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397Y1 - 휴지걸이 - Google Patents

휴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397Y1
KR910000397Y1 KR2019860021211U KR860021211U KR910000397Y1 KR 910000397 Y1 KR910000397 Y1 KR 910000397Y1 KR 2019860021211 U KR2019860021211 U KR 2019860021211U KR 860021211 U KR860021211 U KR 860021211U KR 910000397 Y1 KR910000397 Y1 KR 910000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toilet paper
elastic rod
hook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587U (ko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송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섭 filed Critical 송유섭
Priority to KR2019860021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397Y1/ko
Publication of KR8800115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5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97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지걸이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2′ : 내벽
3 : 함실 4,4′ : 걸이구
5 : 저지턱 6 : 탄성막대
7 : 함실내벽
본 고안은 두루말이로 된 휴지를 걸어 사용하는 휴지걸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지걸이는 휴지를 교체하는 작업이 불편하였던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휴지걸이의 양측에 상방으로만 자재롭게 접혀지는 걸이구를 장비하므로서 두루말이 휴지를 밑으로부터 밀어올리면 휴지가 걸이구를 제끼면서 올라가다가 휴지 중간의 구멍과 걸이구가 일치할 때 걸이구가 스프링이나 자중에 의해 원위치인 수평상태에 이르기까지 내려오도록 구성된 휴지걸이가 안출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휴지걸이는 걸이구의 작동이 정확히 이루어져야 하는데 간혹 걸이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아니하는 일이 있었기에 걸이구의 말단부에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이의 탄력에 의해 걸이구가 수평을 유지토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휴지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 걸이구가 거의 수직상태로 되었을 경우에만 탄력을 부여토록 되어 있어 걸이구가 약 45°정도의 각도정도만 내려오게 되면 탄성력이 탄력을 전혀 부여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탄력이 미치지 못하는 각도의 범위내에서는 걸이구가 유동되므로 휴지를 인출시 휴지와 함께 걸이구가 요동하여 불쾌한 소음을 발생케되고 특히 탄성편이 축과 가까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지를 밀어올릴 경우 탄성편의 굴곡반경이 매우 협소하여 걸이구가 거의 수직상태에 이르면 탄력이 최대상태에 이르게 되므로 휴지를 끼우기가 상당히 힘들었으며, 이와 같이 굴곡반경이 작으므로서 탄성편이 받는 하중이 집중되어 탄성편이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므로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고, 더불어 탄성편만이 파손되더라도 걸이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었던바,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휴지걸이에 있어서의 결점을 해소하고, 휴지를 장입하는 과정에서 상향으로 쳐들려진 걸이구가 휴지의 중심공에 이르렀을 때 탄성막대의 탄력으로 걸이구가 원위치인 수평상태로 용이하고 원활하게 원상회귀되도록 함은 물론 걸이구에 항시 탄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걸이구가 유동되지 않도록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양측 내벽(2)(2′)에 함실(3)을 형성시키고, 함실(3)에 걸이구(4)(4′)를 축설하되, 걸이구(4)(4′)의 하부에는 저지턱(5)을 형성시켜 걸이구(4)(4′)가 윗쪽으로 회동되어 함실(3) 내부로 몰입되는 것은 가능하나 하방으로 회전되어 쳐지지 아니하도록 구성시킨 공지의 휴지걸이에 있어서, 걸이구(4)(4′)의 내측에는 탄성막대(6)를 결합한 탄성막대(6)는 그 선단이 함실(3)의 내벽(7)에 닿도록 즉, 함실(3)의 내벽(7)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시켜 탄성막대(6)가 걸이구(4)(4′)를 외방으로 밀어, 제2도에서 볼 경우 걸이구(4)(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경향을 갖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휴지를 장입하기 위하여 휴지를 하부로부터 밀어 올리면 제2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구(4)(4′)가 내방으로 회전하면서 탄성막대(6)가 굽어진다.
그런데 탄성막대(6)는 그 길이가 길고 축과의 거리가 멀어 굴곡반경이 크므로 걸이구(4)(4′)의 회동은 유연하게 되어, 따라서 휴지의 장입은 극히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휴지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휴지의 중심공(도면에 도시하지 않음)과 걸이구(4)(4′)의 위치가 일치되면 이제 걸이구(4)(4′)가 탄성막대(6)의 탄력에 의하여 수평의 원상태 대로 회귀하게 되며, 따라서 걸이구(4)(4′)는 휴지의 중심공속에 위치되고 휴지의 장입은 완료된다.
이때 탄성막대(6)는 함실(3)의 내벽(7)에 접촉되는 단부와 축과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굴곡반경이 매우 크게 되므로 걸이구(4)(4′)가 절첩되더라도 탄성막대(6) 전체에 하중이 분포되어 파손의 우려가 배제되는 것이고, 걸이구(4)(4′)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더라도 탄성막대(6)가 지속적으로 탄력을 부여케 되므로 휴지를 인출시 안정감은 물론 걸이구(4)(4′)가 요동되지 않아 인출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수 있는 것으로 탄성막대(6)는 상술한 정도의 탄력만을 부여할수 있으면 족하다 할 것이어서 내구성을 위해 가능한 그 길이를 길게 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탄성막대(6)는 걸이구(4)(4′)의 내측에 요돌조로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잦은 사용으로 탄성막대(6)의 탄력이 약화되거나 절단되더라도 걸이구(4)(4′)로부터 이를 쉽게 분리하여 신품으로 교체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의 걸이구 전체를 교체하여야 했던 경우에 비하여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을뿐 아니라 탄성막대(6)로 인하여 걸이구(4)(4′)의 수평상태로의 회귀작동에 신뢰성이 크며, 탄성막대(6)의 길이가 길어서 휴지를 장입할 경우 걸이구(4)(4′)의 상향 회동이 유연하여 휴지의 장입 또한 용이하여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의 양측에 함실(3)을 갖는 내벽(2)(2′)을 형성시켜, 이에 저지턱(5)을 갖는 걸이구(4)(4′)를 축설토록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걸이구(4)(4′)의 내측에 일단이 함실(3)의 내벽(7)과 접촉되는 기다란 탄성막대(6)를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걸이.
KR2019860021211U 1986-12-26 1986-12-26 휴지걸이 KR910000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211U KR910000397Y1 (ko) 1986-12-26 1986-12-26 휴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211U KR910000397Y1 (ko) 1986-12-26 1986-12-26 휴지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587U KR880011587U (ko) 1988-08-26
KR910000397Y1 true KR910000397Y1 (ko) 1991-01-21

