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492Y1 -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 한 옥변 - Google Patents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 한 옥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92Y1
KR910000492Y1 KR2019870022740U KR880022740U KR910000492Y1 KR 910000492 Y1 KR910000492 Y1 KR 910000492Y1 KR 2019870022740 U KR2019870022740 U KR 2019870022740U KR 880022740 U KR880022740 U KR 880022740U KR 910000492 Y1 KR910000492 Y1 KR 910000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jade
high frequency
frequency heat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2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석
Original Assignee
조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석 filed Critical 조규석
Priority to KR2019870022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92Y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 한 옥변
제1도는 종래 옥변과 가방제조용 비닐지와 접합상태를 예시한 일부전결 개략평면도.
제2도는 종래 옥변 일부만을 표시한 사시도로써 (a)는 접합부가 헤드부의 끝에 형상된 것을, (b)는 접합부가 헤드부의 중간에 형성된 것을 각각 표시된 것이다.
제3도는 종래 옥변의 단면도로써 (a)는 제2a도의 단면을 (b)는 동도(同圖) (b)의 단면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옥변의 사시도.
제5a~d도는 본 고안 옥변의 단면도로써 (a)는 옥변을 형틀에 끼워서 비닐지와 접합시키는 상태를, (b), (c)는 접합부가 변형된 것을, (d)는 접합부가 헤드부와 동일한 각으로 만곡된 형태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제6도는 본 고안 옥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7a~d도는 본고안 옥변 다른 예의 단면도로써 (a)~(c)는 접합부가 헤드부의 중간에 성형된 것을, (d)는 접합부 헤드부의 중간에서 만곡된 각을 이루게끔 형성된 것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옥변 3a : 헤드부
3b : 접합부 3c : 중공부(中空部)
5 : 성형틀
본 고안은 고주파 가열로 접착기능케 한 옥변, 더욱 상세하게로는 옥변의 접합부를 형틀에 끼워서 고주파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변형시킨 것에 의해, 가방 또는 케이스(이하 비닐제품이라 함)제조용 비닐지와 옥변을 용이하게 응착하여 비닐제품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한 옥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상의 비닐지를 사용하여 비닐제품들을 제조함에는, 비닐지가 유약하고 얇기 때문에 재봉에 의한 봉착시 쉽게 뜯어질 염려로 인해 보강재로써 옥변을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종래 옥변(13)들은, 제1도 및 제2,3도에 표시한 바처럼, 단지 비닐지(11)또는 (12)와의 재봉에 의한 봉착 작업만을 편리하게 하고져 비닐지(11) 또는 (12)와 접합되는 접합부(13b)를 중공부(中空部)(13c)를 갖는 헤드부(13a)에 대하여 직선의 수평상태로 길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옥변(13)을 비닐지(11)또는 (12)와 봉착 후에는 길게 남는 접합부(13b)의 일부분은 가위등으로 절단하여 버림에도 불구하고 길게 형성하므로 옥변(13)이 고가로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봉착 후에는 불필요하게 남는 접합부(13b)의 일부분을 가위등으로 일일히 절단해야만 하므로 불필요한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재봉에 의한 봉착으로 완성된 비닐제품(10)의 외관으로는 재봉선이 나타나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가 안좋고, 이로 인해 품질도 떨어지게 된다고 하는 폐단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옥변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옥변의 제조원가를 저감하며, 옥변과 비닐제품 제조용 비닐지와 용이하게 접합토록하여 불필요한 시간 및 인력의 낭비를 줄이고, 또한 비닐지와 접합 후 불필요한 접합부위를 별도의 절단수단으로 일일히 잘라냄이 없도록 하며, 비닐제품의 외관상으로는 품질의 질을 저하시키며 보기가 흉한 재봉선이 절대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잇점들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박상의 비닐지로 비닐제품을 제조함에 사용하는 중공부를 갖는 헤드부에 대하여 일측에서 직선의 수평으로 연장된 접합부가 형성된 공지의 옥변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헤드부의 일측에서 일정 간극을 두고 하방으로 직각을 이루는 접합부를 그 헤드부와 한 몸체로 성형하며, 상기 간극 내로는 접합부의 외측으로 고주파 가열시 옥변과 비닐지를 지지토록 하는 형틀을 끼울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한 옥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기술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술(詳述)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실시예에 의거 본 고안이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제4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 옥변(3)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일실시예는 중공부(3c)를 갖는 원통상의 길게 형성된 헤드부(3a)에 대하여, 접합부(3b)가 헤드부(3a)의 상단에서 일정간격(1)을 두고 90°각도의 직각으로 성형된 것과〔제5a,b,c도 참조〕헤드부(3a)와 유사형태로 원을 그리며 만곡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옥변(3)은 제5a도에 그 실시상태를 예시한 바 처럼, 비닐제품을 만들고져 박상의 비닐지(11a)또는(12a)와 접합부(3b)를 접합함에는 먼저, 준비된 형틀(5)의 상단에 일정 모양으로 재단된 비닐제품 제조용 비닐지(11a)의 단연(端緣)부위를 재치한 후, 옥변(3)의 간극(1)을 개재하여 옥변(3)으로 하여금 비닐지(11a)가 재치되어 있는 형틀(5)에 견고하게 감합되게 한다.
옥변(3)은 연질의 수지재이기 때문에 접합부(3b)가 헤드부(3a)에 대하여 일측으로 벌어지면서 형틀(5)에 쉽게 감삽된다. 또한 옥변(3)은 수지재로 자체 탄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형틀(5)에 견고하게 협지된 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에는, 또 한장의 일정 모양으로 재단된 비닐지(12a)의 단연부위를 옥변(3)의 헤드부(3a)와 접합부(3b) 상면에 재치되게 하여, 비닐지(12a)가 접합부(3b)에 맞닿게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5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접합부(3b)의 일측에서 화살표 방향의 부위에만 통상의 고주파로 가열을 하면 고주파가 가해지는 비닐지(11a), 접합부(3b), 비닐지(12a)는 상호 융착되고 나머지 옥변(3)의 접합부(3b), 비닐지(11a) 또는(12a)의 잔여부위(d)는 자동적으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렇게 하여 비닐지(11a)또는 (12a)와 융착된 옥변(3)은 형틀(5)로 부터 손으로 살짝 잡아 당기면 쉽게 이탈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옥변(3)은 고주파로 비닐지(11a)또는(12a)와 접합하여 비닐제품을 완성하므로, 종래 재봉질에 의한 봉착과는 달리 접합부(3b)를 임의적으로 짧게 할 수가 있어서 옥변(3)의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가 있고, 또한 고주파 가열시 나머지 불필요한 부위는 자동 단락되므로 재봉에 의한 봉착시 일일히 절단가위를 사용하여 절단함으로 인해 소요되는 불필요한 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완성된 비닐제품은 고주파 가열로 융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다고 하는 잇점과 아울러 품질면에서도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제6도 내지 제7도에 표시된 옥변(6)은 본 고안의 다른예를 표시한 것으로, 접합부(6b)가 중공부(6c)를 갖는 헤드부(6c)의 일측 중간부위에서 일정간극(1')을 두고 하방으로 향하여 90°각인 직각으로 형성한 것이다.
다만, 제7d도만이 접합부(6b)가 헤드부(6a)의 형태와 비슷하게 둥근 모양으로 각을 이루게 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특별히 뛰어난 것은 없고, 단지 형태만을 변형시켰을 뿐이다.
본 실시예 역시 비닐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며, 그에 따른 효과면에서도 동일하다.

