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256Y1 - 전자기기용 모드 선택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모드 선택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256Y1
KR910001256Y1 KR2019870021182D KR8721182D KR910001256Y1 KR 910001256 Y1 KR910001256 Y1 KR 910001256Y1 KR 2019870021182 D KR2019870021182 D KR 2019870021182D KR 8721182 D KR8721182 D KR 8721182D KR 910001256 Y1 KR910001256 Y1 KR 910001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mode selection
light
diod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1182D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익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1182D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56Y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기기용 모드 선택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패널전면부를 나타낸 개략 설명도.
제3도는 이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평단면도.
제4a,b도는 패널전면에는 본 발광다이오드 표시창과 발광다이오드 카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 설명도.
제5도는 이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측단면도.
제6도는 종래 발광다이오드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2 : 푸쉬놉
3,13 : 발광다이오드 표시창 4 : 보스
5 : 나선형 유도홈 6 : 구동기어
7 : 회전가이드 8 : 스위치
9 : 회전축 10 : 피동기어
11 : 발광다이오드 카바 14 : 보스
15 : 스위치 16,17 : 발광다이오드 인디케이터
18 : 발광다이오드
이 고안은 전자기기용 모드 선택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비전이나 비데오와 같은 두가지의 기능이 한곳에 설치된 기기에서 필요한 기능을 선택된 기기에서 필요한 기능을 선택할 때,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패널(21) 후면에 돌출된 보스(22)에 기판(23)을 부착하고, 이 기판(23)상에는 기능에 따른 모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24)를 납땜 결합하였다
그리고, 상기 기판(23)상에 설치하는 발광다이오드(24) 일측에는 발광다이오드의 가는 와이어 다리가 휘어져 고정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코져 발광다이오드가이드(25)를 설치하였고, 패널(21)표면의 상기 발광다이오드(24) 대향부위에는 인디케이터(Indicator)(26)를 설치하여 발광다이오드의 불빛을 외부로 발산하게 함과 동시에 패널의 심미감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트(26)의 일측에는 메인기판(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의 콘넥터와 연결되어 발광다이오드(24)를 온, 오프시키는 스위치 놉(28)을 설치하였다.
이와같이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장치는 텔레비전이나 비데오와 같이 각각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발광다이오드 광다이오드 및 발광다이오드가이드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제작 단가의 상승과 관리 및 점검이 어려웠다.
또한, 인디케이트에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에 (예 : TV VIDEO)를 새겨 넣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인레이)이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따라서,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 고안의 목적은,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로서 선택적으로 발광될수 있게 한 회로기판과, 기능별 표시창과 연결되며 상기 불빛을 기능별로 안내하는 인디케이터를 설치한 뒤, 상기 인디케이터 전방에는 선택적을 기능별 표시창을 커버하여 발광다이오드의 불빛이 선택적으로는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모드 선택스위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패널(1)전면에 텔레비젼, 비데오 푸쉬놉(2)(12)과 그위로 각각의 기능(예 : TV, VIDEO)이 실크 인쇄된 발광다이오드 표시창(3)(13)를 각각 부설하며, 상기 텔레비젼 즉 푸쉬놉(2)의 보스(4)에 나선형 유도홈(5)을 형성한다.
이 나선형 유도홈(5)에는 푸쉬놉(2)의 보스(4)에서 공회전하는 구동기어(6)의 보스홀(6a) 내측에 돌출시킨 회전가이드(7)을 형합시키고 푸쉬놉(2)의 동작에 의해 작동하도록 푸쉬놉 (2)후방으로 모드 선택스위치(8)을 부착한다.
이때, 모드 선택스위치(8)의 놉샤프트(8a)에는 스프링 받이(8b)와 압축 스프링(8c)을 설치한 상태로 푸쉬놉 (2)의 보스(4) 후단에 삽입하고, 스위치를 패널(1) 리브(1a)에 고정나사로 고정한다.
또한, 패널(1) 후면으로 발광다이오드 표시창(3)(13)의 동일선상 중앙에 돌출시킨 회전 축 (9)에 발광다이오드 카바(11)가 부설된 피동기어(10)를 축설하여 상기 구동기어(6)와 치합되게 하며, 비데오측 푸쉬놉(12)의 보스(14) 후단에는 스프링 받이(15b)와 압축스프링(15c)이 설치된 놉샤프트(15a)가 출몰되면서 온,오프 동작되는 스위치(15)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모드 선택 스위치(8),(15)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내측에 하아트형 안내홈(102)을 형성하면서 이홈의 말단골 부분에는 접촉단자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놉샤프트(8a)(15a)의 말단부에는 상기 안내홈(102)에서 안내되며 접촉단자와 접촉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돌기(101)를 형성시켜 푸쉬놉(2)(12)의 정지 및 각각 스위치(8)(15)의 온,오프가 가능하게 형성하였다.
