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960Y1 - 테이프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960Y1
KR910000960Y1 KR2019870010801U KR870010801U KR910000960Y1 KR 910000960 Y1 KR910000960 Y1 KR 910000960Y1 KR 2019870010801 U KR2019870010801 U KR 2019870010801U KR 870010801 U KR870010801 U KR 870010801U KR 910000960 Y1 KR910000960 Y1 KR 910000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guide
movable member
tape guid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470U (ko
Inventor
다까시 야마나까
Original Assignee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가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가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70010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960Y1/ko
Publication of KR890003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9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49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with servo control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로딩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종래예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회전헤드 실린더 4a,4b : 로딩링크
6 : 테이프 가이드 7 : 가이드 궤도
11 : 테이프 가이드 구동기어 11a : 계합부
12 : 가동부재 14 : 소거헤드
15 : 스프링 18 : 분리부재
22 : 테이프
본 고안은 테이프 가이드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한 VTR(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3도는 VTR의 기구부를 도시하는 종래예이다.
테이프 로딩시에는 테이프 가이드(c)를 모터(d)의 동력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의 내측에서 테이프 로딩 위치까지 일정의 궤도(h)를 따라 슬라이드 시키고, 테이프 가이드(c)상이 풀(g)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내의 테이프를 카세트 밖으로 인출하여 회전헤드 실린더(b)와 가동부재(e)에 지지된 소게헤드(a)에 접촉시키게 된다.
가동부재(e)는 스프링(f)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c)의 궤도(h)상에 탄성 유지되고 소거헤드(a)를 테이프에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테이프 가이드(c)가 테이프 카세트의 내측에서 테이프 로딩위치로 향하여 슬라이드하는 도중에 가동부재(e)의 일측면(e1)에 당접하며, 그 가동부재(e)를 스프링(f)에 대항하여 밀어내면서 소거헤드(a)의 전방위치를 통과한다.
따라서, 가동부재(e)에서의 반력이 테이프 가이드(c)에 작용하고, 테이프 가이드(c)의 원활한 움직임을 방해하므로 테이프 로딩 동작시에 테이프 이완을 발생시킬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테이프 가이드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행해져서 테이프의 이완이 발생하지 않는 테이프 로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스프링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의 궤도상에 탄성 유지된 가동부재에 소거헤드를 지지시키고, 테이프 가이드를 테이프 가이드 구동기어에 의해 로딩 링크를 통하여 테이프 카세트의 내측에서 테이프 로딩위치까지 상기 가이드 궤도를 따라 슬라이드 시키고, 테이프 카세트내의 테이프를 테이프 가이드에서 테이프 카세트 밖으로 인출하여 회전헤드 실린더와 상기 소거 헤드에 접촉시키는 테이프 로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테이프 가이드의 가이드 궤도에서 떨어진 위치로 유지하는 분리부재와; 상기 테이프 가이드 구동기어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프 가이드 구동기어에 의하여 상기 테이프 가이드가 소거헤드의 전방위치 보다도 테이프 로딩 위치측에 있는데, 상기 분리부재에 계합하여 상기 분리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관계를 차단하는 계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테이프 가이드는 가동부재에서의 반력을 받지 않고 소거헤드의 전방위치를 통과할 수 있고, 움직임이 원활하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시하고, 제1도는 테이프 로딩 전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테이프 로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새시(1)에 설치된 테이프 로딩 장치(2)는 테이프 카세트(도시생략)내의 테이프를 테이프 카세트 밖으로 인출하여, 회전헤드 실린더(3)에 접촉시키는 것이다.
테이프 로딩장치(2)는 좌우 1쌍의 링크기구(4)와, 양 링크기구(4)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테이프 가이드 구동기구(5)를 구비하고, 각 링크기구(4)는 제1, 제2로딩링크(4a,4b)로 이루어진다.
제2로딩링크(4b)(한쪽만 도시)에는 테이프 가이드(6)(한쪽만 도시)가 연결되고, 이 테이프 가이드(6)는 새시(1)상의 일정의 궤도, 즉 회전헤드 실린더(3)의 양측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가이드 궤도(7)(한쪽만 도시)를 따라 테이프 카세트의 내측에서 테이프 로딩 위치까지의 사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테이프 가이드(6)는 테이프 카세트내에서 테이프를 인출하는 경사 폴(8)과 수직 폴(9)을 가지며, 각 가이드 궤도(7)의 종단에는 테이프 가이드(6)를 테이프 로딩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토퍼(10)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11,11)은 상기 테이프 가이드 구동기구(5)의 일부를 이루는 좌우 1쌍의 테이프 가이드 구동기어이며, 양 기어(11,11)는 서로 치합하고, 제1로딩링크(4a)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기어(11)는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정력회전구동된다.
