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039Y1 - 이쑤시게 자동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이쑤시게 자동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39Y1
KR910001039Y1 KR2019880011566U KR880011566U KR910001039Y1 KR 910001039 Y1 KR910001039 Y1 KR 910001039Y1 KR 2019880011566 U KR2019880011566 U KR 2019880011566U KR 880011566 U KR880011566 U KR 880011566U KR 910001039 Y1 KR910001039 Y1 KR 910001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ick
hole
protrusion
press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459U (ko
Inventor
최임환
Original Assignee
최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임환 filed Critical 최임환
Priority to KR2019880011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039Y1/ko
Publication of KR9000024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4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2Toothpick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쑤시게 자동 인출 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일측 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고안 회동구의 사시도.
제5도는 본고안 회동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갑체 3 : 안내판
4, 4′ : 지지부 5 : 인출공
6 : 원형공 7 : 턱부
8 : 통과홈 9 : 축봉
10 : 회동구 11 : 누름대
12 : 압지돌부 13 : 래크부
14 : 피니언 15 : 스프링
16 : 마게 17 : 삽입홈
18 : 돌부
본고안은 누름대의 누름 작동으로 이쑤시게가 자동으로 인출 토록된 이쑤시게 자동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상의 이쑤시게통은 반구형으로 형성된 뚜껑의 상부에 구멍을 천공하여 사용시에는 통을 거꾸로 들고 흔들어 구멍으로 이쑤시게가 인출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뚜껑에 천공된 구멍이 작아 이쑤시게가 잘 빠져 나오지 않을뿐 아니라 구멍에 두 개의 이쑤시게가 걸려 여러번 흔들어야만 한 개의 이쑤시개가 인출 되는 번거로운 결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여 안출된 이쑤시게 자동 인출 장치가 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잦으며 보관통에 이쑤시게가 서로 지지되어 아아치벽을 형성 하므로 이쑤시게 하향으로 인출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 하기 위하여 스프링에 탄지된 누름대의 누름 작동으로 회동구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한 개의 이쑤시게를 지지부로 간편하게 인출 시키되 회동구에 돌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안내판의 단부에서 아아치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게 하므로 이쑤시게를 원활하게 인출 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 지지부(4) (4′)와 인출공(5)을 갖는 갑체(1)의 압측벽에 계단형 턱부(7)를 갖는 원형공(6)을 천공하고 중앙으로 통과홈(8)을 갖는 안내판(3)을 경사지게 형성하며 삽입홈(17)과 돌부(18)를 갖는 회동구(10)와 피니언(14)이 고정된 축봉(9)을 갑체(1)의 양측벽에 삽입지지시켜 회전 토록 유설하며 압지돌부(12)와 래크부(3)가 형성된 누름대(11)를 스프링(15)에 탄지시켜 원형공(6)에 삽입 시키고 마개(16)를 원형공(6)의 상부에 체결 고정시키며 갑체(1)의 상부에 뚜껑(2)을 안착 시켜서된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19는 이쑤시개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고안은 갑체(1)의 두꺼운 일측벽으로 천공된 원형공(6)에 계단형 턱부(7)를 형성하여 계단형 턱부(7)와 압지 돌부(12)사이에 스프링(15)으로 누름대(11)가 탄지 되어 있고 래크부(13)와 치합 설치된 피니언(14)이 회전됨에 따라 축봉(9)에 고정된 회동구(10)가 회전되는 것으로 뚜껑(2)을 열고 갑체(1)내부에 이쑤시개(19)를 넣으면 안내판(3)을 따라 하향으로 이동되어 회동구(10)에 상부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7)으로 한 개의 이쑤시개(19)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시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누름대(11)을 누르면 압지 돌부(12)가 스프링(15)을 압지하면서 래크부(13)가 하향 이동됨에 따라 피니언(14)이 회전 되어 축봉(9)과 회동구(10)를 회전시켜 회동구(10)의 삽입홈(17)이 하향 이동되어 삽입홈(17)내의 이쑤시개(19)가 인출공(5)을 통하여 지지부(4) (4′)로 인출되는 것이며, 스프링(15)에 탄지된 누름대(11)을 놓으면 스프링(15)의 탄력으로 마개(16)의 하부 까지 상향 이동되고 누름대(11)의 상승으로 피니언(14)이 반대로 회전 되어 회동구(10)의 삽입홈(17)이 상부로 원위치 되는 것으로 회동구(10)가 회전됨에 따라 돌부(18)가 안내판(3)의 통과홈(8)을 통과하면서 제5도와 같이 안내판(3)의 단부에 있는 이쑤시개(19)를 건드려 원활하게 하향 이동토록한 것이다.
이와 같이 회동구(10)에 돌부(18)를 일체로 구성하여 안내판(3)의 단부에서 이쑤시개(19)가 서로 지지 되어 형성되는 아아치벽을 계속 허물어서 이쑤시개(19)가 원활하게 인출되는 것이고 이쑤시개(19)를 인출시키는 구조가 간단하여 고정 개소가 적으며 누름대(11)의 누름 작동으로 한 개의 이쑤시개(19)가 연속으로 자동 인출되어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누름대(11)의 압압에 의해서 이쑤시개를 인출함에 있어서, 전면지지부(4) (4′), 인출공(5), 원형공(6)을 갖는 갑체(1)의 양측벽에 통상의 축봉(9)에 의해서 삽입홈(17)과 돌부(18)를 일체로 형성한 회동구(10)를 유설하고 누름대(11)에 압지돌부(1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이쑤시개 자동인출 장치.
KR2019880011566U 1988-07-15 1988-07-15 이쑤시게 자동 인출 장치 KR910001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566U KR910001039Y1 (ko) 1988-07-15 1988-07-15 이쑤시게 자동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566U KR910001039Y1 (ko) 1988-07-15 1988-07-15 이쑤시게 자동 인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459U KR900002459U (ko) 1990-02-06
KR910001039Y1 true KR910001039Y1 (ko) 1991-02-21

Family

ID=1927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566U KR910001039Y1 (ko) 1988-07-15 1988-07-15 이쑤시게 자동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0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810B1 (ko) * 1999-07-20 2002-02-19 김용성 이쑤시개 포장기의 공급장치
KR102310539B1 (ko) * 2020-03-05 2021-10-08 이재복 이쑤시개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459U (ko) 199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3069B2 (ja) ワンタッチ式楊枝容器
KR910018124A (ko)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 기구
US3380636A (en) Ampul stand and opener
KR910001039Y1 (ko) 이쑤시게 자동 인출 장치
US2501564A (en) Staple feed for fastener applying machines
US4210239A (en) Foldable needle pack
US2379475A (en) Device for expelling the contents of collapsible tubes
US2534708A (en) Device for dispensing material contained in collapsible receptacles
EP1525818B1 (en) Stick-type glue dispenser with quick-opening cap
US4630953A (en) Pencil holder
USD256470S (en) Holder for microscope slides
KR950006721Y1 (ko) 자동인출 이쑤시개통
KR900009331Y1 (ko) 메모꽂이
IL42478A (en) Holder with tear-off mechanism for web-like material
USD292842S (en) Single door thread spool cabinet
KR910002282Y1 (ko) 병마개 따개
KR910006707Y1 (ko) 패의 받침봉
USD316274S (en) Writing instrument holder
JPH0464377U (ko)
CN207326934U (zh) 工具盒
KR940005260Y1 (ko)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 케이스
KR930005799Y1 (ko) 줄자에 설치한 오프너 및 캔 따개 인출장치
KR930005408Y1 (ko) 봉상물조출장치
KR870001330Y1 (ko) 이쑤시개통
JPH03216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