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505B1 - 카세트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505B1
KR910001505B1 KR1019870011525A KR870011525A KR910001505B1 KR 910001505 B1 KR910001505 B1 KR 910001505B1 KR 1019870011525 A KR1019870011525 A KR 1019870011525A KR 870011525 A KR870011525 A KR 870011525A KR 910001505 B1 KR910001505 B1 KR 910001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cassette
guide
auxiliary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593A (ko
Inventor
요시노부 기시모도
다까시 안도
하루미 구도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4781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701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3500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7364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5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49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with servo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장착장치
제1도는 종래의 카세트 장착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카세트 장착장치의 사시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2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클러치 기구부의 측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클러치 기구부의 측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8 : 계지용구멍 60 : 보조슬라이드부재
61, 62 : 안내핀 63 : 제1의 길다란구멍
64 : 제2의 길다란구멍 65 : 제2의 탄성부재
66 : 우측벽 67 : 간극
68, 69 : 삽입안내부
본 발명은 예를들면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와 같은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사용할수 있는 프론트로우딩방식의 카세트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기기록재생장치, 예를들면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카세트 장착장치는 카세트를 전면에서 삽입하는 프론트로우딩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종래의 카세트 장착장치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각각 종래의 카세트 장착장치의 구성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자기테이프를 수납하는 카세트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카세트 호울더 유니트이다. (2)(3)은 카세트 호울더 유니트(1)의 양쪽에 배설된 측면프레임(이하, 측면플레이트라 칭한다)으로서, 카세트 호울더 유니트(1)의 양단부에 각각 착설된 돌기체인 핀(4)(5) 및 (6)(7)이 계합하는 L자 형상의 안내홈(8)(9) 및 (10)(11)을 갖추고 있다.
(12)(13)은 핀(4)(5)을 각각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핀(4a)(5a)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구멍(15)을 가지며, 또한 측면프레이트(2)(3)의 양쪽에 회동자재케 지지된 구동아암이다. (16)은 구동모우터로서, 이것은 워엄기어 전달기구(17) 및 워엄휘일(18)을 개재해서 중계기어(19)를 구동한다. 중계기어(19)는 측면플레이트(2)(3)에 각각 회동자재케 지지된 축(20)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구동아암(12)의 기부에 형성된 기어부(12a)와 맞물려있다. 또, 축(20)의 타단부에는 한쪽에 중계기어(21)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중계기어(21)의 다른 쪽에 구동아암(13)의 톱니부가 맞물려있다.
(22)는 카세트의 카세트 호울더 유니트(1)내에 삽입을 안내함과 동시에, 측면플레이트(2)(3)를 연결하는 카세트 안내부재, (23)은 측면플레이트(2)(3)를 상부로부터 연결하는 상부플레이트이며, 카세트 장착장치 전체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착설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구동모우터(16)로부터 카세트 호울더 유니트(1)에의 동력전달경로는 구동모우터(16)로부터 워엄기어 전달기구(17), 워엄휘일(18), 중계기어(19)(21), 구동아암(12)(13), 핀(4)(5), 카세트 호울더 유니트(1)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손으로 카세트 테이프를 밀어넣을 경우, 구동모우터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카세트 호울더 유니트의 끌어들이는 동작개시후, 계속해서 카세트 테이프를 필요이상 또는 충격적으로 압입하면 동력전달 경로를 구성하는 부품에는 압입력에 대응하는 부하가 작용하여, 그 부품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혹은 맞물림이 어긋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세트 테이프를 압입할 때에 필요한 삽입력을 임의의 압입스트로우크에 있어서 순간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카세트 삽입시에 제동감을 갖게하여, 손으로 카세트 테이프를 압입하는 스트로우크에 유사한 제한을 갖게해서 필요이상의 과부하로 압입되지않도록 함과 동시에, 카세트 테이프를 필요이상 또는 충격적으로 압입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동력전달경로를 구성하는 부품에 과부하가 작용하지 않고, 부품의 일부가 파손하거나 또는 맞물림이 어긋나거나 하지않는 카세트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카세트 장착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도에 있어서, (24)는 테이프를 수납한 카세트(도시하지 않음)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카세트 호울더(25)(26)는 카세트 호울더(24)의 양쪽에 일체적으로 구성된 측벽부재, (27)(28)은 측벽부재(25)(26)에 각각 돌출해서 착설된 안내핀, (29)(30)은 카세트 호울더(24)의 양쪽에 배치한 측면플레이트, (31)(32)는 측면플레이트(29)(30)에 각각 형성된 L자형상의 안내홈으로서, 각각 2본 또는 3본씩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안내핀(27)(28)이 각각 계합하고 있다.
