atmospheric seal
GB9910984.5 1999-05-13
PCT/GB2000/001865 WO2000069748A1 (en) 1999-05-13 2000-05-15 Self-heating or self-cooling contain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795A true KR20020014795A (ko) 2002-02-25

Family

ID=1085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473A KR20020014795A (ko) 1999-05-13 2000-05-15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502407B1 (ko)
EP (1) EP1177139A1 (ko)
JP (1) JP2002544083A (ko)
KR (1) KR20020014795A (ko)
CN (1) CN1352614A (ko)
AU (1) AU4598000A (ko)
CA (1) CA2373345A1 (ko)
GB (1) GB9910984D0 (ko)
IL (1) IL146166A0 (ko)
PL (1) PL352930A1 (ko)
RU (1) RU2001130463A (ko)
TR (1) TR200103268T2 (ko)
WO (1) WO2000069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2149B2 (en) * 2001-05-02 2005-11-08 Expressasia.Com Snd. Bhd. Insertable thermotic module for self-heating can
US7004161B2 (en) * 2001-05-02 2006-02-28 Expressasia Berhad Insertable thermotic module for self-heating cans
US6640801B2 (en) 2001-08-29 2003-11-04 Tempra Technology, Inc. Heat pack with expansion capability
KR100396150B1 (en) * 2003-01-17 2003-09-02 Yo Sep Ji System for storing and delivering food for sterilizing and reheating
WO2005108524A2 (en) * 2004-05-04 2005-11-17 Candle Corporation Of America Heater product, system and composition
US7722782B2 (en) * 2005-07-12 2010-05-25 Rechargeable Battery Corporation Portable heating apparatus and metal fuel composite for use with same
WO2007059151A2 (en) * 2005-11-14 2007-05-24 Heat Wave Technologies Llc Improved self-heating container
US20100078010A1 (en) * 2007-05-03 2010-04-01 Kolb Kenneth W Insertable Thermotic Module for Self-Heating Can
US8556108B2 (en) 2007-09-26 2013-10-15 Heat Wave Technologies, Llc Self-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heating a comestible substance
US10308416B2 (en) * 2008-08-25 2019-06-04 Techithot Limited Apparatus for thermal conditioning a product
US20110271692A1 (en) * 2008-12-09 2011-11-10 Carlsberg Breweries A/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lf cooling container
US8360048B2 (en) 2009-03-09 2013-01-29 Heat Wave Technologies, Llc Self-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heating a comestible substance
US8578926B2 (en) 2009-03-09 2013-11-12 Heat Wave Technologies, Llc Self-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heating a comestible substance
CN103818649B (zh) * 2014-01-26 2016-04-27 友德塑胶(深圳)有限公司 自体发热或吸热的软管容器
EP3271668B1 (en) * 2015-03-20 2020-07-15 Joseph Company International, Inc. Self-cooling food or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using liquid carbon dioxide and having a dual function valve
CN108045713A (zh) * 2017-12-01 2018-05-18 重庆市嘉利酒业有限公司 易于快速冰镇降温的酒瓶
CN110254965A (zh) * 2019-07-08 2019-09-20 南昌蒸鼎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双密封杯体按压式饮品或流食自加热容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9025A (en) * 1964-09-09 1968-04-23 William R. Donnelly Cooling device
US3970068A (en) 1973-05-29 1976-07-20 Shotaro Sato Heat exchange package for food
US4315578A (en) * 1980-09-17 1982-02-16 The Drackett Company Safety closure cap with vent
US4640264A (en) * 1983-10-20 1987-02-03 Tosinobu Yamaguchi Food and drink warming container
US4802343A (en) 1987-07-01 1989-02-07 The Coca-Cola Company Self-cooling container
US5626022A (en) 1994-05-31 1997-05-06 Insta-Heat, Inc. Container with integral modul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US6134894A (en) 1995-03-23 2000-10-24 Searle; Matthew J. Method of making beverage container with heating or cooling insert
EP1025016A1 (de) * 1997-10-25 2000-08-09 Safety Cap System AG Schraubkappe aus kunststoff zum verschluss einer flasche oder dergleichen
US6128906A (en) * 1999-02-10 2000-10-10 Chill-Can International, Inc. Non-metallic food or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contain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02407B1 (en) 2003-01-07
IL146166A0 (en) 2002-07-25
TR200103268T2 (tr) 2002-05-21
GB9910984D0 (en) 1999-07-14
RU2001130463A (ru) 2003-11-27
EP1177139A1 (en) 2002-02-06
JP2002544083A (ja) 2002-12-24
CN1352614A (zh) 2002-06-05
CA2373345A1 (en) 2000-11-23
WO2000069748A1 (en) 2000-11-23
PL352930A1 (en) 2003-09-22
AU4598000A (en)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4795A (ko)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KR20020043608A (ko)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JP2927965B2 (ja) 内容物を加熱もしくは冷却するための一体的モジュールを備えた容器
AU701170B2 (en) Container with integral modul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US6705309B2 (en) Self-heating or self-cooling containers
US20010039947A1 (en) Fluid containers
WO2002098761A1 (en) Self-heating or self-cooling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