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540B1 - 내 진동 다리장치 - Google Patents

내 진동 다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540B1
KR910003540B1 KR1019880017468A KR880017468A KR910003540B1 KR 910003540 B1 KR910003540 B1 KR 910003540B1 KR 1019880017468 A KR1019880017468 A KR 1019880017468A KR 880017468 A KR880017468 A KR 880017468A KR 910003540 B1 KR910003540 B1 KR 91000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electric
vibration
main body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536A (ko
Inventor
류우세이 구라세고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holes or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 진동 다리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내 진동 다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저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 3 도는 제2실시예의 저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에서 무거운 하중이 걸렸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제 6 도는 제3실시예의 수직단면도.
제 7 도는 제3실시예의 저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에서 무거운 하중이 걸렸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을 세탁기에 사용한 상태의 정면도.
제 10 도는 세탁기의 평면도.
제 11 도 내지 제 13 도는 종래의 다리장치의 수직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고정다리 3 : 오목한 부분
4 : 탄성다리 4a : 돌부
4b : 프랜지부 9, 11 : 오목한 부
10 : 볼록한 부 12 : 세탁기 본체
본 발명은 특히 세탁기와 같은 전기기기 본체를 지지하기 위해 그 전기기기 본체에 부착된 고정다리와 그 고정다리에 부착된 탄성부재로 된 탄성다리로 구성된 내 진동(耐振動) 다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기기 본체의 하면에 부착하여 전기기기 본체의 진동과 소음을 탄성다리의 프랜지부와 접하는 마루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의 내 진동 다리장치에 대해서는 일본국 미심사특허출원NO.140866/197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다리장치로서 도면 제 11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전기기기로서 세탁기와 같은 전기기기 본체(51)의 바닥에 부착된 고정다리(52)와 이 고정다리(52)에 장착된 탄성다리(5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다리장치는 고정다리(52), 탄성다리(53)의 계합면중 전기의 고정다리(52)에 볼록한 부(54)와 오목한 부(5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볼록한 부(54)와 오목한 부(55)는 항상 접촉하는 부분과 무거운 하중시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형성된 것이다.
즉, 세탁기의 탈수시와 같은 가벼운 하중인 경우, 고정다리(52)의 볼록한 부(54)의 외부지름(d)와 탄성다리(53)의 마루접촉부의 외부지름(D)와의 사이 부분의 막진동에 의하여 기기본체(51)의 진동이나 소음의 마루에의 전달을 방지한다.
또, 세탁기의 세탁할 때와 같이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는 탄성다리(53)이 점선(도면 11참조)과 같이 휘어져서 고정다리(52)의 오목한 부(55)에 접촉하여 강도가 유지된다.
전기의 종래에 예에 있어서는 무거운 하중 때 탄성다리(53)의 좌굴을 방지하는 데에는 탄성다리(53)의 경도를 높일 필요가 있는 바, 한편으로는 충분한 진동방지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탄성다리(53)을 가능한한 연질로 할 필요가 있으며, 이 두가지 요구조건을 조정하는 것이 극히 어려운 것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거운 하중 때 탄성다리가 찌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다리의 하면에 플랜지부를 배치한 진동방지다리장치가 제안되었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1973년 제36786호의 도면 제 12 도와 제 13도 