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439B1 -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 Google Patents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439B1
KR910003439B1 KR1019830001277A KR830001277A KR910003439B1 KR 910003439 B1 KR910003439 B1 KR 910003439B1 KR 1019830001277 A KR1019830001277 A KR 1019830001277A KR 830001277 A KR830001277 A KR 830001277A KR 910003439 B1 KR910003439 B1 KR 910003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base
emitter
transistor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328A (ko
Inventor
알버트 하워드 레오폴드
로렌 샨리 2세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40004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3/04Manually-operated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03G3/10Manually-operated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17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the device being at least one of the amplifying solid state elements of the amplifier
    • H03G1/0023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the device being at least one of the amplifying solid state elements of the amplifier in emitter-coupled or cascode amplifiers

Landscapes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본 발명의 원리를 실현하는 증폭기에 대한 개략적 부분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신호원 34,36 : 부하
40 : DC 바이어스 전압원 50 : 가변 DC 전압원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종속 증폭단을 사용하는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폭단 사이의 이득분포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통합한 새로운 형태의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이득 제어 수단은 증폭기의 제1 및 제2증폭단과 관련되며 그 단은 신호의 증폭을 위해 종속으로 접속된다. 이 이득 제어 수단은 제1 및 제2증폭단의 각 이득을 서로 역 방향으로 동시에 조정하며, 이득은 증폭기의 실직적인 전체 이득이 변경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단 사이의 이득을 변경시키는 크기로 조정된다.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각 이득 제어 증폭단은 자동 증폭기 형태로 배치된 한쌍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호 접속된 에미터 전극은 전류원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에 접속된다. 각 단에 대한 전류원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신호는 공통 바이어스원의 양단에 직렬 접속된다. 가변 DC임피던스는 전류원 트랜지스터중 하나의 베이스-에미터 경로에 병렬로 접속된다. 병렬 임피턴스의 변화로 인하여 각단의 이득이 상보적으로 변화함으로써 각 전류원 트랜지스터의 전압 Vbe이 상보적으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각 단간의 분배 이득이 변하므로, 증폭기의 전체 이득은 임피던스 변화와는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변 DC 임피던스는 추가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미터 단을 포함한다. 가변 바이어스 전류는 추가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경로에 공급되어 추가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경로의 컨덕턴스를 변경시킨다.
본 발명은 신호를 조정가능하게 코어링하는데 의해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의 코어링은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원 제 363,868호 명칭 "조정가능한 코어링 회로"에 기재되어 있다. 그와 같은 코어링 회로 구성에 있어서, 코어될 신호는 선형 증폭기의 입력에 인가되고 제한 증폭기의 입력에 인가되는데, 이들 증폭기의 출력은 역상의 관계로 결합되어 코어 신호를 발생한다. 단 사이의 이득의 분배가 바뀜에 따라 회로의 영향을 받는 코어링 레벨이 바뀐다. 본 예에 있어서 제한 증폭기의 총 이득은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득 분배의 변화가 일어날 경우 선형 증폭기의 이득에 적절히 정합되어 선택된 모든 코어링 레벨로 하나의 완전한 코어링 작용을 한다.
여기에서 고려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응용예로는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IF증폭기의 자동 이득 제어용 시스템에 사용하거나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색도 채널이득의 자동 혹은 수동 제어용시스템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원 명세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단 신호 증폭기의 입력단은 제1차동 증폭기(20)을 포함하며, 그것은 에미터 전극이 상호 접속된 한쌍의 NPN트랜지스터(23,25)를 사용한다. 트랜지스터(23,25)의 베이스 전극은 각각 신호원(11)의 단자(I 및 I′)에 접속되며, 그에 따라 신호원 단자(I, 및 I′)에 나타나는 퍼텐셜 사이의 차를 나타내는 신호가 증폭기(20)에 의해 증폭된다. 상기 증폭된 신호는 동작 퍼텐셜 공급원 퍼지티브 단자(+ V)와 트랜지스터(23 및 25)의 각 콜렉터 전극 사이에 접속된 부하 저항 (24)(26)양단에서 역 위상으로 변형된다. 증폭기(20)의 동작 전류는 NPN 전류원 트랜지스터(21)를 바이어스함으로써 결정되는데, 이 트랜지스터(21)의 콜렉터 전극은 트랜지스터(23 및 25)의 상호 접속된 에미터 전극에 바로 접속되어 있고 그 에미터 전극은 동작 퍼텐셜 공급원의 네가티브 단자(예를 들면, 접지)로 바로 귀환된다.