한편, 제4도에서와 같이 패널(1)의 전면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 표시창(3)(13)과 일치하도록 제3도와 같은 상태로 각 모드 선택 스위치(8)(15) 후방상측에는 발광다이오드 인디케이터(16)(17)를 설치하고, 그 후방에는 발광다이오드(18)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발광다이오드 인디케이터(16)(17)중 어느 하나를 투과하면서 백색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빨강 또는 다른 칼라불빛으로 발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텔레비젼 푸쉬놉(2)을 누르면서 일직선으로 작동하는 푸쉬놉(2)의 보스(4)에 형성된 나선형 유도홈(5)을 따라 구동기어(6)의 회전가이드(7)가 안내되어 구동기어(6)가 나선방향으로 180°회전하고, 구동기어(6)와 치합된 피동기어(1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동기어(10)의 발광다이오드 카바(11)가 비데오측 발광다이오드 표시창(13)을 가리게 되어 텔레비젼 측 발광다이오드 표시창(13)만이 빛을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사용상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에서와 같이 텔레비젼 푸쉬놉(2)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른다.
이때, 푸쉬놉(2)의 보스(4)에 형성된 나선형 유도홈(5)에 삽입되어 있는 구동기어(6)의 회전가이드(7)가 나선방향으로 회동하면서 180°회전하고, 이에따라 구동기어(6)와 치합된 피동기어(10)가 패널(1)의 회전축(9)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피동기어(10)일측에 돌출된 발광다이오드 카바(11)가 텔레비젼측 발광다이오드 표시창(3)을 가리고 있다가 그 반대측으로 회동하여 비데오측 발광다이오드 표시창(14)을 가리게 된다.
동시에 푸쉬놉(2)의 작동에 따라 푸쉬놉(2) 후단에 연결 설치된 모드 선택 스위치(8)의 놉샤프트(8a)가 눌러지면서 놉샤프트(8a) 말단의 접촉돌기(10)가 스위치(8)내측의 하아트형 안내홈(102)으로 안내되며 안내홈(102)의 말단골에는 접촉돌기(101)가 걸려 멈춰지게 된다. 이렇게 안내홈(102)의 골에 접촉돌기(101)가 걸리게 되면 골에 위치한 접촉단자와 상기 접촉돌기(101)가 접촉되어 모드선택 스위치(8)가 온되며 메인기판의 회로가 동작하여 텔레비젼에 전원을 인가시키면서 발광다이오드(18)에서 빛을 발산하고, 이 빛은 텔레비젼측 인디케이터(16)에 채색된 칼라에 따라 빛을 투과시켜 패널(1)의 텔레비젼측 발광다이오드 표시창(3)으로 발산되게 된다.
여기에서 텔레비젼측 푸쉬놉(2)을 누르면 텔레비젼 측 회로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비데오 측 회로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텔레비젼측 회로에 전원이 오프되는 것과 반대로 비데오측 푸쉬놉(12)을 눌렀을 때 비데오측 회로에 전원이 오프되는 것과, 그리고 양측 모드선택 스위치중 어느 한 개의 스위치만 온되면 발광다이오드(18)가 발광되는 것은 종래의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 고안에서는 종래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텔레비전측 모드 선택스위치(8)가 접촉돌기(101)에 의해 안내홈(102)에 걸려 텔레비젼측 회로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광다이오드 카바(11)가 비데오측 발광다이오드 표시창(13)을 가리고 있는 상태에서 텔레비젼측 푸쉬놉(2)을 한번 더 누르게 되면, 놉샤프트(8a)가 전진하면 놉샤프트 말단의 접촉돌기(101)가 안내홈(102)에 후방측 원호부를 따라 거슬러 올라가다 푸쉬놉(2)의 누름동작 해제와 함께 압축 스프링(8c)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놉샤프트(18a)와 푸쉬놉(2)이 후퇴하게 된다.
