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937Y1 - 연료 송출밸브에서의 등압밸브구조 - Google Patents

연료 송출밸브에서의 등압밸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937Y1
KR910004937Y1 KR2019870023038U KR870023038U KR910004937Y1 KR 910004937 Y1 KR910004937 Y1 KR 910004937Y1 KR 2019870023038 U KR2019870023038 U KR 2019870023038U KR 870023038 U KR870023038 U KR 870023038U KR 910004937 Y1 KR910004937 Y1 KR 910004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le
fuel delivery
fue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8145U (ko
Inventor
도시아끼 아사미
다가유끼 이께다
도오루 모기
도미에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이다가끼 유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이다가끼 유끼오 filed Critical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81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81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9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02M59/462Delivery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71Bi-directional flow valves
    • Y10T137/7772One head and seat carried by head of another
    • Y10T137/7774Supporting valve spring carried by supporting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료 송출밸브에서의 등압밸브구조
제 1 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등압밸브의 제작과 정의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연료분사관 12 : 연료송출밸브
12a : 축주면 12b : 축단면
19 : 밸브케이싱 20 : 요형(凹形)구멍
20a : 구멍주면 20b : 구멍저면
22 : 통공 34 : 가동밸브
본 고안은 제작의 용이화와 시이트성의 향상을 도모하게한 연료송출밸브에서의 등압밸브구조에 관한 것이고, 디이젤 엔진에 장비된 연료분사펌프의 연료송출밸브는, 일반으로 연료송출후에는 밸브를 닫혀서 연료 분사관의 일단을 폐쇄하기 때문에, 분사관내에 봉입된 잔류압력이 압력파로 되어 관내를 내왕하여 이것이 몇번이고 증폭되어 연료분사밸브를 열어버릴때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사관내의 압력을 분사종료후에는 속히 저하시킬필요가 있지만 분사관내의 압력을 소정압 이하로 하였을 경우에는 다음 연료분사상태가 열화(劣化)되기 때문에 상기 관내압력을 소정의 압력범위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근래에는 연료분사후의 분사관내의 잔류압력을 압력저하한 가압실에 보내므로서 분사관내 압력을 상기 가압실과 거의 같은 압력으로 설정한다.
책밸브로된 등압밸브를 연료송출밸브와 일체로 조립할수 있게 하였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0-119366호 공보에는 연료 송출밸브인 밸브 패쇄체와 일체의 관상(管狀)의 안내핀의 상단에 관통개구를 형성한 마개를 압입 또는 코오킹하여 고정하므로서 폐쇄체를 마개의 밸브시이트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복귀스프링에 예비하중(preload)을 설정하도록한 등압밸브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등압밸브에서는 상기와 같이 마개를 압입이나, 코오킹으로 안내핀의 상단에 고정하였기 때문에 상기 선하중을 획일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반면, 마개를 고르게 끼우기가 어렵고, 예를 들면 마개의 위치가 일정치않거나 비스듬히 끼워지거나 하여 예비하중이 일정치 않고 폐쇄체의 시이트(seat)가 불안정하게 되어 시이트성이 저하하고, 그 위에다 연료송출밸브가 안내핀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송출밸브의 제작이 대단히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같은 모양의 끼운상태를 확보하므로서 등압밸브의 시이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그 제작의 용이화를 도모하게한 연료송출밸브에 있어서의 등압밸브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 고안의 연료 송출밸브에 있어서의 등압밸브 구조는 연료분사관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지고, 이 구멍을 개폐하는 가동밸브를 내부에 수용한 밸브케이싱을 연료송출 밸브와 같이 움직일 수 있게한 연료송출밸브에 있어서의 등압밸브구조에서 상기 밸브케이싱을 연료송출밸브와 별개체로 구성하여 이 밸브케이싱의 상단부에 상기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구멍의 내축개구부 주변에 가동밸브와 맞물림이 가능한 시이트면을 설치하는 한편 밸브케이싱의 하단에 연료송출밸브의 축단부를 수용가능하게 구성을 형성하여 이 구멍의 주면과 저면을 상기 축단부의 축주면과 축단면에 각각 맞물려서, 밸브케이싱의 하단을 상기 축단부에 연결하여 제작이 용이하게 도모함과 동시에 가동밸브의 시이트성을 향상할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열형연료분사펌프에 적용한 도면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있어서, (1)은 엔진의 가동수분펌프하우징(도시생략)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도시생략)의 개구단면에 고정된 통상의 밸브하우징으로서 그 내부에는 가압실(2)에 연통되는 요형실(凹形室)(3)이 설치되어, 이 요형실(3)내에 밸브 호울더(4)를 나사맞춤하여 고정하였다.
