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583B1 - 기화버어너에 있어서의 연소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기화버어너에 있어서의 연소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583B1
KR910000583B1 KR1019840005157A KR840005157A KR910000583B1 KR 910000583 B1 KR910000583 B1 KR 910000583B1 KR 1019840005157 A KR1019840005157 A KR 1019840005157A KR 840005157 A KR840005157 A KR 840005157A KR 910000583 B1 KR910000583 B1 KR 910000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vaporization
burner
gas generating
fue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199A (ko
Inventor
깅고 미야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와
미야하라 시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와, 미야하라 시게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와
Publication of KR85000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5/00Measuring
    • F23N2225/08Measuring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화버어너에 있어서의 연소제어장치
제1도는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기화버어너의 평면도.
제2도는 동상의 측면도.
제3도는 동상의 종단 정면도.
제4도는 기화버어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종단 측면도.
제5도는 동상의 정면도.
제6도는 연소제어장치의 한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발생통 2 : 연소통
3 : 연통관 5 : 송풍기
7 : 연료유(燃油)펌프 12 : 생연소용 점화기
17 : 기화연소용 점화기 18 : 감열체(感熱體)
19 : 역화(back fire)안전온도조절기 21 : 시동스위치
본 발명은 연료유를 생연소시켜서 설정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기화연소로 이행시켜서 연소를 계속시키는 기화버어너에 있어서, 버어너의 시동에서 기화연소에 이르기까지의 동작제어를 확실하고도 자동적으로 행하기 위한 연소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스발생통 및 그 가스발생통과 연통관을 개재하여 연통하는 연소통을 마련하고, 가스발생통에 연료유를 공급하여 초기의 생연소에서 기화연소에 이행시켜 연소를 계속시키는 기화버어너는 본 출원인이 이전에 개발하여 실용화한 것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화버어너에 있어서는 시동함에 있어 연료유 및 연소공기의 공급개시, 생연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점화, 생연소에 의한 설정온도까지의 가열, 기화연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점화 및 기화연소로 이행 후의 연소열의 감시등, 극히 복잡한 일연의 제어를 필요로 하므로 시동시의 조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잘못된 조작 또는 부적절한 조작으로 이상연소(異常燃燒)를 초래하기 쉬운 결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잘 알려진 기화버어너에 있어서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버어너의 사동시에 있어서 생연소의 개시로부터 기화연소에 이행하기 까지의 일연의 제어가 확실하게 또한 모두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기화버어너에 있어서의 연소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에 비추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히 그 구성을 가스발생통 및 그 가스발생통과 연통관을 개재하여 연통하는 연소통을 마련하고 가스발생통에 연료유를 공급하여 초기의 생연소에 기화연소로 이행시키서 연소를 계속하게 함으로서, 가스발생통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연료유펌프와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생연소를 점화기와, 기화연소를 점화기를 마련하여 버너어의 시동시에 가스발생통에서의 생연소를 발생하게 하여 설정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일단 생연소염을 없애버린 다음, 곧 기화연소로 이행시키는 순서로 동작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버어너에서의 연소제어장치로 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하면 버어너를 시동할 때에는 간단히 시동스위치를 누르기만 하면 되며, 연료유 및 연소공기의 공급과 장치, 생연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점화, 설정온도 까지의 가열, 생연소염을 없애고 나서 기화연소에의 이행등 일연의 제어를 자동적으로 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버어너의 시동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성취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기화버어너에서의 연소제어장치를 첨부 도면에 나타낸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제3도에서, (1)은 수평으로 설치한 가스발생통, (2),(2)는 가스발생통(1)의 양측에 각기 병설한 연소통으로서, 가스발생통(1)의 선단과 연소통(2),(2)의 후단은 연통관(3)을 개재하여 연통하고 있다. 