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 다리장치는 드럼형 세탁기의 외부프레임(61)의 바닥에 금속다리(62)와 그 바닥모서리에 프랜지(63a)를 가지며, 금속다리(62)를 지지하는 고무다리(63)와 그리고, 전기 고무다리(63)과 금속다리(62)는 관통축(64)로 결합되어 있고, 금속다리(62)의 높이는 록나트(lock nut)(65)를 조작하므로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다리장치를 보면 제 12 도(마루바닥이 비교적 단단한 때)와 도면 제 13 도(마루바닥이 비교적 유연한 때)에서 보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그 어느 경우나 고무다리(63)의 프랜지부(63a)의 하면을 마루면에 접촉되어 있고, 프랜지부와 마루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고무다리(63)의 진동흡수능력은 저하되어 특히 가벼운 하중일 때 예를 들면, 높은 속도로 탈수통을 세탁회전하는 것과 같은 탈수시에도 외부프레임(61)을 진동으로부터 방지하기는 대단히 어려운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적게 하기 위하여 전기기기 본체에 설치된 고정다리와 그 고정다리에 부착된 반발탄성계수가 20% 또는, 그 이하의 탄성부재로 된 탄성다리를 구비하고, 전기의 탄성다리가 전기의 고정다리의 하면에 설치된 하향인 오목한 부분안에 그 오목한 부분의 하면에서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돌부와 그 돌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무거운 하중에 의하여 전기의 돌부가 수축된 때에 전기의 오목한 부분의 하면을 지지하는 프랜지부를 갖고, 또, 탄성다리가 고정다리의 하면을 지지하는 프랜지부와 그 프랜지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무거운 하중에 의하여 찌그러지는 오목한 부, 또는 볼록한 부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탄성다리가 전기기기 본체를 전기 고정다리의 하면에 설치된 하향인 오목한 부를 갖고, 전기 고정다리의 오목한 부의 하면에 접촉되고 하면에 오목한 부와 볼록한 부를 갖고 마루표면으로 하향으로 완전히 뻗는 프랜지부를 갖는 전기 고정다리를 거쳐 마루표면에 대하여 전기 전기기기 본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세탁기에서 탈수시 가벼운 하중 약 40kg과 900rpm의 높은 세탁회전으로 탈수조가 회전할 때 본 내 진동 다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고정다리는 탄성다리를 누르는 운동만 되풀이 하고, 탄성다리는 상기한 오목한 부와 볼록한 부가 탄성다리의 마루와의 접촉면적을 프랜지부가 있을 대와 볼록한 부와 오목한 부가 없을 때에 비해 줄일 수 있고, 전기한 탄성다리는 직접 마루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하여, 탄성다리는 전기 탄성다리의 하면이 평평한 것에 비해 탄성상수를 줄일 수 있고, 탈수 동작시 세탁기 본체의 진동이 마루면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더구나, 이 탄성다리는 반발탄성계수가 20% 또는, 그 이하의 재료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고정다리로 상기 탄성다리를 반복 압축하면 탄성다리의 돌부가 팽창하고 수축하여 좋은 쿠션효과를 나타내어 탄성다리는 진동흡수능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예를들면,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동작을 하는 것과 같은 무거운 하중이 걸렸을 때 본 발명의 내 진동 다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고정다리의 원주표면의 열린 부분이 반복적으로 탄성다리를 압축하면, 탄성다리의 프랜지부의 하면에 있는 볼록한 부 또는, 오목한 부가 찌부러지고, 탄성다리의 하면과 마루표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또한 탄성다리는 무거운 하중에 의한 강도가 유지된다.
또한, 만일 탄성다리의 돌부가 무거운 하중으로 세로방향으로 압축되면, 고정다리의 원주표면의 열린 부분이 탄성다리의 프랜지부의 위표면에서 받을 수 있고, 그리하여 고정다리는 마루표면과의 직접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세탁기 본체의 진동은 가벼운 하중일 때 보다도 무거운 하중일 때 보다더 적기 때문에 그러한 진동은 탄성다리의 돌부를 압축하므로서 충분히 흡수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내 진동 다리장치는 일반적으로, 그리고 되도록이면, 복수의 내 진동 다리장치와 전기기기 본체 하부의 하면에 높이 조절용 다리장치와 조합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전기기기 본체는 세탁기 본체, 접시 닦는 기계 본체등이다.
본 발명의 내 진동 다리장치의 구조적 특성은 전기기기 본체의 하면에 부착된 고정다리에 탄성다리가 부착될 열린면이 하향인 오목한 부를 갖는 것이다.
