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570Y1 - 부품공급기의 위치판별회로 - Google Patents

부품공급기의 위치판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570Y1
KR910002570Y1 KR2019860006917U KR860006917U KR910002570Y1 KR 910002570 Y1 KR910002570 Y1 KR 910002570Y1 KR 2019860006917 U KR2019860006917 U KR 2019860006917U KR 860006917 U KR860006917 U KR 860006917U KR 910002570 Y1 KR910002570 Y1 KR 910002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feed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6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9386U (ko
Inventor
김철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6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570Y1/ko
Publication of KR870019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93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5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2Integration of non-optical monitoring devices, i.e. using non-optical inspection means, e.g. electrical means, mechanical means or X-r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88Ergonomics; Operator safety; Training; Failsaf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품공급기의 위치판별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타이밍챠트.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D플립플롭 2 : 카운터
3 : 슬릿트감지부 4, 5, 8 : 랫치회로
6 : 중앙처리장치 7 :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
9 : 경보구동부 AD1-AD3: 앤드게이트
PT1, PT2: 포토커플러 IV1: 인버터
EA, EB : 엔코오더신호 Z : 모우터1회전신호
MD : 모우터 드라이브신호
P : 위치확인신호
본 고안은 부품 삽입기에 다 부품을 공급하게 되는 부품공급기의 위치를 판단하여 그것이 정확한 위치에 도달했을 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품공급기의 위치 판별회로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PCB)에다 부품을 삽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부품들을 부품공급기로 공급해 주게 되는데, 이때 쓰여지는 부품공급기로는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각종 콘덴서와 같은 부품들을 리이드를 테이핑한 두루말이 형태로 공급해 주고있는바, 이러한 부품공급기는 인쇄회로 기판에 삽입하게 되는 헤드의 좌우로 부품들을 이동시켜주면서 특정부품들을 하나씩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경우 부품공급기를 좌우로 이동시켜주기 위해서는 DC서어보모니터로 볼스트류를 구동시키도록 되어있어서 부품공급기를 특정부품이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현재 부품공급기로부터 이동할 위치까지의 거리를 판단하여 일정거리만큼 수치제어한 모우터를 저속으로 구동시키다가 부품삽입기에 설치되어 있는 슬릿트를 감지했을때 부품삽입기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슬릿트를 감지하는 오차와 더불어 슬릿트 감지후 부품공급기가 정지된 위치상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위치오차가 발생된 상태에서 헤드로 하여금 부품을 삽입하게 되도록 하므로써 부품이 잘못삽입 되거나 에러가 발생가게 되는경우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들을 해소 시켜주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써, 모우터가1회전할때마다 부품공급기를 1부품간격만큼씩 이동시켜주도록된 상태에서 모우터의 엔코오더신호로서 중앙처리장치에다 인처럽트신호를 공급해서 부품공급기의 정지위치에 대한 오차를 최소로 줄임과더불어, 슬릿트를 통해 부품공급기의 위치를 판단하여 정착한 위치에 도달해 있을때 비로소 부품을 삽입하도록 하여 부품삽입의 신뢰도를 높일수 있도록된 부품공급기의 위치판별회로를 제공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엔코오더신호 입력단(EA) (EB)에다 방향판별용 D 플립플롭(1)과 앤드게이트(AD1) (AD2)를 차례로 매개하여 카운터(2)를 연결하고, 상기 D 플립플롭(1)의 출력단(Q)과 슬릿트감지부(3)및 카운터(2)에는 랫치회로(4) (5)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엔코오더신호 입려단(EA) (EB)과 모우터1회전신호 입력단(Z)에는 앤드게이트(AD3)를 매개하여 중앙처리장치(6)의 인터럽트 입력단(INT)을 연결하고, 인터럽트신호를 계수하여 모우터구동을 제어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6)에는 상기 랫치회로(4) (5)와 디지탈/아날로그캔버터(7)및 랫치회로(8)를 연결하며, 상기 랫치회로(8)의 출력단(Q)에는 포커플러(PT1)를 매개하여 부저(BZ)와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비하고 있는 경보구동부(9)를 연결하여서 된 구조로 되어있다.