또한, 안내핀(27)(28)은 L자형상의 안내홈(31)(32)의 수에 대응해서 착설되어 있는것은 물론이다.(33)(34)는 축(35)으로 연결되고, 측면플레이트(29)(30)에 회동자재케 지지된 구동아암으로서, 선단에 형성된 안내홈(36)(37)에 상술한 카세트 호울더(24)의 측벽부재(25)(26)상의 주요한 안내핀(27)(28)이 각각 계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아암의 한쪽(34)에는 상기 축(35)과 동심으로 기어(38)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고있다. (39)는 제2의 슬라이드부재이고, (40)은 탄성부재(41)에 의해서 상기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제1의 랙, 즉 제1의 슬라이드부재이다. (42) 및 (43)은 제2의 랙, 즉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형성된 각각 제1 및 제2의 안내용길다란구멍이고, (44) 및 (45)는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에 형성된 각각 제3 및 제4의 안내용 길다란구멍이다. (46) 및 (47)은 측면플레이트(30)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1 및 제3의 안내용 길다란구멍(42)(44) 및 상기 제2 및 제4의 안내용 길다란구멍(43)(45)에 각각 삽통해서 제1 및 제2의 슬라이드부재(40)(39)의 직선적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이다.
(48)은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형성된 계지용구멍이고, (49)는 상기 계지용구멍(48)의 일부와 계지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의 슬라이드 부재(40)에 착설된 계지용 돌기이다. (50)은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착설된 제1의 기어부로서, 본 발명의 카세트 장착장치의 구동원인 구동기어(51)에 연결되어서 구동된다. (52)는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에 착설된 제2의 기어부로서, 상기 구동아암(34)에 일체적으로 착설된 상기 기어(38)에 연결되어있다. (53)은 상기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에 착설된 돌기물로서, 상기 측면플레이트(30)에 고정되는 슬라이드스위치(54)의 작동자(55)에 계합하고있다.
이상과같이, 제1의 슬라이드부재(40) 및 제2의 슬라이드부재(39)는 통상적으로는 구동모우터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카세트의 이동을 행하는 작용을 하는 슬라이드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슬라이드부재에 착설된 보조슬라이드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60)은 제1의 슬라이드부재(40) 및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각각 끼워진 안내핀(61) 및 (62)에 의해서 수평이동을 규제하는 제1의 길다란 구멍(63)과 제2의 길다란구멍(64)을 가지며, 또한 제1의 슬라이드부재(40) 및 그 일단부에 고착되어서 작용하는 제2의 탄성부재(65)를 포함해서 이루어진 보조슬라이드부재이다. 보조슬라이드부재(60)는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볼록부(40a)와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볼록부(39a)의 각각의 볼록부(40a)(39a)위를 접동가능하게 되어있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카세트 장착장치에 대해서 이하,특히 보조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한 슬라이드부재로 이루어진 클러치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카세트 호울더(24)가 카세트배출 및 삽입위치에 있을때의 도면으로서, 이때 카세트호울더(24)의 측벽부재(25)(26)에 착설된 안내핀(27)(28)은, 측면플레이트(29)(30)에 형성된 L자형상의 안내홈(31)(32)의 단면(56)(57)에 접촉하는 위치에 있다. 상기 안내핀(27)(28)이 상기 L자형상의 안내홈(31)(32)의 다른쪽의 단면(58)(59)에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때는 카세트(71)의 재생 및 기록위치이다.