탄성다리를 고정다리의 오목한 부의 하면에 경계를 접하는 돌부를 갖고, 그 돌부가 가벼운 하중일 때 전기기기 본체의 진동에 완충하도록 하고, 진동에 굴종하도록 팽창하고 수축하는 돌부를 갖고 있고, 전기기기 본체가 중하중에 의해 내려 앉은 경우에도 돌부에서 완전히 하향으로 외측으로 뻗어 있는 프랜지부는 고정다리의 오목한 부의 원주표면의 열린부를 지지하고, 프랜지부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한 부나 볼록한 부는 기기에 무거운 하중이 걸렸을 때 압축되고 찌부러진다.
탄성다리의 돌부의 모양은 어떤 형상이라도 좋지만, 이 돌부가 탄성다리의 오목한 부에 삽입되어 부착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만일 수평단면이 원주형인 오목한 부에 부착할 수 있고, 오목한 부의 열린 부분의 원주표면에 들어갈 수 있다면, 모자형, 원주형 및 원통형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탄성다리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한 부 또는, 볼록한 부는 다음과 같다.
(1) 탄성다리의 하면에 원형으로 형성한 복수의 오목한 부가 하향으로 되어 있고, (2) 탄성다리의 하면에 원형으로 형성한 복수의 볼록한 부가 상향으로 되어 있으며, (3) 그 각각의 고리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계단형으로 점진적으로 내려앉도록 된 고리모양의 오목한 부와, (4) 그 각각의 고리부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계단형으로 점진적으로 돌출하도록 된 고리모양의 볼록한 부를 갖는 것이다.
그 어느 경우에나 탄성다리의 프랜지부가 탄성다리와 마루표면과의 접촉면적이 가벼운 하중이 걸렸을 경우에 비하여 무거운 하중이 걸렸을 때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다리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드러운(또는, 유연한) 고무재료 즉, 이소부티렌-이소프렌 고무 또는, 폴리놀보우넹(polynorbornane) 고무를 탄성다리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그리하여, 유연한 고무재료의 반발 탄성계수는 약 20% 이하일 것이며, 바람직하기는 약 10% 이하이다. 예를들면, 그런 재료를 세탁기 본체에 적용했을 때 세탁기 본체가 가벼운 하중일 때나 무거운 하중일 때 모두 그런 재료가 진동을 흡수한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에서는 반발탄성계수가 반발탄성시험으로 측정되었다.
이소부티렌-이소프렌고무, 중량 350g, 길이 356mm, 직경 12.7mm의 철봉이 네 개의 지지선에 수평으로 매달려 있고, 시험편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부착된 원형저울로 구성된 특별한 기계장치가 준비되었다.
저울판은 수평길이가 625mm, 원주의 반경이 2000mm 그리고, 눈금은 수직높이(100mm)를 균등하게 100등분하고 있다. 시험편을 충격하는 철봉의 한끝은 모양이 반원형이고, 직경 12.7mm이며, 다른 한끝은 지시계 역할을 하며, 철봉의 현수높이는 2,000mm로 맞추어져 있고, 철봉이 낙하하는 높이는 수직눈금상 100mm에 맞추어져 있다.
철봉이 자유롭게 매달려 있을 때, 지시계는 저울눈금의 0의 위치를 지시하고, 철봉의 충격단은 시험편을 겨우 접촉하도록 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더구나, 이 지지부는 철봉이 타격을 주더라도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시험공정을 설명한다.
