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531B1 - 유압 제동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유압 제동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531B1
KR910003531B1 KR1019880009206A KR880009206A KR910003531B1 KR 910003531 B1 KR910003531 B1 KR 910003531B1 KR 1019880009206 A KR1019880009206 A KR 1019880009206A KR 880009206 A KR880009206 A KR 880009206A KR 910003531 B1 KR910003531 B1 KR 910003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rake assembly
members
flow
val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564A (ko
Inventor
알 미러 래인
엠 노블 제이알 찰스
피 머쿠리 데니스
Original Assignee
로드코포레이숀
제임스 떠블유 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드코포레이숀, 제임스 떠블유 라이트 filed Critical 로드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90003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50Pressure
    • B60G2400/51Pressure in suspension unit
    • B60G2400/518Pressure in suspension unit in damper
    • B60G2400/5182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 B60G2600/26Electromagnets; Soleno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47With leak passage
    • Y10T137/7849Bypass in valve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Check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압 제동기 조립체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제동기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로써 제동기 조립체의 축압기와 봉이 일부분 제거되어 있는 개략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제동기 조립체의 우측단부의 구성요소의 확대부분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구성요소의 3-3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동기 조립체의 음성코일 밸브수단의 환상밸브부재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있는 사시도.
제 5 도는 제동기 조립체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일정간격 이격된 부재와 관련 검지기 및제어 구성요소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압 제동기 조립체 12 : 실린더
14 : 피스톤 16 : 봉, 24:제어장치
26 : 운동 검지수단 28 : 내측체임버
30 : 외측 체임버 32 : 원통형 내측벽
34,34',36,36' : 통로 38,38' : 체크밸브부재
43 : 전자계 코일 60,60' : 환상밸브부재
70,70' : 코일 72 : 복합재료
본 발명은 진동, 충격 및 제동기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부재 사이의 유사한 운동의 전달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 현가장치 및 기타장치에 사용되도록 한 유압 제동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반능동"형태의 것이며, 또한 "음성코일"형태의 밸브수단을 결합하고 있는 개량된 유압제동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반능동 형태의 유압 제동기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이며 예컨데 미국특허 제3,807,678호, 제4,468,050호, 제4,468,739호 및 제4,491,20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동기는 이들 두 개의 대향단부 사이의 작동유체의 흐름이 제동기가 동작하고 있는 사이 신속하고 연속적으로 제어되는 점에서 순수한 수동 제동기와 상이하다. 이들은 가압 작동유체의 펌프 또는 이와 유사한 공급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서 완전히 능동적인 제동기 또는 액추에어터와 상이하다. 적당한 제어방식에 의하여 작동될 때 반능동 제동기는 잠재적으로는 수동 제동기에 의하여 부여되는 것보다 훨씬 우수하며, 완전히 능동적인 유압 제동기 또는 액추에어터에 의하여 부여되는 것에 근접하는 진동감쇠를 부여할 수 있으며, 더욱이 취득 및 운전비용이 완전히 능동적인 제동기보다 훨씬 저렴하다.
