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462B1 -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462B1
KR910001462B1 KR8203069A KR820003069A KR910001462B1 KR 910001462 B1 KR910001462 B1 KR 910001462B1 KR 8203069 A KR8203069 A KR 8203069A KR 820003069 A KR820003069 A KR 820003069A KR 910001462 B1 KR910001462 B1 KR 910001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lor image
electrodes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971A (ko
Inventor
맥스웰 모렐 알버트
핸리 휴즈 리챠드
핸리 바코 윌리엄
Original Assignee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알. 씨. 에이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343,734 external-priority patent/US4620133A/en
Application filed by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알. 씨. 에이라이센싱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Publication of KR84000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8Arrangements for focusing or reflecting ray or beam
    • H01J29/62Electrostatic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electric field only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Electron Beam Exposure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관과 편향 요크 조합체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요크 조립체의 전면도.
제3도는 제1도 장치의 화상관 넥크부에 사용하는 전자총 조립체의 부분 측단면도.
제4도 내지 제7도는 제3도에 도시된 전자총 조립체의 별개 소자들의 각각의 투시도.
제7a도는 제7도의 선(A-A')을 따라 절취한 제7도의 전자총 소자의 횡단면도.
제7b도는 제7도의 선(B-B')을 따라 절취한 제7도의 전자총 소자의 횡단면도.
제8도는 제4도의 선(C-C')을 따라 절취한 제4도의 전자총 소자의 단면도.
제9도는 제5도의 선(D-D')을 따라 절취한 제5도의 전자총 소자의 단면도.
제10도는 제6도의 선(E-E')을 따라 절취한 제6도의 전자총 소자의 단면도.
제11도는 90°편향각을 활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기 적합한 화상관의 퍼널부 윤곽을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110°편향각을 활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기 적합한 화상관의 퍼널부 윤곽을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제3도에 도시한 전자총 조립체의 변형 실시예의 개략도.
제14a도 및 제14b도는 제2도에 도시된 요크 조립체의 실시예에 관련하는 바람직한 비균일 함수의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F : 퍼널부 11N : 넥크부
13 : 편향 요크 조립체 13H : 수평 편향 권선
13V : 수직 편향 권선 15 : 코어
18 : 주집중 렌즈 21 : 캐소드
23 : 제어 그리드 25 : 스크린 그리드
27,29 : 제1, 제2가속 및 집중전극 27",29" : 보조 집중전극
68 : 슬로트 f,f1,f2,f3,f4 : 횡단 치수
g : 인접 구멍들간의 중심대 중심간격 i : 편향 요크 조립체의 내측직경
o : 넥크부의 직경.
본 발명은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임 집중 기능 또는 고전압 안정성에 손상을 끼치지 않으면서 낮은 축적 에너지로 동작할 수 있는 자기-집중 형태의 신규 표시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저수차 비임 집중 렌즈를 합체한 다중 비임 칼라 영상관을 소형 편향 요크와 결합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에 새도우 마스크 형태의 다중 비임 칼라 영상관을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칼라 영상관의 화면상에 주사되는 라스터의 모든점에서 비임 집중을 위해 동적 집중 교정 회로가 필요하였다. 그후, 그로스 등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3800176호에서 언급된 바와같이, 동적 집중 교정 회로가 필요없는 자기 집중형 표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상기 그로스등에 의한 특허에서 언급된 시스템에 있어서,3개의 인-라인(In-line) 전자 비임은 라스터상의 모든점에 상기 비임이 집중될 수 있게끔 음의 수평 등방성 비점수차 및 양의 수직 등방성 비점수차를 도입하는 비 균일성을 가진 편향 필드에 예속된다.
상기 그로스 등에 의한 특허에 기술된 시스템을 최초로 상업용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편향 평면에서 인접비임사이의 중심대 중심 간격은 5.08mm이하로 유지되어 집중에 있어서의 제약성을 완화시켰다. 그러나,상기 비임들간의 근접한 간격은 주사되는 비임의 공급원인 전자총의 집중 전극의 횡단 소자에 배치된 구멍을 결정하는 비임의 직경에 제한을 가하게 된다. 각각의 비임에 대한 집중 렌즈의 유효 직경이 구멍의 작은 직경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에는, 비임 스포트(spot)의 왜곡 문제가 작은 직경의 렌즈와 관련하는 구형수차에 기인하여 존재하게 된다.
이후 상업상의 이용에 있어서는, 비임들간의 간격이 좀더 크게 채택되어, 좀더 큰 직경의 집중 전극구멍의 사용을 가능케 하였다. 이것은 스포트 왜곡의 문제를 다소 경감시켰으나, 이를 위해 고가의 비용이 초래되었으며, 집중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증대시켰다.
도시바 잡지사에 의해 발행된 1980년 3,4월호에서 "소형 넥크 칼라 영상관"이란 명칭으로 된 E.Hamano등의 논문에 기술된 자기 집중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칼라 영상관과 편향 요크의 조합체가 기술되는데, 여기서 상기 비교적 소형의 편향 요크는 이후 통상적으로 활용된 넥크부의 외측 직경 (29,11mm,및 36.5mm)보다 훨씬 작은 넥크부의 외측 직경 (22.5mm)을 가진 칼라 영상관과 결합된다. 상기 하마모등에 의한 논문에 있어서, 수평 편향 리액티브 전력이 넥크부의 직경 감소와 관련되어 편향 감도가 통상적인 2.91mm넥크 시스템과 비교하여 20 내지 30퍼센트 정도 개선된다. 그러나, 넥크부의 직경 감소는 넥크부의 영역 치수에 제한을 가해, 만족스러운 집중 기능 및 고전압 안정성의 성취에 어려움을 따르게 한다.
본 발명은 넥크부의 직경 감소에 의존함이 없이 얻어질 수 있는 전술된 "소형 넥크"시스템과 관련하는 것들에 비해 편향 전력이 절약되며, 편향 감도가 개선되고, 요크가 소형으로 되는 칼라 영상관과 편향 요크의 조합체를 활용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S형의 작은 이격치수(5.08mm이하)가 상기 "소형 넥크"시스템에서와 같이 활용된다. 그러나, 유효 집중 렌즈의 직경이 렌즈로 인입되는 인접 비임들간의 중심대 중심간의 간격보다 작은 치수에 대해 제한되는 "소형 넥크"시스템과는 반대로, 중심대 중심간의 비임 간격보다 3배 이상 큰 주횡단 치수를 비대칭형 주집중 렌즈에 제공하는집중 전극 구조가 활용된다.
"소형 넥크부"시스템의 넥크부의 직경 감소가 본 발명을 활용한 시스템에서 회피된 경우에,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활용된 것들과 맞먹는 집중 전압 레벨이 집중 전극 구조와 내측벽들간의 적당한 이격에 대한 적당한 공간에서 고전압 안정성에 손상을 끼침이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같은 전압 레벨에서, 전술된 "소형 넥크부"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것보다 훨씬 개량된 집중기능이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은 보다 낮은 전압 레벨에 있어서 동작에 의해 집중 전압원의 제약성을 경감시킬 수 있게끔 개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칼라 영상관과 편향 요코의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29.11mm의 넥크부와 외측직경을 가진 영상관을 활용한다. 22.5mm넥크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관련된 취약성의 문제가 영상 표시 시스템의 조립체 및 영상관의 제조에 있어 피해진다. 또한 소형넥크부의 영상관의 진공에 관련하여 길어지는 진공화시간이 회피된다.
