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867Y1 -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 - Google Patents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867Y1
KR200368867Y1 KR20-2004-0024806U KR20040024806U KR200368867Y1 KR 200368867 Y1 KR200368867 Y1 KR 200368867Y1 KR 20040024806 U KR20040024806 U KR 20040024806U KR 200368867 Y1 KR200368867 Y1 KR 200368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rush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ine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수
Original Assignee
최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수 filed Critical 최재수
Priority to KR20-2004-0024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8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8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청소용 솔을 보관하는 수납통을 덮는 덮개의 젖힘 각도를 제한하도록 한 보관통에 관한 것으로서, 청소용 솔은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덮개가 천천히 닫히면서 열릴 때에도 다른 물체에 부딪히는 일이 없도록 젖혀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수납몸통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힌지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수납통과 덮개 사이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단부 일부가 절곡된 가이드바를 배치하되, 이 가이드바는 수납통의 내주면에 부착된 가이드편에 삽입되어 그 상단부는 덮개의 내주면에 고정된 연결핀에 연결되며, 수납통을 끼워서 고정하는 설치용 고리부재 내주면에 고리형 고무밴드를 부착함으로써 수납통의 결착부가 고리형 고무밴드에 밀착되어 어느 한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A KEEPING BOX FOR TOILET CLEANING BRUSH}
본 고안은 변기청소용 솔을 보관하는 수납통을 덮는 덮개의 젖힘 각도를 제한하도록 한 보관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수납통에서 솔의 인출과 함께 열려지는 덮개의 젖힘 각도를 제한할 수 있고, 벽체 등에 고정하기 위해 결합되는 설치용 고리부재에 수납통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리형 고무밴드를 부착한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양변기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 긴 자루가 달린 청소용 솔을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청소용 솔은 미관상의 보관을 위해 종래는 화장실의 벽면에 설치된 보관통에 솔 부분이 수납되어 덮개에 의해 덮여진 상태로 보관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용 솔(108)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수납몸체(101)와, 상기 청소용 솔의 자루(107)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서 중앙부까지 절개된 절개홈(104)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납몸체와 힌지(102)로 연결되어 있는 덮개(103)와, 힌지 부분의 덮개 내주면에 부착된 걸림편(105)과, 상기 수납몸체가 끼워지는 고리(109)와 이 고리의 일측에 연결된 고정체(106)로 이루어진 설치부재(110)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편(105)에 의해 청소용 솔(108)의 수납 또는 인출과 동시에 덮개가 덮여지거나 열려지도록 하고 있다.
즉, 덮개가 열려진 상태에서 청소용 솔을 수납몸체에 넣어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솔 부분이 걸림편을 누르게 되면 덮개도 따라서 닫히면서 자루 부분은 덮개의 절개홈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청소용 솔이 수납몸체 내로 들어가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청소용 솔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수납몸체에서 들어올리기만 하면 솔 부분이 걸림편을 밀어 올려 덮개가 열리면서 청소용 솔을 밖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은 청소용 솔이 걸림편을 누름과 동시에 덮개가 바로 닫히게 되는 구조이므로 절개홈에 자루 부분이 정확하게 삽입되면서 수납몸체 내로 수납되지 못하고 덮개와 청소용 솔이 자꾸 부딪혀 다시 집어넣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청소용 솔을 들어 올려 덮개가 열릴 때에는 이 덮개가 설치부재의 고정체나 벽체 등에 부딪힐 때마다 소음이 발생되며 도금된 상태가 손상되어 부식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게다가 설치부재의 고리에 끼워져 있는 수납몸체가 확실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청소용 솔의 계속적인 수납과 인출함에 따라 수납몸체가 고리내에서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덮개가 젖혀지는 것이 벽체에 고정된 고정체의 위치를 벗어나게 되므로 덮개가 완전히 뒤로 젖혀지게 되었기 때문에 청소솔을 수납시에는 비위생적인 덮개를 일일이 손으로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청소용 솔은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덮개가 천천히 닫히면서 열릴 때에도 다른 물체에 부딪히는 일이 없도록 젖혀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수납몸통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힌지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수납통과 덮개 사이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단부 일부가 절곡된 가이드바를 배치하되, 이 가이드바는 수납통의 내주면에 부착된 가이드편에 삽입되어 그 상단부는 덮개의 내주면에 고정된 연결핀에 연결되며, 수납통을 끼워서 고정하는 설치용 고리부재 내주면에 고리형 고무밴드를 부착함으로써 수납통의 결착부가 고리형 고무밴드에 밀착되어 어느 한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상기 고리형 고무밴드가 중심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어 수납통의 밀착력을 더욱 강화하도록 한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의 사용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의 또 다른 사용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의 사용상태 종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청소용 솔, 1a...솔,