처음에, 철봉의 지시계를 저울눈금의 0에 맞춘다. 그러면, 철봉은 자유롭게 낙하할 수 있고, 철봉이 반발하기 때문에 지시계가 지시하는 높이를 판독할 수 있다. 전술의 조작을 네 번 반복하여 매번의 타격에 의해 발생하는 반발의 높이를 읽어 반발탄성계수(%)를 얻기 위해 평균치를 낸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시험은 같은 재료의 세 개의 시험편으로 수행하고, 반발탄성계수(%)를 얻기 위해 이들 시험편의 시험결과를 평균치를 낸다. 이 시험기록에는 (1) 반발탄성계수(%) (2) 시험온도 (3) 여기서는 기술할 필요가 없는 다른 몇가지 사항이 포함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에서는 프랜지부의 두께는 바람직하기는 3∼8mm 가벼운 하중이 걸렸을 시 고정다리의 열린 부의 원주표면과 프랜지부 상부표면과의 간격을 바람직하기는 0.5∼2.0mm이다.
본 발명에서는 세탁기 본체에 세탁물이나 물이 가득하거나 또는 접시 닦는 기계 본체에 주방의 접시가 가득 쌓인 것과 같은 상태의 무거운 하중일 때를 가정한 것이다. 예를들면, 세탁기에서 세탁기 본체의 중량이 30kg, 세탁물 5kg, 물이 약 50l즉, 전체 중량이 약 85kg인 상태를 특히, 무거운 하중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려면 무거운 하중(세탁 동작)에서 세탁기가 다만 세탁만 할때 즉, 세탁조 속의 회전날과 물만 회전하고, 세탁조 자체는 회전하지 않는 동작을 할때 나타내는 진동은 비교적 작다. 한편, 가벼운 하중이라 함은 세탁기가 세탁물과 적은 양의 물, 즉 전체중량이 40kg인 상태를 의미한다. 세탁기가 그러한 가벼운 하중(탈수 동작)에서 탈수조가 세탁물과 물을 갖고, 약 900rpm정도의 큰 속도로 회전할 때 결과적으로는 비교적 큰 진동이 발생한다.
다음은,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1)은 세탁기나 접시 닦는 기계와 같은 전기기기 본체의 바닥부, (2)는 그 바닥부 (1)의 소정의 개소에 고정 또는,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고정다리, (3)은 전기 고정다리(2)의 하면에 형성된 하향의 오목한 부분이고, 전기 고정다리(2)의 맨 아래 표면에 열린부가 원주형 표면(2a)로 되어 있다. (4)는 반발탄성계수가 약 10%인 폴리놀보우넹 고무나 IIR(이소부티렌-이소프렌) 고무등과 같은 연질의 고무재료로 만들어진 탄성다리로서 전기의 오목한 부분(3)안에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지고, 또한 전기의 오목한 부분(3)의 깊이보다도 긴 원통형상의 돌부(4a)와 그 돌부(4a)의 하단에서 외부로 내몰려지고, 전기의 오목한 부분(3)의 지름(d)보다도 큰지름(D)를 가지는 프랜지부(4b)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기의 폴리놀보우넹계 고무나 IIR은 반발탄성 계수가 약 10% 적고,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반발탄성 계수나 80%인 NR(천연고무)이나 반발탄성계수가 40%인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비하여 약 1/5∼1/10로 반발탄성계수가 적어서 상기한 두가지 고무가 충격진동의 흡수성능이 우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같이 하여 전기의 바닥부(1), 고정다리(2)의 오목한 부분(3) 및 탄성다리(4)는 각각 동일한 축위에 나사구멍(5)(6)(7)이 마련되어 있으며, 전기의 고정다리(2)를 전기의 바닥부(1)에 접착하여 전기의 탄성다리(4)의 돌부(4a)를 전기의 오목한 부분(3)에 움직일 수 있게 끼워서 전기의 나사구멍(5)(6)(7)에 볼트(8)을 하부에서 끼워서 동시에 조여 붙인다.
여기서, 전기 돌부(4a)의 길이는 열린부의 원주표면(2a)나 또는, 고정다리(2)의 맨 아래 표면과 프랜지부(4b)의 맨 위 표면(4c)와의 사이에는 약 1.0mm의 간격(A)를 설정해 두고 프랜지부(4b)의 두께(B)는 약 5.0mm로 설정해 놓는다.