90°의 편향각이 활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집중 영상 표시 시스템에는 수평 편향 권선의 윈도우의 비임 출구에 있어, 약 66.956mm의 요크 내측 직경을 가진 반-환상 형태의 소형 편향 요크(즉, 환상형 수직 편향 권선과 새들형 수평 편향 권선을 가짐)와 상호 작동하는 5.08mm이하의 S형 이격 치수를가진 29.11mm넥크관이 제공된다. 25KV의 얼터 전위에서 동작하는 영상관과 더불어 소형 90°요크의 수평 편향 권선에 필요한 축적 에너지는 1.85밀리주울(millijoules)정도로 작다.
110°의 편향각을 활용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집중 영상 표시 시스템에는, 약 81.534mm의 윈도우의 비임 출구에 있어 내측직경을 가진 소형 반환상형 요크와 상호 작동하는 S형 이격치수와 언급된 넥크의 영상관에 의해 영상이 제공된다. 25KV의 얼터 전위에서 작동하는 영상관과 더불어 소형110°요크의 수평 편향 권선에 필요한 축적 에너지는 약 3.5밀리주을 정도로 작다.
전술된 실시예들의 비교적 소형 요크에 대하여, 언급된 S형 영상관과 더불어 광범위하게 사용된 90°편향요크의 내측 치수에 대한 예시값은 78.232mm이며, 넓은 S형 이격 치수를 가진 영상관과 더불어 광범위하게 사용된 110°편향 요크에 대한 내측 직경의 예시값은 108.712mm인 것이 주지된다.
전술된 두 실시예에 있어서, 고레벨의 집속 기능은 휴즈등에 의해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201,692호에 기재된 일반 형상의 집중 전극 구조를 29.11mm넥크에 활용하므로써 보증된다. 상기 일반 형상의 구조에 있어서, 전자총 조립체의 비임 출구에서의 주집중 전극들은 각각의 넥크부의 길이측에 대해 횡적으로 배치되며, 3개의 원형 구멍에 의해 관통된 부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각각의 원형 구멍을 통해 전자 비임이 통과한다. 상기 각각의 집중 전극은 또한 상기 횡단부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비임의 모든 통로에 대한 공통구내를 제공하는 인접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주집중 전극의 각각의 길이축 연장부들은 비임에 대한 공통집중 렌즈들이 이들 사이에 한정되게끔 병렬 배치된다. 최종 집중 전극의 공통 구내의 주횡단 내측 직경은17.65mm이며, 중간 집중 전극의 공통 구내(common enclosure)의 주횡단 내측 직경은 18.16mm이다. 이같은 치수의 경우에 있어서, 29,11mm넥크의 내측 공간이 증대되며, 중심대 중심 구멍 이격 치수보다 3.5배 큰 주횡단 치수를 집중 렌즈에 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제각기의 횡단 치수사이의 차이는 전자총 조립체로부터 나타나는 방사 비임에 대해 요구된 집중 효과를 제어한다.
본 발명을 실시한 시스템의 전자총 조립체의 예시 형성에 있어서, 중간 집중 전극의 공통 구내의 내측 주변의 형상은 전술된 휴의 출원서에 예시된 바와같은 "트랙"형태이다 반면, 최종 집중 전극의 공통구내의내측 주변의 형상은 피 글렌거에 의한 계류중인 미합중국 출원서 제282,228호에 예시된 바와같은 "아령"형태이다. 또한, 주집중 렌즈의 입구에서의 비임 단면부의 수평 치수에 비해 수직 치수를 감소시키는 형태의렌즈의 비대칭은 전자총 조립체의 비임 형성 영역에 관련한다. 상기 비대칭은 전자총 조립체의 제1그리드(G1)의 제각기의 원형 구멍과 더불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방향 슬로트를 연관시키는 것에 의해 도입된다. "레이스 트랙", "아령" 구내 및 G1슬로트의 적절한 치수 선정에 의해서, 라스터 면상의 중앙 및 연부에서의 바람직한 스포트 형상은 이들 소자와 연관된 비점수차의 최적 균형에 의해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한 칼라 영상 표시 장치의 화상관 및 요크의 조합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칼라 화상관(11)은 퍼널부(11F)를 갖는 진공상태의 유리 외피부를 가지며, 원통형상의 넥크부(11N)와 장방향의 표시 스크린을 형성하는 스크린부를 연결한다. 넥크부(11N)과 퍼널부(11F)가 접촉하는 부분에는편향 요크 조립체(13)의 고리 형상의 요크 장착부재(17)가 있다.
요크 조립체(13)는 자화성 재질의 코어(15)에 환상형 으로 감겨진 수직 편향 권선(13V)을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 절연 재질의 요크 장착부재(17)에 둘러싸여 진다. 또한, 요크 조립체는 제1도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수평 편향 권선(13H)을 포함한다. 수평 편향 권선(13H)의 전단부는 부재(17)의 테두리부(17F)에서 둥지 모양을 형성한다. 또한 후단부도 부재(17)의 테두리부(17R)에서 전단부와유사하게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당한 설계치가 제1도에 보여진다. 권선(13H,13V)에 의해 형성된 편향 요크의 소형성은 1도당(편향 요크에 의해서 제공된 편향각) 0.7625mm이하의 전면부 내경 "i"에 의해서 입증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직경은 새들형 권선(13H)의 작용 도체의 전단(즉, 이들 권선에 의해 형성된 윈도우의 비임 출구)에서 측정된다. 칼라 화상관(11)의 넥크부(11N)의 외경 "0"는 통상적으로 29.11mm(=1145mils)로 측정된다. 넥크부(11N)내에 설비된 전자총 조립체 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정전비임 집속 렌즈(18)(점선로 도시됨)는 렌즈 입구에 인접한 비임축 사이의 간격 "g", 즉, 5.0833mm(=200mils)보다 수평 방향(3개의 비임축으로 점유된 수평 평면)으로 3.5배 이상 큰 횡단치수 "f"를 갖는다.
제3도는 제1도의 칼라 화상관의 넥크부(11N)에 있어 사용에 적합한 전자총 조립체의 부분 측면도이다. 제3도의 전자총 조립체의 전극들은 3개의 캐소드(21)(여기서는 하나만이 도시됨), 제어 그리드(23)(G1),스크린 그리드(25)(G2), 제1가속 및 집중전극(27)(G3), 그리고 제2가속 및 집중 전극(29)(G4)를 갖는다. 전자총 소자용 장착 부재는 한쌍의 유리 지지봉(33a,33b)에 의해 제공되고, 평행 관계를 유지하며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서 각종 전극이 배열된다.
각각의 캐소드(21)는 (G1,G2,G3 및, G4)내의 구멍과 제각기 일렬로 정돈되며, 캐소드에 의해 방사된 전자들이 화상관의 스크린에 도달할 수 있게끔 한다. 캐소드에 의해 방사된 전자들은 별개의 일방형성 전위(예로서, 각각 0 및 1100v)로 유지되는 G1 및 G2전극(23, 25)의 구멍 영역들간에 설정된 각각의 전자 비임형성 렌즈에 의해 3개의 전자 비임으로 형성된다. G3 및 G4전극의 인접한 소자(27a, 29a)사이에 형성된 주정전 집중 렌즈(18)(제1도)에 의해서 스크린면상에서 비임의 집중이 행해진다. G3 전극은 G4전극에 인가된 전위 (예, 25KV)의 26% 전위 (예, 6500V)로 유지된다.
