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567B1 - 인장코드 신장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장코드 신장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567B1
KR910001567B1 KR1019860011524A KR860011524A KR910001567B1 KR 910001567 B1 KR910001567 B1 KR 910001567B1 KR 1019860011524 A KR1019860011524 A KR 1019860011524A KR 860011524 A KR860011524 A KR 860011524A KR 910001567 B1 KR910001567 B1 KR 910001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st
connector
liquor
chain
joi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206A (ko
Inventor
제임스 맥크 씨.
마이클 머피 제임스
드위트 베이커 필립
데니 노리스 제임스
Original Assignee
데비톤 매뉴훽춰링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제임스 엔. 피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비톤 매뉴훽춰링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제임스 엔. 피어스 filed Critical 데비톤 매뉴훽춰링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0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49Coating rod-like, wire-like or belt-like articles
    • B29C45/14565Coating rod-like, wire-like or belt-like articles at spaced locations, e.g. coaxial-cable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74Moulding material on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preformed part, e.g. outsert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7Fast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장코드 신장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장치
제1도 및 제3도는 현재 사용되며 부분적으로 장선이 부착된 상태의 연결기 및 술(tassle)의 축방향 단면도.
제2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연결기와 술의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연결기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정면도.
제7도는 6개의 조립체를 동시에 제작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의 평면도.
제8도는 6개의 조립체를 동시에 제작하기 위한 주형의 기공 블럭(block)의 축방향 정면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부분 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 : 연결기 2 : 비이드-체인
3 : 장선 5, 12 : 개구부
6, 13 : 외판 7, 16, 22 개구부
8, 15 : 매듭 10 : 말단부
11, 33 : 술(tassle) 17 : 비이드
18 : 링크 20 :위치
21 : 슬롯 23 : 스풀
24 : 기저면 27 : 헤드
28 : 기곤 29, 40 : 채널
30 : 탕구 31 : 게이트
34 : 프레임 37 : 구동축
44 : 로울러 46 : 스테이션
본 발명은 조립체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별히는 본 발명은 비이드-체인용 연결기, 술(tassle) 그리고 연결기를 술에 연결하는 가늘고 유연한 장선을 포함하는 신장(extension)조립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장-체인 램프 및 그 유사체의 스위치를 작동하는데 사용되는 인장코드 신장조립체는 연결기로 스위치의 비이드-체인에 부착시키고 이 술을 당겨서 스위치를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는 각 조립체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연결기의 경우, 유연성 장선의 한쪽끝은 안쪽에 끼어서 매듭을 만들고 이 매듭을 묶을 재질 측면에서 근소한 공차로 유지되어야 한다.
만일 매듭이나 나머지 장선의 끝이 너무 크면, 나중에 비이드-체인에 연결기를 설치할 때 방해가 된다. 술의 경우 장선의 다른쪽 끝을 끼우고 매듭은 술의 내부에서 돌출할 정도로 너무 커서는 안되며 또는 술을 당겨서 스위치를 작동시킬 때 술의 뒤로 빠져 나올 정도로 너무 작아도 안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체인입구와 지지면으로된 연결기 및 술은 장선일부의 모형에 따라 성형되고, 서로 결합하고, 적절한 위치에 놓여 서로 걸리게 되는 한편 연결기내에서 체인입구와 지지면에 방해가 안되도록 한다. 이 장선을 예정거리만큼 옮기고 2차 성형시 또다른 위치에서 이 작업을 반복하면 성형된 제2의 연결기를 역시 성형된 첫번째 술에 장선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이 조작을 연속 장선에서 반복하면 인장코드 조립체가 픽업스풀에서 차례대로 저장이 될 수 있다.