제3도에 있어서, 카세트(71)를 압입하면 카세트(71)를 지지하는 카세트 호울더(24)가 이동하여, 카세트호울더(24)의 측벽부재의 안내핀(28)을 개재해서 구동아암(3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구동아암(34)과 제2의 기어부(52)로 계합된 제1의 슬라이드부재(40)가 A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구동기어(51)는 슬라이드스위치(54)가 온 할때까지 정지하고있기 때문에, 이 구동기어(51)에 연결된 제2의 슬라이드부재(39)는 정지한 그대로이므로, 제1의 탄성부재(4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지한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대해서 이동하고있는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와의 사이에서 신장한다. 또한,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와 보조슬라이드부재(60)와의 사이에서 계합된 제2의 탄성부재(65)는 제1의 탄성부재(41)보다도 큰 장력이 부여되어서 계합하고있기 때문에, 제1의 슬라이드부재(40)가 이동하여도, 제2의 탄성부재(65)는 신장하는 일은없다. 따라서, 보조슬라이드부재(60)는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와 같은 스트로우크량을 이동하게되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조슬라이드부재(60)의 제1의 길다란구멍(63)의 단부가 안내핀(64)에 접촉하는 곳까지 이동해서 정지한다.
따라서, 제4도의 상태에서는,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와 제2의 슬라이드부재(39) 및 보조슬라이드부재(60), 또는 제1의 탄성부재(41) 및 제2의 탄성부재(65)로 이루어진 클러치기구에는 제1의 탄성부재(41) 의 탄성장력만 작용하고 있는 것이 된다. 다음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시 카세트(71)를 압입하면 기본적으로는 제1의 슬라이드부재(40)가 다시 이동하여,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에 형성된 돌기물(53)과 작동자(55)와의 계합을 개재해서 슬라이드스위치(54)가 온하고, 구동기어(51)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제2의 슬라이드부재(39)는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의 슬라이드부재(39)는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형성된 계지용구멍(48)의 일부에 제1의 슬라이드 부재(40)에 착설된 계지용돌기(49)가 당접하고, 구동기어(51)에 의해서,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와 제1의 슬라이드부재(40)는 연결되어서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의 이동에 의해서 제2의 기어부(52)와 기어(38)와의 맞물림을 개재해서, 구동아암(34)은 축(3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구동아암(34)의 회동에 따라서 안내핀(28)은 L자형상의 안내홈(32)을 따라서 이동하여 안내홈(32) 의 한쪽 단면(58)에 당접한다. 이때의 제1의 슬라이드부재(40)는 돌기물(53)과 작동자(55)와의 계합을 개재해서 슬라이드스위치(54)가 온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있으며, 모우터를 정지시켜, 구동기어(51)의 회동을 정지시킨다. 이 상태의 위치는 카세트(71)의 재생 및 기록이 가능한 카세트의 장착위치이다.
그러나, 이 모우터 구동에 의해서 실제적으로 동작하는 시간에 대해서, 만약 카세트(71)를 압입하는 동작 스피이드가 빠르고, 또한 큰 힘으로 압입하였을 경우, 제1의 슬라이드부재(40)가 제4도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제5도에 도시한 위치까지 이동하는 스트로우크에 도달할때까지에 구동손실등에 의해서 제2의 슬라이드부재(39)는 실제상, 정지하고 있는 것과 같은 상태에 있다고 생각할수 있다.
이때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의 슬라이드부재(40)는 제4도에 도시한 위치보다도 더욱 신장하고, 또 보조슬라이드부재(60)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의 길다란구멍(63)의 좌단부를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끼운 안내핀(61)과 당접해서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2의 길다란구멍(64)내를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에 끼운 안내핀(62)이 접동하고, 그 일단부를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에 고착된 제2의 탄성부재(65)는 여기에서 처음 신장한다. 따라서, 제5도의 상태에서는 제1의 안내부재(40)에 계합된 탄성부재(41) 및 (65)는 정지하고 있는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저항해서 작용하기 때문에, 제4도의 탄성부재의 장력보다도 매우 큰 장력부하가,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에 인가되고, 또한 임의의 슬라이드스트로우크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부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카세트(71)를 압입할때, 그 반력에 의해서 삽입력의 증대를 즉시 느끼게 된다.
이것은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와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사이의 슬라이드스트로우크를 제한하고있는 계지용돌기(49) 및 계지용구멍(48)에 있어서, 마치 계지용구멍(48)의 우측벽(66)이 그 중도에 있어서 실제존재하여 슬라이드스트로우크를 제한하고 있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수 있다.
