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593Y1 - 육묘 폿트 상자 - Google Patents

육묘 폿트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593Y1
KR910001593Y1 KR2019880000057U KR880000057U KR910001593Y1 KR 910001593 Y1 KR910001593 Y1 KR 910001593Y1 KR 2019880000057 U KR2019880000057 U KR 2019880000057U KR 880000057 U KR880000057 U KR 880000057U KR 910001593 Y1 KR910001593 Y1 KR 910001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ot
seedlings
box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0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358U (ko
Inventor
김호태
Original Assignee
김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태 filed Critical 김호태
Priority to KR2019880000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593Y1/ko
Publication of KR890016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3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5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육묘 폿트 상자
제1도는 본 고안 육묘상자를 발묘판체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육묘폿트 한개를 발췌하여 보인 반단면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육묘 재배상태를 보인 한개의 육묘폿트 발췌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발표 예시 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육묘상자 2 : 육묘폿트
3 : 발묘판 4 : 분리핀
5 : 배수공 6 : 승강 가이드홈
7 : 격판망체 8 : 승강 가이드축
본 고안은 육묘 폿트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묘 상자에서 묘목을 최적의 상태로 성장시킨후 이식을 위하여 용이하게 육묘 폿트로부터 뿌리를 손상시킴이 없이 묘토와 함께 발묘(拔苗)하기에 적당하도록 한것이다.
종래의 육묘상자에 있어서는 육묘 폿트 저면에 배수공만을 형성하여 모토와 묘분의 분리시 소경의 배수공을 통하여 손가락으로 밀거나 막대등으로 밀어내 분리시켰으므로 일일히 한개씩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비능률적인 결점이 있었다.
이에 착안하여 고안된 선출원(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 소59-16362호, 공개일자 1984.1.31)에서는 육묘상자의 각 묘분 배수공들을 통하여 동시에 묘목과 모토를 들어올려 묘분으로부터 분리 시킬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각 묘분의 배수공들에 대응하여 판체위에 수개의 찔러올림핀이 돌출되게 배열 설치된 발묘기를 형성하여 지면에 놓고 그 위에 맞추어 육묘상자를 내려 누름으로써 각 찔러올림핀들이 배수공들에 삽입되면서 묘토를 밀어올려 묘분과 묘토가 분리 될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 이와 같은 방식의 발묘기를 이용한 분리 작업은 단번에 동시 분리가 가능하여 능률적인 이점은 있으나 찔러 올림핀이 묘토와 직접 접촉으로 밀어 올리게됨으로 사실상 묘토 전체를 그대로 들어 올리지 못하고 묘토중앙 내부로 쑤셔들어 가면서 헤집게 됨으로 묘토의 기본 형태가 파손되면서 부서져 흙이 떨어져 나가게 되고 묘근의 실뿌리들을 훼손시켜 묘목의 이식후 성장발육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보다 큰 문제점이 발생하였던것었다.
또한, 육묘상자의 각 묘분에 형성된 배수공들은 찔러 올림핀이 겨우 통과될 수 있는 정도의 작은 경으로 높이 또한 높게 형성되어 있어 육묘 과정에서 지면과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의 수분 및 지열들을 전달 받을수없게 되는등 단순히 동시 분리에만 착안되었을 뿐 육묘 과정 및 이식후의 묘목 성장조건은 전혀 고려되지 못한 비합리적인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육묘상자의 각 육묘 폿트 저면에 형성되는 배수공을 지면과 최대한 근접 할수 있도록 낮으면서도 큰 경으로 형성하여 지면으로부터의 습기 및 지열을 전달받아 묘목이 튼튼히 자랄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육묘 폿트의 바닥에는 격판망체를 설치하여 차후 이식을 위한 분리 작업시 묘토의 파손이나 묘근을 훼손 시킴이 없이 원형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분리 발묘가 가능토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개의 컵형 육묘폿트(2)를 갖는 육묘상자(1)에 묘목을 키운후 각 폿트와 대응하여 수개의 분리핀(4)이 돌출형성된 발묘판(3)으로써 동시 발묘 할 수 있도록 한것에 있어서, 상기 육묘폿트(2) 저면에는 높이가 낮으면서 경이 큰 배수공(5)을 형성하고, 일측면에는 수직으로 승강 가이드홈(6)을 형성한 다음 폿트의 내측 바닥면에 맞는 격판망체(7)를 형성하고, 그 측면 일지점에 상기 폿트의 승가 가이드홈(6)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될수 있는 승강 가이드축(8)을 접속 설치하여 폿트내에 안착시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에서와 같이 육묘상자(1)의 각 육묘폿트(2) 내측 바닥에 격판망체(7)를 안치한 후 폿트내에 묘토를 담아 묘목을 재배하게 되는바, 재배과정에서 급수를 실시함에 따라 일부 묘토는 배수과정에서 격판망체(7)를 통하여 흘러내려 지면에 최대한 근접하여 크게 형성된 배수공(5)에 차여 지면과 폿트내의 묘토를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의 수분 및 지열이 자연스럽게 폿트내의 묘토와 상통하게 됨으로 묘목 성장에 있어 최적의 조건이 부여된다.
한편, 묘목이 성장하여 이식 시점에 이르러 육묘폿트(2)로부터 발묘할 시에는 수개의 분리핀(4)이 돌출되게 배열 설치된 발표판(3)을 이용하여 그 상측에 육묘상자(1)를 맞추어 대고 누르게 되면 각 분리핀(4)들이 격판망체(7)의 저면을 치받쳐 올리게 됨으로 격판망체(7)는 폿드의 승강 가이드홈(6)에 끼워진 승강 가이드축(8)에 의하여 유동됨이 없이 상승하면서 묘목과 묘토를 원형 형태 그대로 떠받쳐 올려 육묘폿트(2)로 부터 분리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묘된 묘목은 모체토양의 유실없이 뿌리 또한 실뿌리까지 전혀 손상되지 않고 이식이 가능하게 때문에 이식후 이질적인 토양에서의 적응이 용이하여 튼튼하게 자랄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묘목 재배과정에 있어서는 지면으로부터의 습기와 지열이 묘토에 미치게 됨으로 튼튼한 묘목을 재배 할수 있게 되며, 이식을 위한 발묘시에는 격판망체가 묘근과 묘토의 훼손을 방지하여 보호하게 됨으로 이식후 건실한 나무로 성장 할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수개의 컵형 육묘폿트(2)를 갖는 육묘상자(1)에 묘목을 키운 후 각 폿트와 대응하여 수개의 분리핀(4)이 돌출 형성된 발묘판(3)으로써 동시 발묘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육묘폿트(2) 저면에는 높이가 낮으면서 경이 큰 배수공(5)을 형성하고, 일측면에는 수직으로 승강 가이드홈(6)을 형성한 다음 폿트의 내측바닥면에 맞는 격판망체(7)를 형성하고, 그 측면 일지점에 상기 폿트의 승강 가이드홈(6)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승강 가이드축(8)을 접속 설치하여 폿트내에 안착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폿트 상자.
KR2019880000057U 1988-01-08 1988-01-08 육묘 폿트 상자 KR910001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057U KR910001593Y1 (ko) 1988-01-08 1988-01-08 육묘 폿트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057U KR910001593Y1 (ko) 1988-01-08 1988-01-08 육묘 폿트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358U KR890016358U (ko) 1989-08-19
KR910001593Y1 true KR910001593Y1 (ko) 1991-03-18