또 가스발생통(1)의 후단부에는 송풍통(4)이 접속되어 있으며, 그 송풍통(4) 입구쪽에는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5)가 접속되어 있다. (6)은 연료유를 가스발생통(1)내의 후단부에 공급하는 급유관으로서, 이 급유관(6)은 연료유펌프(7)에 접속되어 있으며, 급유관(6)의 선단은 분유구(8)로 되어 있다. (9)는 송기확산날개로서, 이 송기확산날개(9)는 송풍통(4)의 선단부내에 송풍로(10)를 형성하도록 배설하고 있다. (11)은 생연소용 점화전으로서, 이 생연소용 점화전(11)은 분유구(8)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생연소용 점화기(12)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각 연소통(2)은 그 내부가 가스실(13)로 되어 있으며, 연소통(2)의 상부면에는 가스발생통(1)과의 상대면에 걸쳐서 슬릿형의 분염구(14)…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그 양단부에는 분염보호판(1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16),(16)은 기화연소용 점화전으로서, 이 기화연소용 점화전(16),(16)은 연소통(2),(2)의 전단부에 배설하였으며, 이것들은 기화연소용 점화기(17)에 접속되어 있다. (18)은 감열체로서, 이 감열체(18)는 연통관(3)의 외벽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생연소에 의한 가열설정온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19)는 역화안전 온도조절기로서, 이 역화안전 온도조절기(19)는 가스발생통(1)의 외벽면 등의 적당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더우기 (20)은 화염검출기로서, 가스발생통(1)에서의 생연소염을 감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에는 기화버어너의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다른 예의 기화버어너는 가스발생통(1')의 외주에 그것과 동심형의 연소통(2')을 배설한 것으로서, 가스발생통(1')의 후단과 연소통(2')과는 연통관(3')으로 연통되어 있다. 더우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 부호의 부분은 같은 구성이며, 또 대시를 부친 동일 부호의 부분은 서로 대응하는 유사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제6도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기화버어너의 연소제어장치의 회로에 예시되어 있다. 이 도면의 회로에서 (21)은 시동스위치, (22),(23)은 D형의 플립플롭회로, (24)는 생연소용 점화기(12)의 동작시간 설정을 위한 타이머, (25),(26)은 배타논리합회로(exclusive OR 四路)로서 이것들의 회로소자에 의하여 송풍기(5), 연료유펌프(7) 및 생연소용 점화기(12)의 제어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 (27)은 비교회로, (28)은 증폭회로, (29)는 D형의 플립플롭회로, (30)은 생연소염 소실시간을 설정한 타이머, (31)은 기화연소용 점화기(17)의 동작시간 설정을 위한 타이머로서, 이것들의 회로소자에 의하여 생연소에서 기화연소에로 이행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32)는 비교회로, (33)은 증폭회로로서 역화안전 온도조절기(19)에서 비교회로(32)에 입력하며, 또한 출력이 발생하였을 때에 플립플롭회로(22),(23)의 복귀단자 R에 입력하여 연료유펌프(7) 및 송풍기(5)가 정지하고 연료유 및 연소공기의 공급이 중단되어 안전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버어너의 시동시에 생연소염이 정상이냐 아니냐, 또 기화연소에의 이행시에 생연소염이 잔류하고 있지 않는지 어떤지는 화염검출기(20)에 의하여 검출된다. 그리고 이상이 있을 때는 점화동작이 반복 연료율 및 연소공기의 공급정지 등이 이루어져서 연소의 안전이 피하여지고 있다.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금 기화버어너에서 시동조작을 하면 연료유펌프(7) 및 송풍기(5)가 가동하여 급유관(6)의 분유구(8)에서 가스발생통(1)내에 연료유가 공급이 됨과 동시에 연소공기가 송풍통(4)을 거쳐, 또한 송기확산날개(9)에 의하여 확산되면서 가스발생통(1)내에 공급이 된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생연소염 점화기(12)가 작동하여 생연소용 점화전(11)에 스파아크가 발생하면서 연료유에 점화되어서 가스발생통(1)내에 생연소염이 생긴다. 그리고 이 생연소염에 의하여 가스발생통(1), 연료관(3) 및 연소통(2),(2)이 기화연소에 이행하기 위한 필요한 설정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일단 연료유펌프(7) 및 송풍기(5)를 정지하고 생연소염의 소실한 시점에서 재차 연료유펌프(7) 및 송풍기(5)를 가동하여 연료유 및 연소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기화연소용 점화기(17)를 작동시키면 기화연소염 점화전(16),(16)에 스파아크가 발생하여 가스발생통(1)에서 연통관(3)을 거쳐 연소통(2),(2)의 가스실(13)에 축기(蓄氣)된 기화혼합가스에 점화되어 분염구(14)…로부터 기화연소(파랑불꽃 연소)한다. 그런 다음 이 기화연소염에 의하여 가스발생통(1)이 계속 가열되어 기화연소 상태가 계속한다.
다음에 버어너 시동시의 제어작동을 제6도에 나타낸 연소제어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버어너를 시동할 때에 시동스위치(21)를 누르면 플립플롭회로(22),(23)의 시계단자(C)에 입력하여, 그 출력 Q단자에 출력이 발생하므로 배타논리회로(25),(26)에 입력하여 거기에 출력이 발생하고, 연료유펌프(7) 및 송풍기(5)가 운전하기 시작하면 가스발생통(1)에 연료유 및 연소공기가 공급이 된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생연소염 점화기(12)가 작동하여 생연소 점화가 되어 가스발생통(1)내에 생연소염이 생긴다. 이 생연소염에 의하여 가스발생통(1), 연소통(2),(2) 및 연통관(3)이 기화연소에 이행하기 위한 필요한 설정온도까지 가열되며, 그 온도가 감열체(18)에 의하여 검출되면 비교검출기(27)에서 출력하여 플립플롭회로(29)의 시계단자 C에 입력하고, 그 출력 Q단자에 발생한 출력이 배타논리합회로(25),(26)에 입력하여 연료유펌프(7) 및 송풍기(5)가 정지되어 연료유 및 연소공기의 공급이 일단 차단된다. 그리고 타이머(30)의 설정시간(생연소염의 소실시간)을 경과하면 플립플롭회로(29)의 복귀단자 R에 입력하여 그 출력 Q단자의 출력이 소실하므로 배타논리합회로(25),(26) 출력측의 연료유펌프(7) 및 송풍기(5)가 재차 가동되어 연료유 및 연소공기의 공급이 재개된다. 동시에 기화연소용 점화기(17)가 타이머(31)의 설정시간만 작동하여 연소통(2),(2)의 분염구(14)…에 점화되어 기화연소상태가 계속된다.
