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721Y1 - 자동인출 이쑤시개통 - Google Patents

자동인출 이쑤시개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721Y1
KR950006721Y1 KR92024319U KR920024319U KR950006721Y1 KR 950006721 Y1 KR950006721 Y1 KR 950006721Y1 KR 92024319 U KR92024319 U KR 92024319U KR 920024319 U KR920024319 U KR 920024319U KR 950006721 Y1 KR950006721 Y1 KR 950006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toothpick
case
inclined surface
vertic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4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457U (ko
Inventor
최용하
Original Assignee
최용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하 filed Critical 최용하
Priority to KR92024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721Y1/ko
Publication of KR940014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4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2Toothpick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인출 이쑤시개통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로써,
제2a도는 작동전의 상태도이고,
제2b는 작동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누름구 101 : 탄발스프링
102 : 수직봉 103 : 버튼
104 : 브라켓 105 : 삼각밀편
106 : 홈 201 : 탄발스프링 수납부
202 : 수납공 305 : 경사부
본 고안은 새 형상으로된 인출체의 회동에 따라 전진 후퇴되는 슬라이더에 재치된 이쑤시개를 인출부리 전면에 형성된 인출부에 의해 한개씩 자동인출하는 이쑤시개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 형상의 인출체와 슬라이더측면으로 누름구를 설치하여 인출체와 슬라이더가 누름구에 의해 작동케 함으로써 전진하는 슬라이더에 재치된 이쑤시개를 편리하고 정확한 동작으로 인출체의 인출부에 의해 한개씩 인출되도록 한 자동인출 이쑤시개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쑤시개는 하나의 구멍이 천공된 뚜껑이 구비된 병내에 수납하여 병을 거꾸로 흔들어야만 구멍으로 이쑤시개가 나오게 되어 있으며, 또한 자동인출 이쑤시개통이 일본국 실용신안공보(공고번호 평3-45649)에 소개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새 형상의 인출체를 눌러 인출부에 의해 이쑤시개를 한개씩 자동인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인출체를 누를 때 케이스이 중심위치로부터 벗어난 부분 즉, 새형상의 머리 부분을 눌러주게 되므로 인출체를 누룰 때마다 케이스가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불안정한 상태에서 이쑤시개가 인출하게 되는 결함이 지지되고 있다.
본 고안은 자동으로 이쑤시개를 하나씩 인출토록 하되, 누름구에 의해 작동토록 하는 것으로, 종래 있었던 통상의 구조를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수납부(601)를 가지는 케이스(60)전방에 슬라이더 작동홈(602)을 형성하고, 케이스(60) 상방의 브라켓(603)에 새 형상으로된 인출체(70)의 힌지(703)를 핀(607)으로 끼워 인출체(70)를 유설한 다음, 결합나사(205)로 케이스(60)하방에 결합되는 하부판(20)의 서포트지지체(203)에 서포트(40)의 하방을 끼워 입설하고, 서포트(40)의 캠작동홈(401)에 작동캡(50)을 끼워 연결핀(402)으로 유설시키되, 작동캠 (50)의 연결공(505)과 인출체(70)의 후방측(705)각각에 작동간(80)의 상하단부에 끼우고, 상기 작동캠(50)의 상단부 핀공(503)과 슬라이더(30)의 캠작동홈(303)의 핀공(302)에 연결핀(304)을 끼워 슬라이더(30)가 전,후진되도록 하며, 작동캠(50)하방의 연결공(502)에 탄성스프링(501)의 일단을 걸고 이의 타단을 케이스(60)일측 하방의 지지축(608)에 걸어 작동캠(50)이 탄력지지되도록 한 다음, 상기 서포트(40)상방 양측을 케이스(60)내상방에 돌출형성된 서포트 브라켓(610)에 끼우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종래 구성에 있어서, 새 형상의 이쑤시개 인출체(70)를 상방에 유설하며, 이쑤시개 수납부(601)를 가지며, 슬라이더 작동홈(602)를 갖는 케이스(60)내측에 작동캠(50)및 상기 작동캠(50)에 의해 동작하는 슬라이더(30)및 상기 슬라이더 (30) 및 작동캠(50)을 지지하는 서포트(40)를 갖는 자동인출 이쑤시개 통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0)를 동작시키는 누룸구(10)를 슬라이더(30)후방에 위치시키되, 슬라이더(30) 후단에 경사면(305)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305)와 당접되는 누름구(10)의 수직봉(102)에 부설된 삼각밀편(105)의 경사면(105")을 당접되게 하며, 상기 수직봉(102)하단에는 스프링(101)이 삽치되도록 하여 수직봉(102)의 상단을 케이스(60) 상면의 작동구멍(106)에 관통된 후 버튼(103)이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204는 하부판(50)의 나사공, 301은 슬라이더(30)에 있어서, 이쑤시개 (90)의 재치홈, 403은 서포트(40)의 핀공, 504는 작동캠(50)의 핀공, 605는 작동간 (80)의 작동홈, 606은 수납홈(601)의 뚜껑, 604는 브라켓(603)의 핀공, 701은 안출부리, 702는 인출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수납부(601)에 다수의 이쑤시개(90)를 수납한 상태에서 버튼(103)을 누르게되면, 누름구(10)의 수직봉(102)이 탄발스프링(101)을 탄압하면서 눌리어짐과 동시에, 브라켓(104)일측 하방의 삼각밀편(105)은 하강하면서 삼각밀편(105)의 경사면(105")이 슬라이더(30)의 경사면(305)를 따라 하강하게 되므로 슬라이더(30)는 삼각밀편(105)의 경사각 만큼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30)의 재치홈(301)에 하나의 이쑤시개(90)가 재치된 상태로 케이스(60)밖으로 돌출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슬라이더(30)은 제2도의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중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연결핀(304)으로 유설된 작동매(50)을 연걸핀(402)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회동하는 작동캠(50)의 연결공(505)에 삽치되는 작동간(80)을 밀어 올리게 되며, 밀어 올려지는 작동간(80)은 새 형상의 인출체(70)을 회동시키게 되며, 회동되는 새 형상의 인출체(70)의 인출부(702)를 하강하면서 상기 언급한 슬라이더(30)과 동시에 케이스(60)밖으로 인출된 이쑤시개 (90)을 집게 된다. 작동캠(50)이 회전될때 이에 연결된 스프링(501)은 탄발 되어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튼(103)을 눌려지는 힘이 제거될 때 작동하게 된다.
즉, 힘을 가해 눌렸던 버튼(103)을 놓으면, 수직봉(102)은 탄발스프링(101)의 탄발에 의해 상승되게 되고, 누름구(10)의 삼각밀편(105)의 경사면(105")이 슬라이더(30)의 경사부(305)로 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슬라이더(30)은 원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인출체(70)역시 제2도의 (a)와 같이 원위치하게 되며, 스프링(501)에 의해 작동캠(50)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인출체(70)를 누르지 않고 버튼(103)을 눌러 이쑤시개(90)을 인출토록 하므로써, 케이스(60)가 후방측으로 밀리지 않고, 안정된 상태에서 이쑤시개(900)를 인출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인출체(70)를 눌러 이쑤시개(90)를 인출하게 되므로 인출체(70)를 누를때 누르는 힘이 케이스(60)의 중심에서 벗어난 전방측으로 가해져 케이스 (60)가 인출체(70)을 누를때마다 후방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불안정한 상태이나 본 고안은 별도의 버튼(103)에 의해 누름구(10)를 눌러주게 되므로, 항시 케이스(60)의 중심의 위치에 힘이 가해져 이쑤시개(90)를 인출할 때 케이스(60)의 이동없이 안정된 상태로 인출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새 형상의 이쑤시개 인출체(70)를 상방에 유설하며, 이쑤시개 수납부(601)를 가지며, 슬라이더 작동홈(602)를 갖는 케이스(60)내측에 작동캠(50)및 상기 작동캠 (50)에 의해 동작하는 슬라이더(30)및 상기 슬라이더(30) 및 작동캠(50)을 지지하는 서포트(40)를 갖는 자동인출 이쑤시개 통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0)를 동작시키는 누름구(10)를 슬라이더(30)후방에 위치시키되, 슬라이더(30)후단에 경사면(305)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305)와 당접되는 누름구(10)의 수직봉(102)에 부설된 삼각밀편(105)의 경사면(105")을 당접되게 하며, 상기 수직봉(102)하단에는 스프링(101)이 삽치되도록 하여 수직봉(102)의 상단을 케이스(60)상면의 작동구멍(106)에 관통된 후 버튼(103)이 끼워지도록 한 자동인출 이쑤시개통.
KR92024319U 1992-12-04 1992-12-04 자동인출 이쑤시개통 KR950006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319U KR950006721Y1 (ko) 1992-12-04 1992-12-04 자동인출 이쑤시개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319U KR950006721Y1 (ko) 1992-12-04 1992-12-04 자동인출 이쑤시개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457U KR940014457U (ko) 1994-07-16
KR950006721Y1 true KR950006721Y1 (ko) 1995-08-19