도시된 다단 신호 증폭기의 출력단은 제1차동 증폭기(20)와 종속 연결된 제2차동 증폭기(30)를 포함한다. 차동 증폭기(30)는 에미터 전극이 상호 접속된 한쌍의 NPN트랜지스터(33,35)를 사용한다. 트랜지스터(33 및 35)의 베이스 전극은 트랜지스터(25 및 23)의 콜렉터 전극에 각각 접속되어, 차동 증폭기(20)의 각 출력에 응답한다. 다단 증폭기의 출력은 +V단자와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 전극 사이에 접속된 부하(34)양단에 나타난다. 다단 증폭기의 역위상으로 변형된 출력은 +V단자와 트랜지스터(35)의 콜렉터 전극 사이에 접속된 부하(36)양단에 나타난다. 증폭기(30)의 동작 전류는 NPN전류원 트랜지스터(31)를 바이어스함으로써 결정되는데, 상기 트랜지스터(31)의 콜렉터 전극은 상호 접속된 에미터 전극에 바로 접속되고 그것의 에미터 전극은 전류원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 전극에 바로 접속된다.
전류원 트랜지스터(31,21)의 베이스-에미터 사이접합을 순방향으로 바이어스하기 위해 DC바이어스 전압원(40)의 퍼지티브 단자가 저항(41)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 전극에 접속되고, 동시에 저항(41)과 트랜지스터(31)베이스의 접합이 바이어스 전압원(40)에 의해 순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극성이 정해진 한쌍의 다이오드(42,43)의 직렬 결합을 경유하여 전압원(40)의 접지된 네가티브 단자로 귀환된다. 부가된 NPN 트랜지스터(53)는 그것의 콜렉터 전극이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 전극에 바로 접속되고 그것의 에미터 전극이 트랜지스터(21)의 접지된 에미터 전극에 바로 접속되도록 배치되며, 그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53)의 콜렉터-에미터 경로는 전류원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에미터 경로와 병렬로 배치하게 된다.
가변 DC전압원(50)의 퍼지티브 단자는 저항(51)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53)의 베이스 전극에 접속되어 있으며, 동시에 저항기(51)와 트랜지스터(53)베이스의 접합부는 전압원(50)에 의해 순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극성이 정해진 다이오드(52)를 경유하여 전압원의 접지된 네가티브 단자로 귀환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다이오드(42 및 52)는 다이오드-접속 형태로 배치된 NPN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그의 콜렉터 단자는 그의 베이스 전극에 바로 접속되어 있다.
도시된 회로의 동작에 있어서, 전압원(50)의 퍼지티브 단자 전압이 변화될 때, 트랜지스터(53)의 바이어싱은 그것의 콜렉터-에미터 경로의 컨덕턴스를 변화시키도록 변하게 된다. 전류원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에미터 경로는 전압원(50)에 의해 저항(51)에 인가된 퍼지티브 전압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DC임피던스와 병렬로 연결된다.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에미터 경로는 (a)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에미터 경로와 (b)트랜지스터(53)의 콜렉터-에미터 경로를 병렬로 결합시킴으로써 전압 분할기를 형성하며, 트랜지스터(53)의 컨덕턴스의 영향을 받는 분할비에 의해서 직렬 접속된 다이오드(42,43)양단에 나타나는 바이어스 전압을 분활한다.
트랜지스터(53)에 의해 발생된 병렬 임피던스가 감소할 때, 전류원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에미터 전압(Vbe)은 감소하며, 전류원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 에미터 저항은 상보적으로 증가한다. 이와 반대로, 트랜지스터(53)에 의해 나타나는 병렬 임피던스가 증가할 때, 트랜지스터(21)의 전압 Vbe은 증가하게 되며, 트랜지스터(31)의 Vbe는 상보적으로 감소한다.
