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211B1 -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211B1
KR100274211B1 KR1019980018627A KR19980018627A KR100274211B1 KR 100274211 B1 KR100274211 B1 KR 100274211B1 KR 1019980018627 A KR1019980018627 A KR 1019980018627A KR 19980018627 A KR19980018627 A KR 19980018627A KR 100274211 B1 KR100274211 B1 KR 100274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chair
cylinder
height
taper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930A (ko
Inventor
박수찬
이영신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정명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정명세
Priority to KR101998001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42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47C3/285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with radially expansible clamping elements telescopically engaged in a tub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오발과 하단이 장착 고정되고 래치(Latch)가 내부에 장착된 외부실린더와, 의자의 좌판과 상단이 장착 고정되고 플렌저가 삽입되며 탄성으로 벌어짐 가능한 콜렛단을 하부에 갖는 콜렛 실린더로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외부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콜렛실린더를 탄성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시켜 이루어진 높이조절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플렌저 상단에 형성되는 핸들을 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의자의 좌판과 장착된 콜렛실린더가 상하로 조절 이동되며,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외부실린더 내부의 래치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의자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본 발명은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오발과 고정되는 외부실린더의 내부로 의자의 좌판과 고정되고 플렌저가 삽입된 콜렛실린더를 탄성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하여, 플렌저 상단의 핸들을 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콜렛실린더가 상하로 조절 이동됨으로써, 의자의 좌판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되어지는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무용의자 및 그 밖에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의자의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앉았을 때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내부에 쿠션등이 포함된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형상은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등받이가 뒤로 탄성 젖힘되도록 제작되어진다,
또한 상기 의자는 책상의 높이와 형상, 그 밖의 사무용 집기의 배치등에 따른 사무 환경에 따라 안락하며 편리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의자의 기능중에 가장 중요한 기능은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으로서, 그 이유는 의자의 높이가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조건(신장, 상.하체 길이 등)과 사용하는 책상 및 사무집기등의 높이와 맞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의자의 높이조절장치는 좌판의 저면 중심부와, 의자가 공간 이동을 할 수 있게 롤러를 포함하는 오발의 중앙 사이에 위치되어 높이조절 뿐만아니라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종래에는 의자의 높이조절방식으로서, 스크류 회전을 이용한 조절 방식과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스크류 조절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의자의 좌판 또는 오발을 직접 회전시킴으로서, 의자의 좌판 높이가 상하 조절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높이조절 조작 후에, 연이어 상기 스크류 회전으로 조절된 의자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된 기계적 고정장치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조절 방식은 높이 조절을 위해 반복하여 스크류 회전을 시키는 동시에 기계적 고정장치를 조작 하다보면, 잦은 기계적 고장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방식은 그 사용 방법이 조절 레버의 간단한 조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리하고, 공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의자의 높이조절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는 제작비용이 고가이고, 잦은 높낮이 조절 사용으로 공압실린더내의 피스톤의 접촉면이 마모됨에 따라 공압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게 되어 공압이 현저하게 떨어짐으로써, 의자의 높이조절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의자의 사용 수명에 치명적인 결함을 안겨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의자의 높이가 사용자의 원하는 높이만큼 용이하게 조절 작동되고, 적은 부품과 비용으로 기계적 고장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정된 구조로 이루어진 