반능동 제동기로부터 잠재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이점을 단순히 실험실에서와는 대조적으로 실제의 차량현가장치 또는 기타 "실사회"환경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경우 제동기는 소형으로 내구성이 있으며 경제적인 구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제동기의 밸브구성요소는 불리한 운전조건 하에서도 확실하고 신속하게 작동되어야만 한다. "음성코일"형태의 제어밸브를 오토바이용 반능동 제동기에 이용하는 것이 미국특허 제4,491,207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와 같은 형태의 밸브는 비교적 소형의 크기를 가지며 큰 온도 차이를 받지 않을 경우 만족스럽게 작용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밸브를 대형크기를 갖거나 또는 높은 온도를 받는 제동기에 사용하는 경우 어려움에 부닺치었다. 그와 같은 이용에 있어서 밸브수단의 이동 가능한 환상부재는 때때로 밸브의 흐름 허용위치와 흐름 제한위치 사이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없거나 또는 밸브의 흐름 제한위치에 있을 때 과잉의 누설을 허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내구성이 있고 소형이며 경제적인 구성을 가지며 또 개량된 밸브수단을 갖는 반능동형 제동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중벽 형태로 내측 체임버와 외측 체임버 사이를 연락하는 제1 및 제2통로가 양 단부의 각각에 형성된 피스톤 내장 실린더를 갖는 유압 반능동 제동기 조립체를 제공하여준다. 상당히 신뢰성이 있으며 내구성이 있는 분할링 형태의 체크밸브가 제1통로를 통하는 유체흐름을 제어한다. 제2통로를 통하는 유체 흐름은 음성코일 형태의 제어밸브수단에 의하여 제어된다. 음성코일 밸브수단은 제2통로의 각각의 것과 관련되며 흐름제한위치와 흐름 허용위치 사이에서 이들 통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환상밸브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환상부재의 하나는 그의 흐름 제한위치로 구동되는 반면에 이와 동시에 다른 부재는 실린더 내에 위치된 전자밸브 구동수단의 작동중 그의 흐름 허용위치로 구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음성코일 형태의 흐름제어밸브 수단이 최소한 부분적으로 경량의 복합재료로 형성되는 최소한 하나의 이동 가능한 환상밸브부재를 이용하는 개량된 제동기 조립체를 제공하여 주는 바, 이 경우 상기 복합재료는 환상부재에 높은 후프 강도와 견고성 및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서 피스톤-실린더 형태의 유압 제동기 조립체(10)는 실린더(12), 피스톤(14) 및 봉(16)을 포함하고 있다. 봉(16)은 자유외측단부 및 그로부터 멀리 떨어진 실린더(12)의 단부에는 브래킷(18) 또는 기타 적당한 연결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에 의하여 제동기 조립체(10)는 제 5 도에 도시한 본체부재(20) 및 프레임 부재(22) 같은 일정간격 이격된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부재는 예컨대 각각 자동차 또는 기타 차량의 본체 및 프레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동기 조립체(10)의 통상적인 기능은 차량의 프레임 부재(22)로부터 본체부재(20)까지 진동, 충격 또는 기타 운동의 전달을 감쇠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제동기 조립체(10)는 작동중 미리 선택된 제어방식에 따라 작동하는 제어장치(24)로부터의 제어입력 및 제동기 조립체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본체부재(20)와 프레임 부재(22)의 일방 또는 양방과 관련된 운동검지수단(26)으로부터 받은 입력을 받는 "반능동"형태의 것이다. 이용되는 제어방식은 미국특허 제3,807,678호 및 제4,491,207호에 기술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어방식이 제동기 조립체와 제어장치에 의하여 정확히 실시되는 경우 제동기 조립체를 횡절하는 운동조건이 발생된 제동력이 프레임 부재(22)로부터 본체부재(20)로 진동 또는 기타 운동의 전달을 감쇠시키기보다 오히려 증폭하는 그러한 것일때는 언제나 그 방식의 실시는 제동기 조립체의 감쇠계수를 감소(이상적으로는 제로)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통상적으로 지지된 부재, 즉 본체부재(20)가 지지부재, 즉 프레임 부재(22)와 동일한 방향으로 그리고 프레임 부재(22)보다 느리게 이동하는 때에는 언제나 일어날 수 있다.
제 1 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참조하면 제동기 조립체(10)의 실린더(12)는 원통형 내측벽(32)에 의하여 포위하고 있는 외측 체임버(30)로부터 분리된 중앙 내측 체임버(28)를 갖는 이중벽 형태의 것이다. 상기 체임버(28)(30)는 이들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원통형 내측벽(32)을 통하여 그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세트의 평행한 통로(34)(36)(34')(36')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탄성 분할링 형태의 체크밸브부재(38)(38')가 통로(34)(34')의 각각의 것에 인접하여 중앙 내측 체임버(28)내에 배치되어 있다.
체크밸브부재(38)(38')는 흐름이 각각의 통로(34)(34')를 통하여 중앙 내측 체임버(28)로부터 외측체임버(3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체크밸브부재(38)(38')가 중앙 내측 체임버(28)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통로와 견고한 결합을 하면 이들 부재는 통상적으로 방사상 외방으로 팽창하려고 하는 고유의 경향으로 인하여 이들은 또한 반대방향, 즉 외측 체임버(30)로부터 중앙 내측 체임버(28)로의 유체흐름을 방지한다. 그러나 체크밸브부재(38) 또는 체크밸브부재(38')의 방사상 최외측면에 대한 유체압력은 그 내측면에 대한 유체압력보다 현저히 큰 경우 그와 같은 부재는 수축작용을 받아 그 결과 유체흐름을 그와 관련된 통로(34)(34')를 통하여 외측 체임버(30)로부터 중앙 내측 체임버(20)로 흐를 수 있게 한다.