G3전극(27)은 두개의 컵형상 소자(27a,27b)의 조립체를 구비한다. 소자(27a)의 전단면은 제4도에 도시되며, 그것의 횡단면(제4도의 선(C-C')을 따라 절취)은 제8도에 도시된다. 소자(27b)의 후단면은 제6도에 도시되며, 그것의 횡단면(제6도의 선(E-E')을 따라 절취)은 제10도에 도시된다.
G4전극(29)은 컵형상의 소자(29a)와 정전차폐 컵형상의 소자(29b)를 갖는다. 소자(29a)의 후단면은 제5도에 도시되며, 그것의 횡단면(제5도의 선(D-D')을 따라 절취)은 제9도에 도시된다.
3개의 인-라인(in-line)구멍(44)은 G3소자(27a)의 횡단부(40)에 형성되며, 상기 횡단부는 소자의 폐쇄된 전단의 오목부 저부에 위치된다. 오목부의 벽 (42)은 각자의 구멍 (44)으로부터의 3개의 방사 비임의 공통구내를 정하며, 각각의 측면에서 반구 궤적을 가짐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서 일직선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므로써, 제4도에서 알 수 있듯이 트랙 형태를 구성한다. G3구내의 최대 수평 내측 치수는 제4도에 "f1"으로 도시된다. G3구내의 최대 수직 내측 치수는 직선의 평행 벽수사이에 간격에 의해 결정되며 제4도에서"f2"로 도시된다. 상기 수직 치수는 비임축 각각의 위치에서 f2와 동일하다.
또한, 3개의 구멍 (54)은 G4소자(29a)의 횡단부(50)에 형성되며, 상기 횡단부는 소자의 폐쇄 후단에서의 오목부의 저부에 위치된다. 오목부의 벽(52)은 G4소자로 향하는 3개의 비임에 대한 공통 구내를 한정하며, 중심 영역에서 직선의 평행 관계로 배치된다. 각각의 양측에서의 궤적은 중간 영역의 평행벽 사이의 간격보다 큰 직경을 갖는 보다 큰 반원의 호를 나타낸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와같은 형상에 의해서 중심 구멍축 위치에서 G4구내의 내측 치수(f5)는 각각의 외측 구멍축 위치에서의 G4구내의 수직 내측 치수보다 더 작게된다. G4구내의 최대 수평 내측 치수는 제5도에서 "f3"로 도시된다. G4구내의 최대수직 내측 치수는 단부 영역의 호와 관련하는 직경에 상당하며 제5도에서 "f4"로 도시된다. 주집중 렌즈의 주횡단 치수(f1)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주집중 렌즈(18)의 최대 횡단 치수(f2)는 주횡단 치수(f1)보다 작지만, 인접한 구멍 (44)사이의 중앙대 중앙 간격보다 크다.
제4도 및 제5도의 G3 및 G4전극의 최대 외측폭은 동일하며, 제8도 및 제9도에 "f6"으로 도시된다. 또한, 구멍 (44 및 54)의 직경도 동일하며 제8도 및 제9도에 "d"로 도시된다. 또한, G3 및 G4전극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도 동일하다(제8도 및 제9도에 "r"로서 도시됨). 그러나, G3의 구멍 깊이 (제8도에서 a1)와 G4의 구멍 깊이 (제9도의 a2)는 서로 동일하지 않다. 여기서 d는 4.064mm, f1은 18.16mm, f2는 8,000mm, f3는 17.65mm, f4는 7.240mm, f5는6.86mm, f6는 22.22mm, r은 2.92mm, a1은 0.86mm, 그리고, a2는 1.14mm이다. 또한, 집중 전극중 각각의 집중 전극내의 인접 구멍사이의 중심대 중심 간격 (g)의 치수는, 제1도에 설명된 것처럼, 5.08mm이며, 소자(27a 및 29a)의 축 길이는 각각 12.45mm 및 3.05mm이고, 제3도의 조립체에 있어 G3 및 G4의 간격은 1.27mm이다.
소자(27a 및 29a)사이에 형성된 주집중 렌즈는 단일 렌즈로서, 상대 오목벽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신하여 비임 통로를 횡단하는 영역에서 비교적 완만한 곡선의 등전위선을 갖는다. 그러나, 오목부 형태가 없었던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집중 렌즈의 비 오목구멍 영역의 각각의 영역에 집중되는 비교적 급격한 곡선의등전위선에 의해서 상기와 같은 집중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소자(27a 및 29a)의 예시된 구성에 있어서의 오목 형태의 존재에 의해서, 구멍 영역에서의 비교적 급격한 곡선의 등전위선은 단지 집중 기능의 질적인 면의 결정에 있어 조그마한 역활을 할뿐이다(즉, 집중 기능은 오목벽과 관련하는 커다란 크기의 렌즈에 의해서 오히려 유리하게 결정된다) .
결론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구형수차 효과의 레벨이 구멍의 직경에 비교적 무관하고, 오목벽에 의해서 결정된 큰 렌즈의 치수에 의해서 좌우되게끔 하도록, 구멍 직경의 제한성에도 불구하고 근접한 비임 간격치수(5.0833mm로 언급된 바와같은 치수)를 사용해도 좋다. 이런 상태하에서, 넥크부의 직경은 집중 기능에 제한 요소가 된다 본 발명의 집중 장치에 대하여 상기 예시된 치수에 의해서, 통상의 직경 치수(즉,29 11mm)의 넥핀부에 용이하게 내장되는 집중 전극의 외측 치수(예, f6)로 훌륭한 집중이 행해진다. 역으로, 전술된 하마노등에 의한 수명의 논문에 기술된 "소형넥크관"의 넥크는 이러한 예시된 치수의 집중 전극구조를 수용할 수 없다.
주정전 비임 집속 렌즈(18)의 집중면은 트랙 형태의 외측 궤적을 가진 소자의 오목부와 연관된다. 이러한 형상의 수평대 수직의 비대칭성은 비점수차 효과를 초래한다. 더 큰 집중은 G3전극의 오목부를 횡단하는 전자 비임의 수평으로 이격된 방사선 보다 수직으로 이적된 방사선에 더 크게 효과된다. 만일 G4전극의 병렬 배치의 오목부에 동종의 트랙 궤적이 제공되면, 주집중 렌즈(18)의 발산면도 보상할 필요가 있는 비점수차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보상 효과는 네크(net) 비정수차의 존재를 방지하기에 부적당한 크기를 갖는다. 이것은 표시면상에 바람직한 스포트 형상을 방해한다.
필요한 부가적인 비점수차의 보상은 전술된 휴즈(Hushes)등이 제시한 출원서에 기재된 것으로 해결되며, 소자(29a,29b)의 내면에 존재하는 횡단 평판의 구멍과 더불어 한쌍의 슬로트 형상 수평 스트립과 관련한다. 상기 휴즈등이 제시한 출원서 에는 상기 해결책에 대한 치수가 예시되어 있다.
필요한 비점수차의 보상의 또다른 해결책은 전술된 글랜거의 출원서에 기재되어 있으며, 아령 형상으로 G4전극의 오목벽의 궤적 변형에 관계한다. 이러한 용도에 대해, 아령 형상의 중심 영역에 관련하는 수직치수의 감소 정도는 주집중 렌즈의 발산 영역에서의 비점수차 보상이 실제적으로 얻어지도록 선택되거나,또는 전술된 형태의 G4슬로트의 보상 효과를 보상하도록 선택된다. 상기 글랜거의 출원서 에는 이러한 해결책에 대한 치수가 예시된다.