Family

ID=1925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211U KR910000397Y1 (ko) 1986-12-26 1986-12-26 휴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3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587U (ko) 198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1957A (en) Holder for toilet deodorants
US2591606A (en) Tea bag holder
US4474316A (en) Tie hanger
US4632255A (en) Foldable clothes hanger
US2905426A (en) Clothes rod end supports
US2858641A (en) Infant's dressing table toy
KR910000397Y1 (ko) 휴지걸이
US2583411A (en) Paper holder especially adapted for toilet papers
US4799636A (en) Automatically positioned holder for baby bottles
KR950004912B1 (ko) 옷걸이 지지장치
US2107845A (en) Ash receptacle
US5823493A (en) Straw holder
US2693303A (en) Garment hanger
JPS634455Y2 (ko)
KR900003448Y1 (ko) 카세트 데크의 도어 지지장치
KR200390277Y1 (ko) 변기 청소용 솔 보관통
KR200250181Y1 (ko) 매립형 휴지걸이
US2604981A (en) Cover for smoking pipes
US2607156A (en) Cleanser-saving holding device
US2609236A (en) Mop holder and fountain spray device
US4773608A (en) Paper roll dispenser
KR200368867Y1 (ko)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
CN219939881U (zh) 一种扳扣结构
JP2004180719A (ja) 清掃ブラシケース
KR200182199Y1 (ko)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