각 조립체는 별도로 제공되고 현재 사용하는 방법은 경제적인 자동화 제조공정에 그대로 이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저면에 각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인 비-분할식으로 제작되는 인장체인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조립체의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의 조립체를 동시에 자동적으로 성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매듭의 방해를 받지 않고 체인이 부착되게 하는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인장체인 조립체를 제작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분명히 나타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a) 현재 사용되는 유연한 장선(3) 및 비이드-체인(1)(제1도 및 제5도)와 장선(3)용 술(13)(제3도)과, b)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는 비이드-체인(2)용 연결기(4) 및 장선(3)용 술(11)(제2도)을 비교할 수 있다.
연결기(1)에 장선(3)을 설치하는데는 몇가지 조작이 필요하다 : 장선은 개구부(5), 외판(6) 및 외판개구부(7)를 통과하게 배치하고, 장선의 끝(9)에서 나머지 매듭(8)을 매고, 다음에 이 매듭이 연결기 외판속에 자리잡을 때까지 개구부(5)을 통하여 장선을 뒤로 당기는 조작을 한다.
장선(3)의 또다른 끝(10)은 제3도에 표시된 술(33)에 연결될 때까지 계속 이어지고(도면에는 없음) 거기서 구멍(12), 외판(13) 및 개구부(14)를 통과하며 여기서 매듭(15)를 만들고 다음에는 매듭(15)이 술의 외판속에 자리잡을 때까지 구멍(12)을 통해 장선을 뒤로 끌어 당긴다.
반면에, 제2도의 연결기(4)와 제4도의 술(11)은 사출성형법에 따라 또는 여기서 참조도면으로 설명하는것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방법으로 연속식 기저면위에 장선과 함께 성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언급한 것처럼 느리고 비용이 많이드는 조작을 생략한다.
제1도 및 제2도의 연결기(1) 및 (4)는 제3도 및 제4도의 장선(3)과 술(33)(11)을 각각 비이드-체인(2)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비이드-체인(2)의 말단(표시는 안됨)은 종종 "인장체인광기구"소켓류에 포함되는 형태의 "인장체인스위치"기구에 정상적으로 부착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이 비이드-체인을 어느 형태의 연결기에든 부착한다. 제1도 및 제5도의 현재 사용되는 연결기에서는, 체인(2)의 비이드(17)를 개구부(7)속으로 삽입하여 이 체인의 나머지 부분이 있는 링크(18)가 슬롯(19)에 미끄럼식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이 체인을 당기면 링크가 됫쪽으로 미끄러져 개구부(16)로 들어가 삽입된 비이드와 체인을 붙잡게 된다.
장선과 체인을 부착하는 연결기에 종종 문제점이 발생된다. 매듭을 크게 만들어 개구부(5)밖으로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하고 한편으로는 장선의 끝(9)은 매듭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편 개구부(7)에 비이드 인구를 위한 틈을 내주어야 한다. 또한 만일 체인이 처음으로 부착되면, 비이드는 개구부(7)의 일부 넘어까지 인장하여 장선의 부착을 어렵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연결기에서(제2도), 체인(2)의 비이드(17)를 슬롯(21)에 미끄러져 들어간 개구부(20)속에 링크(18)와 함께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후 이 체인을 당겨서 링크(18)를 개구부(22)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삽입된 비이드로 체인을 붙잡는다. 이 경우 장선(3)과 체인간에는 앞서 언급했듯이 방해가 없으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조작중에 이것이 연결기의 중심선으로부터 이동하고 체인입구에서 제외된 그 단부와 위치(20)(21) 및 (22)로된 지지면 두곳 모두와 함께 성형되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4도의 술(11)에서 장선(3)은 자동적으로 성형되므로 더이상의 조립체가 불필요하다.
제6도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장선(3)을 프레임(24)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공급스풀(23)에 설치한다. 이 장선을 스풀(23)로부터 적합한 거리에서 기판(24)에 장착된 픽업스풀(25)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끌어당긴다. 사출성형용 분할기공블록(26)과 그 결합헤드(27)는 두개의 스풀사이에서 조작되도록 장착되어서 장선이 스풀로부터 앞뒤로 끌리게 하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장선에 근접하게 한다.