G4오목벽의 아령 형상의 보상 효과가 G1,G2전극(23,25)에 의해서 결정된 비임 집중 렌즈에 적당한 비대칭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 보상 효과와 연관하는 것은 비점수차 보상 문제에 대한 또다른 해결책으로 된다. 후자의 보상 효과의 성질을 인지하기 위하여는, 제7도에 그 전극의 후면도에 의해 가장 잘 예시된 것처럼, G1전극(23)의 구조 및 그 전극과 관련된 횡단면인 제7a도 및 제7b도를 고려하는 것이 적당하다.
G1전극(23)의 중앙 영역은 3개의 원형 구멍 (64)에 의해서 관통되며, 각각의 구멍은 전극(23)의 후면에있는 오목부(66) 및 전극(23)의 전면에 있는 오목부(68)를 연결한다. 후면의 오목부(66)는 원형 궤적에 벽을 가지며, 오목부의 직경 "k"는 오목부의 벽으로부터 적당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캐소드(21)(제7b도에 점선으로 도시됨)의 전방 단부를 인출해 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전면의 오목부(68)의 벽들은 장방형 슬로트로 한정된 궤적을 가지며, 수직 슬로트의 직경 "v"는 수평 슬로트의 직경 "h"보다 훨씬 크다. 두 그리드중 한 그리드와 관련된 슬로트 구조는 제1과 제2그리드의 구멍사이에 장방형 슬로트가 삽입된다. 인접 구멍(64)사이의 중심대 중심 간격(g)을 이미 언급된 G3 및 G4전극의 구멍에 대해 제공된 것과동일하다. G1전극(23)의 다른 치수의 예시값은 다음과 같다. 즉, d1은 0.615mm, k는 3.075mm, h는 0.711mm, v는 2.134mm, 구멍(64)의 깊이(a3)는 0.102mm, 슬로트(68)의 깊이 (a4)는 0.203mm, 오목부(66)의 깊이 (a5)는 0.457mm이다 캐소드(21)와 G2전극과의 조립시, 캐소드(21)와 오목부(66)의 베이스사이의 간격에 대한 예시값은 0.152mm이며, G1과 G2사이의 간격에 대한 예시값은 0.178mm이다. 제3도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G2전극(25)의 3개의 원형 구멍 (26)은 G1전극의 구멍 (64)과 각각 일렬로 정렬된다. 중간 배치된 슬로트(68)의 존재는 G1과 G2상의 비임 형성 렌즈의 집중면에서 비대칭을 이룬다. 이 효과는 각 비임의 수직 이격된 광선에 대한 교차점의 위치가 수평 이격된 광선에 대한 교차점의 위치보다 비임통로를 따라 더욱 전방에 있게됨에 있다. 결과적으로, 주집중 렌즈로 인입되는 각 비임의 단면은 수직치수보다 큰 수평 치수를 가진다. 이와같은 비임의 단면 형상 "전치왜곡(predistortion)"에 의해 주집중 렌즈의 비점수차의 스포트 왜곡 효과를 보상할 수 있다.
주집중 렌즈에 인입되는 비임의 "전치왜곡"을 이용하므로써, 수직 및 수평 치수에 있어 증가된 등방성의 집중 효과가 얻어진다는 장점이 얻어지게 된다. 주집중 렌즈의 비대칭의 결과로써, 렌즈 영역의 수직 치수가 비임 통로에 의해 횡단되고, 집중 전극의 구멍 직경보다 더욱 크게 될지라도, 이 영역에서 수평 치수보다는 더욱 작게된다. 따라서, 각 전자 비임의 수직으로 이격된 광선은 수평으로 이격된 광선에 의한 렌즈보다 더욱 작게된다. 전술된 "전치왜곡"은 주집중 렌즈의 횡단중 각 비임의 수직 분포를 제한하여, 이것에 의해서, 보다 작은 수직 렌즈를 가로지르는 적절히 집중된 비임의 수직 경계의 분리는 보다 큰 수평 렌즈를 가로지르는 비임의 수평 경계의 분리보다 작게된다.
주집중 렌즈에 인입되는 비임의 "전치왜곡"의 사용으로 인한 또 하나의 장점은 요크 조립체(13)의 후면에 나타나는 환상형의 수직 편향 권선(13V)의 가장자리 전계에 응답하여 주집중 렌즈내로 인입되는 비임의 바람직하지 못한 수직 편향과 관련하는 라스터 상부 및 하부에 생기는 수직 플레어(flare)문제점의 감소에 있다. 또한 후술될 바와같이, 이 가장자리 자계로부터 비임이 자기적으로 차폐되며, 특히, 그들 통로의 저속도 영역에서, 연이은 통로가 가장자리 자계로부터 차폐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주집중 렌즈의 횡단중에 각비임의 수직 분포의 전술한 제한성은 가장자리 자계에 의한 인입점의 편향이 광선을 비교적 렌즈 영역밖으로 이탈시키는 것을 감소시킨다.
주집중 렌즈에 인입되는 비임의 "전치왜곡"의 사용으로 인한 또다른 장점은 라스터 면상의 스포트 형상에 새들형 권선(13H)에 의해 제공된 주 수평 편향 자계의 역효과의 감소에 있다. 요크 조립체(13)의 필요한 바람직한 자기 집중 효과를 목적으로, 수평 편향 자계를 비임의 편향 영역의 축에 따른 실제의 영역에 걸쳐강하게 핀쿠숀(pincushion)시킨다. 수평 편향 자계의 비균일성의 불행한 결과는 라스터 면상의 수직 이격된비임 광선의 과집속 초래 경향에 있다 전술된 "전치왜곡"의 사용에 의해서, 편향 영역을 통한 비임의 횡단중의 비임의 수직 치수는 라스터 면상의 과집속 효과가 허용가능한 레벨로 감쇠되게끔 충분히 압축된다.
비임의 "전치왜곡"의 또다른 성취가 기술된 첸등에 의해 미합중국 특허 제4,234,814호에 기재된 내용을참고하면, 수평 방향의 기다란 슬로트 오목부는 G2전극의 각각의 원형 구멍과 일렬로 정돈되어 관련되는 G2전극의 후면에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특허에 있어서는, 수평 치수와 관련하는 주집중 렌즈 횡단 비임의 수직 치수의 압축은 각각의 비임 형성 렌즈의 발산부에 비대칭성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성취된다. 이미 언급된 전자총 시스템의 Gl전극과 관련되어 언급된 비대칭의 장점은 수직 방향에 있어 집중의 깊이가 유리하게 개선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집중 깊이에 의해서, 표시 시스템내에 통상적으로 제공된 집중 전압 조정 전위차계는 적정 범위에 걸쳐 집중 전압(G3 전극(27)에 인가된 전압)을 변화시켜, 수직 방향에 있어 집중의 심오한 교란을 일으킴이 없이 수평 방향으로 집중을 최적화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게끔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각각의 비임 통로의 저속도 영역을 편향 요크의 후방쪽을 향한 가장자리 자계로부터 차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목적을 위하여, 컵형상의 자계 차폐 소자(31)는 G3전극(27)의 후면소자(27b)내에 정합되며, 여기에 소자(27b)의 폐쇄단부(제3도에 도시됨)와 접촉하는 폐쇄 단부에 의해 고착된다(용접에 의함). 제6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컵형상 소자(27b)의 폐쇄 단부는 원형 궤적의 벽을 가진 3개의 인-라인 구멍(28)에 의해 관통된다. 자계 차폐 삽입부재(31)의 폐쇄 단부는 원형 궤적의벽을 가진 3개의 인-라인 구멍 (32)에 의해 동일하게 관통되며, 이들은 삽입부재 (31)가 정위치에 정합될때, 구멍 (28)과 일렬로 정렬되며, 상호 관계하도록 배치된다.