또한, 복수의 하향인 오목한 부(9)는 프랜지부(4b)의 하면에 원주형으로 둥글게 마련되어 있다. 즉, 가벼운 하중인 때 세탁기 본체는 오목한 부(9)가 마루표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전기 프랜지부(4b)의 하부표면면적으로 프랜지부(4b)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프랜지부(4b)와 마루면과의 접촉면적이 오목한부(9)의 전체면적이 탄성다리(4)의 쿠션효과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비교적 적고, 상기한 가벼운 하중일 때와 같이 탄성다리에 그러한 오목한 부분이 없을 때에 비해 발생하는 진동을 마루표면에 전달하는 것은 훨씬 감소시킨다.
다른 한편, 무거운 하중일 때 고정다리(2)의 열린 부분의 원주표면(2a)은 프랜지부(4b)의 상부표면(4c)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하중의 중량이 증가하면, 오목한 부(9)는 프랜지부의 하면과 마루표면사이의 접촉면적이 커지도록 압축되고, 부분적으로 찌부러지며, 그리하여 고정다리(2)는 세탁 탈수기 본체의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도록 프랜지부(4b) 탄성다리(4)의 전체 하면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돌부(4a)는 수직방향으로 압축되고, 고정다리(2)가 직접 마루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랜지부(4b)의 상부표면(4c)에 지지되고 있는 고정다리(2)의 열린 부분의 원주표면(2a)에 지지되고 있고, 돌부(4a)는 오목한 부(3)과의 간격을 채우도록 모든 방사상방향으로 팽창하여 탄성다리(4)의 진동방지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제 3 도∼제 5 도는 프랜지부(4b)의 하면에 90°의 간격을 갖는 각이지게 형성된 구면형상의 볼록한 부(10)를 갖는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가벼운 하중일 때 기기본체는 각각의 볼록한 부(10)로 지지하지만, 무거운 하중일 때에는 도면 제 5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볼록한 부(10)은 세탁/탈수기의 본체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랜지부(47b)(탄성다리 4)의 하면 전체로 고정다리(2)를 지지하도록 찌부러진다.
도면 제 6 도∼제 8 도는 프랜지부(4b) 하면에 각이지게 형성한 오목한 부(11)을 갖는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각이진 오목한 부는 그 각각의 고리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점진적으로 내려 앉도록 계단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 8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오목한 부(11)은 하중의 정도에 따라 적당한 상태의 지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중의 정도에 따라 고리부의 맨 바깥쪽 부분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찌부러지게 된다.
제3실시예의 변형으로서 프랜지부(4b)의 하면에 계단형의 볼록한 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제3실시예에 있어서, 열린부(2a)의 원주표면이나 고정다리(2)의 최하면과 프랜지부(4b)의 상부표면(4c)와의 사이의 간격(A)는 가벼운 하중시에 결정적인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주목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1∼제3실시예에 있어서, 가벼운 하중의 상태에서 성공적인 진동방지(진동흡수)효과는 탄성다리(4)의 수직팽창과 수축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다. 물론, 탄성다리(4)는 고정다리(2)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가벼운 하중인 때 탄성다리와 마루표면의 접촉면적이 비교적 적고, 이 사실은 탄성다리의 탄성상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세탁기 본체(탈수동작)의 진동이 마루면에 전달되는 것이 현저하게 감소한다는 것이다. 무거운 하중일 때에는 탄성다리(4)와 마루면 사이의 탄성다리의 실질적인 접촉면적(족적)은 커지고, 결과적으로, 프랜지부(4b)의 존재에 의하여 진동방지효과를 감소시킴이 없이 견고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제 9 도는 탈수세탁기 본체(12)에 전술한 제1실기예의 다리장치를 채택한 것이며, 전기 탄성다리(4)는 이소부티렌-이소프렌 고무로 형성되었다. 전기 다리장치는 본체(12)하면의 세모퉁이부에 설치되며, 나머지 한모퉁이부에는 경질고무를 사용한 높이조절용다리(13)이 부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탈수세탁기는 고속을 회전되는 세탁겸 탈수조를 갖추고 있다. 전기 탈수조 내부의 의류가 한쪽으로 쏠려 분포되고 있는 경우 회전시 탈수조가 크게 요동하고, 세탁기 본체(12)가 전후 좌우로 덜커덕거린다. 그러나, 프랜지부(4a)의 하면에 하향인 오목한 부(9)가 마련되어 있는 탄성다리(4)의 재료로서 이소부티렌 이소프렌고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 표에서 보는 바와같이 종전기술에 의한 종전의 다리장치에 비하여 진동흡수성능이 약 2배가 향상되었다.