미 설명부호 IV1은 인버터, PT1는 포토커플러, TR1, TR2는 트랜지터 MD는 모우터구동신호 출력단을 나타낸다.
제1도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는 본 고안의 회로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부품공급기를 이송시키는 구동원으로 서의 모우터가 회전함에 따라 엔코오더신호(EA) (EB)가 90°의 위상차로 발생되게 되는데, 이때 모우터가 1회전할때 부품공급기의 이송간을 1부품간격만큼으로 되도록 기구적구조를 조정해 놓게 되므로써 중앙처리장치(6)에서는 모우터의 1회전신호(Z)로부터 부품공급기의 이송거리를 인식 하게된다. 다음에 부품 공급기가 정확한 위치에 정지해 있는지를 슬릿트감지부(3)를 통하여 인식하게 되므로써 정확한 위치이면 부품삽입을 실행하게 하고, 정확한 위치가 아니면 에러처리를 하게되는 것이다.
우선 중앙처리장치(6)에서는 부품공급기를 이송시킬 위치를 결정한 다음에 현재의 위치로부터 이송시킬 위치까지를 계산하여 디지탈/아나로그킬버터(7)측으로 모우터구동을 위한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디지탈/아날로그컨버터(7)에서는 입력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모우터률 구동시키도록 모우터드라이브신호(MD)를 출력시키게 되는데, 이에 따라 모우터가 회전하면서 제2도의(가) (나)와 같은 엔코오더신호(EA) (EB)을 출력시킨다. 이 엔코오더신호(EA) (EB)는 D플립플롭(1)에 의해 그 위상차에 의하여 방향이 판별되므로써 앤드게이트(AD1) (AD2)중의 하나를 통하여 카운터(2)에 펄스신호를 공급한다. 따라서 카운터(2)는 모우터의 회전에 비례하는 펄스의 수를 계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모우터가 1회전하게 되면 모우터 1회전신호(Z)가 제2도의(다)와 같이 출력되므로써 엔코오더신호(EA) (EB)와 함께 앤드게이트(AD3)에서 조합되어 제2도의(라)와 같은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이 신호는 중앙처리장치(6)와 인더럽트단자(INT)에 공급된다.
이러한 인터럽트신호는 모우터가1회전했다는 것을 뜻하고, 이는 곧 부품공급기의 간격이 1부품간격만큼 이송되었다는 것을 뜻하게 되는데, 중앙처리장치(6)에서 계산된 부품공급기의 이송거리가 인터럽트신호로부터 판단된 거리와 같은 지를 비교하여, 다른면 디지탈/아날로그컨버텀(7)에 이송데이터를 계속공급하므로써 부품공급기를 계속 이동시키고, 같으면 부품공급기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이때 중앙처리장치(6)로 부처 디지탈/아날로그컨버터(7)에 공급하는 이송데이터는 어느 일정거리까지는 최대속도로 이송시키다가 일정거리로부터 부품공급기를 정지시킬 위치 까지는 저속으로 되돌 공급 하므로써 정지위치의 오차를 줄이게되는데, 일정거리는 현재부품공급기의 위치와 이송될 위치사이의 이송거리를 기초로 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된다.
모우터가 정지된 이후에 중앙처리장치(6)에서는 슬릿트감지부(3)를 체크하여 부품공급기가 정확한 위치에 도달해 있는지를 판별하게 되는데, 부품공급기의 각 부품간격마다에는 슬릿트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슬릿트를 포토커플러(PT2)로써 감지할수가 있다.
즉 부품공급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중앙처리장치(6)에서 슬릿트검지신호(P)를 제2도의(아)와 같이 출력시키면 부품공급기가 정확한 위치에 있어서 슬릿트가 감지될 경우 슬릿트감지부(3)에서는 인버터(IV1)를 통하여 로우레벨의 신호를 랫치회로(4)에 공급하고, 정확한 위치에 오지 못했으면 포토커플러(PT2)가 차단되게 되므로 랫치회로(4)에 하이레벨신호를 공급하게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6)에서는 랫치회로(4)의 출력을 체크하여 부품공급기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후 중앙처리장치(6)에서는 부품공급기의 위치가 정확하면 헤드로 하여금 부품삽입실행을 하도록 하고, 부품공급기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다면 랫치회로(8)에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랫치회로(8)에 신호가 공급되면 이는 에러신호로써 포토커플러(PT1)매개하여 경보구동부(9)에 공급되는데, 이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가 점등되어 경보가 표시됨과 더불어 부저(BZ)가 구동되어 경보음이 발생된다.
이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의 이상상태를 알려주어 적당한 조치를 하게 하므로써 부품의 오삽입이나 에러를 방지할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모우터의 엔코오더신호로써 부품공급기의 위치를 제어하고, 슬릿트감지를하여 주품공급기의 정확한 위치를 판별하여 부품삽입실행을 하게 하므로써 부품삽입의 신뢰도를 높일수 있는 장점이있다.