Family

ID=1927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0057U KR910001593Y1 (ko) 1988-01-08 1988-01-08 육묘 폿트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5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78A (ko) * 2000-07-26 2000-11-06 정연학 종묘배양탈착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78A (ko) * 2000-07-26 2000-11-06 정연학 종묘배양탈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358U (ko) 198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9800A (en) Self-watering air-producing plant tray system
CN207399984U (zh) 便于大棚蔬菜种植的育苗装置
KR910001593Y1 (ko) 육묘 폿트 상자
CN203968790U (zh) 一种花卉植物自动吸水智能花盆
CN217742442U (zh) 一种减少根系损伤的育苗穴盘
CN220342993U (zh) 一种油菜试验培育种植盘
KR200199950Y1 (ko) 육묘용 포트
CN215421865U (zh) 一种多功能园艺盆景栽培装置
JP3022696U (ja) 野菜用育苗トレイ
CN213548908U (zh) 一种便于植物生长的种植盆
CN217884699U (zh) 一种植物生长水培机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CN219919807U (zh) 一种蝴蝶兰组合盆栽专用花盆
CN212324903U (zh) 一种林业育苗箱
KR200227643Y1 (ko) 모종포트
CN218526926U (zh) 一种园林绿化建培养育设备
CN215011797U (zh) 一种秋海棠类植物全叶扦插装置
CN220674699U (zh) 农业种植用育苗盘
CN210298913U (zh) 一种新型水培蔬菜育苗种植盆
CN215074212U (zh) 一种具有补光作用的花卉苗培育用育苗盘
JPH0530862A (ja) 植木鉢
JP2890038B2 (ja) 移植ポット用パッド
CN2226813Y (zh) 纸钵育苗盘
JP2000262151A (ja) 植木鉢・プランター
JP3639343B2 (ja) 植物の株育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