의자의 높이조절장치를 안출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의자의 오발과 하단이 장착 고정되고 래치(Latch)가 내부에 장착된 외부실린더와, 의자의 좌판과 상단이 장착 고정되고 플렌저가 삽입되며 탄성으로 벌어짐 가능한 콜렛단을 하부에 갖는 콜렛 실린더로 구성하여, 상기 외부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콜렛실린더를 탄성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시켜 이루어진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작용면에서, 상기 플렌저 상단에 형성되는 핸들을 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의자의 좌판과 장착된 콜렛실린더가 상하로 조절 이동되며,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외부실린더내의 래치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의자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한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콜렛 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콜렛 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 3b는 발명에 따른 콜렛 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가 의자에 설치되어 의자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와, 조절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외부실린더 12:콜렛실린더(Collet cylinder)
14:탄성콜렛단 16:삽입단
18:플렌저(Plunger) 20a,20b:테이퍼면
22:래치(Latch) 24:삽입 고정홈
26:외부스프링 28:내부스프링
30:완충스프링 32:간섭방지재
34:오발지지너트 36:의자의 오발
38:볼트 39:조절막대
40:조절간 42a,42b:체결판
100:의자의 높이조절장치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는 의자의 오발(38)과 체결되는 체결판(42a)이 하단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외부스프링(26)이 삽입된 외부실린더(26)와, 이 외부실린더(26)의 내부 바닥면에 차례로 내설되도록 한 완충스프링(30) 및 내주면에 다수의 삽입고정홈(24)을 갖는 래치(22)와, 의자의 좌판과 체결되도록 상부에 체결판(42b)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외부실린더(26)에 삽입 체결되도록 삽입단(24)과 테이퍼면(20a)을 갖는 콜렛단(14)이 형성되며, 내부스프링(28)이 압축 가능하게 내설되는 콜렛실린더(12)와, 상기 콜렛실린더(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스프링(28)에 의해 항상 하향 압축되는 동시에 상기 테이퍼면(20a)에 완착되어져 콜렛단(14)을 바깥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하단에 테이퍼면(20b)을 갖는 플렌저(18)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플렌저(18)의 상면과 일체가 되어 콜렛실린더(12)의 상부로 도출되는 조절막대(39)가 형성된 조절간(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콜렛 실린더(12)의 콜렛단(14)은 4개의 다리 형태로서, 상기 삽입단(16)은 각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테이퍼면(20a)은 상기 삽입단(16)과 대향되는 위치의 안쪽면에 20°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간(40)의 플렌저(18)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면(20b)도 상기 테이퍼면(20a)에 밀착되도록 20°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서, 상기 테이퍼면(20b)이 상기 테이퍼면(20a)에 밀착되며 상하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콜렛단(14)이 탄성으로 벌어지거나 수축되어 콜렛단(14)의 삽입단(16)이 상기 래치(22)의 삽입고정홈(24)에 삽입 및 이탈되어진다.
한편, 상기 의자의 오발(36)과 체결되는 외부실린더(10)의 체결단(42a) 저부 중앙에는 오발(36)의 저면에서 관통되는 볼트가 체결되도록 한 오발지지너트(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실린더(10)의 내경면과 콜렛실린더(12)의 외경면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실린더(10)의 상부쪽 내경면에 간섭방지재(32)를 장착 고정시켜, 이 간섭방지재(32)의 내면과 상기 콜렛실린더(12)의 외경면과는 슬라이드 접촉되도록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콜렛 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100)의 일부 단면 분리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구성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은 중공형의 외부실린더이다.
상기 외부실린더(10)는 상부가 개방된 일정 직경의 원통형 중공체로서, 하부에는 다소 큰 직경의 체결판(42a)이 일체로 성형되어 밀폐되어진 형태이다.
또한 상기 외부실린더(10)의 체결판(42a) 저면에는 밑으로 돌출된 돌출단이 일체로 성형되되, 이 돌출단의 저면 중앙에는 일정 깊이의 오발지지너트(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의자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 바퀴가 달린 의자의 오발(36) 중앙 상면에 상기 돌출단의 오발지지너트(34)면을 밀착시킨 후, 상기 의자의 오발(36) 중앙 저면으로부터 상기 오발지지너트(34)로 볼트(38)를 삽입 체결시킴으로서, 상기 의자의 오발(36)과 외부실린더(10)가 서로 체결되어진다.
한편, 상기 외부실린더(10)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의 전체 길이보다 다소 긴 외부스프링(26)이 압축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 이때 외부스프링(26)의 하단이 외부실린더(10)의 체결판(42a) 상면에 올려짐으로서, 외부스프링(10)이 압축 가능한 상태가 되어진다.
또한, 상기 외부실린더(10)의 내부 바닥면과 하부쪽 내경면에 걸쳐 4 내지 5의 감김수를 갖는 완충스프링(30)이 밀착되며 압축 가능하게 내설되고, 이 완충스프링(30)의 상단면 위로는 래치(22)가 외부실린더(10)의 내경면과 밀착되며 장착되어진다.
