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642Y1 - 키이보드 경사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키이보드 경사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642Y1
KR910001642Y1 KR2019860008737U KR860008737U KR910001642Y1 KR 910001642 Y1 KR910001642 Y1 KR 910001642Y1 KR 2019860008737 U KR2019860008737 U KR 2019860008737U KR 860008737 U KR860008737 U KR 860008737U KR 910001642 Y1 KR910001642 Y1 KR 910001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mounting groove
tightening
push knob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194U (ko
Inventor
한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8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642Y1/ko
Publication of KR880001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1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a keyboard, e.g. pivot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이보드 경사면 조절장치
제1도는 이 고안의 측면도.
제2도는 이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이 고안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제5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이보드본체 2b : 상부 설치홈
2c : 하부 설치홈 3 : 푸쉬노브
3a : 단턱 4 : 조임구
4a, 6a : 걸림턱 4b : 할개부
5 : 압축 스프링 6 : 작동부
이 고안은 CRT 터미날의 키이보드릍 이용하여 데이타를 입력시키는 오퍼레이터의 신체나 취향에 알맞게 키이보드 경사각도를 임의 조절하여, 가장 편리한 자세에서 오퍼레이터가 작업을 할 수 있게하므로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오퍼레이터의 편의를 도모코자 한 것에 목적을 둔 키이보드 경사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키이보드 경사각도는 일반인의 신체에 맞게 고정된 경사도를 가지고 있으므로서, 키이보드를 이용하는 오퍼레이터의 신체나 취향에 맞지않아 작업 능률을 저하시킬 뿐만아니라 오퍼레이터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므로서, 키이보드의 경사면을 조절하고자 책등의 받침간을 받쳐서 경사면을 조절하여야 하는등의결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오퍼레이터가 원하는 임의의 경사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키이보드 경사면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이보드 본체(1)의 상부 소정위치에 키이보드의경사면 조절장치는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키이보드 본체(1)의 상부 소정위치에는 상부 내측에 푸쉬노브 삽입지지용 상부 설치홈(2b)을 형성하고, 그 하방본체(1) 바닥에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하부 설치흠(2c)을형성하였다. 그뒤, 하단 전둘레에 단턱(3a)를 형성한 푸쉬노브(3)를 상기 상부 설치흠(2b)의 내측에는 상향설치하며서, 그 하방에는 상부에 걸림턱(6a)을 형성한 작동봉(6)을 삽입시킨 조임구(4)가 외측에 압축스프링(5)을 키운 상태로 상기 하부 실치흠(2c)애 탄력적으로 삽입 설치하였다. 상기 조임구(4)는 중앙에 상기작동봉(6) 삽입용 삽입공(4c)을 형성하면서 상측에는 상부로 푸쉬노브(3)의 하단 지지하여 하측에는 압축스프링(5)이 걸려지는 걸림턱(4a)을 형성하였고, 그 하방 조임부는 상부가 좁고 하방이 넓은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조임부는 다수개의 할개부(4b)를 형성하여 조임구(4) 자체에 소정의 신축성을 부여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이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오퍼레이터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키이보드 경사면을 조절하고자 할때에는 키이보드의 상부를 한손으로 들고 한손으로는 키이보드 본체(1)의 윗면판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푸쉬노브(3)를 누르게 되며, 푸쉬노브(3)가 하강함에 따라 그 하방과 접촉하고 있는 조임구(4)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 조임구(4)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넒게형성되었으며, 그와 동일형태로 형성된 하부 설치흠(2c)에 삽입된 상태이여서, 상기 하부 설치흠(2c)내에서조임구(4)가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조임구(4)의 상부 좁은 목부분이 헐거워지게 되며, 그에따라 조임구(4)가먼저 위치 고정시 수축되어 작동봉(6)을 죄고 있던것이 할개부(4b)의 소정의 신축성에 의해 조임구 하방의 외경이 다소 확장되게 된다.