만약, 제5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상기 우측벽(66)이 실제로 존재하고 있을 경우, 사용자가 카세트(71)를 계속압입하면 제5도로부터 후의 스트로우크에서는 기계적으로 제2의 슬라이드부재(39) 및 제1의 슬라이드부재(40)는 일체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상한 삽입력에 대해서 구동기어(51)는 과부하의 접선력을 받으며, 더우기 어떤 부하를 초과하면 추종불능이되어, 다음에는 파손하는 것이라고 생각할수 있다. 따라서, 이 우측벽(66)은 가능한 한 계지용구멍(48)을 길게한 위치에 있는것이 이상적이며, 본래의 클러치 기능으로서의 역할을 달성하는 것으로부터도 바람직하다고 생각할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이 계지용구멍(48)은 카세트(71)의 수평이동에 상당하는 스트로우크를 설정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같이, 슬라이드 도중에서 탄성부하가 증대하나, 이것은 사용자에게는 제동감으로서 느껴지게되어, 카세트(71)를 그 이상 압입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게 하는 일이 가능하게되고, 그 결과로서 필요이상의 삽입스트로우크가 저감되어, 강제적으로 비교적 약한 구동부를 보호할수 있다.
또한, 이 제2의 탄성부재(65)의 탄성장력은 제동감의 정도에 따라서 자유롭게 결정할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슬라이드부재(60)의 제1의 길다란구멍(63)의 간극(67)을 임의로 결정함으로써 제동감을 얻을수 있는 삽입스트로우크량 및 삽입부하를 임의로 얻을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같이, 이 간극(67)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 공간이며, 사용자에 대해서는 삽입력을 일정한 범위로 저감시킴과 동시에 구동부를 보호하는역할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카세트의 배출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않은 카세트 배출스위치를 온시키면, 구동기어(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의 슬라이드부재(39)가 화살표(A)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의 탄성부재(41)의 장력에 의해서 제1의슬라이드부재(40)가 제2슬라이드부재(39)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의 이동에 의해서, 제2의 기어부(52)와 기어(38)를 개재해서 구동아암(34)이 축(3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안내핀(28)은 구동아암(34)의 반시계방향의 회동에 의해서 L자형상의 안내홈(32)을 따라서 이동하여, L자형상의 안내홈(32)의 단부면(56)에 당접할때까지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드스위치(54)는 오프되고, 구동기어(51)의 회동은 정지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서 카세트(71)는 제3도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6도는 카세트 배출시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측면도이며, 특히 배출동작을 완료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자가 만약 카세트(71)를 손으로 잡았을 경우를 상정하면, 먼저 카세트(71)를 지지하고있는 카세트 호울더 및 측벽부재(26)에 착설된 안내핀(28)에 계합한 구동아암(34)이 정지한다. 또한 구동아암(34)에 착설된 기어(38)와 맞물려있는 제2의 기어부(52)를 가진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의 동작이 정지한다. 즉, 카세트(71)의 동작과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와는 일련의 동작을 행한다고 생각해도 좋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전기적 배출동작이 계속해지면, 구동기어(51)에 의해서, 제2의 슬라이드부재(39)는 제1의 탄성부재(41)에 대항해서 배출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배출동작 수평력은 제1의 탄성부재(41)의 탄성력보다도 충분히 크기 때문에, 제2의 슬라이드부재(39)만 동작한다. 즉, 보조슬라이드부재(60) 및 제2의 탄성부재(65)는 정지하고있다. 이 결과,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조슬라이드부재(60)에 구성된 제1의 길다란구멍(63)과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끼워진 안내핀(61)으로 형성되는 간극(67)의 길이(l)는 없어진다. 이때,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의 계지용돌기(49)와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형성된 계지용구멍(48)으로 구성되는 간극(L)도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감소하고있다. 이 감소량은, 상술한 간극(67)의 길이(1)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카세트(71)를 삽입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압입할 경우를 고려하면, 사용자는 제1의 탄성부재(41) 및 제2의 탄성부재(65)의 양쪽에 대항해서 이겨내는 삽입력을 필요로한다. 다시말하면 통상적으로는, 이 반발력은 큰것이며, 용이하게 압입하는 것은 곤란하나, 이론적으로는 이와같은 상태가 되면,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의 계지용돌기(49)의 단면이,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형성된 계지용구멍(48)의 우측벽(66)에 당접하고, 또한 사용자가 카세트(71)를 압입하면,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와 제2의슬라이드부재(39)는 일체가 되어서, 배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할려고한다.