제3도의 조립체에 있어서, 구멍(28)은 G2전극(25)의 구멍(26)과 일렬로 정렬되나 축 방향으로 이격된다. 여기서의 예시 치수는 다음과 같다. 즉, 구멍(26)의 직경은 0.615mm, 구멍(26)의 깊이는 0.508mm, 구멍(28)의 직경은 1.524mm, 구멍(28)의 깊이는 0.254mm, 구멍(32)의 직경은 2.54mm, 구멍(32)의 깊이는0.254mm이다. 또한, 구멍(26)과 구멍(28)사이의 축상 거리는 0.838mm이며, 3개 인접 구멍들 사이의 중심대 중심 거리는 언급된 5.08mm의 "g"를 갖는다. 자계 차폐 삽입부재(31)의 축상 길이는 각각 13.335mm 및 12.45mm의 G3소자(27b 및 27a)에 대한 축상 길이에 비교할 때 5.38mm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차폐 길이(G3 전극의 전체 길이의 4분지 1보다 작음)는 전치-집속 영역내의 비임 통로가 차폐되어, 모서리부의 집속을 방해하는 전계 왜곡이 회피되게끔 소망의 값들 사이의 적당한 화합값을 나타낸다. 예로서, 차폐 소자(31)는 집중 전극 소자에 이용되는 재질(52%의 니켈과 48%의 철의 합금)로 형성된다.
G4전극(29)의 전방 소자(29b)는 전극에 얼터(ultor)전위 (예, 25KV)의 공급 효과를 목적으로 화상관의 통상의 내측 수중 피복부를 G4전극에 접촉시키기 위한 전방의 주면부에 다수의 접촉 스프링 (30)을 포함하고 있다. 컵형상의 소자(29b)의 폐쇄 단부는 주집중 렌즈를 떠나는 각각의 비임 통과를 위해 중심대 중심 간격이 5.08mm인 3개의 인-라인 구멍(도시안됨)을 포함한다. 구멍의 공지 부내의 소자(29b)의 폐쇄 단부의 내면에 고정된 고투자율의 자석부재는 예를들어, 휴즈에 의해 미합중국 특허 제3,772,554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코마(Coma)수차 교정을 위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넥크부내의 구조의 외측면과 넥크부의 내측면사이의 최소 간격은 0.762mm이상이다.
제3도에서 조립체내의 다른 전극(캐소드, G1,G2 및 G3)에 대한 동작 전위의 공급은 통상의 리이드구조(도시안됨)를 통해 화상관의 베이스에 의해 행해진다.
제3도의 G3 및 G4전극(27,29)사이에 형성된 주집중 렌즈는 렌즈를 횡단하는 3색의 네트 집중 효과를 가지며 이것에 의해서 비임은 집중 형태로 렌즈를 떠난다. 소자(27a,29a)의 병렬 배치된 구내의 수평 치수에 관련하는 크기는 집중 작용의 크기에 악영향을 끼친다. 집중 작용의 증강은 G4구내의 폭에 유리한 치수에관련되고, 집중 작용의 감소는 G3구내의 폭에 유리한 치수비에 관련된다. 전술한 바와같은 치수를 가진 실시예에 있어서, G3와 G4구내의 폭의 비율이 715대 695로 적절히 정해질 경우, 집중 작용 감소가 바람직하다.
제1도의 표시 시스템을 사용하면, 넥크부의 주위에 통상의 부가적 장치를 사용하여 라스터 중심에서의 비임의 집중(즉, 정적 집중)을 최적 상태로 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는 예로서, 바빈에 의해 미합중국 특허 제3,725,831호에 기재된 조정 가능 자계링(ring) 형태 또는, 스미스에 의해 미합중국 특허 제4,162,470호에 기재된 덮개 형태일 수도 있다.
제13도는 제3도의 전자총 조립체의 변형으로써, 제1도의 장치에 활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에 따라, 한쌍의 보조 집중 전극(27",29")은 스크린 그리드(25')와 주가속 및 집중 전극(27',29')사이에 삽입 배치된다 주집중 렌즈는 G5 및 G6전극을 구성하는 상기 주가속 및 집중 전극(27',29')사이에 한정된다. 보조 집중 전극중 횡단된 한 전극[G3 전극(27")]는 G5전극(27')과 동일한 전위 (예, 8000V)에 의해서 활성화되며, 다른 하나의 보조 집중 전극[G4 전극(29")]은 G6전극(29)과 동일한 전위(예, 25KV)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제3도의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비임은 제어 그리드[G1 전극(23')]와 스크린 그리드[G2 전극(25')]사이에 설정된 각각의 비임 형성 렌즈에 의해 형성된다.
이같은 또다른 실시예의 실현에 있어서, G5 및 G6전극(27" 및 29")은 전술된 중심대 중심 간격이 5.08mm인 오목 구멍의 밑바닥을 형성하는 전술한 치수와 "트랙" 및 "아령"형태의 병렬 배치된 구멍을 가진 제3도 조립체의 G3 및 G4전극(27,29)에 의해신 추측되는 일반적 형태이다. 전술된 형태의 비임의 "전치왜곡"은 각각의 비임 형성 렌즈의 비대칭에 의해서 도입된다. 이것은 전술된 첸등에 의한 특허에 기재된 형태의 G1 및 G2전극(23',25')에 대한 구조 형태에 의해 제공되며, 이것에 의해서, 수평 방향의 장방형 슬로트가 중심대 중심 간격이 5.08mm인 G2 및 G1원형 구멍간에 삽입 배치되게끔 G2전극(23')의 후면에 연관된다. 부가적인 3개의 인-라인 원형 구멍에 의해 관통되는 밑면을 가진 컵형상의 소자로 형성된 중간 삽입된 보조 집중 전극(27",29")는 대칭형 G3-G4 및 G4-G5렌즈를 도입하여 이것에 의해 주집중 렌즈를 횡단하는 비임의 단면적 치수 및 이에 따른 편향 영역에 있어 대칭 감소 효과를 초래한다. 이같은 치수 감소는 라스터면에 있어 스포트 형상에 대한 수평 편향 전계의 과집중 효과를 작게하나, 이러한 과집중 효과의 감소는 제3도의 더욱 간단한 쌍전위 시스템으로 달성되는 것보다 더 큰 중앙 스포트 크기 제공에 따른 고가의비용을 초래하게 된다. 제13도의 구성에 의해서, 삽입부재 (31)와 관련하여 언급된 저속도 비임 통로 영역의 차폐 효과는 고투자율의 재질인 G3전극(27")을 형성함에 따라 얻어진다.
제1도의 시스템에서 편향 요크의 감도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편향 영역에 있어 관외퍼의 퍼널부(11F)의원추형 궤적을 소형 요크의 편향 권선(13H)의 작용 도체가 가능한 최외각 비임 통로에 근접하게끔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도는 90°편향각이 활용되는 제1도의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해 적당하게 정해진 퍼널 궤적을 도치한 것이다 도시된 궤적을 표현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즉, X=C0 + C1(Z) + C2(Z2) + C3(Z3) + C4(Z4) + C5(Z5) + C6(Z6) + C7(Z7), 여기서 X는 관외피의 외측면에 대한 길이축(A)으로부터 측정된 코운부의 반경으로서 밀리메타(mm)로 표시된다. 또한 Z는 넥크와 퍼널부의 분리선의 전방 1.27mm인점에서 축을 가로지르는 Z=0평면으로부터 표시 스크린의 방향으로 축 A에 따른 길이로서 밀리메타(mm)로 표시된다. 여기서, C0=15.10490590, C1=-0.1582240210, C2=0.01162553080, C3=8.880522990x10-4, C4=-3.877228960×10-5, C5=7.249226520×10-7, C6=-6.723851420×10-9, C7=2.482776160x10-11이다. 상기 식은 9.35 내지 52.0mm의 Z의 값들에 대해 적합하다.
