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872Y1 - 폐 발포성 수지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폐 발포성 수지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872Y1
KR910000872Y1 KR2019880002299U KR880002299U KR910000872Y1 KR 910000872 Y1 KR910000872 Y1 KR 910000872Y1 KR 2019880002299 U KR2019880002299 U KR 2019880002299U KR 880002299 U KR880002299 U KR 880002299U KR 910000872 Y1 KR910000872 Y1 KR 910000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extruder
resin
roller
extru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2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350U (ko
Inventor
박길평
Original Assignee
박길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평 filed Critical 박길평
Priority to KR2019880002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872Y1/ko
Publication of KR890017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3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8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 발포성 수지 재생장치
제1도는 본 고안장치의 표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이송로울러 부위의 단면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출기몸체 1′ : 압출구
2 : 스크류 3 : 홉바
4,4′ : 1,2차 분쇄기 5 : 분진제거기
6 : 투입부 7,7′ : 압압로울러
8 : 지지대 8′ : 축받이부
9 : 이송로울러 9′ : 관체
9′″ : 통공 10 : 이송로울러
10′ : 관체 10′″ : 통공
11,11′,11′″ : 이송로울러 12 : 송수관
12′ : 분기관 13 : 감속모우터
본 고안은 폐 발포성 수지등의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각종 의자 시트나 신발 제조 과정에서 생기는 폐제인 발포성 수지 판재등의 폐품을 자원으로 재 활용하기 위한 폐 발포성 수지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 시트나 신발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 수지 판재는 P.V.C 수지내에 폴리우레탄 수지등의 발포수지를 혼합시켜 발포성형한 것이고 이의 판재 저면에는 섬유포지가 접착되어 있는 관계로 이를 자원으로 재 활용 하려면 이상의 발포수지와 섬유포지를 제거 해야만 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같은 발포물질과 섬유포지의 제거가 거의 불가능 하기 때문에 이의 재 활용이 안되고 일종의 산업 쓰레기로서 처리하는 관계로 환경 오염의 사회적 문제점을 낳고 있는 것이다.
한편 폐 발포성 수지를 분쇄기에 넣어 분쇄한 후 이를 재생수지 압출기에 넣어 압출된 것을 압압로울러로 통과시켜 평판상의 판재를 얻은후 수침 냉각 시킬수도 있는 장치가 일본국 특허 공보 공고소 31-7846호에서 공지된 바 있으나 이와같은 수침 냉각 방법을 선택하게 되면 압압 성형된 판재의 기공 사이에 수분이 함침되어지는 관계로 이와같이 함침된 수분을 제거 하려면 별도의 건조장치가 있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분쇄기에서 분쇄한 후 이를 재생수지 압출기에 넣어 압출된 것을 압압 로울러로 통과시켜 평판상의 판재를 얻은 것과 냉각 건조된 판재를 절단기에 넣어 입자상의 재생 원료를 얻는 것은 공지한 방법을 이용하되 평판으로 얻어진 판재를 냉각 건조시킴에 있어서는 