이렇게 할개부(4b)'에 의해 조임구(4)가 다소 팽창되게 되면, 조임구(4)의 삽입공(4c)에 삽입되어 있던작동봉(6)을 조여주는 클램핑력이 해제되면서 자중에 의해 제3도와 같이 작동봉(6)이 하강하게 된다.
그뒤, 푸쉬노브(3)의 누름동작을 멈추게 되면, 조임구(4)의 걸림턱(4a)과, 하부 설치흠(2c) 상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압축 스프링(5)의 탄력에 의해 푸쉬노브(3)아 조임구(4)가 상승하면서, 조임구(4)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하부 설치흠(2c)을 따라 상승하게 되며, 점진적로 좁아지는 하부설치흠을 따라 조임구(4)가 올라감에 따라 조임구(4)는 할개부(4b)에 의해 소정의 폭만큼 수축되면서 그 내측의 작동봉(6)을 조여주게되어 작동봉(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동작되는 이 고안은 푸쉬노브만 눌러주면 그 내측의 조임구의 쐐기 작용에 의해 작동봉의 위치를 견고하고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해서, 키이보드의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결과가 되는 것이어서, 오퍼레이터의 취향에 맞게 경사면을 조절할 수 있게하여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한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키이보드 본체(1)의 경사각도 조절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 상기 키이보드 본체(1)의 상부측 상하부 내측에는 푸쉬노브 지지용 상부 설치흠(2b)과,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조임구 조임 안내용 하부 설치흠(2c)을형성하고, 상기 상부 설치흠(2b) 내에는 하부 전둘레에 단턱(3a)을 구비한 푸쉬노브(3)를 삽입 설치하였으며, 그 하방 하부 설치홈(2c)에는 상기 푸쉬노브(3)의 누름동작에 의해 하강되면서, 그 내측에 삽입된 작동봉(6)을조여주는 조임구(4)가 외측에 압축 스프링(5)을 끼운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 경사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4)는 상기 하부 설치흠(2c)과 동일형태로 형성되면서 상측에는 걸림턱(4a)을 형성함과 동시엘 하방에는 다수개의 할개부(4b)를 절개 형성하여 신축성을 부여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보드 경사면 조절장치.
KR2019860008737U 1986-06-21 1986-06-21 키이보드 경사면 조절장치 KR910001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737U KR910001642Y1 (ko) 1986-06-21 1986-06-21 키이보드 경사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737U KR910001642Y1 (ko) 1986-06-21 1986-06-21 키이보드 경사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194U KR880001194U (ko) 1988-02-23
KR910001642Y1 true KR910001642Y1 (ko) 1991-03-18

Family

ID=1925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737U KR910001642Y1 (ko) 1986-06-21 1986-06-21 키이보드 경사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6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194U (ko) 198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31271A1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locking assembly
US6042314A (en) Fasten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for installing a thin layer of material at an adjustable distance from a support
US5813720A (en) Baby walker
KR910001642Y1 (ko) 키이보드 경사면 조절장치
JPH0531967Y2 (ko)
KR840001144Y1 (ko) 선풍기의 고저 조절장치
KR200381999Y1 (ko) 책상 높이조절장치
KR840000872Y1 (ko) 씽크대의 높이 조절장치
KR890005112B1 (ko) 회전 의자의 등판 각도 조절 장치
JP2555364Y2 (ja) 昇降スタンドにおける損傷防止構造
KR920005129Y1 (ko) 의자 지지축
JPH0562712U (ja) 器具取付け構造
KR200173856Y1 (ko) 나사봉을 튜브에 고정시키기 위한 이중 너트 결속 구조
JPH0342544Y2 (ko)
JPH11271879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S6041249Y2 (ja) 支持装置
KR880002665Y1 (ko) 알미늄 스크린 압력조절 인쇄판
KR880000748Y1 (ko) 벽걸이용 전자레인지의 고정장치
KR970012331A (ko) Vcr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KR890007273Y1 (ko) 키이보오드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KR200378233Y1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970006630Y1 (ko) 대패날 게이지
KR100274211B1 (ko)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JPH0750959Y2 (ja) きゅうりのじゃばら切り具
JPS61237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