밸브호울더(4)의 단면에는 연료분사밸브(5)와 접촉하고 연료분사관(6)에 연통하는 연료통로구멍(7)이 개구되어, 그 내부에는 상기 구멍(7)과 연동하는 직경의 크기가 다른 호울더실(8)과 유실(9)이 설치되어 있다.
이중 호울더실(8)내에는 상기 요형실(3)의 저부에 밸브 시이트(10)가 수용되어, 이 밸브시이트(10)에 형성한 연료송출구멍(11)내에 연료송출밸브(12)의 송유안내부(13)가 상하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연료 송출밸브(12)의 상단면에는 요형구멍(14)이 개구되어 이 구멍(14)의 저부의 가압실(2)에 연통한 유도구멍(15)이 개구되어 있다. 또 연료송출밸브(12)의 중간부에는 플랜지형의 환상편(16)이 설치되어, 이 환상편(16)의 하부주면에 연료송출구멍(11)의 개구면에 형성한 시일면(17)과 맞물림이 가능한 시이트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상편(16)의 바로위에 주면에는 상향된 테이퍼면을 한 경사부(18)가 설치되어, 이 경사부(18)에 밸브케이싱(19)의 하단부가 코오킹되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밸브케이싱(19)은 턱이 있는 통체(筒體)로 되고, 직경이 큰 하단면에는 연료송출밸브(12)의 상단부, 즉 이 밸브(12)의 경사부(18)이상의 축단부와 끼워맞추기가 가능한 구멍(20)이 개구되어 있다.
이들 연료송출밸브(12)의 축단부를 구성하는 축주면(12a)과 축단면(12b)그리고 이들과 맞물리는 구멍주면(20a)과 구멍저면(20b)은 그들의 수평도 내지는 수직도가 정밀하게 가공되어 평활한 면으로 마무리되고, 상기 연결로인한 밸브케이싱(19)의 연료송출밸브(12)에 대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밸브케이싱(19)의 내부에는 상기 구멍(20)에 연통한 밸브실(21)이 설치되어, 그리고 밸브케이싱(19)의 상단면에는 밸브실(21)에 연통한 통공(22)이 개구되어 있어, 그 내측 개구부 주변에 테이퍼상의 시이트면(23)이 형성되어 보울밸브등의 가동밸브(24)를 시이트 가능케하고 있다.
상기 가동밸브(24)는 스프링받침(25)의 상단면에 형성한 요면상의 밸브받침(26)에 수용되어, 이 스프링받침(25)의 하면과 상기 요형구멍(14)의 저부 사이에는 스프링(27)이 탄설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받침(25)을 상방으로 힘을 주어 가동밸브(24)를 시이트면(23)에 밀어 부치므로서 그 밸브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의 도면중(28)은 유실(9)내에 수용된 스프링받침으로 중앙에 천공한 구멍(29)을 마련하였으며, 이 스프링받침(28)의 하면과 밸브케이싱(19)의 환상턱 사이에는 스프링(30)이 탄설되어, 상기 스프링받침(28)을 유실(9)의 상단면과 밀어부치고 밸브케이싱(19)과 일체의 연료송출밸브(12)를 하방으로 힘을 주도록 하고 시이트부(16a)를 시일면(17)에 밀어부침으로서 상기 송출밸브(12)의 밸브가 닫힘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등압밸브구조는 연료송출밸브(12)와 밸브 케이싱(19)이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종래와 같은 구조의 것에 비하여, 상기 송출밸브(12)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이와같은 송출밸브(12)에 밸브케이싱(19)을 부착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 3 도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연료송출밸브(12)의 구멍(14)내에 스프링(27)을 수용하고, 이 스프링(27)의 상단에 가동밸브(24)를 수용한 스프링 받침(25)을 올려놓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요형구멍(20)을 가동밸브(24)측으로 향하여 밸브케이싱(19)을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켜 밸브실(21)내에 가동밸브(24)와 스프링받침(25)및 스프링(27)을 수용함과 동시에 구멍(20)을 연료송출밸브(12)의 축단부에 끼워맞춘다.