Figure kpo00001
또한, 이 실험을 제 10 도에 있어서, 세탁기 본체(12)의 전후방향의 덜커덕거리는 진동폭을 a(mm), 좌우방향의 덜커덕 거리는 진동폭을 b(mm) a와 b를 합성한 치(a2+b2)를 c(mm)로 하고, 측정조건으로서 1.5kg의 의류의 편심하중으로 탈수를 행한 것이다. 또, 종래의 예로서는 경질고무재료로 된 탄성다리를 사용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내 진동 다리장치는 탄성다리는 프랜지부를 갖고 있고, 이 프랜지부의 하면에는 오목한 부나 볼록한 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 오목한 부나 볼록한 부가 하중의 중량에 따라 그리고, 하중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른 프렌지부의 하면과 마루면간의 접촉면적에 따라 점진적으로 찌부러지게 된다. 그리하여, 진동방지정도와 지지정도가 하중이 걸리는데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가벼운 하중인 때에 충분한 진동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무거운 하중인 때에는 진동 방지효과뿐만 아니라, 세탁기 본체의 견고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세탁기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다리를 이소부티렌-이소프렌 고무와 같은 연질고무재료로 형성하므로서 무거운 하중일 때 더 우수한 진동방지효과가 발휘되고, 또 가벼운 하중일 때 탈수동작이 행해지면, 세탁기 본체의 덜커덕거리는 흔들림등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전기기기 본체(12)의 하부에 부착된 고정다리(2)와 고정다리(2)에 설치된 탄성다리(4)가 전기기기 본체를 마루면에서 전기 고정다리(2)를 거쳐 탄력있게 지지하도록 구성하되, 전기한 고정다리(2)는 하향인 오목한 부(3)을 가지며, 전기한 탄성다리(4)는 반발탄성계수가 20% 이하인 재료로 형성되고, 전기 고정다리(2)의 전기한 오목한 부(3)의 저면에 돌부(4a)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렌지부(4b)가 전기한 돌부(4a)로부터 마루표면으로 완전히 하측으로 뻗어 있어 전기기기 본체에 무거운 하중이 가해졌을 때 전기한 고정다리(2)가 마루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렌지부(4b)가 전기 고정다리(2)의 전기 오목한 부(3)의 열린 부분의 원주표면(2a)를 지지하고 있으며, 또한, 프렌지부(4b)는 전기기기 본체(12)의 무거운 하중이 걸렸을 때 찌부러질 수 있도록 볼록한 부(10)이나 오목한 부(9)를 그 하부면에 형성하여 결합하여서 된 내 진동(耐振動) 다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내 진동 다리장치에서 전기 프랜지부(4b)의 하부표면에 있는 전기 오목한 부(9)나 볼록한 부(10)은 동심의 계단형으로 형성하여서된 내 진동 다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내 진동 다리장치에서 전기기기 본체(12)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전기의 고정다리(2)의 열린 부의 원주표면(2a)과 전기 탄성다리(4)이 전기 프랜지부(4b)의 상부표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서된 내 진동 다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내 진동 다리장치는 전기한 간격이 0.5∼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 내 진동 다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내 진동 다리장치에서 전기 탄성다리(4)는 열린부가 하향인 오목한 부(3)을 가지며, 그 오목한 부(3)를 거쳐 전기한 고정다리(2)에 나사물림으로 연결하여서된 내 진동 다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내 진동 다리장치에서 전기 탄성다리(4)의 전기 돌부(4a)는 전기 고정다리(2)의 전기 오목한 부(9)에 헐겁게 부착할 수 있는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내 진동 다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내 진동 다리장치는 전기기기 본체(12) 하면의 세모퉁이부에 부착되고, 전기기기 본체(12) 하면의 나머지 한모퉁이부에 부착된 높이 조절용 다리(13)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된 내 진동 다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내 진동 다리장치에서 전기기기 본체(12)를 세탁기 본체(12)로 하여서된 내 진동 다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내 진동 다리장치에서 전기의 탄성다리(4)의 재료가 이소부티렌-이소프렌 고무 또는, 폴리놀보우넹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 내 진동 다리장치.