Family

ID=1934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4319U KR950006721Y1 (ko) 1992-12-04 1992-12-04 자동인출 이쑤시개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7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539B1 (ko) * 2020-03-05 2021-10-08 이재복 이쑤시개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457U (ko) 199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721Y1 (ko) 자동인출 이쑤시개통
JPH074294B2 (ja) スライダ−保持装置
KR910001039Y1 (ko) 이쑤시게 자동 인출 장치
JPH02103672U (ko)
JPS628798Y2 (ko)
KR870000347Y1 (ko) 담배 케이스
KR880001343Y1 (ko) 담배 인출 장치
KR890007661Y1 (ko) 전화기의 메모판 삽탈 장치
JPH0745286Y2 (ja)
JPH0345649Y2 (ko)
KR900010776Y1 (ko) Fdd의 디스켓 이젝트 및 로딩 장치
KR870003075Y1 (ko) Vtr카세트의 장착장치
KR900008251Y1 (ko) 포터블 카세트의 턴 테이블 삽탈 장치
KR920001388Y1 (ko) 취출 및 점화기능을 갖는 담배갑
JPS6014787Y2 (ja) フエルト針抜き治具
JPH0118039Y2 (ko)
JPS6212385Y2 (ko)
KR970005562Y1 (ko) 8mm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커
KR900010083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 카세트 추출장치
JPH0435972Y2 (ko)
JPH0241025Y2 (ko)
JPH0537823Y2 (ko)
KR900001509Y1 (ko)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 개폐장치
KR970000232Y1 (ko) 애쉬 트레이의 탈거장치
KR790001840Y1 (ko) 탁상용 담배 및 성냥 자동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