그러나, 구동기어(51)는 배출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1의 기어부(50)에는 상반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다음에는 제1의 기어부(50) 또는 구동기어(51)의 어느 것인가 한쪽의 기어가 파손하거나 또는 맞물림이 이탈된다. 이것을 보호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시, 카세트(71)를 손으로 멈추게 함으로써 간극(67)의 길이에 상당하는 영역을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의 계지용구멍(48)의 우측벽에 가산해서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제7도의 상태로부터 가령 사용자가 카세트(71)를 압입하여도 대체로 수평이동영역에서는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은 모두 흡수되게 된다. 즉,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길이가 L인 영역은, 카세트(71)의 수평이동 스트로우크에 상당하는 길이와 같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카세트(71)의 배출시에 카세트(71)를 구동력에 대항해서 압입할 경우에는 수평스트로우크 사이의 어느위치에서도 클러치기능은 유효하다.
또,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조슬라이드부재(60)의 조립은 보조슬라이드부재(60)에 형성된 제1의 길다란구멍(63) 및 제2의 길다란구멍(64)의 각각 우측단부에 형성한 삽입안내부(68)(69)가 안내핀(61)(62)의 직경보다도 큰 형상이 되어있으며, 안내핀(61)(62)의 삽입시에는, 이 부분을 동시에 끼워넣는다. 다음에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조슬라이드부재(60)를 오른쪽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통상의 안내범위에서는 이 삽입안내부(68)(69)는 사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조립성은 대폭적으로 간략화되며, 값싼 코스트로 조립할수 있다. 보조 슬라이드부재(60)가, 제1의 슬라이드부재(40) 및 제2의 슬라이드부재(39)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때, 이동시의 접동저항을 감소시키며, 또한 제1의 슬라이드부재(40), 제2의 슬라이드부재(39) 및 보조슬라이드부재(60)의 단면등의 버어(burr), 평면도의 변화에 의해서 접동저항의 변화를 받지않기 때문에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와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는 볼록부(40a)(39a)가 형성되어 있다.
접동저항을 감소시켜서 변화를 적게하는 것은 제1의 탄성부재(41)의 탄성력을 낮게할수 있다. 그결과, 카세트를 삽입하여 슬라이드스위치(54)가 온할때까지 삽입력을 낮게할수 있음과 동시에, 그 감촉도 개선할수 있다. 볼록부(39a)(40a)는 제2의 슬라이드부재(39),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에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값싼 코스트로 접동저항을 감소시킬수 있다. 또, 상기 볼록부(39a)(40a)를 보조슬라이드부재(60)에 형성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 제2의 탄성부재(65)는 보조슬라이드부재(60)의 주평면상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와 제2의 슬라이드부재(39)를 근접시키도록 배설된 제1의 탄성부재(41)의 수축방향과 대체로 직교하는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이것은, 제1의 탄성부재(41)의 수축방향의 연장선과 구동아암(34)에 착설된 기어(38)의 회동중심과의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거리의 길고 짧음은 카세트 장착장치를 수납한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본체의 높이를 얇게 설계할 경우에 있어서, 본체하부의 두께를 결정하게하는 매우 중요한 설계포인트로 되어있다.
이상과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카세트 테이프 삽입시의 제동감을 갖게할수 있고, 삽입시의 이상조작에 의한 과부하에 의한 구동부의 파손을 방지할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수 있다.