1b...자루, 2...수납통,
3...설치용 고리부재, 4...덮개,
4a...절개홈, 5,13a...힌지,
6...체결부, 7...테두리부,
8...고리, 9...고정체,
11,22...절곡부, 12...가이드바,
13...연결핀, 15...가이드편,
20...고리형 고무밴드, 21...고리형 고무밴드의 내주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변기청소용 솔을 담아두는 수납통과, 힌지에 의해 수납통과 연결하여 상부를 덮되 상기 솔의 손잡이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수납통의 외주면에 끼워져 벽체 등에 부착되는 설치용 고리부재로 이루어진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의 힌지 부위 내주면에 부착된 가이드편에 수직으로 하단의 일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가이드바가 삽입되고, 이 가이드바의 상부는 상기 덮개의 힌지 부위 내주면에 고정된 연결핀과 연결되며, 상기 수납통의 외주면이 끼워지는설치용 고리부재의 고리 내주면에 고리형 고무가 부착되어, 덮개가 열릴 때 상승하는 상기 가이드바의 절곡된 하단부가 가이드편에 걸려 젖혀지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고, 설치용 고리부재에 수납통이 끼워질 때 상기 고리형 고무밴드에 의해 상기 수납통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고리형 고무의 내주면이 중심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어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적도록 구성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에 대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 솔(1)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통(2)은 상단부가 더 넓은 직경의 테두리부(7)를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통의 상단부 테두리부(7)의 일측에서 힌지(5)로 결합되어 수납통을 덮는 덮개(4)는 하면의 테두리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외측의 일부분에서 중심부까지 길게 절개된 절개홈(4a)이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5)와 수직으로 이어지는 상기 수납통의 내주면에는 ㄷ자 형태의 가이드편(15)이 부착되고, 이 가이드편에 하단부의 일부가 절곡되어 절곡부(11a)를 갖는 길다란 가이드바(12)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단부는덮개(4)의 힌지(5) 부위 내주면에 고정된 연결핀(13)과 힌지(13a)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수납통(2)과 결합되는 설치용 고리부재(3)는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상기 수납통의 테두리부(7) 바로 아래에서 이 테두리부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결착부(6)에 끼워지는 고리(8)와, 이 고리의 상단부 테두리에 상단의 절곡부(22)가 끼워지면서 고리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고리형 고무밴드(20)와, 상기 고리의 일측에 연결되어 벽체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9)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통의 결착부(6)와 설치용 고리부재의 고리(8) 사이에 고리형 고무밴드(20)가 위치하면서 이 고리형 고무밴드의 내주면(21)이 결착부(6)와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리형 고무밴드(20)의 하단부 테두리가 중심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도록 즉,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더 넓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1a는 청소용 솔(1)의 자루 부분이고, 1b는 청소용 솔의 솔 부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의 사용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의 또 다른 사용상태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용 솔(1)이 수납통(2)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는 솔(1b) 부분의 상단부가 가이드바(12) 하단의 절곡부(11) 바로 아래에 위치하면서 자루(1b)는 수납통에 덮여 있는 덮개(4)의 절개홈(4a)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며, 청소용 솔을 들어 올려 수납통에서 인출하게 되면 솔 부분이 가이드바의 절곡부를 밀어 올려 상승함과 동시에 이와 연결된 덮개가 시간차를 두고 열리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바가 상승하면서 하단의 절곡부가 가이드편(15)에 걸려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되므로, 가이드바와 연결된 덮개가 열려서 젖혀지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되어 종래와 같이 완전히 뒤로 젖혀지면서 설치용 고리부재(3)의 고정체(9)나 벽체 등에 부딪혀 소음을 발생하지 않고, 금속 표면의 도금된 상태도 손상되지 않고 원래의 상태 그대로 유지되므로 부식도 방지할 수 있고, 수납통(2)이 고리(8)내에서 회전하게 될 경우에 덮개가 완전히 뒤로 젖혀져서 손으로 닫아야 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덮개(4)의 젖혀지는 각도가 제한되므로 손을 대지 않고도 청소용 솔의 수납에 의해서 덮개(4)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또, 청소용 솔(1)을 수납통(2)에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솔(1b) 부분이 가이드바(12) 하단의 절곡부(11)를 눌러 가이드바가 하강하면서 청소용 솔이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만큼 이와 연결된 덮개(4)가 시간차를 두고 천천히 닫히면서 청소용 솔의 자루(1a) 부분이 덮개의 절개홈(4a)에 부드럽게 삽입된다.