또한 기어(11)와 제1로딩링크(4a)는 예를 들면 스프링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기어(11)가 회전하면 이것과 일체로 제1로딩링크(4a)도 회전하여 테이프 가이드(6)를 가이드홈(7)을 따라 슬라이드 시키지만, 테이프 가이드의 움직임이 스토퍼(10)에 의해 정지된 후의 기어(11)의 과잉의 회전은 기어(11)와 제1로딩링크(4a)의 사이에 개재하는 스프링에 의해 흡수되도록 하고 있다.
좌방의 가이드홈(7)의 더욱 좌방위치에는 가동부재(12)가 축(13)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부재(12)의 말단부에 소거헤드(14)가 지지되어 있다. 가동부재(12)는 스프링(15)에 의해 도면중 시계 방향으로 회동탄지되고, 스토퍼(16)에 의해 그 회동량이 제한되고, 제2도와 같이 소거헤드(14)를 테이프(22)에 접촉시키는 위치에 머물러진다. 이때, 가동부재(12)의 회동단부는 가이드 궤도(7)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 새시(1)상의 좌방의 기어(11)와 가동부재(12)의 사이에는 분리부재(18)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분리부재(18)는 돌기판(19)에 장공(18c)과 핀(19a)의 감합관계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분리부재(18)의 일단에는 계합돌기(18a)가 설치되고, 이 분리부재(18)가 우방으로 이동한 때 좌단의 계합돌기(18a)로 상기 가동부재(12)에 설치된 계합핀(12a)을 누르고, 제1도와 같이 가동부재(1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때 가동부재(12)는 가이드 궤도(7)로부터 떨어져 테이프 가이드(6)와 접촉하지 않은 위치로 유지된다. 분리부재(18)는 가동부재(12)측의 스프링(15)보다도 강한 스프링(21)으로 우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18b)는 분리부재(18)에 설치된 개구부이다.
상기 돌기판(19)은 일단이 새시(1)상에 회동가능하게 축지되고 돌기부(19c)를 상기 좌방의 기어(11)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좌방의 기어(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 기어(11)에 설치된 계합부(11a)로 돌기판(19)의 돌기부(19c)를 누르고, 돌기판(19)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분리부재(18)를 좌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고, 상기 가동부재(12)를 상기 가이드 궤도(7)의 외부위치(제1도의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궤도(7)상의 위치(제2도의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테이프 로딩장치(2)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테이프 카세트를 장전했을 때, 테이프(22)는 제1도에 도시하는 위치에 있으며, 가동부재(12)는 분리부재(18)측의 한 스프링(21)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6)의 궤도, 즉 가이드 궤도(7)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테이프로딩 조직을 행하면, 모터가 가동하여 좌방의 기어(11)를 시계방향, 우방의 기어(11)를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고, 좌우의 링크기구(4,4)가 동시 동작하여 제1, 제2의 로딩링크(4a,4b)가 서서히 신장하고, 이것에 의해 가이드 궤도(7)가 테이프 카세트 내의 위치에서 테이프 로딩 위치로 향하여 슬라이드 한다.
이때, 테이프 가이드(6)에 설치된 경사폴(8)과 수직폴(9)이 테이프 카세트내의 테이프(22)를 카세트 외방으로 인출하게 된다. 그리고 테이프 가이드(6)는 소거헤드(14)의 전방위치를 가동부재(12)에 접촉하지 않고 통과하지만, 그 직후에 기어(11)상의 계합부(11a)가 돌기판(19)의 돌기부(19c)를 누르기 시작하여 제2도에 도시하는 분리부재(18)와 가동부재(12)의 관계를 차단한다. 거기서, 가동부재(12)는 스프링(15)에 의해 가이드 궤도(7)상에 위치하게 되며, 소거헤드(14)를 테이프(22)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테이프 가이드(6)는 스토퍼(10)에 당접하여 테이프 로딩 위치에 유지되고, 제2도와 같이 좌우의 테이프 가이드(6)에 의해 테이프(22)는 회전헤드 실린더(3)에 약 반회전 감긴다.
