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484Y1 -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 조향 자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 조향 자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84Y1
KR910000484Y1 KR2019880013900U KR880013900U KR910000484Y1 KR 910000484 Y1 KR910000484 Y1 KR 910000484Y1 KR 2019880013900 U KR2019880013900 U KR 2019880013900U KR 880013900 U KR880013900 U KR 880013900U KR 910000484 Y1 KR910000484 Y1 KR 910000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teering
conversion
handle
op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849U (ko
Inventor
김웅길
Original Assignee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김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김웅길 filed Critical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3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484Y1/ko
Publication of KR900004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1/00Mot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driver not being seated
    • B62D51/001Mot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driver not being sea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control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 조향 자동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를 발췌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를 발췌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프레임 2 : 변환판
3 : 변환조정대 4 : 방향절환레버
5 : 옆판(좌) 6 : 옆판(우)
7 : 리턴스프링 8 : 변환박스
9 : 작동축 10 : 레버
11 : 레버 12 : 레버
13 : 레버 14 : 간격통
15 : 부시 16 : 키
17 : 밋션조향와이어(좌) 18 : 핸들조향와이어(우)
19 : 밋션조향와이어(우) 20 : 핸들조향와이어(좌)
21 : 멈춤봉 22 : 지지축
본 고안은 보행령 작업기에 있어서 조향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며, 핸들의 방향 절환에 따라 조향 위치로 자동으로 변경되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에 사용하여 오던 보행형작업기는 핸들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변경하게 되면 조향와이어를 좌,우측으로 서로 교환하여 결합하여야 핸들의 조향이 정확하게 되므로 이의 교환이 번거롭고, 또 조향와이어를 변경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향 클러치의 작동시 기대의 진행방향이 핸들의 변경전과 반대로 작동하게 되어 작업시에는 혼동으로 인하여 작업에 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결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합을 해소하고 핸들을 반대편으로 이동했을때 조향이 자동으로 핸들의 이동전과 같이 변경되도록 고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들프레임(1)에 변환박스(8)를 형성하고, 그내에 작동축(9)을 설치하여 ㄷ자형으로 된 레버(10) 및 레버(11)(12)(13)를 차례로 끼워 결합하고, 레버(10)의 양옆으로 간격통(14)을 결합하면서 옆판(5)(6)을 결합하여 고정하고, 레버(10)(11)(12)(13)와 작동축(9) 사이에는 부시(15)를 삽입하고, 레버(10)에는 밋션 조향와이어(좌) (17)를, 레버(11)에는 핸들 조향와이어(우)(18)를, 레버(12)에는 밋션 조향와이어(우)(19)를, 레버(13)에는 핸들 조향와이어(좌)(20)를 각각 연결하면서 핸들 조향와이어(8)(20)와 밋션 조향와이어(17)(19)를 연결시켜 주기 위하여 부시(15)와 레버(10)(11)(12)(13) 사이에 키홈을 설치하여 키(16)로서 조립하여 일체화시킨다.
이와같이 핸들프레임(1)을 화살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핸들프레임(1)에 설치된 변환판(2)이 변환조정대(3)위를 통과할 때 변환판(2)과 변환 조정대(3)의 높이 차이(A)로 인하여 변환판(2)이 옆으로 젖혀지면 변환판(2)에 연결된 방향 절환레버(4)도 지지축(22)을 중심으로 좌,우로 작동되어 옆판(5)(6)을 움직여 이동된다.
변환판(2)의 고정축에는 리턴스프링(7)을 설치하여 변환판(2)이 변환조정대(3)를 통과한 후 변환판(2)을 똑바로 세워준다.
이렇게 하면 방향 절환레버(4)의 작동으로 옆판(6)을 우방향으로 작동 시켰을때는 제3도와 같이 연결되어 레버(10)와 레버(11)가 서로 연결되고, 레버(12)와 레버(13)가 서로 연결된다.