전압원(50)에 의해 공급된 전압의 변화로 인해 차동 증폭기(20 및 30)의 동작 전류는 상보적으로 변화하며, 다단 증폭기의 종속단의 각 이득도 또한 상보적으로 변화한다. 다이오드(42,43)양단에 나타나는 바이어스 전압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트랜지스터(53)에 의해 발생된 DC임피던스의 변화로 인하여, 다단의 동작 전류값의 곱에 비례하는 다단 증폭기의 총 이득은 각 단 사이의 이득 분포가 변화되므로 실제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언급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368,868호에 서술된 코어링(coring)회로에서는 위와 같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그와 같은 이용으로, 차동 증폭기(20 및 30)는 다단 제한 증폭기의 종속단으로 사용되며, 상기 다단 제한 증폭기의 출력은 공통 전압으로부터 입력 신호의 병렬 신호 변환을 공급하는 선형 증폭기의 출력과 역위상의 관계로 결합된다.
전압원(40)에 의해 다이오드(42,43)양단에 발생된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같은 제한 증폭기의 전체 이득이 병렬 선행 변환 경로의 이득과 같게 세트되고, 신호의 결합으로 입력 신호는 정확하게 코어링된다. 그러나 코어링의 심도나 레벨은 전원(50)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의 변화로 제한 증폭기의 종속단간의 이득 분배의 제어를 통하여 변화된다. 입력단 이득을 증가시키는 분배의 이동은 코어링 레벨을 감소시키는 반면에(예를 들면 입력 신호에서 제거된 코어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입력단 이득을 감소시키는 분배의 이동은 코어링 레벨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득 분배 변화에 의해 실제적으로 방해받지 않는 제한 증폭기의 총 이득에 의해서, 코어링의 정확성은 모든 선택된 코어링 레벨에서 보장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적용에 있어서, 다단 증폭기의 총 이득의 독립 변화가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 예를 들어 전압원(40)은 총 이득을 변화시키기 위한 가변 전압을 공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동기 진폭 응답 AGC 시스템에 의하여 구성된 전압원(40)으로, 차동 증폭기(20 및 30)는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다단 IF증폭기의 종속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AGC제어 범위의 어떤 적절한 부분에 걸쳐, 전압원(50)은 AGC시스템에서 발생된 전압에 응답하여 이득 제어점을 한단에서 다른 단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한 동작에 있어서, 전압원(50)의 변화에 따른 영향은 한단의 이득에 대한 전압원(40)의 변화의 영향을 어느 정도로 바꾸어 놓으며, 반면에 전압원(50)의 변화에 따른 작용 효과는 또 다른 단에 대한 전압원(40)의 변화를 강화시킨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동 증폭기(20 및 30)는, 출력단(30)에서 유도된 버스트 성분의 진폭에 응답하는 ACC전압에 의해서 폐쇄 루프 ACC(자동 색도 제어)시스템의 루프안에서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색도 채널의 종속단으로 쓰인다. 수상기의 복조기로 전달된 색도 성분이 출력단(30)에서 발생되지 않고 출력단(20)에서 발생될 경우, 전압원(50)은 예컨대 수동 색도 제어 기능을 수행하여 ACC루프를 교란시키지 않고도 전달된 색도 성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출력단(30)의 출력 진폭이 이득 분배 변화에 의해서 거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두 종속단간의 이득 분배의 특정한 변화량계를 기술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다수의 종속단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말할나위도 없다.