수침 방법이 아니고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게한 이송로울러로 통과되는 과정 냉각 건조되게 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출기몸체(1)의 상부에는 1차 및 2차 분쇄기(4)(4′)를 통과한 분쇄물이 분진 제거기(5)에서 분진 제거된후 배출구(6)를 통해 홉바(3)내에 투입되게 하였고, 압출기몸체(1)의 내부에는 스크류(2)가 장치되고, 그 전방에는 압출구(1′)가 연설되며 압출구(1′)하방으로는 압압로울러(7)(7′)가 장치되고, 그 전방에 장치된 지지대(8) 상하에는 다수의 축받이부(8′)를 장치하여 구동이송로울러(9)와 연동 이송로울러(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 이송로울러(9)(10)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수장되는 공실 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 관출된 관체(9′)(10′)의 통공(9′″)(10′″)에는 송수관(12)의 분기관(12′)(12′″)이 헐겁게 끼움되어 공실 내에 장입된 냉각수가 배수될 수 있는 공격부를 형성 하였으며, 구동로울러(9)의 일측으로 돌출된 관체(9′)에 끼움 고정된 풀리(14)는 감속 모우터(13)와 벨트(13′)(13′″)에 의해 연동되며, 연동이송로울러(10)와 구동이송로울러(9)의 연동은 벨트 구실을 하는 판재(18)에 의해 연동되게 하였으며 모우터(13)와 벨트(13"′)에 의해 연동되는 이송로울러(11)의 전방에는 절단기(15)가 장치되어 이 절단기(15)내에서 판재(18)를 사각 입체상으로 세절하여 재생 원료제품(18′)를 얻은 후 배출구(15′)를 통행 상자(16)내에 장입되게 하였고, 구동로울러(9) 및 연동로울러(10)의 하방에는 관체(9′)(10′)의 선단으로 유출되는 폐수를 회수하는 폐수 회수통(19)이 연결관(19′)에 의해 연동되게 장치된 구조이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본 고안장치를 사용할시는 의자 공장이나 신발공장등에서 폐기 처분된 발포성 수지로된 판재 폐품을 1차 분쇄기(4)에 넣어 분쇄된 것을 다시 2차 분쇄기(4′)에 넣어 정밀분쇄한 후 분진제거기(5)에 넣어 분쇄물 가운데 함유된 섬유포지 분진을 최대한 제거한 다음 분말상으로된 원료(17)를 투입부(6)를 통해 홉바(3)에 투입한 후 압출기(1)의 스크류(2)를 가동 시키면 스크류(2)에 의해 폐수지원료(17′)는 압출구(1′)를 통해 압출된다.
이때 모우터에 의해 회동되는 압압로울러(7)(7′)에서는 이상의 압출폐수지 원료(17′)를 압압하여 평판상의 판재원료(18)를 얻게 되고 이와같이 얻어진 판재원료(18)는 감속모우터(13)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로울러(9)(10)로 안내되는 과정 냉각되어 안내 로울러(11)(11′)를 통해 절단기(15)에 이송되고 절단기(15)에 이르러서는 판재원료(18)가 사각 입체상으로 세절된 재생원료제품(18′)이 되어 유출구(15′)를 통해 상자(16)내로 모이게 된다.
이상의 판재원료(18)가 구동 이송 로울러(9) 및 인동 이송로울러(10)를 통과 할 때는 냉각수에 의해 속성 냉각 되는데 이는 구동 이송 로울러(9) 및 연동 이송 로울러(10)는 그내부가 공실로 되어 있고 그 일측에 관출된 관계(9)(9′)의 통공(9")(10")에는 송수관(12)의 분기관(12′)이 헐겁게 끼움되어 적당한 배수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분기관(12′)을 통해 송급된 냉각수가 이송로울러(9)(10)의 공실내에 유입되어 이송로울러(9)(10)의 주벽을 냉각 시킨후 분기관(12′)(12")이 헐겁게 끼움된 통공(9")(10")사이의 공격부를 통해 배출되어 폐수 수통(17)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이송로울러(9)(10)는 항상 냉각된 상태에서 계속 이송되는 원료판재(18)를 냉각시켜주므로 별도의 건조장치가 없이 동시 건조가 되며 또한 압출기(1)에서 압출된 압출소재(17′)내에 함유하고 있는 기공이나 섬유질은 압압로울러(7)(7′)에 의해 압착되는 과정 PVC원료와 밀착 되어지므로 원료판재(18)는 기공이 거의 감소된 비교적 조밀한 판재가 되어지는 잇점도 있다.