제12도는 110°편향각이 활용된 제1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해 적절히 결정된 패널 궤적을 도시한 것이다. 예시된 궤적의 표현 수식은 다음과 같다. 즉, X=C0+C1(Z)+C2(Z2) +C3(Z3)+C4(Z4) +C5(Z5)이다. 여기사, X는 관외피의 외측면에 대한 길이축 A'로부터 측정된 코운부의 직경으로서 밀리메타로 표시되고, Z는 넥크부와 퍼널부간을 분리하는 선의 전방 1.27mm에서 축을 가로지르는 Z=0평면으로부터 표시 스크린의방향으로 축 A'에 따른 거리로서 밀리메타로 표시되며, CO=14.5840702, C1=0.312534174, C2=0.0242187585, C3=-6.99740898×10-4, C4=1.64032142×10-5, C5=1.17802606×10-7이며, 상기 식은 1.53내지 50.0mm의 Z값들에 대해 적합하다.
110°의 편향각의 제1도 시스템의 실시예에 있어서, 요크 장착 부재(17)의 입구는, 요크 조립체 (13)가 최전방 위치에 있을 경우, 권선(13H)의 작용 도체들이 제12도의 횡단면 Y와 Y'사이에서 관외피의 외측면(11F 및 11N)에 대해 가깝게 접촉되도록 궤적을 이룬다. 제12도의 퍼널 궤적은 비임이 관외피의 모서리에 부딪치지 못하도록 하면서 최전방 위치로부터 y-y'길이에 대해 5 내지 6mm정도의 공차를 허용한다.
제14a도에 있어서, 자기 집중으로 제1도 시스템의 110°실시예를 달성하게끔 제2도의 요크에 의해 요구된 수평 편향 전계의 필요한 H2비균일 함수의 일반적인 형태는 실선 곡선(HH2)으로 도시되며, 관의 길이축에 따른 위치를 나타내는 가로 좌표와 자계의 균일성으로 부터의 이탈 정도를 나타내는 세로 좌표를 갖는다. 제14a도에 있어서, 0축으로부터 곡선(HH2)의 상향(화살표 P의 방향)변위는 "핀쿠숀"형태의 전계의 비균일성을 나타내며, 0축으로부터 곡선(HH2)의 하향(화살표 B의 방향)변위는 "배럴"형태의 전계의 비균일성을 나타낸다. 가로 좌표에 대한 점선 곡선(HH0)은 수평 편향 전계의 H0함수로서 관축에 따른 상대 전계세기 분포를 나타낸다. 곡선(HH2)의 칫불 형상부는 라스터 면에서 스포트 형상 문제점으로 언급된 강한핀쿠슨 형상의 전계 영역 위치를 나타낸다.
제14b도에 있어서, 자기 집중을 얻기 위해 수평 편향 전계에 대한 수직 편향 전계 비교에 요구된 H비균일성의 일반적인 형태는 곡선(VH2)로 도시되며, 제14a도에서와 같은 가로 좌표 및 세로 좌표를 갖는다. 수직 편향 자계의 H0함수로 나타내는 점선 곡선(VH0)는 관축에 따른 상대 전계 세기 분포를 나타낸다. 곡선(VH0)의 보다 멀리 이탈된 부분은 비임의 "전치왜곡"의 잇점과 관련하여 언급된 바와같이 환상형 권선(13V)의 후방에 대한 수직 편향 전계의 중대한 스필오버 (spillover)를 나타낸다.
제12도의 궤적에 참조된 제14b도의 곡선에 의해 암시된 바와같이, 제1도 시스템에 있어 주편향 작용은 적당한 퍼널 궤적이 형성에 의해 요크의 도체가 최외각 비임 통로에 근접하게 되게끔 되는 영역에서 발생한다. "소형 넥크부"시스템에 필요한 넥크부 크기의 감소가 없어도, 편향 효율의 실현에 작은 영향만이 초래됨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고전압 안정 기능을 손상시정이 없이 고집속의 질을 보증하는 "소형넥크부"관에 있어서의 집속 렌즈 치수를 실제로 알 수 있다.
제12도에 있어서, 횡단면(C 및 C')은 제1도의 시스템의 실시 예에서 기술된 110°, 19V로 코어 (15)의 각각의 전단 및 후단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 권선(13H)의 작용 도체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축상 거리 (y-y')는 코어(15)의 전단과 후단사이의 축상거리(c-c')보다 대단히 크며 (예로서, 1.4배 크다), 코어 (15)의 후방에 배치된 특정 도체의 길이의 2분지 1보다 훨씬크다. c-y, y-y', 및 y'-c'평면이격에 대한 예시 치수는 각각 7.62mm, 50.8mm, 및 12.70mm이다.
수평 편향 권선의 작용 도체의 후방 연장부를 코어의 후방 단부의 더욱 후방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시스템에 요구된 축적 에너지가 더욱 작아질 수 있으며(즉, 1/2IHLH 2), 수직 편향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로 수평 편향 중심의 후방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수평 편향 권선의 상기 후방 이동에 대한 제한은 바람직한 요크의 공차 조건하에서 넥크부의 여유의 고려로부터 생기며, 라스터의 모서리에 있어 만족할만한 비임 집중에 충격을 가한다. 권선(13H) 및 코아(15)에 대해 제12도에 도시되어 관련된 위치 설정 및 축길이 균형은 한편으로 편향 효율 증대를 위해 필요에 의해 부과된 상반된 요구간의 만족할만한 절충을 나타내며, 다른 한편으로는, 만족할만한 모서리 집중 기능 및 요크의 공차 범위 타당성의 달성을 나타낸다. 제각기 제14a도 및 제14b도의 HH와 VH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관찰된 바와같이, 권선(13H) 및 코어 (15)에 대해 제12도에 도시된 관련 위치에 의해서, HH0및 VH0의 각각의 피이크 강도 분포 함수에 대해 바람직하게 축의 위치가 일치된다.