더우기 기화연소중에 만일 가스발생통(1)에 역화연소가 생겨서 그것이 과열상태로 빠졌을 경우에는 역화안전 온도조절기(19)가 작동하여 비교회로(32)에서 출력신호가 송출하고 플립플롭회로(22),(23)가 복귀되므로 연료유펌프(7) 및 송풍기(5)가 곧 정지하여 연료유 및 연소공기의 공급이 차단되어 버어너의 안전이 확보된다.
이상과 같이 제6도에 나타낸 연소제어장치에 의하면 버어너를 시동함에 있어 간단히 시동스위치(21)를 누르는 것만으로 연료유 및 연소공기의 공급과 정지, 생연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점화, 설정온도까지의 가열, 생연소염의 소실한 다음 기화연소에 이행하는 등 일연의 제어를 자동적으로 하게 할 수 있으며, 버어너 시동의 복잡한 제어를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가스발생통(1) 및 이 가스발생통(1)과 연통관(3)을 개재하여 연통하는 연소통(2)을 마련하고, 가스발생통(1)에 연료유를 공급하여 초기의 생연소에서 기화연소에 이행시켜서 연소를 계속하는 기화버어너에 있어서 가스발생통(1)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연료유펌프(7)와,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5)는 배타논리합회로(25) 및 (26)을 개재하여 플립플롭회로(22),(23) 및 (29)에 접속하고, 이 플립플롭회로(22),(23) 및 (29)는 비교회로(32) 및 (27)를 개재하여 증폭회로(28) 및 (33)에 각각 접속하여서, 버어너 시동시에 가스발생통(1) 생연소를 발생시켜 설정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연소염을 없애버리고, 즉시 기화연소에 이해시키는 순서로 동작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버어너에 있어서의 연소제어장치.
KR1019840005157A 1983-09-19 1984-08-24 기화버어너에 있어서의 연소제어장치 KR910000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72775A JPS6064123A (ja) 1983-09-19 1983-09-19 気化バ−ナにおける燃焼制御装置
JP83-172775 1983-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199A KR850003199A (ko) 1985-06-13
KR910000583B1 true KR910000583B1 (ko) 1991-01-26

Family

ID=1594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157A KR910000583B1 (ko) 1983-09-19 1984-08-24 기화버어너에 있어서의 연소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64123A (ko)
KR (1) KR9100005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2807A (ja) * 1981-10-26 1983-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装置
JPS5896909A (ja) * 1981-12-06 1983-06-09 Dowa:Kk 竪型気化バ−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64123A (ja) 1985-04-12
KR850003199A (ko) 198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1011A (en) Control and method for operating a vaporizer burner
US3741709A (en) Solid state safety control for fuel burning apparatus
KR910000583B1 (ko) 기화버어너에 있어서의 연소제어장치
KR100840535B1 (ko) 액체연료용 버너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너
KR100414244B1 (ko) 초임계수의 혼합연료 연소장치
KR950000402B1 (ko) 난방기
KR0132199Y1 (ko) 온풍난방기의 연소장치
JPH0345285B2 (ko)
JPH0144962B2 (ko)
JP2670957B2 (ja) 熱板加熱式ガスバーナを用いたガス燃焼装置
JP2570089Y2 (ja) ポット式石油燃焼器の制御装置
JP2004286317A (ja) 液体燃料燃焼装置の着火方法
JP3253576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890000956Y1 (ko) 기름, 물 혼합연소기
JP3737435B2 (ja) 気化ガス混合燃焼装置及び方法
JP3116719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0179140B1 (ko) 냉온풍기 온풍시스템의 연소장치
JPH0722578Y2 (ja) 気化式燃焼器具
JPS6321417A (ja) コンロ
KR930008430Y1 (ko) 연소기용 점화플러그
JPS6016845Y2 (ja) 燃焼装置
KR0133362B1 (ko) 로터리히터의 초기 착화방법
JPS60114627A (ja) 気化式燃焼装置
SU1357671A1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JPH01247908A (ja) 気化式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