이렇게 놉샤프트(8a)와 푸쉬놉(2)이 후퇴됨에 따라 푸쉬놉(2)의 보스(4)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구동기어(6)가 상기 텔레비젼측 모드 선택 스위치(8)를 동작시킬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기어(6)와 치합된 피동기어(10)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비데오측 발광다이오드 표시창(13)을 가리고 있던 발광다이오드 카바(11)가 텔레비젼측 표시창(3)을 가리게 된다.
이때는 양측 모드 선택스위치(8)(15)가 오프된 상태이므로 텔레비젼측 회로는 물론 비데오측 회로와 발광다이오드(18)가 오프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비데오측 푸쉬놉(12)을 누르게 되면 발광다이오드(18)와 비데오측 회로에 전원이 인가되어 비데오가 동작하게 되고, 비데오측 발광다이오드 표시창(3)으로 발광다이오드 (18)불빛이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은 발광다이오드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발광다이오드 가이드가 필요없게 되고,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만으로 2개의 효과를 낼수 있으며, 패널에 기능표시용 인레이 즉, 기능표시용 표시창에 별도의 조각등의 작업으로 기능을 표시하는 작업이 실크 인쇄를 하므로 필요없다.
또한 패널 후방에 발광다이오드 어셈블리를 취부하기 위한 보스등이 삭제되어 패널성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두가지 이상의 기능이 한곳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에서 필요한 한 개의 기능만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장치에 있어서, 패널(1)전면에는 말단에 모드 선택스위치(8)(15)가 각각 설치된 한쌍의 푸쉬놉(2)(12)과, 상기 푸쉬놉(2)(12)에 해당하는 발광다이오드 표시창(3)(13) 내측 대응위치에는 후방의 발광다이오드(18) 불빛을 안내유도하는 인디케이터(16)(17)가 설치되면서, 상기 패널(1)내측 중앙에는 상기 양측 발광다이오드 표시창(3)(13)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불빛커버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모드선택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빛 커버수단은, 일측 푸쉬놉(2)의 보스(4)에 나선형 유도홈(5)를 형성한 뒤, 그 외측에는 상기 유도홈(5)에 형합되는 회전 가이드(7)을 가진 구동기어(6)을 공회전 가능토록 삽입하였으며, 상기 구동기어(6)일측에는 상기 구동기어(6)와 치합되면서 일측에 상기 양측 발광다이오드 표시창(3)(13)을 선택적으로 회동하면서 커버하는 발광다이오드 카바(11)가 설치된 피동기어(10)가 회전가능토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모드선택 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9870021182D 1987-12-01 1987-12-01 전자기기용 모드 선택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910001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182D KR910001256Y1 (ko) 1987-12-01 1987-12-01 전자기기용 모드 선택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182D KR910001256Y1 (ko) 1987-12-01 1987-12-01 전자기기용 모드 선택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56Y1 true KR910001256Y1 (ko) 1991-02-25

Family

ID=1927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1182D KR910001256Y1 (ko) 1987-12-01 1987-12-01 전자기기용 모드 선택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2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7446B1 (en) Rotary knob device with a key function
US7381128B2 (en)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6260431B1 (en) Construction of an on-vehicle lever switch
US7163455B2 (en) Operat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9140442B2 (en) Low-profile illuminated switch assembly
JPH10283867A (ja) 照光つまみ付スイッチ
KR910001256Y1 (ko) 전자기기용 모드 선택스위치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JP3865213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JP2002301669A (ja) 電動工具
US4259559A (en) Illuminated push-button electrical switch assembly
JPH07335076A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のノブ照明機構
KR100721236B1 (ko) 이중 부위 조명 타입 로타리 스위치를 구비한 차량용전장품
CN219995277U (zh) 一种可调色温的灯丝灯
KR20100006785U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161366Y1 (ko) 리모콘 버튼의 불빛 반사장치
KR0122088Y1 (ko) 발광 노브구조
KR100747840B1 (ko) 차량의 무드 조명용 로터리 스위치 구조
JPH0430735Y2 (ko)
KR100212788B1 (ko)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어 모드표시장치
KR0122999Y1 (ko) 후광형 노브
KR0129453Y1 (ko) 노브 스위치 장치
KR19980024443U (ko) 발광다이오드가 일체화된 푸쉬버튼 조립체
KR0127393Y1 (ko) 스위치조작노브의 조명구조
JPH08280079A (ja) リモコン送信機の照明装置
JPH0535534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