실린더(12)의 대향단부 및 그 내부의 체임버(28)(30)는 단부부재(40)(4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재는 각각 원통형 내측벽(32)의 대향단부 부분에 인접하여 이들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동심관계로 연장되는 환상부분(42)(42')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부분은 단부부재와 공동으로 내측벽(32)의 중앙부분의 주위에 권취되는 전자계 코일(43)을 또한 포함하고 있는 전자석의 자극편을 형성한다. 단부부재(40)는 더욱이 제동기 조립체(10)의 봉(16)이 지나가는 청동베어링(44) 및 제동기 조립체(10)의 극도의 신장을 저지하도록 피스톤(14)과 관련된 결합요소(48)와 협동할 수 있는 범퍼요소(46)를 포함하고 있다. 동일한 기능이 제동기 조립체의 극도로 수축 또는 압축 중에 단부부재(40') 및 피스톤(14)의 대면하는 단부와 각각 관련하는 범퍼요소(50)(52)에 의하여 부여된다. 또한 단부부재(40')는 실린더(12)가 초기에 작동유체(도시하지 않았음)로 충전되는 통상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충전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그와 같은 유체가 체임버(28)(30) 및 실린더(12)의 외부에 설치되어 체임버(30)와 통하는 가압유체 축압기(54)의 유체 함유부분 내의 이용 가능한 모든 공간을 충전한다. 상기 축압기(54)는 제동기 조립체(10)의 신장과 수축사이에 배제되는 유체의 상이한 양을 상쇄하는 통상적인 기능을 발휘한다.
도면에 각각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는 다수의 오리피스(56)(58)가 피스톤(14)을 통하여 피스톤의 주변에 인접하여 연장되어 있다. 각 오리피스(56)는 이것과 관련된 탄성압력 릴리이프 밸브요소(56')를 갖고 있으며 상기 밸브요소(56')는 제동기 조립체(10)의 수축 또는 압축 중에 그와 같은 오리피스를 통하여 흐름을 억지함과 동시에 제동기 조립체의 신장 중에 발생한 압력이 밸브요소(56')의 미리 선택된 스프링 힘을 압도할 때 오리피스를 통한 흐름을 허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각 오리피스(58)는 이것과 관련된 탄성밸브요소(58')를 갖고 있으며, 상기 탄성밸브요소(58')는 제동기 조립체의 신장 중에 오리피스를 통한 유체흐름을 억지하는 반면에 유체압력이 탄성밸브요소(58')를 자리에서 밀어내기에 충분한 경우 제동기 조립체의 수축 중에 오리피스를 통한 흐름을 허용한다. 밸브요소(56)(58')를 자리에서 밀어내는데 요구되는 압력은 제동기 조립체(140)의 정상적인 작동중 발새되는 것보다 크다. 따라서 오리피스(56)(58) 및 이들과 관련된 밸브요소(56')(58')는 단지 압력해제 "안전"기능만을 행한다. 밸브요소(56')(58')는 예시적으로 피스톤(14)의 대향측면에 설치된 판스프링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들은 물론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실린더의 체임버(28)(30)의 대향단부에 인접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통로(36)(36')를 통한 유체흐름은 음성코일 형태의 제어밸브수단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와 같은 밸스수단은 단부부재(40)(40')의 환상부분(42)(42')의 방사상 내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원통형 내측벽(32)의 대향단부부분을 각각 둘러싸는 환상밸브부재(60)(60')를 포함하고 있다. 각 밸브부재(60)(60')는 원통형 내측벽(32)의 밸브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인 부분을 따라 그와 같은 부재가 통로(36)(36')의 밸브부재에 인접한 것을 통하는 비교적 자유로운 유체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제1위치와 밸브부재가 그와 같은 통로에 중첩되어 제한된 유체흐름만을 통과 가능하게 하는 제2위치 사이로 활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밸브부재(60)(60')가 그의 제2위치를 점유하는 경우 유체는 그와 같은 부재의 원통형 내측면과 원통형 내측벽(32)의 그와 같은 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인 단부부분과의 사이의 좁은 환상공간 내에 들어가 그 공간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통과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이때 제동기 조립체에 의하여 나타나는 감쇠계수(이하 "온상태"감쇠라 칭한다)는 밸브부재(60)(60')와 원통형 내측벽(32) 사이의 방사상 간극에 주로 의존되는 비교적 큰 크기(임계감쇠에 최소한 70%인 것이 바람직하다)의 것이다.