Claims (4)

  1. 박상비닐지(11)또는(12)로 비닐제품(10)을 제조함에 보강재로 사용하는 중공상(中空狀)헤드부(13a)에 대해 일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접합부(13b)를 갖는 구조의 공지된 옥변(13)에 있어서, 중공부(3c)를 갖는 원통상 헤드부(3a)의 일측단에서 일정간극(1)을 두고 하방으로 절곡되는 접합부(3b)를 그 헤드부(3a)와 한몸체로 성형하며, 상기 간극(1)내로는 접합부(3b)의 외측으로 통상의 고주파 옥변(3)과 비닐지를 지지토록 하는 형틀(5)를 끼울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 한 옥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6b)는 헤드부(6a)의 중간에서 간극(1')을 두고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 한 옥변.
  3.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a)(6a)에 대한 접합부(3b)(6b)의 각도는 90°의 각을 이루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 한 옥변.
  4.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3b)(6b)는 헤드부(3a)(6a)와 같이, 둥글게 각을 이루도록 만곡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 한 옥변.
KR2019870022740U 1988-12-22 1988-12-22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 한 옥변 KR910000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740U KR910000492Y1 (ko) 1988-12-22 1988-12-22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 한 옥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740U KR910000492Y1 (ko) 1988-12-22 1988-12-22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 한 옥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92Y1 true KR910000492Y1 (ko) 1991-01-25

Family

ID=1928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2740U KR910000492Y1 (ko) 1988-12-22 1988-12-22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 한 옥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4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7212A (en) Method for connecting together material plies which are unilaterally thermoplastically coated
JP2950936B2 (ja) 成形半殻体接合型のサンバイザと、その製造法
KR910000492Y1 (ko) 고주파 가열로 접착가능케 한 옥변
CN1248315A (zh) 带吸杯的吸附件
US3396884A (en) Multilayer strap for wristwatches of thermoplastic material
KR960010233Y1 (ko) 가방용 면판 구조체
JP2757300B2 (ja) 金属製容器
JPS5924008B2 (ja) カ−ペツト付きドアトリムにおけるカ−ペツトの取付方法
JPS59178214A (ja) プラスチツク部材の溶着方法
JPH0313080Y2 (ko)
JP2823601B2 (ja) ウインドウモール
JPS58163312A (ja) 車両用シ−トの玉縁
JP3043182U (ja)
CN219939740U (zh) 一种一片式翻领
JP2000025801A (ja) 金属製ケ―シングとラベルを有するチュ―ブ並びに当該チュ―ブの製造方法
CN207836862U (zh) 一种头盔
JPH0723055B2 (ja) 車両用のサンバイザー
JPH0324146Y2 (ko)
KR102618392B1 (ko) 원단의 연결부위에 재봉되는 이음밴드
JPH0427543Y2 (ko)
JPS63159130A (ja) ドアトリムにおける中接用クロスの取付構造
JP2974838B2 (ja) シート用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JPS6365322B2 (ko)
KR200171830Y1 (ko) 테두리가 보강된 앨범 대지
KR870002666Y1 (ko) 손잡이대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부착한 쇼핑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