Claims (9)

  1. 종속으로 접속된 제1(20) 및 제2(30)신호증폭단, 및 상기 제1 및 제2신호 증폭단에 연결되어, 증폭기의 전체 이득의 교란없이 상기 증폭단 사이의 이득 분배를 변화시키는 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증폭단의 각 이득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변화시키는 이득 변화수단(50 내지 53)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분배 제어용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DC바이어스 전압원(50)을 구비하고, 상기 제1신호 증폭단(20)이 제 1 전류원 트랜지스터(21)의 콜렉터 전극으로부터 그 동작 전류를 인출하고, 상기 제2신호 증폭단(30)이 제 2 전류원 트랜지스터(31)의 콜렉터 전극으로부터 그 동작 전류를 인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전류원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경로가 상기 DC바이어스 전압원 양단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이득 변화 수단이 상기 전류원 트랜지스터 중 하나의 베이스-에미터 경로 양단에 연결된 가변 DC임피던스(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0) 및 제2(30)신호 증폭단이 각각 베이스 전극, 에미터 전극, 및 콜렉터 전극을 가진 제1(21) 및 제2(31)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신호 증폭단은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으로부터 그 동작 전류를 인출하고, 상기 제2신호 증폭단은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으로부터 그의 동작 전류를 인출하며, DC바이어스 전압원(42,43),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을 순바이어스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경로를 상기 바이어스 전압원 양단에 직렬로 접속시키는 수단(41,42,43)을 포함하는 바이어스 수단, 및 상기 트랜지스터중 하나의 베이스-에미터경로 양단에 연결된 가변 DC임피던스(53)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DC임피던스가 베이스, 에미터 및 콜렉터 전극을 가진 제3트랜지스터(53)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미터 경로가 상기한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에미터 경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경로와 병렬로 접속된 다이오드(52), 가변 DC전압원(50), 및 저항(51)을 포함하며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과 상기 가변 DC전압원 사이를 직류 도통시키기 위한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원이 복수의 직렬 접속된 반도체 접합(42,43)을 포함하고, 이 복수의 반도체 접합과 DC퍼텐셜원(40) 및 제2레지스터(41)의 직렬 결합이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분배 제어용 증폭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증폭단(20)이 각각 베이스, 에미터 및 콜렉터 전극을 가진 제4(23) 및 제5(25)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및 제5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전극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21)의 콜렉터전극에 공통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2신호 증폭단(30)은 각각 베이스, 에미터 및 콜렉터 전극을 가진 제6(33) 및 제7(35)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6 및 제7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전극이 상기 제2트랜지스터(31)의 콜렉터 전극에 공통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증폭될 신호원(11)이 제4(23) 및 제5(25)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6(33) 및 제7(35)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이 상기 제4 및 제5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에 나타나는 증폭 신호에 의해 푸시폴로 구동되고, 푸시폴 출력 신호가 제6 및 제7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트랜지스터가 제1트랜지스터(21)이고, 제 2 저항(41)이 DC 퍼텐셜원(40)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KR1019830001277A 1982-03-31 1983-03-29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KR910003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3869 1982-03-31
US363,869 1982-03-31
US06/363,869 US4464633A (en) 1982-03-31 1982-03-31 Amplifier incorporating gain distribution control for cascaded amplifying st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328A KR840004328A (ko) 1984-10-10
KR910003439B1 true KR910003439B1 (ko) 1991-05-31

Family

ID=2343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277A KR910003439B1 (ko) 1982-03-31 1983-03-29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464633A (ko)
JP (1) JPS58182908A (ko)
KR (1) KR910003439B1 (ko)
AT (1) AT391781B (ko)
AU (1) AU550442B2 (ko)
CA (1) CA1192969A (ko)
DE (1) DE3311639A1 (ko)
DK (1) DK162672C (ko)
ES (1) ES8403676A1 (ko)
FI (1) FI79004C (ko)
FR (1) FR2524734B1 (ko)
GB (1) GB2117584B (ko)
IT (1) IT1172405B (ko)
NZ (1) NZ203750A (ko)
SE (1) SE4545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9709A (en) * 1978-01-13 1980-02-19 Federal Signal Corporation Modular housing assembly for vehicle warning light system
US4651210A (en) * 1984-12-24 1987-03-17 Rca Corporation Adjustable gamma controller