흐름제한 위치에 있는 밸브부재(60)와 흐름허용위치에 있는 밸브부재(60')를 보여주는 제 1 도에 도시된바와같이 두 개의 부재중 하나가 상술한 두 개의 위치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점유할 때는 언제나 다른 부재는 그와 같은 위치의 다른 하나의 위치를 점유한다. 밸브부재(60)의 도시된 흐름 제한위치를 초월하는 이동은 그와 같은 부재와 내측벽(32)에 있는 플랜지 형상의 정지요소(62)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방지되는 반면에 밸브부재(60)의 흐름 허용위치를 초월하는 이동은 밸브요소가 신장되어 들어가는 환상 자극편 공극(66)의 폐쇄된 단부에 위치된 정지요소(64)와 밸브부재(60)의 결합에 의하여 방지된다. 동일한 정지요소가 밸브부재(60')와 관련하여 제동기 조립체(10)의 대향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부재(60)(60')는 제 4 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성의 것이다. 각 밸브부재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의 비자성금속으로 형성된 환상의 비교적 얇은 본체(68)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68)의 외부는 코일(70)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고 밸브부재에 운동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코일(70)을 통하여 전류를 보낸다. 또한 본체(68)는 에폭시 같은 강하고 견고한 플라스틱 매트릭스 재료내에 매입된 무단 고강도 필라멘트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재료(72)에 의하여 둘러싸여 강화되어 있다. 복합재료(72)의 필라멘트 재료는 밸브부재의 강성과 함께 후프강도를 최대로 하기 위하여 본체(68)의 중심축에 대하여 약 90°의 각도로 본체(68)의 주위에 권취되어 있다. 밸브부재(60)(60')의 상술한 구성은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하여 준다. 이는 필적하는 강도를 갖는 전부 금속으로 된 것보다 현저히 경량이며, 따라서 보다 신속히 이동할 수 있는 밸브부재를 제공하여 준다. 또한 이는 원통형 내측벽(32)의 밸브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인 단부부분을 따라 자유로이 활주하지 못하도록 사용중 밸브부재가 받는 유체압력에 의하여 밸브부재가 매우 변형되는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하여 준다. 변형문제는 비교적 큰 직경의 부재에 대하여 특히 엄격하며, 비교적 작은 직경의 부재에 대하여는 그렇게 엄격하지 않다. 밸브부재(60)(60')의 복합구성의 다른 이점은 이것이 이들 부재의 열팽창계수를 매우 낮게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와 같은 계수는 최소한 제로인 것이 바람직하며 심지어 부(-)일 수도 있다.
후자와 관련하여 밸브부재(60)(60')의 열팽창계수가 중요한 바, 이는 각 밸브부재(60(60')와 이것에 의하여 둘러싸인 원통형 내측벽(32)의 단부부분 사이의 방사상 간극이 상술한 바와같이 제동기 조립체(10)의 온상태 감쇠계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상술한 감쇠계수를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요망되지만 지금까지 현저한 변화가 고온에서 제동기의 작동중에 일어났다. 고온은 제동기 내의 작동유체의 점성을 저하시킨다. 몇몇 방식으로 보상되지 않으면 유체 점성의 감소는 제동기의 온상태 감쇠계수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또한 고온은 원통형 내측벽(32)의 직경을 증가시키나 이는 둘러싸고 있는 환상밸브부재가 완전히 알루미늄 또는 이와 유사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와 같은 경우에는 밸브;부재도 직경이 증가되기 때문에 보상효과를 거의 갖지 않는다. 그러나 환상밸브부재가 제4도에 도시된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구성의 것일 경우 그 밸브부재의 직경은 고온에서 현저히 증가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심지어 감소될 수도 있다. 즉 밸브부재(60)(60')는 부의 열팽창계수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사정으로 고온에서 내측벽(32)의 단부분이 받는 직경의 증가는 그와 같은 벽과 밸브부재(60)(60')사이의 방사상 간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고온에서 작동유체의 점성의 감소를 완전히는 아니지만 상당한 부분 보상한다. 따라서 제동기 조립체(10)의 감쇠계수는 온도변화에 의하여 만약 있다손 치더라도 훨씬 적은 범위로 영향을 받는다.