상기 래치(22)는 원통형으로서, 내면에는 횡방향으로 이어진 다수의 삽입고정홈(24)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한 상기 삽입고정홈(24)의 갯수는 5개이다.
여기서 상기 완충스프링(30)과 래치(22)가 내설된 외부실린더(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콜렛실린더(1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콜렛실린더(12)는 상기 외부실린더(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성형된 중공의 원통형으로서, 상단에는 의자의 좌판과 연결 장착되도록 다소 큰 직경으로 중앙에 내부와 통하는 구멍을 갖는 체결판(42b)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체결판(42b)위로는 돌출된 돌출단이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콜렛실린더(12)의 중앙부는 원통형으로 성형되며, 하부에는 콜렛단(14)이 일체로 성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콜렛실린더(12)의 콜렛단(14)은 4개로 분할 절개된 동일한 형상의 다리 형상으로서, 콜렛단(14)의 하단끝 외부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삽입단(16)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삽입단(16)과 대향되는 각 안쪽면에는 하향 경사진 테이퍼면(20a)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콜렛단(14)의 테이퍼면(20a)의 하향 경사각은 20°이다.
한편, 상기 콜렛실린더(12)를 상기 외부실린더(10)에 삽입시키기 이전에 외부실린더(10)의 내경면과 콜렛실린더(12)의 외경면간의 접촉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실린더(10)의 상부쪽 내경면에 원통형의 간섭방지재(32)가 볼팅으로 고정된다.
이에따라 상기 콜렛실린더(12)의 외경면은 상기 외부실린더(10)에 장착 고정된 간섭방지재(32)의 내면과 슬라이드 접촉 가능하게 밀착되어진다,
바람직한 상기 간섭방지재(32)의 재질은 강화플라스틱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이고, 콜렛실린더(12)의 외경면과의 접촉 면적을 줄일수 있도록 양쪽으로 분할된 판재 형태로 제작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완충스프링(30)과, 래치(22)와, 간섭방지재(32)가 내설된 외부실린더(10)에 삽입되는 상기 콜렛실린더(12)에는 내부스프링(28)와 조절간(40)이 내설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내부스프링(28)은 콜렛실린더(12)의 내경면에 밀착 삽입되는 바, 상기 콜렛실린더(12)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판(42b), 즉 구멍을 제외한 체결판(42b) 저면에 상기 내부스프링(28)의 상단이 압축 가능하게 밀착되어진다.
또한, 상기 콜렛실린더(12)에는 조절간(40)이 내설되는데, 이 조절간(40)의 상부는 일정길이의 원형 막대 형상의 조절막대(39)로 형성된다.
상기 조절막대(39)의 하부 끝단에는 상기 콜렛실린더(12)의 테이퍼면(20a)과 완착되도록 동일한 20°의 하향 경사각으로 이루어진 테이퍼면(20b)이 측면 둘레면에 형성된 플렌저(18)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간(40)이 상기 내부스프링(28)이 삽입된 콜렛실린더(12)에 삽입되면, 상기 조절간(40)의 조절막대(39) 상단은 상기 콜렛실린더(12)의 상부 구멍으로 관통되어 외부로 도출되어지고, 상기 플렌저(18)는 상면이 상기 내부스프링(28)의 하단에 의하여 압축되는 동시에 플렌저(18)의 테이퍼면(20b)이 콜렛실린더(12)의 테이퍼면(20a)과 서로 밀착되어진다.