Claims (19)

  1. 표시 스크린을 형성하는 스크린부, 원통형 넥크부, 그리고 상기 스크린부와 상기 넥크부 집속하는 퍼널부로 이루어지는 유리 진공 외피를 가진 칼라 영상관과 ; 3개의 인-라인 전자 비임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넥크부에 설치된 전자총 조립체를 구비한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상의 전반에 걸친 상기 비임의 집중에 따라 상기 스크린상의 라스터 표시가 행해질 수 있게끔 하며, 상기 스크린상의 모서리부에 도달하는 비임의 통로들간의 소정의 편향각을 설정하는 편향 전계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넥크부(11N)와 퍼널부(11F)간의 접합부분을 에워싸며, 각각의 윈도우부를 한정하는 새들 형상의 수평 편향 권선(13H)과, 상기 유리 외피로 에워싸진 영역내에서 상기 비임에 대한 각각의 편향 중심을 설정하는 환형상의 수직 편향 권선(13V)을 포함하는 소형 편향 요크 조립체(13)와 ; 상기 넥크부의 세로축에 대해 횡적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비임을 각각 통과시키는 3개의 인-라인 구멍 (44; 54)으로, 이들 3개의 구멍중 인접한 구멍사이의 중앙대 중앙 간격(g)이 상기 편향 중심에 의해 점유된 횡단면내에서 5.08mm이하로 한정되는 3개의인-라인 구멍 (44; 54)을 갖는 부분(40; 50)과, 이들 부분으로부터 세로축으로 확장하여 상기 모든 비임의 통로에 대한 공통구내를 제공하는 접합부분(42; 52)을 포함하여, 상기 비임 통로로부터 이탈되는 비임이 집중 형태로 한정되도록 병렬로 각각 배치된 소자사이에 공통 주집중렌즈(18)가 배치되고, 비임 출구 단부에 상이한 전위로 유지되는 두개의 주집중 전극(27,29)을 포함하는 전자총 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병렬로 배치된 소자(27a,29a)의 형상이 인접 구멍사이의 상기 중심대 중심 간격보다 3배 이상 큰 상기 주집중렌즈에 대한 주횡단 치수(f)를 설정하며, 상기 넥크부(11N)의 직경 (o)은 상기 넥크부의 내측면이 상기 병렬 배치된 구역의 외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끔 충분히 크며, 상기 윈도우부의 비임 출구 단부에서 상기 편향요크 조립체(13)의 내측 직경(i)이 상기 편향 각도의 1도당 0.76mm(30mi1s)보다 작음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횡단 치수(f1)에 수직한 방향의 상기 주집중 렌즈(18)의 최대 횡단 치수(f2)는 상기 주횡단 치수(f1)보다는 작으나 인접 구멍사이의 중심대 중심간격보다 큰점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 조립체는, 상기 주집중 렌즈 입구에서 각 비임의 횡단면 이 상기 주횡단 치수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상기 수집중 렌즈의 최대 치수보다 큰 상기 주집중 렌즈의 상기주횡단 치수의 방향에서 최대 치수를 나타내도록 비임 형성 수단(23,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 형성 수단은 3개의 인-라인 캐소드(21)와, 상기 인-라인 캐소드에 인접해 있고 3개의 원형 구멍 (64)을 갖으며 각각 상기 캐소드와 일렬로 정렬된 제1그리드(23)와, 상기 제1그리드와 상기 주집중 렌즈사이에 배치되며 3개의 원형 구멍을 갖고 각각 상기 제1그리드의 구멍과 일렬로 정렬된 제2그리드(25)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그리드는 상이한(0,1100V)전위에서 유지되며 그 사이에서 상기 캐소드에 의해 방출된 전자에 대한 비임 형성 렌즈를 제한하며, 상기 그리드중 한 그리드와 관련된 슬로트 구조(68)는 제2그리드(25)의 각각의 원형 구멍과 상기 제1그리드(23)의 각각 정렬된 구멍사이에 실제 장방형 슬로트가 삽입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트 구조(68)는 상기 제1그리드(23)와 관련되어 3개의 실제 장방형 슬로트와 합체되고, 상기 슬로트의 각각은 제1그리드의 원형 구멍 (64)중 각각 다른 하나의 구멍과 관련되어 정렬되며, 상기 주횡단 치수 방향의 주집중 렌즈의 치수보다 큰 주집중 렌즈의 주횡단 치수의 방향과 수직인방향의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 조립체의 비임 출구로부터 더욱 멀리 떨어진 상기 두개의 주집중 전극중의 하나의 전극(27)에 의해 제공된 상기 공통 구내는 산기 비임 통로중의 하나인 중앙 비임 통로의 중심에서 상기 비임 통로중의 하나인 외측 비임 통로의 중심에서와 동일한 상기 주집중렌즈의 상기 주횡단 치수(f1)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내측 횡단 치수(f2)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주집중 전극중의 다른 전극(29)에 의해 제공된 상기 공통 구내는 상기비임 통로들중의 중앙 통로의 중심에서 상기 비임 통로중의 외측 통로의 중심에서 보다 더 작은 상기 주집중 렌즈의 주횡단 치수(f3)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내측 횡단 치수(f4)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표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주집중 전극의 병렬 배치된 구내는 서로다른 각각의 최대 내측 횡단치수(f1 및 f3)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주집중 전극중 한 전극(27)구내의 최대 내측 횡단 치수는 상기 두개의 주집중 다른 전극(29)구내의 최대 내측 횡단 치수를 초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주집중 전극중 한 전극(27)은 상기 두개의 주집중 전극중의 다른 한전극(29)이 유지되는 전위 (23KV)의 약 26%인 전위 (6500v)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주집중 전극중 한 전극(27)은 상기 모든 비임을 에워싼 전도성 재질의 원통부로서 상기 한 전극의 횡적 배치된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그리드 쪽으로 확장하는 구멍을 포함하고,이 구멍은 제2그리드에 인접하는 상기 원통부내에 정합되며, 상기 요크 조립체에 의해 생긴 자계로부터 상기 비임 통로들의 에워싸진 부분을 차폐하는 비교적 고투자율의 자화성 재질 구내(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성 재질 구내 (31)는 상기 전극(27b)축 길이의 4분지 1보다 작게 연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리드(25')와 상기 두개의 주집중 전극중 한 전극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비임 통로의 연속부분을 에워싸는 두개의 보조 집중 전극(27",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리드에 인접한 상기 두개의 보조 집중 전극중 한 전극(27")은 상기 두개의 주집중 전극중 한 전극(27')과 동일 전위로 유지되는데, 상기 두개의 보조 집중 전극중 다른 한 전극(29")은 상기 두개의 주집중 전극중 다른 한 전극(29')과 동일한 전위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표시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보조 집중 전극중 한 전극(27")은 상기 비임 통로를 에워싸고, 이 에워싼 비임 통로를 상기 요크 조립체에 의해 생긴 자계로부터 차폐하는 비교적 고투자율 자화성 재질 구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크부의 내측면과 상기 병렬 배치된 구내의 외측면 사이의 최소 간격은 0.762mm(30mi1s)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넥크부의 왼측 직경은 약 29.11mm(1145mi1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편향 요크 조립체는 상기 수직 편향 권선(13V)이 환상형 으로 감겨진 자화성 재질의 환상형 코어(15)를 포함하는데, 상기 코어에 대한 수평 편향 권선(13H)의 위치 선정은 상기코어의 비임 입구 단부보다 상기 표시 스크린으로부터 더욱 멀리 떨어진 상기 윈도우의 비임 입구에 위치하며, 상기 비임 입구 단부들 사이의 축상 간격은 상기 윈도우의 반대측 단부사이의 축상 간격과 거의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편향 요크 조립체는 상기 진공 유리 외피의 상기 에워싸여진 영역의 일부에 배치된 자화성 재질의 속이빈 코어 (15)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편향 권선은 환상형으로 감겨져 있는데, 상기 영상관의 세로축에 따른 상기 코어의 위치 선정에 대한 상기 영상관의 세로축에 따른 상기 수평편향 권선의 위치 선정은 상기 스크린으로 멀어지는 방향의 상기 꼬어의 위치에 대한 상기 윈도우의 위치와 중심이 벗어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KR8203069A 1981-07-10 1982-07-09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KR910001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223481A 1981-07-10 1981-07-10
US282,234 1981-07-10
US06/343,734 US4620133A (en) 1982-01-29 1982-01-29 Color image display systems
US343,734 1982-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971A KR840000971A (ko) 1984-03-26
KR910001462B1 true KR910001462B1 (ko) 1991-03-07

Family

ID=269613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069A KR910001462B1 (ko) 1981-07-10 1982-07-09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KR1019870007394A KR910001539B1 (ko) 1981-07-10 1987-07-09 인-라인 전자총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394A KR910001539B1 (ko) 1981-07-10 1987-07-09 인-라인 전자총 조립체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KR (2) KR910001462B1 (ko)
AT (1) AT393924B (ko)
AU (1) AU556501B2 (ko)
BR (1) BR8203962A (ko)
DD (1) DD202220A5 (ko)
DE (2) DE3225633A1 (ko)
DK (1) DK172523B1 (ko)
ES (1) ES513670A0 (ko)
FI (1) FI73337C (ko)
FR (2) FR2509527B1 (ko)
GB (2) GB2101397B (ko)
HK (2) HK59891A (ko)
IT (3) IT1214441B (ko)
NL (1) NL191194C (ko)