밸브부재(60)(60')가 흐름 제한위치와 흐름 허용위치 사이로 신속하고 방해받지 않는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술한 부재는 소형이며 비교적 "유선형"의 윤곽을 갖고 있으며 반구형 단면형상의 홈(74)(제 3 도)이 단부부재(40)(40')의 환상부분(42)(4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홈은 밸브부재(60)(60')가 환상 자극편공극(66)(66')의 폐쇄된 단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그와 같은 공극으로부터 배제되는 작동유체의 자유로운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전류가 적당한 전기적 접속부재(66)로부터 상호 연결용 전기연결기(도시하지 않았음)를 경유하여 환상밸브부재(60)(60')의 코일(70)(70') 및 전자계 코일(43)에 공급된다. 물론 환상밸브부재(60(60')의 코일(70)(70')까지 연장되는 연결기는 그와 같은 부재의 자유로운 축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최소한 이들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충분히 유연성이 있다.
제동기 조립체(10)의 조작중 전력이 전자계 코일(43)에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통상 그와 같이 공급된다. 따라서 전류가 밸브부재(60)(60')의 코일(70)(70')에 동시에 공급될 때 그와 같은 부재는 제 1 도에 도시된 이들 부재의 가장 좌측 위치로 또는 밸브부재(60)가 그의 흐름 허용위치를 점유하고 밸브부재(60')가 그의 흐름 제한 위치를 점유하는 가장 두측 위치로 동시에 신속히 즉시 이동된다. 이들 부재의 이동방향은 전류가 코일(70)(70')을 통하는 방향에 좌우되며 전류의 방향의 반전에 의하여 이동방향이 반대로 된다. 두 개의 코일중 하나의 전류의 방향은 두 개의 코일중 다른 하나의 전류의 방향과 항상 동일하며, 이 결과 밸브부재(60)(60')의 흐름 허용위치와 흐름 제한위치의 상이한 위치를 밸브부재(60)(60')가 항상 점유하게 된다.
이때 제동 조립체(10)를 가로지른 상대이동이 감쇠력을 발생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 즉 제동기 조립체가 "온"인 것이 요망되는 경우 제어장치(24)에 의하여 환상밸브부재(60)(60')의 코일(70)(70')로 향하게 되는 전류는 제동기 조립체의 신장중 그와 같은 부재가 제 1 도의 위치를 점유하도록 하고 제동기 조립체의 수축 또는 "압축" 중 반대로 위치를 점유하도록 한다. 따라서 그때 내측 체임버(28)로부터 배제되는 작동유체온밸브부재(60)(60')의 하나와 원통형 내측벽(32)의 인접단부부분 사이의 제한된 환상공간의 일부분을 통과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때 제동기 조립체(10)의 감쇠계수는 그의미리 선택돤 높은 온상태의 크기의 것이다.
이때 제로 또는 아주 적은 감쇠력이 소망되는 경우 코일(70)(70')로 향하는 전류는 제동기 조립체(10)가 수축을 받을 때 밸브부재(60)(60')가 제 1 도의 위치를 점유하게 하고 제동기 조립체(10)가 신장을 받을 때 밸브부재(60)(60')가 다른 위치를 점유하도록 한다. 수축중 작동유체는 내측 체임버(28)의 좌측단부로부터 우측단부로(제1도에서 볼 때) 방사상 통로(36'), 외측 체임버(30) 및 방사상 통로(34)를 경유하여 흐른다. 신장중 내측 체임버(28)의 우측단부로부터 좌측단부로 동일한 정도로 자유로운 유체흐름은 마찬가지로 방사상 통로(36), 외측 체임버(30) 및 방사상 통로(34')를 경유하여 흐른다. 제동기 조립체(10)의 감쇠계수는 그 때 최소의 오프 상태의 크기의 것이다. 이는 이상적으로는 제로일 수 있으며 온상태 감쇠계수의 약1/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1)

  1.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잇는 부재를 상호 연결하며 이들 부재 사이의 운동의 전달을 감쇠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부재의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내측 체임버와 상기 내측 체임버를 둘러싸는 외측 체임버를 갖는 이중벽 실린더, 상기 내측 체임버 내에 배치되어 그의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또 상기 실린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의 다른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단부부분을 갖는 봉을 구비한 유압 제동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 체임버와 외측 체임버를 이들의 일측단부에 인접하여 상호 연결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의 평행한 통로를 형성하는 수단: 상기 두 개의 체임버를 이들의 대향단부에 인접하여 상호 연결하는 다른 한쌍의 제1 및 제2의 평행한 통로를 형성하는 수단: 상기 제1통로와 관련되어 상기 내측 체임버로부터 상기 외측 체임버로 상기 제1통로를 통하는 유체흐름을 억제하고 또 상기 외측 체임버로부터 상기 내측 체임버로 상기 제1통로를 통하는 비교적 자유로운 유체의 흐름을 때때로 허용하는 압력반응 체크밸브수단: 상기 제2통로를 통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통로를 통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통로의 각각의 통로와 관련되어 상기 제2통로와 관련하여 그에 인접 위치된 두 개의 이동 가능한 밸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능한 밸브부재의 각각이 흐름제한위치와 흐름 허용위치 사이로 이동되어 이들 위치에서 상기 각 밸브부재가 상기 제2통로의 상기 밸브부재와 관련된 통로를 통하는 비교적 제한된 유체흐름과 비교적 제한되지 않은 유체흐름만을 허용하고 상기 두 개의 밸브부재 중의 하나는 상기 두 개의 위치중의 하나의 위치를 점유하는 반면에 상기 두 개의 밸브부재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두 개의 위치 중의 다른 하나의 위치를 점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밸브수단: 및 상기 두 개의 밸브부재의 두 개의 위치의 신속하고 동시에 일어나는 반전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이동 가능한 밸브부재의 부근에 자계를 발생하는 자계발생수단 및 상기 