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499Y1 - 분쇄기 - Google Patents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499Y1
KR910004499Y1 KR2019890010234U KR890010234U KR910004499Y1 KR 910004499 Y1 KR910004499 Y1 KR 910004499Y1 KR 2019890010234 U KR2019890010234 U KR 2019890010234U KR 890010234 U KR890010234 U KR 890010234U KR 910004499 Y1 KR910004499 Y1 KR 910004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powder
wall
curved blad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324U (ko
Inventor
조해준
Original Assignee
조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해준 filed Critical 조해준
Priority to KR2019890010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499Y1/ko
Publication of KR910002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3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4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쇄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단, 절결한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 제 1 도의 A-A선 단면구성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요부 종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체 2 : 모우터
3 : 축 4 : 홉퍼
5 : 유출관 6 : 나선돌기
6' : 예각부 7,7',7" : 차단막
8,8',8" : 곡면익편 9 : 이송보조회전체
본 고안은 분말을 요하는 식품의 기초재료나 약재 및 목재등을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균일될 미세한 분말을 얻고자 하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주로 건식분말을 얻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특히, 스크류와 송풍에 의한 복합적인 이송수단을 갖는 다수의 곡면익편을 동일축상에 둘 내지 그 이상으로 직배열하고 외통체의 내벽은 일종의 헬리컬커트, 즉 예각부를 갖는 무수한 나선돌기를 형성하므로서 투입되는 기초재료가 상기 익편의 회전에 의하여 분쇄됨과 동시에 비산되면서 외통체의 내벽에 형성된 나선돌기의 예각부에 마찰되어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축상의 둘 또는 그 이상으로 구획 설치된 상기 곡면익편사이에 외통체의 내벽과 순차 근접되게 그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차단막을 형성하여 분쇄된 분말의 입자가 차단막의 가장자리와 외통체 내벽사이를 통과할수 있는 소망수준으로 분쇄되어 비로서 다음 분쇄공정에 이르게 하므로서 최종 이송된 입자가 균일되고 극히 미세한 분말을 얻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분말을 요하는 기초재료를 분쇄하기 위하여 기어맞물림식, 압압타격식 및 회전 칼날을 기본구성으로하는 개량된 분쇄기가 다수로 안출되고 있으며, 이송과 동시에 분쇄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통상 스크류식 이송 및 분쇄효과를 갖는 구조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기계식 강제압압분쇄, 내지는 이송수단으로서 기기에 무리를 가하지 않기 위하여 스크류의 고속회전을 기대할수 없으며, 이에 따른 작업능률의 저하 내지는 이송이 극히 지연되는 불합리한 점과, 특히, 분쇄후 기초재료가 자체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수분에 의하여 입자가 응고되므로서 소망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결점이 있고 분말상태가 고르지 못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전술한 효과 외에도 송풍에 의한 분말의 건조기능도 겸하므로서 입자의 응고가 전혀 없이 효과적으로 분쇄 및 이송수단을 갖게 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홉퍼(4) 및 유출관(5)이 형성된 외통체(1)내에 모우터(2)에 축설된 축(3)을 횡설한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1) 내벽은 예각부(6')를 갖는 무수한 나선돌기(6)를 형성하며 축(3)상에는 차단벽(7), (7'), (7")으로 구획된 다수의 곡면익편(8), (8'), (8") 및 이송보조회전체(9)를 순차 형성하되 각 차단막(7), (7'), (7")의 직경은 분말이송 진행방향쪽으로 점차 확대하여 그 외주면이 외통체(1)의 내벽과 점차 근접되게 형성하게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모우터(2)의 작동에 의하여 축(3)에 순차 형성된 각 곡면익편(8), (8'), (8"), 차단막(7), (7'), (7") 및 이송보조회전체(9)는 동시에 회동되며, 이때의 곡면익편(8), (8'), (8")은 스크류의 기능을 갖게되나 통상적인 스크류와는 달리 날개가 사방면의 유선형으로된 곡면익편으로 형성되어 송풍의 기능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홉퍼(4)로부터 투입된 기초재료는 최초 곡면익편(8)의 회전에 의하여 분쇄되고 동시에 외통체(1) 내벽에 부딪치면서 나선돌기(6)의 예각부(6')에 의하여 분쇄를 가속하게 된다.