NZ (1) NZ201226A (ko)
PL (1) PL146011B1 (ko)
PT (1) PT75085B (ko)
SE (1) SE447772B (ko)
SU (1) SU1613004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8253A (en) * 1983-04-18 1985-12-10 Rca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asymmetric focusing lens
US4766344A (en) * 1983-04-21 1988-08-23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In-line electron gun structure for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oblong apertures
IT1176203B (it) * 1983-06-27 1987-08-18 Rca Corp Tubo a raggi catodici con un cannone elettronico presentante una regione di formazione di un fascio astigmatico
US4608515A (en) * 1985-04-30 1986-08-26 Rca Corporation Cathode-ray tube having a screen grid with asymmetric beam focusing means and refraction lens means formed therein
FR2705164B1 (fr) * 1993-05-10 1995-07-13 Thomson Tubes & Displays Tube image couleurs à canons à électrons en ligne avec lentilles astigmatiqu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06208A1 (ko) 1968-04-13 1969-12-19 Sony Corp
US3928785A (en) 1971-11-23 1975-12-23 Adrian W Standaart Single gun, multi-screen, multi-beam, multi-color cathode ray tube
BE793992A (fr) * 1972-01-14 1973-05-02 Rca Corp Tube a rayons cathodiques
US3800176A (en) * 1972-01-14 1974-03-26 Rca Corp Self-converg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US3725831A (en) * 1972-01-14 1973-04-03 Rca Corp Magnetic beam adjusting arrangements
NL7400887A (nl) 1974-01-23 1975-07-25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US3984723A (en) 1974-10-04 1976-10-05 Rca Corporation Display system utilizing beam shape correction
US3952224A (en) * 1974-10-04 1976-04-20 Rca Corporation In-line electron guns having consecutive grids with aligned vertical, substantially elliptical apertures
GB1537070A (en) 1975-01-24 1978-12-29 Matsushita Electronics Corp Colour television tube assemblies
US4049991A (en) * 1976-10-08 1977-09-20 Gte Sylvania Incorporated Longitudinal rib embossment in tri-apertured, substantially planar electrode
US4162470A (en) * 1977-07-26 1979-07-24 Rca Corporation Magneti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atically converged cathode ray tube and product thereof
DD140516A5 (de) 1977-11-24 1980-03-05 Philips Nv Kathodenstrahlroehre
NL178374C (nl) 1977-11-24 1986-03-03 Philips Nv Elektronenstraalbuis met niet-rotatiesymmetrische elektronenlens tussen eerste en tweede rooster.
US4143345A (en) * 1978-06-06 1979-03-06 Rca Corporation Deflection yoke with permanent magnet raster correction
US4234814A (en) 1978-09-25 1980-11-18 Rca Corporation Electron gun with astigmatic flare-reducing beam forming region
EP0014922A1 (de) * 1979-02-22 1980-09-03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ic Corporation Elektronenstrahlerzeugungssystem
JPS55154044A (en) 1979-05-18 1980-12-01 Hitachi Ltd Electrode structure of electron gun and its manufacture
US4251747A (en) * 1979-11-15 1981-02-17 Gte Products Corporation One piece astigmatic grid for color picture tube electron gun
JPS5750749A (en) * 1980-09-11 1982-03-25 Matsushita Electronics Corp Electromagnetic deflection type cathode ray tube
US4370592A (en) * 1980-10-29 1983-01-25 Rca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inline electron gun with an expanded focus lens
US4388552A (en) * 1981-07-10 1983-06-14 Rca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expanded focus lens type inline electron gu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393924B (de) 1992-01-10
FI73337B (fi) 1987-05-29
IT1214441B (it) 1990-01-18
AU556501B2 (en) 1986-11-06
GB2164490A (en) 1986-03-19
GB2164490B (en) 1986-08-28
PT75085A (en) 1982-07-01
SE8204107D0 (sv) 1982-07-02
HK59991A (en) 1991-08-09
ES8305156A1 (es) 1983-03-16
DK310182A (da) 1983-01-11
IT1240019B (it) 1993-11-27
GB8527360D0 (en) 1985-12-11
FR2563047A1 (fr) 1985-10-18
IT1228512B (it) 1991-06-20
KR890003277A (ko) 1989-04-13
SU1613004A3 (ru) 1990-12-07
IT8221964A0 (it) 1982-06-21
DE3225633C2 (ko) 1987-05-14
DE3225633A1 (de) 1983-03-17
DE3249810C2 (ko) 1990-02-15
FI822370L (fi) 1983-01-11
IT8519397A0 (it) 1985-02-05
KR910001539B1 (ko) 1991-03-15
NL191194C (nl) 1995-03-01
FI822370A0 (fi) 1982-07-02
NL8202802A (nl) 1983-02-01
FR2563047B1 (fr) 1992-01-03
FR2509527B1 (fr) 1986-03-28
GB2101397B (en) 1986-08-20
GB2101397A (en) 1983-01-12
BR8203962A (pt) 1983-06-28
FR2509527A1 (fr) 1983-01-14
IT9020167A1 (it) 1991-10-30
AU8556582A (en) 1983-01-13
DK172523B1 (da) 1998-11-16
ATA268082A (de) 1991-06-15
NZ201226A (en) 1985-12-13
SE8204107L (sv) 1983-01-11
NL191194B (nl) 1994-10-03
ES513670A0 (es) 1983-03-16
IT9020167A0 (it) 1990-04-30
SE447772B (sv) 1986-12-08
PL146011B1 (en) 1988-12-31
KR840000971A (ko) 1984-03-26
PT75085B (en) 1984-05-15
HK59891A (en) 1991-08-09
FI73337C (fi) 1987-09-10
PL237387A1 (en) 1983-01-31
DD202220A5 (de) 198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9534A (en)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
CA1213304A (en) Color image display systems
US5066887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an astigmatic prefocusing lens
US4400649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expanded focus lens type inline electron gun
JPH0470730B2 (ko)
KR0131870B1 (ko) 전자총 및 음극선관
KR910001462B1 (ko) 칼라 영상 표시 시스템
US4558253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asymmetric focusing lens
EP0670586A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970008567B1 (ko) 3개의 비점수차 렌즈를 갖는 인라인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 수상관
JPH0312422B2 (ko)
EP0361455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RU2025818C1 (ru) Цветной кинескоп
US5177399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H021344B2 (ko)
US4399388A (en) Picture tube with an electron gun having non-circular aperture
KR100221926B1 (ko) 해상도가 개선된 컬러음극선관
JPH0368501B2 (ko)
CA1108683A (en) Electron gun exhibiting reduced flare
EP034891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S63198241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645071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H06196108A (ja) 陰極線管
JPH0128459B2 (ko)
JP2804052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