밸브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1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밸브부재를 제1방향으로 구동하고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에 응답하여 반대방향으로 상기 밸브부재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자계와 협동할 수 있는 전류전도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기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의 각각은 환상의 형태의 것으로 일부분은 복합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합재료는 상기 밸브부재의 중심축을 둘러싸여 상기 밸브부재의 후프강도를 증진시키는 고강도 필라멘트 재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기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는 상기 필라멘트가 매입되는 견고하고 강한 플라스틱 매트릭스 재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기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는 제로 이하의 열팽창 계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기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는 부의 열팽창 계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기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밸브부재는 경량의 비자성금속으로 형성되는 환상본체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재료는 상기 환상본체부분에 의하여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기 조립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발생수단은 상기 체임버 사이에 위치되며 자성재료로 형성된 원통형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각각 상기 내측벽의 대향단부분을 둘러싸며 상기 대향단부부분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벽의 상기 단부부분의 열팽창 계수보다 적은 열팽창 계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기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발생수단은 상기 내측벽 주위에 권취되며 상기 실린더의 상기 외측 체임버내에 위치되는 전류전도 코일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기 조립체.
  10. 피스톤-실린더 형태의 것으로 상기 실린더의 대향단부부분 사이로 작동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유체안내수단과 상기 유체 안내수단을 통하는 작동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코일 형태의 밸브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수단은 권취된 전기권선 내의 전류의 도통에 응답하여 축방향 이동을 받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환상부재를 포함하는 유압 제동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재는 부분적으로는 높은 후프강도와 견고성 및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복합재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기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는 상기 환상부재의 중심축에 대하여 90°의 각도로 상기 환상부재의 주위에 권취되는 고강도 필라멘트 재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동기 조립체.
KR1019880009206A 1987-08-05 1988-07-21 유압 제동기 조립체 KR910003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81,841 1987-08-05
US07/081,841 US4838392A (en) 1987-08-05 1987-08-05 Semi-active damper for vehicles and the li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564A KR890003564A (ko) 1989-04-15
KR910003531B1 true KR910003531B1 (ko) 1991-06-04

Family

ID=2216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206A KR910003531B1 (ko) 1987-08-05 1988-07-21 유압 제동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38392A (ko)
EP (1) EP0302587A3 (ko)
JP (1) JPS6449730A (ko)
KR (1) KR910003531B1 (ko)
CA (1) CA129791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4480A1 (de) * 1988-04-29 1989-11-09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daempfung von bewegungsablaeufen
DE3816821A1 (de) * 1988-05-18 1989-11-23 Lisega Kraftwerktech Gmbh Hydraulische stossbremse
JPH02142942A (ja) * 1988-11-25 1990-06-01 Atsugi Unisia Corp 液圧緩衝器
US4898264A (en) * 1989-04-03 1990-02-06 Lord Corporation Semiactive damper with motion responsive valve means
US5050712A (en) * 1989-04-25 1991-09-24 Enertrols, Inc. Shock absorber
DE3921239C1 (ko) * 1989-06-29 1991-02-07 August Bilstein Gmbh & Co Kg, 5828 Ennepetal, De
FR2664007B1 (fr) * 1990-06-28 1994-11-04 Siemens Automotive Sa Amortisseur hydraulique pilote pour vehicule automobile.