Claims (6)

  1. 카세트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카세트 호울더(24)와, 상기 카세트 호울더를 카세트의 착탈이 가능한 제1위치와, 카세트의 기록 혹은 재생이 가능한 제2위치와의 사이를 왕복이동시킬수 있도록 안내하는 양측면플레이트(29, 30)와, 상기 카세트 호울더를 상기 제1의 위치로부터 제2의 위치의 방향 및 그것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가지고 오도록 구동하는 카세트 호울더의 구동수단(33, 34)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카세트 호울더 구동수단은 소요시에 모우터의 동력을 받아서 직선적으로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드부재(39, 40)와, 그 슬라이드부재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카세트 호울더에 이동력으로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51)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한쪽에 형성된 안내부재(46,47)를 따라서 수평이동 가능한 제1의 슬라이드부재(40)와, 이 제1의 슬라이드부재에 착설된 돌기(49)가 계합하는 길다란구멍(48)을 가지며, 또한 제1의 슬라이드부재와 제1의 탄성부재(41)로 연결되어서 상호접동하도록 장착된 제2의 슬라이드부재(39)를 가지고 이루어진 클러치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클러치기구는 제1의 슬라이드부재 및 제2의 슬라이드부재에 각각 형성된 안내부(61, 62)에 안내되어서 수평이동하기위한 제1의 길다란구멍(63)과 제2의 길다란구멍(64)을 가지며, 또한, 그 일단부를 제1의 슬라이드부재와, 제1의 탄성부재의 장력보다 큰 장력을 가진 제2의 탄성부재(65)로 탄성적으로 계합된 보조슬라이드부재(60)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슬라이드부재(60)의 제1의 길다란구멍(63) 및 제2의 길다란구멍(64)에는 각각 제1의 슬라이드부재 및 제2의 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된 안내부재(61, 62)의 폭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길다란구멍의 안내형성부와 연속하는 삽입안내부(68, 69)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형성된 계지용구멍(48)은 상기 제1의 슬라이드부재(40)가 카세트의 대체로 수평이동거리에 상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접동가능하게되는 거리(L)와 상기 길다란구멍(63)과 상기 안내부의 한쪽과의 사이에서 형성된 상기 간극(67)의 길이(l)를 가산한 거리(L+l)만큼 접동가능하게된 길이로 설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슬라이드부재(60)와 제1의 슬라이드부재(40) 및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와의 접동면에 보조슬라이드부재 내지 제1의 슬라이드부재 내지 제2의 슬라이드부재의 적어도 1개에 복수개의 볼록부(39a, 40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보조슬라이드부재(60) 내지 제1의 슬라이드부재(40) 내지 제2의 슬라이드부재(39)에 따라서 적의 형성된 볼록부(39a, 40a)는, 그 볼록부를 형성하는 부재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2의 탄성부재(65)는 보조슬라이드부재(60)의 주평면상에서 또한 제1의 랙기어(50)와 제2의 랙기어(52)를 수축시키도록 배설된 제1의 탄성부재(41)의 수축방향과 대체로 직교하는 위치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착장치.
KR1019870011525A 1986-10-17 1987-10-17 카세트 장착장치 KR910001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47811A JPH0770118B2 (ja) 1986-10-17 1986-10-17 カセツト装着装置
JP247811 1986-10-17
JP62035001A JPH0677364B2 (ja) 1987-02-18 1987-02-18 カセツト装着装置
JP35001 1987-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593A KR880005593A (ko) 1988-06-29
KR910001505B1 true KR910001505B1 (ko) 1991-03-09

Family

ID=2637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525A KR910001505B1 (ko) 1986-10-17 1987-10-17 카세트 장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66551A (ko)
EP (1) EP0264139B1 (ko)
KR (1) KR910001505B1 (ko)
DE (1) DE377863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06746U1 (de) * 1987-05-11 1987-07-02 Kodak Ag, 70327 Stuttgart Kassettenniederhaltevorrichtung
NL8800751A (nl) * 1988-03-25 1989-10-16 Philips Nv Laadmechanisme alsmede een opname en/of weergave apparaat voorzien van een dergelijk laadmechanisme.
US5172285A (en) * 1988-03-25 1992-12-15 U.S. Philips Corporation Loading mechanism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comprising such a loading mechanism
JPH01320667A (ja) * 1988-06-23 1989-12-26 Pioneer Electron Corp テープレコーダのテープカセット押出装置
US5036413A (en) * 1988-07-01 1991-07-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ssette loading apparatus having a supplemental force imparting unit
US5043969A (en) * 1988-12-20 1991-08-27 Literal Corporation Two-stage linear drive apparatus for an information storage disk drive system
JP2850347B2 (ja) * 1989-02-10 1999-01-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DE4011471A1 (de) * 1989-04-11 1990-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Kassettenladevorrichtung
JPH0778942B2 (ja) * 1989-05-18 1995-08-23 富士通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テープのロード/アンロード装置におけるキャリア押圧機構
US5267103A (en) * 1990-03-30 1993-11-30 Kabushiki Kaisha Toshiba Cassette loading device for stably loading a cassette
EP0508097B1 (en) * 1991-03-11 1996-08-14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capable of loading a plurality of cassettes
FR2679060B1 (fr) * 1991-07-10 1995-11-10 Funai Electric Co Dispositif pour charger et decharger une cassette magnetique.