또 핸들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 시켰을때는 방향 절환 레버(4)의 좌방향 작동으로 옆판(5)을 이동시키므로 제4도와 같이 작동되어 레버(11)와 레버(12)가 서로 연결되고, 레버(10)와 레버(13)가 서로 연결되어 핸들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레버(10)(11)에 연결되어 있던 키(16)가 레버(10)를 벗어나기 전에 레버(12)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조향은 정상적으로 작동이 된다.
이와 같이 핸들프레임(1)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 시켰다가 원위치 시킬때는 360°회전을 하면 각종 와이어가 꼬여지므로 멈춤장치(미도시됨)를 설치하여 340℃내에서 회전토록되어 이동한 방향으로 되돌아 와야한다.
이때 밋션 조항와이어(17)(19)가 조립되는 레버(10)(12)의 하방에 설치된 멈춤봉(21)으로 밋션에서 변환박스(8)의 레버(10)(12)까지 일정한 거리를 유지시켜 밋션 조향와이어(17)(19)의 당김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보행형 작업기에 핸들의 방향 절환시 핸들의 방향이 변경(이동)됨에 따라서 조향 장치도 자동으로 변경되므로 핸들의 방향변경(이동)에 따라 조향장치를 변경시키는 작업이 해소되므로 작업을 지극히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통상의 보행령 작업기에 있어서 핸들프레임(1)에 방향절환레버(4), 변환판(2), 변환조정대(3) 및 변환박스(8)를 각각 형성하고 변환박스(8)내에 키(16)를 이용하여 방향절환레버(4)를 작동하면 옆판(5)(6)의 이동으로 레버(10)(11)(12)(13)의 연결 위치를 바꾸어 주므로써 핸들을 반대방향으로 변경하여도 조향의 작동은 핸들 이동전과 같이 작동될 수 있게함을 특징으로 한 보행형작업기에 있어서 조향자동 조절장치.
KR2019880013900U 1988-08-25 1988-08-25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 조향 자동 조절장치 KR910000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900U KR910000484Y1 (ko) 1988-08-25 1988-08-25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 조향 자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900U KR910000484Y1 (ko) 1988-08-25 1988-08-25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 조향 자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849U KR900004849U (ko) 1990-03-07
KR910000484Y1 true KR910000484Y1 (ko) 1991-01-25

Family

ID=1927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900U KR910000484Y1 (ko) 1988-08-25 1988-08-25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 조향 자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4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849U (ko) 1990-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7644C (en) Switch box for railway, tramway points, or similar, particularly of the so called english type
JPS6417342A (en) Operating device for switch
US4654494A (en) Actuating mechanism for an electrical switch with pressure contacts, especially for a vacuum switch
KR910000484Y1 (ko)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 조향 자동 조절장치
ATE9422T1 (de) Schaltmechanismus fuer leitungsschutzschalter.
DE59809607D1 (de) Schneidwerk für landwirtschaftliche Maschine
US4154314A (en) Steering mechanism for vehicles
US4397336A (en) Control device for hydraulic spool valves
US4445394A (en) Control lever arrangements
DE1290001B (de) Gangartsteuervorrichtung fuer Rechen- und Buchungsmaschinen
KR890014372A (ko) 콘테이너용 호이스트프레임
US5373924A (en) Shift mechanism for an off-highway implement
US4582007A (en) Needle bar transfer device for multi-needle sewing machine
KR200309630Y1 (ko)
JPS6452591A (en) Link device
JPS574473A (en) Walker-operated moving agricultural machine with automatic changeover device for steering clutch
KR940006996Y1 (ko) 철근절단길이 조정장치
JPS6446045A (en) Cylindrical cam type automatic operating mechanism for transmission
JPS6243383Y2 (ko)
US3047120A (en) Ribbon feed mechanism of typewriters
JPS625708Y2 (ko)
ATA217892A (de) Weichenantrieb mit einem hydraulischen stellzylinder
DE556375C (de) Kippschalter mit zwei oder mehreren voneinander unabhaengig bedienbaren Federsprungwerken
JPH0143797Y2 (ko)
KR0184795B1 (ko) 리치형 지게차용 작업기 레버의 스위치 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