이렇게하여, 구멍(20)의 저면(20b)이 연료송출밸브(12)의 축단면(12b)에 맞닿은 곳에서 밸브케이싱(19)의 맞물림 작동을 정지시키고, 한편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밸브케이싱(19)의 하단부를 적당한 수단으로 코오킹하여, 내측으로 절곡된 하단턱을 경사부(18)에 끼워맞추므로서 양자를 연결한다.
이렇게하여서 연료송출밸브(12)의 축단부에 코오킹 연결된 밸브케이싱(19)은 구멍주변(20a)이 축주면(12a)과 맞물림과 동시에, 구멍저편(20b)이 축단면(12b)에 맞물림으로서 연료송출밸브(12)에 대한 중심조정이 빨라 넘어지는것의 방지가 강화된다.
그래서, 시이트면(23)은 연료송출밸브(12)의 연장축상에 위치하도록 되었으며, 한편 그 편심이 지지되기 때문에, 가동 밸브(24)의 힘을 가하는 방향과 이 밸브(24)의 시이트방향의 잘합쳐서 시이트가 안정됨과 동시에, 시이트면(23)으로 밀어 붙히는 힘이 강화되어 가동밸브의 시일성(seal 性)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위에 밸브케이싱(19)의 구멍저면(20b)을 축단면(12b)에 맞물려, 연료송출밸브(12)에 대한 연결위치, 다시말하면 시이트면(23)의 높이를 정위치에 규제하는것같이 하고 있어, 가동밸브(24)에 힘을주는 스프링(27)의 예비하중을 같은 모양으로 설정할 수 있어 그 흐터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일체로 조립한 등압밸브조립체를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호울더(4)와 밸브시이트(10)내에 맞추어 넣으면, 보통시에는 연료송출밸브(12)의 시이트부(16a)가 스프링(30)에 의하여 연료송출구멍(11)의 시일면(17)에 밀어붙혀져서, 송출밸브(12)의 닫힌상태가 유지되고, 또 밸브케이싱(19)내에는 가동밸브(24)가 스프링(27)에 의하여 시이트면(23)에 밀어 붙혀져서, 그 닫힌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황 아래에서 연료분사펌프가 구동하여 도시를 생략한 플랜지가 상승하여서 가압실(2)내에 수용한 연료를 고압으로 가압하여서 그 압력이 스프링(30)의 탄력과 분사관(6)내 압력의 합력이상에 달하면 연료송출밸브(12)가 이들에 버티어 밸브케이싱(19)과 일체로 밀어올려져서, 시이트부(16a)가 시이트면(17)으로 부터 이탈하므로서 밸브가 열린다.
이 때문에, 상기 고압연료가 가압실(2)에서 연료송출구멍(11)을 거쳐 유실(9)로 압출되어 연료통로구멍(7)에서 분사관(6)으로 송출되어 연료분사밸브(5)로 압손된다.
상기 플랜저가 다시 상승하여 절단구멍(도시생략)이 가압실(2)과 도통하여 이 가압실(2)의 압력이 저하하면, 연료송출밸브(12)가 스프링(30)과 분사관(6)내의 압력에 의하여 되돌려져서, 시이트부(16a)가 시일면(17)에 밀어붙혀져서 연료의 압송을 정지한다.
따라서 이후 연료분사밸브(5)에서의 연료분사도 종료한다.
이러한 연료분사종료시에는 연료송출밸브(12)가 열리므로서 연료분사관(6)의 일단이 폐쇄상태가 되고 그 타단도 분사밸브(5)가 닫히므로서 폐쇄되어 이들 사이에 밀봉하여 갇힌 고압연료의 압력파가 연료분사관(6)내를 왕래한다.
상기 압력파는 연료분사관(6)내에서 전파(佺播)와 반사를 반복하는 동안에 차차 증폭되어 그 압력을 한쪽에서 연료분사밸브(5)에다 작용하여, 다른쪽에서 밸브홀더(4)내의 가동밸브(24)에 작용한다.
즉, 상기 압력파는 연료분사관(6)에서 연료통로구멍(7)을 거쳐 유실(9)내에 진입하여서 이 유실(9)에 연통한 통공(22)에서의 압력작용으로 가동밸브(24)를 밀어내리려고 한다.