또한, 분쇄된 입자는 스크류 역할과 동시에 송풍을 발생하는 경사익편(8)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송되려하나 그 전방의 차단막(7')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입자의 크기가 차단막(7')외주면과 외통체(1)내벽사이를 통과할수 있도록 미세하게 분쇄된 다음에 비로서 다음 곡면익편(8')의 공정으로 진입하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 곡면익편(8')으로 이송된 분말입자는 글 전방의 차단막(7")이 후방차단막(7')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그 외주면과 외통체(1)의 내벽사이가 후방의 것보다 좁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 곡면익편(8")의 공정으로 진입이 제어됨과 동시에 전술한 바와같은 작용으로 곡면익편(8')의 회전과 외통체(1) 내벽의 나선돌기(6)에 형성된 예각부(6')와의 마찰로 재 분쇄공정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재분쇄공정을 거쳐 일층 미세화된 분말은 그 중앙차단막(7')의 외주면과 외통체(1) 내벽사이를 통과하여 마지막 곡면익편(8")에 의하여 3차 분쇄공정을 하게 되는바, 이때에도 이송된 입자는 후방의 차단막(7)(7')보다 그 직경을 더 크게한 최종차단막(7")에 의하여 이송이 제어되면서 분쇄되어 최종차단막(7")의 외주면과 외통체(1) 내벽사이의 아주 미세한 공간을 통과할수있을 정도로 극히 미세한 분말로 분쇄된후에 비로서 최종차단막(7")을 통과하게 되며, 일측 이송보조회전체(9)의 회전으로 급속히 하향, 유출되는 분말은 극히 미세하고 균일된 분말을 얻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차단막(7),(7'),(7'')은 각 직경을 달리하되, 분말의 이송진행방향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을 크게하여 외통체(1)의 내벽사이를 점차 근접되게 하므로서 굵은 입자가 소망의 미세입자로 분쇄되기전에는 그 이송을 제어하도록 하며, 동시에 균일한 미세분말을 얻게되는 효과가 있으며 각 곡면익편(8),(8'),(8'') 및 차단막(7),(7'),(7'')은 용도에 따라 그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외통체(1) 내벽을 나사식의 나선돌기(6)형태를 갖게한 것은 각 곡면익편(8),(8'),(8'')의 회전에 의한 입자의 비산시 나선돌기(6)의 예각부(6')와 반복 마찰계수를 확대하는 효과로 분쇄시간의 지연을 방지하게되며, 각 곡면익편(8),(8'),(8'')은 회동시 다른구조와 유기적으로 맞물리는 상태가 아니므로 고속회전이 가능하며, 따라서 이와 같이 고속회전하더라도 기기에 전혀 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기초재료를 분쇄와 함께 이송함에 있어서도 각 곡면익편(8),(8'),(8'')의 스크류역할로 이송이 되나 특히, 특수하게 형성된 유선형의 곡면익편(8),(8'),(8'')에서 발생되는 송풍에 의하여 이송의 가속화와 함께 분쇄된 분말을 건조시키게 되므로 입자와 입자가 응고되는 폐단이 없어 미세하고 균일된 양질의 분말을 얻을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홉퍼(4) 및 유출관(5)이 형성된 외통체(1)내에 모우터(2)에 축설된 축(3)을 횡설한 통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1) 내벽은 예각부(6')를 갖는 무수한 나선돌기(6) 를 형성하며, 축(3)상에는 차단벽(7),(7'),(7'')으로 구획된 곡면익편(8),(8'),(8'')및 이송보조회전체(9)를 순차 형성하되 각 차단벽(7),(7'),(7'')의 직경은 분말이송 진행방향쪽으로 점차 확대하여 그 외주면이 외통체(1)의 내벽과 점차 근접되게 형성하여됨을 특징으로하는 분쇄기.
KR2019890010234U 1989-07-13 1989-07-13 분쇄기 KR910004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234U KR910004499Y1 (ko) 1989-07-13 1989-07-13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234U KR910004499Y1 (ko) 1989-07-13 1989-07-13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324U KR910002324U (ko) 1991-02-25
KR910004499Y1 true KR910004499Y1 (ko) 1991-06-29

Family

ID=1928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234U KR910004499Y1 (ko) 1989-07-13 1989-07-13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4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212Y1 (ko) * 2002-07-24 2002-11-18 김금규 폐각분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324U (ko) 199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277A (en) Pulverizer
CA27756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inuting ore
KR910004499Y1 (ko) 분쇄기
JP3581736B2 (ja) セルロース系破砕物の解砕・乾燥方法及び装置
US4347986A (en) Self-attritioning pulverizer
JPS61114755A (ja) 圧縮加熱微砕機
CZ70493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isintegrating pieces of rubber
JPH025876Y2 (ko)
US3173618A (en) Classifying mill
KR100469759B1 (ko) 분쇄기
KR920000131Y1 (ko) 분쇄기
JPH0350987Y2 (ko)
US3498548A (en) Fluff mill
US2524884A (en) Shear grinding mill with centrifugally positioned pestles
KR940021120A (ko) 로우터리(rotary) 분쇄기
JPS586655Y2 (ja) 木材粉砕装置
KR100202334B1 (ko) 왕겨분쇄장치
RU2002114333A (ru) Вальцовая мельница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в частности, зерна
KR200179868Y1 (ko) 식품분쇄기
GB2158338A (en) A device for discriminative breaking of made tea leaving out stalks intact
JPS5855959Y2 (ja) 発泡スチロ−ルの粉砕装置
KR910007007Y1 (ko) 가축사료용 곡물분쇄 혼합기
JPH022431Y2 (ko)
JPS5913896B2 (ja) 製粉機の回転摺潰盤圧力調整機構
KR200303094Y1 (ko) 곡물용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