이때, 상기 콜렛실린더(12)의 상부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도출된 조절간(40)의 조절막대(39)의 상단을 수직으로 절곡시켜 조절간(40)을 조절시킬 수 있는 사용자 조작용 조절손잡이를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내부스프링(28)과 조절간(40)이 내설된 콜렛실린더(12)를 상기 외부실린더(10)의 상부 개방부를 통하여 삽입시키게 되면 첨부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콜렛실린더(12)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판(42b)의 저면이 상기 외부스프링(26)을 압착시키면서 외부실린더(10)의 상부 개방부 테두리면에 밀착되어지고, 외부실린더(10)의 내부로 삽입된 중앙 원통부와 하부 콜렛단(14)은 상기 간섭방지재(32)에 의하여 수직으로 지지되어지는 상태로 삽입 체결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체결된 본 발명에 따른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첨부한 도 3a,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사용자가 의자의 높이조절을 하기 이전의 상태는 상기 콜렛실린더(12)의 콜렛단(14)의 테이퍼면(20a)에 상기 조절간(40)의 플렌저(18)의 테이퍼면(20b)이 완착된 상태로서, 이 플렌저(18)에 의하여 콜렛단(14)이 탄성으로 벌어지게 되는 동시에 콜렛단(14)의 삽입단(16)이 상기 외부실린더(10)에 내설된 래치(22)의 삽입고정홈(24)에 삽입되어져 의자의 높이가 일정 높이로 유지된 상태이다.
첨부한 도 3a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일정높이로 유지되어 있는 의자의 높이를 다른 높이로 조절하고자 할 때에 상기 조절간(40)의 조절손잡이를 사용자가 상방향으로 당긴 상태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조절간(40)의 조절손잡이를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조절간(40)의 플렌저(18)와 조절막대(39)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지는데, 이때 플렌저(18)는 상기 내부스프링(28)을 위쪽으로 압축시키면서 상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플렌저(18)의 테이퍼면(20b)이 접촉되어 있는 상기 콜렛실린더(12)의 테이퍼면(20a)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기 때문에, 이 테이퍼면(20a)과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상기 플렌져(18)의 미는힘에 의하여 탄성으로 벌어져 있던 콜렛단(14)이 자체 탄성으로 원위치 복원되면서 상기 콜렛단(14)의 삽입단(16)이 래치(22)의 삽입고정홈(24)에서 이탈되어진다.
연이어, 상기 콜렛실린더(12)의 체결판(42b) 저면에 의하여 압축된 상태로 외부실린더(10)에 삽입되어 있던 외부스프링(26)이 팽창되면서 상기 콜렛실린더(12)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스프링(26)의 최대팽창범위는 상기 상부로 밀려나는 콜렛실린더(12)의 삽입단(16)이 상기 래치(22)의 가장 위에 위치한 삽입고정홈(24)에 위치되도록 하는 범위이다.
여기서, 상기 콜렛실린더(12)의 상방향 이동에 따라 콜렛실린더(12)의 상부와 체결되어 있는 의자의 좌판도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바, 사용자는 원하는 의자의 높이에서 상기 조절손잡이를 그대로 놓게되면, 상기 플렌저(18)가 압축되어 있던 내부스프링(28)의 팽창으로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이 플렌져(18)와 조절막대(39)를 포함하는 조절간(40)이 하방향으로 이동 되어진다.
동시에 상기 하방향 이동된 플렌저(18)의 테이퍼면(20b)과 콜렛실린더(12)의 테이퍼면(20a)간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고, 이와 동시에 플렌저(18)에 의하여 상기 4개로 되어 있는 콜렛단(14)은 탄성으로 바깥쪽을 향하여 벌어지게 된다,
연이어, 상기 바깥쪽으로 벌어진 콜렛단(14)의 삽입단(16)이 사용자의 원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래치(22)의 삽입고정홈(24)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의자의 높이가 되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높이 조절된 의자는 사용자가 앉게 되거나, 그 밖의 이유로 발생되는 충격을 받게되는데, 그 충격은 상기 의자의 좌판으로부터 콜렛실린더(12)의 삽입단(16)과, 이 삽입단(16)이 삽입된 래치(22)의 삽입고정홈(24)으로 전해지게 된다.