조작중에는 장선(3)위에 주형을 닫고 성형기공(28)내에서 장선의 일부를 잡아준다.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사출방법에 따라 채널(29)을 이용하여 탕구(sprue)채널(30)의 기공속으로 플라스틱을 사출한다. 성형 싸이클이 종결되면 주형을 열고 장선을 최종 인장코드 신장조립체에 소요되는 장선길이만큼 스풀쪽으로 진행시킨다. 각 성형싸이클 후 게이트(31)와 탕구에 의해서 연결기는 술과 결합한 상태로 제작된다. 각장선의 진행과 함께 이 싸이클을 반복하면 연속의 인장코드 신장조립체군이 제작되며 이들은 게이트 및 탕구에 의해 서로 부착된 상태이다.
이 게이트와 탕구에서 탕구는 플라스틱을 게이트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연결기와 술 사이를 직접 연결시키는데는 아무 역할도 하지 않는다. 성형중의 누설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것은 장선이 두개의 게이트 채널을 사용하여 기동을 통과하는 것이다. 또한 만일 스프링의 방해를 받으면 이것은 탕구채널과 만나게 된다.
제7도와 제8도는 6-뱅크(bank)식 기계프레임(34)에서 조립체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설명한다. 주형기공블록(35)과 결합헤드(36)는 장선을 삽입시키는 부착게이트 및 탕구와 함께 조작하여 연결기(4)와 술(11)을 동시에 성형한다. 연결기(4)의 기동은 그의 팁이 장선(3)과 동심원이 되게 배치되고 축은 장선의 축과 다소 경사진 탓으로 장선이 개구부(20), 슬롯(21) 및 개구부(22)를 포함하는 지지면과 체인입구 외측의 플라스틱속에 걸리게 된다.
각 성형싸이클이 끝난뒤, 구동축(37)에 장착된 픽업스풀(25)은 성형된 스트립의 일부를 열린 주형에서 끌어낸다. 축(38)에 장착된 공급스풀(23)은 연속적으로 장선을 공급한다. 가열기소(39)를 제8도에 표시된 용융-플라스틱 공급채널(40)과 조화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대한 고찰에서, 간격/절단스테이션(41)을 설치하여 탕구를 분할하고 그 결과 인장코드 신장조립체의 각 장선이 감겨서 축(37)위의 각각의 테이크업(takeup)스풀에 저장되게 한다. 또한 성형된 스트립이 주형기공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한 뒤에 다음의 싸이클을 위해 정지하도록 한다. 전후 클러치 또는 기타 인장장치는 슬랙(slack)을 감는데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찰에서, 주형은 장선의 길이를 따라 배열하고 있으므로 동시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장선은 성형된 부품을 청소하는데 충분한 거리만큼 기공으로부터 이동하여 다음의 성형작업을 위한 적절한 길이의 장선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가열기소는 성형된 플라스틱을 게이트채널로 직접 운반하고 탕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플라스틱 사출공급(42)은 가열된 채널(29)를 통하여 용융 플라스틱을 주형기공(28)으로 사출하여 각 장선에 연결기(4), 게이트(31) 및 술(11)로 구성된 한 단위체를 형성하며, 각 장선은 자체의 공급스풀(23), 장선내의 슬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프링이 구비된 인장조립체(43), 장선을 바로잡아주기 위한 공급안내 로울러(44) 및 픽업안내 로울러(45) 및 픽업스풀(25)을 갖추고 있다. 클램프 스테이션(46)은 각 싸이클 사이의 장선의 이동을 조절하여 장선저장용 인장코드 신장조립체를 수거할 때 픽업스풀의 직경크기가 변화하지 않도록 한다.
인장코드 신장조립체를 저장용으로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이를 장선의 한끝(37)에 있는 술(11)(제4도)과 또한 장선의 다른한끝(38)에 있는 연결기(4)(제2도)를 절단한다.