GB2208053B (en) * 1987-08-11 1992-01-29 Soundcraft Electronics Ltd A preamplifier
US5028882A (en) * 1990-03-22 1991-07-02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ple output operational amplifier
JPH06503449A (ja) * 1990-12-17 1994-04-14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的にバイアスされた増幅器
US5404115A (en) * 1993-09-01 1995-04-04 Threepenny Electronics Corporation Variable gain amplifier
US5684429A (en) * 1995-09-14 1997-11-04 Ncr Corporation CMOS gigabit serial link differential transmitter and receiver
JPH1127068A (ja) * 1997-06-30 1999-01-29 Nec Ic Microcomput Syst Ltd 利得制御増幅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5999044A (en) * 1998-04-13 1999-12-07 Credence Systems Corporation Differential driver having multiple output voltage ranges
US6445251B1 (en) * 1998-09-30 2002-09-03 Conexant Systems, Inc. Variable gain amplifier with high linearity and low noise
US6721548B1 (en) * 1999-12-22 2004-04-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igh dynamic range low ripple RSSI for zero-IF or low-IF receive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1421A (en) * 1970-06-08 1972-03-21 Rca Corp Gated amplifier
US3676789A (en) * 1970-11-16 1972-07-11 Derek Bray Low distortion agc amplifier
JPS5754969B2 (ko) * 1974-04-04 1982-11-20
US4051519A (en) * 1975-12-29 1977-09-27 Rca Corporation Phase control circuit suitable for use in a tint control stage of a color television system
US4109214A (en) * 1977-05-31 1978-08-22 Motorola, Inc. Unbalanced-to-balanced signal converter circuit
CA1134463A (en) * 1978-10-13 1982-10-26 Kyoichi Murakami Circuit for converting single-ended input signals to a pair of differential output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520962A0 (es) 1984-03-16
DK162672C (da) 1992-04-13
AU1279683A (en) 1983-10-06
FI79004B (fi) 1989-06-30
KR840004328A (ko) 1984-10-10
IT8320302A0 (it) 1983-03-25
CA1192969A (en) 1985-09-03
DK148683D0 (da) 1983-03-30
DK162672B (da) 1991-11-25
SE8301633D0 (sv) 1983-03-24
FI831012A0 (fi) 1983-03-24
FI831012L (fi) 1983-10-01
GB2117584B (en) 1985-11-27
NZ203750A (en) 1985-08-30
FR2524734B1 (fr) 1989-12-22
SE454553B (sv) 1988-05-09
SE8301633L (sv) 1983-10-01
JPH0237129B2 (ko) 1990-08-22
FI79004C (fi) 1989-10-10
ATA116183A (de) 1990-05-15
AU550442B2 (en) 1986-03-20
DE3311639C2 (ko) 1988-10-06
AT391781B (de) 1990-11-26
ES8403676A1 (es) 1984-03-16
GB8308451D0 (en) 1983-05-05
US4464633A (en) 1984-08-07
FR2524734A1 (fr) 1983-10-07
DK148683A (da) 1983-10-01
IT1172405B (it) 1987-06-18
GB2117584A (en) 1983-10-12
JPS58182908A (ja) 1983-10-26
DE3311639A1 (de) 198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9352A (en)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US4540951A (en) Amplifier circuit
US4586000A (en) Transformerless current balanced amplifier
GB1467057A (en) Amplifier with over-current protection
GB1529068A (en)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GB1419748A (en) Current stabilizing arrangement
KR20010020410A (ko) 선형성 및 대역폭이 개선된 가변 이득 증폭기
KR910003439B1 (ko) 이득 분배 제어용 증폭기
EP0004099A1 (en) Electrically variable impedance circuit
US4121169A (en) Amplifier device
US3786362A (en) Balanced output operational amplifier
US3699464A (en) Deadband amplifier circuit
US4254379A (en) Push-pull amplifier circuit
US3629717A (en) Circuit arrangement for stabilizing against variations in temperature and supply voltage
US4357578A (en) Complementary differential amplifier
GB2297447A (en) Amplifier
US4369410A (en) Monolithically integrable transistor amplifier having gain control means
EP0164182B1 (en) Jfet active load input stage
US5028882A (en) Multiple output operational amplifier
JPS6218980Y2 (ko)
US4524330A (en) Bipolar circuit for amplifying differential signal
JPH05235658A (ja) 増幅器
US4553107A (en) Current mirror circuit having stabilized output current
US5119041A (en) High gain differential current amplifier having a low output voltage
GB1537484A (en) Transistor amplifier with over-current prevention circui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