Claims (1)

  1. 엔코오더 신호입력단(EA) (EB)에 다 방향판별용 D플립플롭(1)과 앤드게이트(AD1) (AD2)를 차례로 매개하여 카운터(2)를 연결하고, 상기 D플립플롭(1)의 출력단(Q) 및 스릿트감지부(3)와 카운터(2)에는 각각의 랫치회로(4) (5)를 연결하여, 상기 엔코오더신호입력단(EA) (EB)과 모우터 1회전신호입력단(Z)에는 앤드게이트(AD3)를 매개하여 중앙처리장치(6)의 인터럽트단(INT)을 연결하고, 인터런트신호를 계수하여 모우터구동을 제어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6)에는 상기 랫치회로(4) (5)와 디지탈/아날로그컨버터(7)및 랫치회로(8)를 연결하여, 상기 랫치회로(8)의 출력단(8)에는 포토커플러(PT1)를 매개하여 부저(BZ)와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비하고 있는 경보구동부(9)를 연결하여서된 부품공급기의 위치판별회로.
KR2019860006917U 1986-05-19 1986-05-19 부품공급기의 위치판별회로 KR910002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917U KR910002570Y1 (ko) 1986-05-19 1986-05-19 부품공급기의 위치판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917U KR910002570Y1 (ko) 1986-05-19 1986-05-19 부품공급기의 위치판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9386U KR870019386U (ko) 1987-12-28
KR910002570Y1 true KR910002570Y1 (ko) 1991-04-22

Family

ID=1925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6917U KR910002570Y1 (ko) 1986-05-19 1986-05-19 부품공급기의 위치판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5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9386U (ko) 198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46365A1 (en) Label feed control system
KR910002570Y1 (ko) 부품공급기의 위치판별회로
JP3012749B2 (ja) 基板レール幅寄せ装置
EP0151425A2 (en) Paper feed control in a printer
EP0128959A1 (en) Numerical control apparatus
EP0237511B1 (en) Arrangement of a hand wheel on a sewing machine
EP0699608B1 (en) Sheet conveyor
JPH0297297A (ja) 駆動系の異常検出装置
US4922176A (en) Electronic absolute coordinate encoder for positional control devices
JPH06209186A (ja) 基板レール幅寄せ装置
JPS6247143B2 (ko)
KR0129983B1 (ko) 모터 제어장치
EP0574931A1 (en) Device for controlling reverse rotation of motor and method of judging time point where motor is actually rotated in reverse direction
JP4225537B2 (ja) 電子部品実装機のフィーダ管理システム
KR890002807Y1 (ko) 나사 자동 체결기용 나사 공급장치
KR0159584B1 (ko) 피치이송 제어회로
KR920008059Y1 (ko) 상하한 검출에 의한 모터구동 전원제어회로
JPS6123972A (ja) 速度検出装置における異常検知装置
KR930008240B1 (ko) 복사용 연속용지 급지시스템의 구동장치
US5149215A (en) Carriage position error detection in a serial printer
KR900009478Y1 (ko) 2축 제어 스테핑 모우터의 회전방향 식별장치
JP2792092B2 (ja) 回転数検出器
JPH0313631B2 (ko)
JPS57117438A (en) Paper feed detecting method
JPH058800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