또한, 수납통(2)의 결착부(6)와 설치용 고리부재(3)의 고리(8) 사이에 있는 고리형 고무밴드(20)에 의해 수납통을 고리에 끼워 아래쪽으로 밀어서 결합할 때, 고리형 고무밴드에 더욱 더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에 의하면, 청소용 솔의 수납과 인출에 있어 덮개가 천천히 닫히게 되므로 빨리 닫히면서 청소용 솔과 부딪히는 일이 없어 거의 한번에 수납할 수 있고, 덮개가 열릴 때 완전히 뒤로 젖혀지지 않아 다른 물체에 부딪히는 일이 없어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도금된 상태도 손상되지 않으며, 손을 대지 않고도 청소용 솔의 인출 및 수납 에 따라 덮개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또한, 설치용 고리부재의 고리사이에 끼워진 고리형 고무밴드에 의해 수납통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므로 기설치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어 설치용 고리부재의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덮개가 원하는 방향으로만 젖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

  1. 변기청소용 솔을 담아두는 수납통과, 힌지에 의해 수납통과 연결하여 상부를 덮되 상기 솔의 손잡이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수납통의 외주면에 끼워져 벽체 등에 부착되는 설치용 고리부재로 이루어진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의 힌지 부위 내주면에 부착된 가이드편에 수직으로 하단의 일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가이드바가 삽입되고, 이 가이드바의 상부는 상기 덮개의 힌지 부위 내주면에 고정된 연결핀과 연결되며, 상기 수납통의 외주면이 끼워지는 설치용 고리부재의 고리 내주면에 고리형 고무가 부착되어, 덮개가 열릴 때 상승하는 상기 가이드바의 절곡된 하단부가 가이드편에 걸려 젖혀지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고, 설치용 고리부재에 수납통이 끼워질 때 상기 고리형 고무밴드에 의해 상기 수납통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고무의 내주면이 중심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어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적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
KR20-2004-0024806U 2004-08-30 2004-08-30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 KR200368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806U KR200368867Y1 (ko) 2004-08-30 2004-08-30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806U KR200368867Y1 (ko) 2004-08-30 2004-08-30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867Y1 true KR200368867Y1 (ko) 2004-12-03

Family

ID=4944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806U KR200368867Y1 (ko) 2004-08-30 2004-08-30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8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433Y1 (ko) 2012-07-02 2014-02-20 송용만 변기 세척솔용 걸이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433Y1 (ko) 2012-07-02 2014-02-20 송용만 변기 세척솔용 걸이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1485C (en) Plunger caddy assembly
US7861858B2 (en) Holding device for use in a bathroom
WO2006020781B1 (en) Container with lid prop and/or lid latch
US3085678A (en) Toilet brush holder
RU2003135542A (ru) Электроприбор для обжаривания, содержащий чашу, связанную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слива жидкости
JP2004503224A (ja) 動物の餌入れ容器
US6651260B1 (en) Toilet tank top with easy access to drop in deodorizing discs
KR200440015Y1 (ko) 변기청소용 솔-보관통 설치를 위한 브래킷 조립체
KR200368867Y1 (ko) 변기청소용 솔 보관통
KR200390277Y1 (ko) 변기 청소용 솔 보관통
US2289214A (en) Top pan member for minnow buckets
US3450452A (en) Toilet brush holder
KR200487891Y1 (ko) 탄성 걸림식 스테인레스 밀폐 용기
JP2007501681A (ja) 新規な装置
KR102087098B1 (ko) 거치 틸팅 타입 청소용 솔 보관통
KR101311949B1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
JP3029844U (ja) 清掃用具入れ
KR100707386B1 (ko) 매입형 화장지 거치대
KR102347097B1 (ko) 양치컵
US2842287A (en) Container bail with brush holder
KR20000010801U (ko) 빨대를 구비한 음료수통
KR200291947Y1 (ko) 감속돌기부가 구비된 힌지
US20040016665A1 (en) Portable toothbrush storage device
JPH08140839A (ja) しゃもじホルダー
KR200220251Y1 (ko) 양변기의 청소용 브러쉬의 보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