상기한 기술의 견지에서 본 발명은 매듭형성을 포함하여 술과 연결기간에 장선을 부착시킬 때의 시간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인장코드 신장조립체 제작방법을 제공하고 대량의 조립체를 동시에 자동성형하고, 또한 장선 매듭의 방해를 받지 않고 체인을 부착할 수 있는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를 기술하고 표현하였지만,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각종 개조나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10)

  1. 체인입구와 지지면(holding area)으로된 비이드-체인(bead-chain)용 연결기와 술(tassle) 또한 술에 연결기를 연결하는 가늘고 유연한 장선(line)을 포함하는 인장코드 신장조립체(pull cord extensionassembly)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장선의 일정길이를 잡아주고, 나) 제1술과 연결된 제1연결기를 1차 성형하고 체인입구와 지지면의 방해없이 통과하는 연결기내에서 장선의 일부를 잡아주며, 술속을 통과하는 또다른 부분을 계속해서 잡아주고, 다) 제2술과 연결된 제2연결기를 동일한 장선상의 다른 위치에서 2차 성형하고, 체인입구와 지지면의 방해없이 통과하는 연결기내에서 전술한 장선의 일부를 잡아주며, 또한 술속을 통과하는 장선의 또다른 부분을 계속해서 잡아주고, 라) 제2연결기와 제2술을 성형하여 제2연결기가 장선에 의하여 제2술과 부착하고 그 결과 장선의 두 성형위치 사이에서 인장코드 신장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코드 신장조립체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 연결기와 술은 이들과 함께 성형된 게이트로 연결하고, 이때의 장선은 각각 붙잡힌 부분사이를 지나 게이트속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차 성형단계와 2차 성형 단계가 차례로 실시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사출성형기계를 사용하여 장선을 간헐적으로 이동시키고 각 성형단계에서는 일시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1차 성형단계가 끝난 후 장선을 일정거리만큼 이동시킨다음 2차 성형단계를 위하여 이동을 멈추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사출성형기계에 다수의 장선을 통과시켜 다수의 조립체를 동시에 제작하는 방법.
  7. 체인입구와 지지면으로된 비이드-체인용 연결기, 술과 또한 이 연결기를 술에 연결하는 가늘고 유연한 장선을 포함하는 인장코드 신장조립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가) 공급스풀로부터 장선을 제공하고, 나) 인장력을 가하여 슬랙을 최소화하고 적당한 길이만큼의 장선이 주형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다) 주형속으로 가열된 용융 플라스틱재료를 주입하고, 라) 제1술과 연결된 제2연결기를 1차 성형하고 체인입구 및 지지면의 방해없이 통과하는 연결기내에서 장선의 일부분을 잡아주고, 또한 술속을 통과하는 장선의 또다른 부분을 계속해서 잡아주며, 마) 장선을 이동시켜 장선의 새로운 위치가 주형내에 들어가게 하고, 바) 제2술과 연결된 제2연결기를 장선의 새 위치에서 2차 성형하고, 체인입구와 지지면의 방해없이 통과하는 연결기내에서 장선의 일부분을 잡아주며, 술속으로 통과하는 장선의 또다른 부분을 계속해서 잡아주며, 사) 제2연결기와 제2술을 성형하여 제2연결기를 제2술에 장선으로 부착하고, 아) 가)단계부터 다) 단계까지 반복하여 각 성형단계에서 주형속으로 용융 플라스틱재료를 주입하고, 자) 성형된 부분이 있는 장선을 픽업스풀에 수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장코드 신장조립체 제작방법.