이에, 상기 충격은 상기 래치(22) 아래쪽에 내설된 완충스프링(30)에 의하여 용이하게 완충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기계적 고장이 빈번하고 고가의 제작비가 드는 스크류 방식과 공압을 이용한 방식의 높이조절장치에 비하여, 적은 부품수을 사용하여 구성된 장치로서,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안정된 구조로 장기간 사용에도 기계적 고장률이 거의 없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의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는 의자의 오발(38)과 체결되는 체결판(42a)이 하단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외부스프링(26)이 삽입된 외부실린더(26)와, 이 외부실린더(26)의 내부 바닥면에 차례로 내설되도록 한 완충스프링(30) 및 내주면에 다수의 삽입고정홈(24)을 갖는 래치(22)와, 의자의 좌판과 체결되도록 상부에 체결판(42b)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외부실린더(26)에 삽입 체결되도록 삽입단(24)과 테이퍼면(20a)을 갖는 콜렛단(14)이 형성되며, 내부스프링(28)이 압축 가능하게 내설되는 콜렛실린더(12)와, 상기 콜렛실린더(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스프링(28)에 의해 항상 하향 압축되는 동시에 상기 테이퍼면(20a)에 완착되어져 콜렛단(14)을 바깥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하단에 테이퍼면(20b)을 갖는 플렌저(18)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플렌저(18)의 상면과 일체가 되어 콜렛실린더(12)의 상부로 도출되는 조절막대(39)가 형성된 조절간(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렛 실린더(12)의 콜렛단(14)은 4개의 다리 형태로서, 상기 삽입단(16)은 각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테이퍼면(20a)은 상기 삽입단(16)과 대향되는 위치의 안쪽면에 20°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간(40)의 플렌저(18)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면(20b)도 상기 테이퍼면(20a)에 밀착되도록 20°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서, 상기 테이퍼면(20b)이 상기 테이퍼면(20a)에 밀착되며 상하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콜렛단(14)이 탄성으로 벌어지거나 수축되어 콜렛단(14)의 삽입단(16)이 상기 래치(22)의 삽입고정홈(24)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오발(36)과 체결되는 외부실린더(10)의 체결단(42a) 저부 중앙에는 오발(36)의 저면에서 관통되는 볼트가 체결되도록 한 오발지지너트(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실린더(10)의 내경면과 콜렛실린더(12)의 외경면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실린더(10)의 상부쪽 내경면에 간섭방지재(32)를 장착 고정시켜, 이 간섭방지재(32)의 내면과 상기 콜렛실린더(12)의 외경면과는 슬라이드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KR1019980018627A 1998-05-22 1998-05-22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KR100274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27A KR100274211B1 (ko) 1998-05-22 1998-05-22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27A KR100274211B1 (ko) 1998-05-22 1998-05-22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30A KR19990085930A (ko) 1999-12-15
KR100274211B1 true KR100274211B1 (ko) 2000-12-15

Family

ID=1953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627A KR100274211B1 (ko) 1998-05-22 1998-05-22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4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165B1 (ko) * 2010-08-25 2011-04-08 주식회사 지앤드에이엠티 파이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30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749B2 (en) Office chair
US5895095A (en) Adjustable armrest assemblies for chairs
US5823624A (en) Modular height adjustable vehicle seat armrest
US5435626A (en) Armrest-adjusting mechanism
US6220663B1 (en) Pump assembly for a chair
JP2008535595A (ja) 特にオフィス椅子用の肘掛け
KR20180094174A (ko) 회전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스툴 테이블
US6581528B2 (en) Table with telescopic leg unit
US5816556A (en) Adjustable chair stand
KR100274211B1 (ko) 콜렛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KR101385337B1 (ko) 록킹기능을 갖는 높이조절의자
US20020011747A1 (en) Armrest with a push button for controlling level of a chair seat
KR200189892Y1 (ko) 건축용 키높이 장치
KR200488557Y1 (ko) 쿠션기능과 지압기능이 향상된 베개
JPH1042981A (ja) 機器用調整脚
KR100274376B1 (ko) 캠 실린더 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JPH069537U (ja) 椅子等の高さ調整装置
KR200300609Y1 (ko) 책상다리 높이 조절기구
CN218651052U (zh) 一种可多角度旋转调节的扶手
JP4369182B2 (ja) 位置調整固定装置
JP2001120361A (ja) 伸縮部材、筒状体及び成形体
KR950004427Y1 (ko) 운전자용 발받침대
KR200247104Y1 (ko) 옷걸이용 고정지주의 길이조절장치
EP1613191B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degree of preload of the springs in office chair mechanisms
AU3935000A (en) Office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