그리고, 그 압력이 가동밸브(24)의 열린 압력을 규정하는 스프링(27)의 탄력이상으로 도달하며는 가동밸브(24)가 스프링(27)에 버리면서 밀어내려져서 밸브가 열린다.
따라서, 상기 압력파는 밸브실(21)내에 진입하여 이 밸브실(21)에서 유도구멍(15)으로 인도되어 정상적인 압력하에서 가압실(2)내에 흡수되기 때문에, 연료분사관(6)내의 압력이 연료분사밸브(5)의 밸브가 열었을때의 압력이하로 억제되어, 분사관(6)내의 잔류압력에 의하여 연료분사밸브(5)가 재 분사하는 일은 없다.
이렇게하여 연료분사관(6)내의 압력이 가압실(2)의 압력에 점점 접근하면, 가동밸브(24)는 상기관내 압력을 버티면서 스프링(27)에 의하여 밀어올려져서, 시이트면(23)에 밀어붙혀 지므로서 밸브가 닫힌다. 그리하여 이러한 가동밸브(24)의 일련의 개폐작동에 즈음하여서는 스프링(27)의 예비하중이 전술한 바와같이 같은 모양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의 일정치 않음이 방지되어 균일한 관내압력강하작용을 얻을수가 있다.
본 고안의 연료송출밸브에 있어서 등압밸브구조는 이상과 같이 연료분사관에 연통한 통공을 가지고, 이 통공을 개폐하는 가동밸브를 내부에 수용한 밸브케이싱을 연료송출밸브와 같이 가동케한 연료송출밸브에 있어서, 등압밸브구조에 있어서 상기 밸브케이싱을 연료송출밸브와 별개로 형성하여, 이 밸브케이싱의 상단부에 상기 통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통공의 내측개구부 주변에 가동밸브와 맞물림이 가능한 시이트면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밸브케이싱과 연료송출밸브가 일체로 형성한 구조와 비교하여 상기 송출밸브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에서는 밸브케이싱의 하단에 연료송출밸브의 축단부를 수용가능한 요형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의 주면과 저면을 사기 축단부의 축주면과 축단면에 각각 맞물려서, 밸브케이싱의 하단을 상기 축단부에 연결하였기 때문에 연료송출밸브에 대한 밸브케이싱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고, 상기 가동밸브와 착좌면과의 정합성(整合性)을 높이므로서 가동밸브의 사이트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료분사관(6)에 연통하는 통공(22)을 가지며, 이 통공(22)을 개폐하는 가동밸브(24)를 내부에 수용한 밸브케이싱(19)을 연료송출밸브(12)와 같이 가동 가능케한 연료송출밸브에서의 등압밸브구조에 있어서, 상기 밸브케이싱(19)을 연료송출밸브(12)와 별개로 형성하여, 이 밸브케이싱(19)의 상단부에 통공(22)을 형성함과 동시에, 통공(22)의 내측개구부 주변에 가동밸브(24)와 맞물림이 가능한 시이트면(23)을 설치하는 한편 밸브케이싱(19)의 하단에 연료송출밸브(12)의 축단부가 수용가능한 요형구멍(20)을 형성하고, 이 요형 구멍(20)의 주면과 저면을 상기 축단부의 축주면(12a)과 축단면(12b)에 각각 맞물려서, 밸브케이싱(19)의 하단을 상기 축단부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송출밸브에서의 등압밸브구조.