KR1019880017468A 1988-06-10 1988-12-23 내 진동 다리장치 KR910003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44034 1988-06-10
JP14403488 1988-06-10
JP63222632A JPH0765713B2 (ja) 1988-06-10 1988-09-06 脱水機能付洗濯機の脚装置
JP62-222632 1988-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536A KR900000536A (ko) 1990-01-30
KR910003540B1 true KR910003540B1 (ko) 1991-06-04

Family

ID=1535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468A KR910003540B1 (ko) 1988-06-10 1988-12-23 내 진동 다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65713B2 (ko)
KR (1) KR910003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491U (ja) * 1991-10-31 1993-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脚
KR100442935B1 (ko) * 2002-04-11 2004-08-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진동방지 렉
KR101114111B1 (ko) 2004-06-01 2012-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레그 스토퍼
DE102010028329A1 (de) * 2010-04-28 2011-11-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häuse für ein Haushaltsgerät und Verfahren zu desen Stabilisierung
PL2870903T3 (pl) * 2013-11-06 2017-03-3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tołowy robot kuchenny z nogą
CN109281980B (zh) * 2017-07-21 2021-03-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6861U (ko) * 1973-12-13 1975-07-24
JPS55171795U (ko) * 1979-05-30 1980-12-09
JPS6017527A (ja) * 1984-06-19 1985-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ト繰り出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72298A (ja) 1990-03-12
JPH0765713B2 (ja) 1995-07-19
KR900000536A (ko) 199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786A (en) Anti-vibration leg unit
US4991412A (en) Oscillatory support for drum washing machines
US6397643B1 (en) Suspension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100281311B1 (ko) 바닥면에의 진동 전달을 저감하는 드럼식 건조 세탁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0564652C (zh) 洗衣机的支撑装置
US20070262213A1 (en) Self-leveling foot for an appliance
CN1085270C (zh) 具有减振器的洗衣机
CN101982599B (zh) 滚筒式洗衣机
KR910003540B1 (ko) 내 진동 다리장치
EP1950338B1 (en) Household appliance column assembly
US4475363A (en) Adjustable dual node support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US3373962A (en) Washing machine support structure
JP291123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H0743005B2 (ja) 電気機器の脚装置
EP1201810B1 (en) Inclined washing machine with shock absorbing device
JP2506815B2 (ja) 脱水洗濯機の防振装置
AU710163B2 (en) Preventing unnecessary imbalance cutout during spin drying in a vertical axis clothes washing machine
KR0136464Y1 (ko) 세탁조의 진동감쇠용 댐핑장치를 갖는 세탁기
US3476340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laundry machines
KR0138907Y1 (ko) 자동세탁기의 진동감소장치
KR930008270Y1 (ko) 세탁기의 지지다리
KR0136451Y1 (ko) 세탁기의 세탁조 진동감쇠장치
JPH0525338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H0518483U (ja) 洗濯機の脚装置
KR0136467Y1 (ko) 세탁조의 진동감쇠용 댐핑장치를 갖는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