역으로, 제2도의 테이프 로딩 상태에서 테이프 언로딩 조작을 행하면,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도의 상태로 되돌아가지만, 이때는 테이프 가이드(6)가 소거헤드(14)의 전방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계합부(11a)가 돌기판(19)의 돌기부(19c)로부터 벗어나 분리부재(18)가 스프링(21)에 의해 우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고, 가동부재(1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테이프 가이드(6)의 궤도 밖으로 밀어내므로, 역시 테이프 가이드(6)가 가동부재(12)에 당접하는 일은 없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테이프 로딩 장치에 의하면 소거헤드를 지지하는 가동부재를 테이프 가이드의 궤도에서 떨어진 위치로 유지하는 분리부재를 설치하고, 테이프 가이드가 소거헤드의 전방위치보다 테이프 로딩 위치전에 있을 때, 테이프 가이드 구동기어에 설치한 계합부에 의해 상기 분리부재와 가동부재의 관계를 끊고, 가동부재를 테이프 가이드의 궤도상으로 복귀시켜서 소거헤드를 가동테이프에 접촉시키도록 했으므로 테이프 가이드는 가동부재에 접촉하지 않고 소거헤드의 전방위치를 통과할 수 있으며, 테이프 가이드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행해지고, 테이프 로딩시에 테이프 이완을 발생시킬 우려는 없다.

Claims (1)

  1. 스프링(15)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6)의 궤도(7)상에 탄성유지된 가동부재(12)에 소거헤드(14)를 지지시키고, 테이프 가이드(6)를 테이프 가이드 구동기어(11)에 의해 로딩링크(4a,4b)를 통하여 테이프 카세트의 내측에서 테이프 로딩 위치까지 상기 가이드 궤도(7)를 따라 슬라이드 시키고, 테이프 카세트내의 테이프(22)를 테이프 가이드(6)로 테이프 카세트 밖으로 인출하여 회전헤드 실린더(3)와 상기 소거헤드(14)에 접촉시키는 테이프 로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5)에 대항하여 상기 가동부재(12)를 상기 테이프 가이드(6)의 가이드 궤도(7)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유지하는 분리부재(18)와; 상기 테이프 가이드 구동기어(11)에 의하여 상기 테이프 가이드(6)가 소거헤드(14)의 전방위치보다도 테이프 로딩 위치측에 있을 때, 상기 분리부재(18)에 계합하여, 상기 분리부재(18)와 상기 가동부재(12)의 관계를 차단하는 계합부(11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로딩장치.
KR2019870010801U 1987-07-02 1987-07-02 테이프 로딩장치 KR910000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801U KR910000960Y1 (ko) 1987-07-02 1987-07-02 테이프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801U KR910000960Y1 (ko) 1987-07-02 1987-07-02 테이프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470U KR890003470U (ko) 1989-04-13
KR910000960Y1 true KR910000960Y1 (ko) 1991-02-13

Family

ID=1926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801U KR910000960Y1 (ko) 1987-07-02 1987-07-02 테이프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9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470U (ko) 198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451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
US5180117A (en) Video tape recorder and/or reproducer
EP0628961B1 (en) A tape tensioning mechanism
US4757398A (en) Tape withdrawing device for a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10000960Y1 (ko) 테이프 로딩장치
US5105319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in which tape cassettes of different sizes can be mounted
KR930009651B1 (ko) 오토리버스식 기록재생장치
KR930022312A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급제동장치
US5764439A (en) Cassette tape driving device
JPH0373945B2 (ko)
US4571644A (en) Tape recorder
JPH0695418B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KR013372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리뷰아암 구동장치
KR920007476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데크의 테이크 업 가이드 장치
KR840000424Y1 (ko) 누름 버턴
KR900010406Y1 (ko)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KR860001387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로딩장치
KR013987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리뷰아암 구동장치
KR950002287Y1 (ko) 아이들러(idler)의 2단 구동장치
US6122137A (en) Loading mechanism for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herein a switch mechanism and the loading mechanism are a single unit
KR940005798Y1 (ko) Vcr의 브레이크 구동장치
KR840000643B1 (ko)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 정지기구
KR900010407Y1 (ko) 테이프 주행 장치에서의 테이프 이송장치
JPH0713066Y2 (ja) 磁気テ−プの駆動装置
JP2573688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