  8. 체인입구와 지지면으로된 비이드-체인용 연결기, 술과 또한 술에 연결기를 연결하는 가늘고 유연한 장선을 포함하는 인장코드 신장조립체의 제작장치에 있어서, 공급스풀, 제1안내로울러, 제2안내로울러 및 픽업스풀과, 또한 공급스풀로 제공하고 픽업스풀 및 제1 및 제2안내로울러에 의해서 맞물리게되는 가늘고 유연한 장선, 또한 이 장선의 슬랙(slack)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 장선과 맞물리는 인장수단과, 장선의 일부분을 감아주는 제1 및 제2안내로울러사이에 기공이 있는 성형수단으로 구성되며 한편 기공이 술과 연결된 연결기를 성형하기 위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장선이 체인입구와 지지면의 방해없이 연결기를 통과하면서 성형되고 또한 장선이 술을 통과하면서 성형되며, 또한 성형후에 장선을 이동시켜 이 장선의 새로운 부분이 기공속에서 성형되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코드 신장조립체 제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성형수단이 플라스틱사출성형기계이고 또한 플라스틱을 기공에 배출할 때 가열할수 있는 가열기소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또한 성형후 장선의 이동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장선을 조일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KR1019860011524A 1986-06-23 1986-12-30 인장코드 신장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장치 KR910001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7052 1978-02-13
US87705286A 1986-06-23 1986-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206A KR880000206A (ko) 1988-03-24
KR910001567B1 true KR910001567B1 (ko) 1991-03-16

Family

ID=2536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524A KR910001567B1 (ko) 1986-06-23 1986-12-30 인장코드 신장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10001567B1 (ko)
CA (1) CA1280877C (ko)
GB (1) GB21923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4240A (zh) * 2014-06-20 2014-09-17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注塑绳头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9783A (en) 1991-05-13 1993-12-14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torn tissue
CA2117967A1 (en) * 1993-10-27 1995-04-28 Thomas W. Sander Tissue repair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DE19606490A1 (de) * 1996-02-22 1997-08-28 Merck Patent Gmbh Vorrichtung zur manuellen Herstellung von perlschnurförmigen pharmakahaltigen Implantaten
DE102006024529A1 (de) * 2006-05-23 2007-11-29 Werner Sa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Rastkette und Rastkette
CN104039490B (zh) * 2012-01-05 2016-11-23 贝卡尔特公司 线锯的注射塑模、线锯的生产方法和由此得到的线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4240A (zh) * 2014-06-20 2014-09-17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注塑绳头及其制备方法
CN104044240B (zh) * 2014-06-20 2016-03-16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注塑绳头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707386D0 (en) 1987-04-29
GB2192362B (en) 1989-12-20
KR880000206A (ko) 1988-03-24
GB2192362A (en) 1988-01-13
CA1280877C (en) 199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43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rip irrigation conduit
CA1281889C (en) Fastener assembly
KR910001567B1 (ko) 인장코드 신장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장치
US4836587A (en) Apparatus for making knots in drawstrings of catamenial tampons
JPH0775604A (ja) 開離嵌挿具付ファスナーチェーン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US4807938A (en) Process for producing bristle articles
US5297323A (en) Device and process for automatically joining threads
JPS61500479A (ja) 整列されたコ−ドを被覆する装置
JP4018341B2 (ja) ケーブルバンドによって周りを取り囲んで緊締されたケーブル束を保持するための複数の固定部材より成る装置
US4455818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twisted cable
JP2668409B2 (ja) ワイヤラッカー塗装機用ワイヤ引込み装置
JPS5838095B2 (ja) 鋼ケ−ブルそう入コンベヤベルトの製造装置
SK284696B6 (sk) Preťahovacie zariadenie a linka vytvorená z takýchto zariadení a spôsob ťahania
KR100269001B1 (ko)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 스페이스 형성방법 및 그 장치
US5619776A (en) Integrated automotive upholstering element and relative fabrication method
JP2019098663A (ja) スライド部材を有する紐状体の製造方法及び得られた紐状体
KR0151853B1 (ko) 훅을 사용한 권선방법
US5518669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light panels
US4768726A (en) Toroidal coil winding machine to wind a toroidal core having a small opening
US4797993A (en) Method of making electroweldable sockets
JPH06102228B2 (ja) 電線送り装置
JPH08504294A (ja) 被包された線状エレメントの束を製造する方法と装置
JP3058957B2 (ja) 軽量擬竹材並びにその連続製造法
SU92386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рмоусаживаемых трубокi
KR840001017B1 (ko) 합성수지 엘레멘트 슬라이드 파스너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