KR2019870023038U 1987-03-27 1987-12-24 연료 송출밸브에서의 등압밸브구조 KR91000493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426887U JPS63151972U (ko) 1987-03-27 1987-03-27
JP44268 1987-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145U KR880018145U (ko) 1988-10-28
KR910004937Y1 true KR910004937Y1 (ko) 1991-07-10

Family

ID=1268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038U KR910004937Y1 (ko) 1987-03-27 1987-12-24 연료 송출밸브에서의 등압밸브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34134A (ko)
JP (1) JPS63151972U (ko)
KR (1) KR910004937Y1 (ko)
DE (1) DE3807572A1 (ko)
GB (1) GB22025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4518A1 (de) * 1989-02-15 1990-08-23 Bosch Gmbh Robert Gleichdruckentlastungsventil fuer kraftstoffeinspritzanlagen
DE3937918A1 (de) * 1989-11-15 1991-05-16 Man Nutzfahrzeuge Ag Einspritzvorrichtung fuer selbstzuendende brennkraftmaschine
DE4209955A1 (de) * 1992-03-27 1993-09-30 Bosch Gmbh Robert Druckventil
US5927520A (en) * 1995-10-06 1999-07-27 Kidde Industries, Inc. Electro-hydraulic operating system for extensible boom crane
DE19706591A1 (de) * 1997-02-20 1998-08-27 Bosch Gmbh Robert Druckventil
US6622751B1 (en) * 1998-02-09 2003-09-2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Pressure valve for a reciprocating pump
KR20040011142A (ko) * 2002-07-29 2004-02-05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장치의 댐핑밸브
JP3938563B2 (ja) * 2002-11-08 2007-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弁
JP2006105038A (ja) * 2004-10-06 2006-04-20 Hitachi Ltd 内燃機関の潤滑油供給装置
US7628140B2 (en) * 2007-09-27 2009-12-08 Caterpillar Inc. High-pressure pump or injector plug or guide with decoupled sealing land
JP4595996B2 (ja) * 2007-11-16 2010-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高圧燃料供給装置
US8132558B2 (en) * 2009-12-01 2012-03-13 Stanadyne Corporation Common rail fuel pump with combined discharge and overpressure relief valves
DE102012208110A1 (de) * 2012-05-15 2013-11-21 Veritas Ag Druckhalteventilanordnung für eine Kraftstoffleitung
CN103174572B (zh) * 2013-04-12 2015-04-15 南岳电控(衡阳)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可以控制压力和流量的安全溢流阀装置
DE102014208891B3 (de) * 2014-05-12 2015-09-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ruckbegrenzungsventil und Bauteil für ein Kraftstoffeinspritzsyste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uckbegrenzungsventils
US11015558B2 (en) 2019-02-15 2021-05-25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Combination outlet valve and pressure relief valve and fuel pump using the same
JP6886483B2 (ja) * 2019-03-15 2021-06-16 住友理工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352994B1 (en) 2021-01-12 2022-06-07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Fuel pump and combination outlet and pressure relief valv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141A (en) * 1932-11-21 1935-06-25 Blue Ribbon Products Company I Steam pop-off valve
GB430663A (en) * 1933-12-22 1935-06-24 Simms Motor Unit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liquid fuel injection pumps
IT1150318B (it) * 1981-03-21 1986-12-10 Bosch Gmbh Robert Pompa di iniezione del carburante per motori endotermici
DE3221405A1 (de) * 1981-09-04 1983-03-2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einspritzpumpe fuer brennkraftmaschinen
DE3422017A1 (de) * 1983-11-17 1985-05-3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ruckventil fuer kraftstoffeinspritzpumpen
DE3417210A1 (de) * 1984-05-10 1985-11-1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ruckventil
GB2175052B (en) * 1985-05-14 1988-10-05 Diesel Kiki Co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145U (ko) 1988-10-28
DE3807572A1 (de) 1988-10-13
GB2202595B (en) 1991-03-27
GB2202595A (en) 1988-09-28
US4834134A (en) 1989-05-30
DE3807572C2 (ko) 1993-07-29
GB8803052D0 (en) 1988-03-09
JPS63151972U (ko) 198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937Y1 (ko) 연료 송출밸브에서의 등압밸브구조
US6622752B2 (en) Pressure relief valve
US7775924B2 (en) Hydraulic tensioning device for a traction mechanism drive
RU24260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прыскивания топлива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S62107265A (ja) 電歪式油圧制御弁
JPS60119366A (ja) 燃料噴射ポンプ用の圧力弁
US6109540A (en) Outwardly opening nozzle valve for a fuel injector
US4591100A (en) Injection nozzle
JP2002005319A (ja) 圧力リリーフ弁
US4635593A (en) Hydraulic valve lifter
KR930003086B1 (ko) 유닛 인젝터
US6269795B1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920005733B1 (ko) 다단분사 노즐
JPH0245449Y2 (ko)
JPH06241140A (ja) 吐出弁
KR100300508B1 (ko) 압력밸브
KR910000194Y1 (ko) 연료분사밸브
US4941613A (en) Fuel injection nozzle
US5067880A (en) Fuel injection device
US5135367A (en) Fuel injector
JP2636515B2 (ja) 燃料噴射ポンプの圧力弁
JPS56110556A (en) Discharge valve for fuel injection pump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948159A (en)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28388A (ja) 燃料噴射ノズル
JPH05223028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ポンプの吐出ポンプのための手操作可能な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