US5178239A (en) * 1991-01-15 1993-01-12 Ride On, Inc. Shock absorber
US5347771A (en) * 1991-06-20 1994-09-20 Kajima Corporation High damping device for seismic response controlled structure
US5276622A (en) * 1991-10-25 1994-01-04 Lord Corporation System for reducing suspension end-stop collisions
US5396973A (en) * 1991-11-15 1995-03-14 Lord Corporation Variable shock absorber with integrated controller, actuator and sensors
US5207774A (en) * 1991-11-27 1993-05-04 Lord Corporation Valving for a controllable shock absorber
US5276623A (en) * 1991-11-27 1994-01-04 Lord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suspension deflection
US5595372A (en) * 1993-03-11 1997-01-21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Semi-active vibration mitigation assembly
GB9311999D0 (en) * 1993-06-10 1993-07-28 Oleo Int Holdings Ltd A hydropneumatic cushioning device
US5390121A (en) * 1993-08-19 1995-02-14 Lord Corporation Banded on-off control method for semi-active dampers
US5660255A (en) * 1994-04-04 1997-08-26 Applied Power, Inc. Stiff actuator active vibration isolation system
US5511759A (en) * 1994-05-26 1996-04-30 Steelcase, Inc. Hydraulic chair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5590745A (en) * 1995-06-19 1997-01-07 Bridgestone/Firestone, Inc. Vibration damping device using ER fluids having multiple electrodes
US5603387A (en) * 1995-09-06 1997-02-18 Applied Power, Inc. Active vehicle suspension system
US5975508A (en) * 1995-09-06 1999-11-02 Applied Power Inc. Active vehicle seat suspension system
US6053510A (en) * 1998-02-03 2000-04-25 Ford Motor Company Vehicle active tilt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actuators
US6053269A (en) * 1998-08-13 2000-04-25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Vehicle/bridge vibration mitigation assembly
JP4371342B2 (ja) * 2000-09-01 2009-11-25 株式会社ショーワ 油圧緩衝器のチューブ構造及びチューブ製造方法
US20030192755A1 (en) * 2002-04-16 2003-10-16 Barbison James M. Shock absorber with toroidal solenoid adjustable damping
AU2003297728A1 (en) * 2002-12-09 2004-06-30 Sanders Design International, Inc. Siesmic sensitive mass motion power converter for protecting structures from earthquakes
US6896109B2 (en) 2003-04-07 2005-05-24 Csa Engineering, Inc. Magnetorheological fluid vibration isolator
US7216747B2 (en) * 2004-10-14 2007-05-15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Amplitude controlled orifice valving
DE102004059653B4 (de) * 2004-12-10 2008-07-31 Liebherr-Aerospace Lindenberg Gmbh Bewegungsdämpfer
US7806390B2 (en) * 2005-11-29 2010-10-05 Dt Swiss, Inc. Spring system, in particular for bicycles
US8302456B2 (en) * 2006-02-23 2012-11-06 Asylum Research Corporation Active damping of high speed scanning probe microscope components
EP2015988B1 (en) * 2006-05-06 2011-07-27 Lord Corporation Helicopter reduced vibration isolator axial support strut
US20080265478A1 (en) * 2007-02-05 2008-10-30 Tyn Smith Wind turbine systems dampers
US8056392B2 (en) * 2007-12-31 2011-11-15 Jri Development Group, Llc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optimizing a vehicle's suspension
EP2156970A1 (en) 2008-08-12 2010-02-24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Multi-point hydraulic suspension system for a land vehicle
US20120273076A1 (en) * 2011-04-28 2012-11-01 Robert Bosch Gmbh Compact hydraulic accumulator
US9028557B2 (en) 2013-03-14 2015-05-12 Freedom Innovations, Llc Prosthetic with voice coil valve
US9763809B2 (en) 2013-08-27 2017-09-19 Freedom Innovations, Llc Microprocessor controlled prosthetic ankle system for footwear and terrain adaptation
US9383388B2 (en) 2014-04-21 2016-07-05 Oxford Instruments Asylum Research, Inc Automated atomic force microscope and the operation thereof