이와같이 얻어진 판재를 절단기(15)에서 사각 입체상으로 세절하면 이절단된 원료제품(18′)은 재생 재료로서 그 효용 가치가 높고 이용 범위 또한 최대한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PVC등의 폐 발포성 수지를 재활용 원료로 재생함에 있어서 압출기(1)에서 압출된 압출소재(17′)를 압압로울러(7)(7′)로 통과 시키는 과정 섬유질과 폴리우레탄 수지의 발포기공을 압착하여 PVC원료와 밀착 시켜 조밀 조직의 원료 판재(18)를 얻은 다음 이를 건조시킴에 있어서는 냉각수에 의해 급냉장치된 다수의 이송로울러(9)(10)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 충분히 건조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폐재의 재생장치가 매우 간단하고 또한 이로서 얻어진 폐 재원료는 수분이 함침되지 않아 이의 이용 범위를 최대로 할 수 있어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2차 분쇄기(4)(4′)에서 분쇄된 폐 발포성 수지 분말을 분진 제거기(5)에서 분진 제거 한 후 이를 압출기(1)에 투입하여 압출구(1′)에서 압출된 압출소재(17′)가 압압로울러(7)(7′)로 통과되면서 얻어진 원료판재(18)를 냉각 건조 시킴에 있어서 지지대(8)의 상하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축받이부(8′)에 이송로울러(9)(10)를 설치하되 이송 로울러(9)(10)의 내부는 공실이 되고 그 일측에는 관체(9′)(10′)를 돌출되게 연설하여 관체(9′)(10′)의 통공(9")(10")내에는 송수관(12)의 분기관(12′)(12")이 헐겁게 끼움되어 공격부가 형성되어지게한 폐 발포성 수지 재생장치.
KR2019880002299U 1988-02-17 1988-02-17 폐 발포성 수지 재생장치 KR910000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299U KR910000872Y1 (ko) 1988-02-17 1988-02-17 폐 발포성 수지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299U KR910000872Y1 (ko) 1988-02-17 1988-02-17 폐 발포성 수지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350U KR890017350U (ko) 1989-09-06
KR910000872Y1 true KR910000872Y1 (ko) 1991-02-13

Family

ID=1927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2299U KR910000872Y1 (ko) 1988-02-17 1988-02-17 폐 발포성 수지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8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669B1 (ko) * 1997-05-30 2000-12-01 김종목 발포수지 성형품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0270668B1 (ko) * 1997-05-30 2000-12-01 김종목 발포수지 성형품의 재활용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350U (ko) 198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115B1 (ko) 카펫 백킹으로부터 소비 후의 카펫 페이스 얀의 분리 및 세탁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얀 생성물
EP1947235B1 (en) Paper machine for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CN105189075B (zh) 消费后废弃的膜的回收处理和系统
JP2008184700A (ja) 古紙再生装置の抄紙装置
US20080179029A1 (en) Cleaning method and system for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KR20120114537A (ko) 폐가구 재활용하기 위한 가구폐목재 표면 제거장치
US20020089098A1 (en) Resin formed product and methods and devices for making the same
KR910000872Y1 (ko) 폐 발포성 수지 재생장치
RU212686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и формованное изделие
US20050112226A1 (en) Apparatus for making molded resin products
JP3626090B2 (ja) カーペットのスクラップの処理方法および繊維製品およびチップモールド
JP2002370080A (ja) 内装廃床材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
EP0538677B1 (de) Verfahren zum Rückgewinnen von Treibmitteln aus Polymerschaumstoffen
KR100206607B1 (ko) 폐주물사의 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17650A (ko)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TW202136012A (zh) 用於回收轉移產品之方法
JP2001170937A (ja) フィルム廃棄物再生処理設備およびフィルム廃棄物再生処理方法
JP2012021257A (ja) 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濃度調整装置、抄紙装置およびパルプ供給装置
JP2005194483A (ja) 廃棄プラスチックを微粉末燃料に加工する方法と微粉末燃料加工装置
KR100962245B1 (ko) 폐합성수지를 직접 이용하고 자동스크린공정을 거친 재생플라스틱제품 자동제조방법 및 재생플라스틱제품 자동제조장치
CN220004236U (zh) 再生玻璃纤维定向分布纤维增强性能混凝土制备装置
CN219748638U (zh) 一种再生塑料破碎工装
KR200283834Y1 (ko) 재활용 발포수지판넬의 제조장치
EP1318166A2 (de) Stoffliche Wiederverwertung von Styropor
CN117207483A (zh) 一种石墨烯板材边料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