DE69229495T2 (de) * 1991-12-11 1999-12-16 Sony Corp Lademechanismus von Plattenkassette für Gebrauch in Platten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vorrichtung
KR940002127Y1 (ko) * 1992-02-01 1994-04-06 강진구 Vtr 하우징 구동용 이중 랙기어 장치
KR940007628B1 (ko) * 1992-04-21 1994-08-22 대우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로딩장치
KR940002912B1 (ko) * 1992-04-21 1994-04-07 대우전자 주식회사 워엄풀림을 이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로딩장치
JPH07319058A (ja) * 1994-05-26 1995-12-08 Canon Inc 可動遮光扉付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を用いるカメラ
US5650891A (en) * 1994-10-18 1997-07-22 Iomega Corpor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in a data storage device using a single electro-mechanical device
JP3038705B2 (ja) * 1996-11-06 2000-05-08 船井電機株式会社 磁気テープ装置
JP2008502175A (ja) * 2004-02-10 2008-01-24 ハンサン リー スライディング開閉装置及びそれを採用した応用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224A (en) * 1978-03-06 1980-10-07 Clarion Co., Ltd. Cassette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037725Y2 (ja) * 1978-12-28 1985-11-1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テ−ププレヤ用オ−トロ−デイング装置
US4424540A (en) * 1980-04-30 1984-01-03 Sharp Kabushiki Kaisha Cassette loading assembly especially for use in video cassette tape recorders
US4546396A (en) * 1981-11-09 1985-10-08 Staar, S. A.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recording and/or playback apparatus
JPS5888856A (ja) * 1981-11-20 1983-05-27 Hitachi Ltd カセツトテ−プレコ−ダのカセツト装着装置
US4723185A (en) * 1983-09-17 1988-02-02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66551A (en) 1989-09-12
EP0264139A2 (en) 1988-04-20
KR880005593A (ko) 1988-06-29
DE3778635D1 (de) 1992-06-04
EP0264139A3 (en) 1989-08-30
EP0264139B1 (en) 199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505B1 (ko) 카세트 장착장치
US4979061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cassette insertion force
KR940005106B1 (ko) 카세트 로딩 장치
US5372321A (en) Tape transport apparatus having pulley and pulley drive motor provided to the same base and move together
JPS63201941A (ja) カセツト装着装置
KR100197936B1 (ko) 카오디오의 회로기판 접점 청소장치
KR100267628B1 (ko) 슬라이드가능한 섀시를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0133256B1 (ko) 자기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
JPH0770118B2 (ja) カセツト装着装置
KR910006349Y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이젝트 장치
KR950009787B1 (ko) 자동차용 미니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로딩장치
KR970005046Y1 (ko)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의 헤드 구동장치
GB2213979A (en) Disk-type record medium loading device
US20050268312A1 (en) Disk-loading device
KR100225867B1 (ko) 브이씨알의 카세트홀더 가이드구조
JPH0215453A (ja) カセット装着装置
KR100238263B1 (ko) 테이프레코더의테이프카세트로딩장치
JP3120612B2 (ja) 動力伝達切換機構
KR200168971Y1 (ko) 테이프레코더의 로딩모터 조립체 지지장치
KR940004321Y1 (ko)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핀치로울러 압착장치
KR200285616Y1 (ko) 차량용 서포트요크와 랙바 유격 감쇠장치
KR940007619B1 (ko) 오토 리버스형 카세트 레코더의 핀치 암 구동장치
KR900001122Y1 (ko) Vtr용 하우징에 있어서 테이프 카트리지 캡의 오픈장치
KR900001619Y1 (ko) 스라이드 조작기구
KR900009086Y1 (ko) 테이프 레코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