JP6457649B2 (ja) * 2015-09-18 2019-01-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US10598246B2 (en) 2017-06-06 2020-03-24 Reyco Granning, Llc Strut assembly with combined gas spring and damp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69319A (en) * 1954-03-27 1957-03-06 Newton & Bennet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ydraulic shock absorbers
US3321210A (en) * 1966-04-12 1967-05-23 Frederick J Harding Electrically controlled shock absorber system
FR1535463A (fr) * 1967-02-14 1968-08-09 Ressort hydropneumatique auto-correcteur d'assiette à deux chambres et à deux actions d'amortissement
DE2038571A1 (de) * 1970-05-26 1972-02-10 Graef Kurt Peter Stossdaempfer mit konzentrischer Ausgleichkammer
GB1363303A (en) * 1971-07-16 1974-08-14 Blazquez A G Hydraulic shock absolbers
US3843107A (en) * 1972-02-09 1974-10-22 D Atkins Adjustable dual action shock absorber
US3807678A (en) * 1972-09-19 1974-04-30 Lord Corp System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energy between spaced members
US3963882A (en) * 1975-03-14 1976-06-15 Control Data Corporation Boron or graphite reinforced voice coil and manufacturing process
FR2449236A1 (fr) * 1979-02-16 1980-09-12 Brochot Maurice Amortisseur oleo-telescopique a commande pneumatique
US4337849A (en) * 1980-07-24 1982-07-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nergy management damper
JPS57184778A (en) * 1981-05-02 1982-11-13 Aisin Seiki Co Ltd Linear motor type flow amount control valve
US4468050A (en) * 1983-08-15 1984-08-28 Woods Lonnie K Computer optimized adaptive suspension system
US4468739A (en) * 1981-11-17 1984-08-28 Woods Lonnie K Computer optimized adaptive suspension system having combined shock absorber/air spring unit
US4491207A (en) * 1983-07-15 1985-01-01 Lord Corporation Fluid control means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DE3432465A1 (de) * 1984-09-04 1986-03-13 Boge Gmbh, 5208 Eitorf Regelbares daempfungsventil fuer einen hydraulischen schwingungsdaempfer
JPS61163011A (ja) * 1985-01-14 1986-07-23 Nissan Motor Co Ltd 電子制御ショックアブソ−バ装置
DE3524862A1 (de) * 1985-04-12 1986-10-3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daempfung von bewegungsablaeufen
DE3528341C1 (de) * 1985-08-07 1986-05-22 F & O Electronic Systems GmbH & Co, 6901 Neckarsteinach Regelbares Ventil fuer die Kolbenstange eines Schwingungsdaempf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449730A (en) 1989-02-27
EP0302587A2 (en) 1989-02-08
US4838392A (en) 1989-06-13
EP0302587A3 (en) 1989-10-04
CA1297915C (en) 1992-03-24
KR890003564A (ko) 198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531B1 (ko) 유압 제동기 조립체
US4973854A (en) Hydraulic shock-absorber and vibration damper with adjustable damping
US5024301A (en) Hydraulic rebound stop assembly for a shock absorber
KR101727767B1 (ko) 자동차 쇽 업소버
EP1016805B1 (en) Magnetorheological fluid devices
EP0974014B1 (en) Double-acting shock absorber with volume compensation for the stroke of the rod
KR100333435B1 (ko) 감쇠력 제어형식의 유압식 완충기
US6382369B1 (en)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with an external coil
US6131709A (en) Adjustable valve and vibration damper utilizing same
US6390253B1 (en) Magneto-rheological damping apparatus
KR102589604B1 (ko) 완충기 및 완충기의 조립 방법
JPH10205563A (ja) 改良された、位置の影響を受けない、キャビテーション作用のない、差動的な、二方向緩衝器
US6811168B2 (en) Wheel suspension of a motor vehicle
US5551540A (en) Vibration damper and a vibration damper with a valve actuation device
JPH0257740A (ja) 減衰力可変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EP1355081A1 (en) Shock absorber
KR20210126125A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JP2008138757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EP0129363A2 (en) Spring
KR20050046721A (ko) 진동 댐퍼용의 제어 가능한 피스톤 밸브 및 플랩 밸브
US3450235A (en) Self-leveling shock absorber
JP5539629B2 (ja) ピストンシリンダアッセンブリ
CN116997732A (zh) 流体压力缓冲器
DE4041405A1 (de) Sensor zur erfassung der inneren daempfungskraft
GB2191263A (en) Hydraulic oscillation damper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