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369B1 -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369B1
KR910000369B1 KR1019860008879A KR860008879A KR910000369B1 KR 910000369 B1 KR910000369 B1 KR 910000369B1 KR 1019860008879 A KR1019860008879 A KR 1019860008879A KR 860008879 A KR860008879 A KR 860008879A KR 910000369 B1 KR910000369 B1 KR 91000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cover
compartment
plat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388A (ko
Inventor
나리도 시바이께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4657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074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4657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546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4657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07458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4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pivot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2Positioning by moving the door or the co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12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di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제1a,b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록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동 장치에 사용되는 카세트설명도.
제3도는 동 장치의 요부설명도.
제4도는 제3도의 X방향에서 본 요부설명도.
제5도는 동 Y방향에서 본 요부설명도.
제6a,b도는 동 장치의 요부설명도.
제7ab도는 동 제3도의 Z방향에서 본 요부설명도.
제8도는 동 장치의 이면쪽의 요부설명도.
제9a,b도 및 제10도는 모두 동 제3도의 Y방향에서 본 요부설명도.
제11a,b도는 동 장치의 요부설명도.
제12도는 동 장치의 이젝트부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2 : 셔터
5 : 컴파아트먼트 6 : 셔터개폐기구
8 : 개리지 9 : 베이스플레이트
10a,10b : 지지축 11 : 슬라이드플레이트 A
12 : 슬라이드플레이트 B 13 : 헤드
19 : 후크판 28 : 스프링
31 : 스프링 33a,33b : 위치결정구멍
34a,34b : 위치결정핀 35 : 높이결정핀
36 : 착오소거방지클릭 37 : 스위치
38 : 돌부 40 : 삽입스프링
40a : 선단부 41 : 모우터
42 : 스핀들 46 : 패드
49 : 록구멍 50 : 록
51 : 스프링 52 : 자기시이트
53 : 센터코어 58 : 창
60 : 스프링 83 : 돌부
84 : 블록편 92 : 스위치플레이트
93 : 스프링 94 : 축
본 발명은, 자기시이트상에 영상신호등을 기록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세트형상의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장치에는, 이 카세트를 기록 혹은 재생가능상태로 장착하기 위한 기구가 필수적이며, 회동식이나 링크식, 혹은 프론트로우딩등과 같은 여러가지 방식이 있다. 이중에서, 기구적으로 가장 간단한 것이 회동식이며, 가장 사용하기 편리하나 복잡해지는 것이 프론트로우딩, 그 중간이 링크식과 같은 실정이다.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로서는, 소형·경량을 추구해서, 회동식을 사용하는 일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회동식의 카세트장착기구는, 최종적으로는 카세트를 어떤 축을 중심으로 회동해서 장착하나, 그전에 먼저, 컴파아트먼트(compartment)내에 카세트를 슬라이드시켜서 삽입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이 카세트를 컴파아트먼트 밖으로 배출하는 동작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특히, 손으로 행하는데 문제는 없으나, 보다 사용하기 쉽게하게 위하여, 장치로부터 카세트를 이간하였을때에 자동적으로 어느정도 배출시키는 기구를 갖추고 있는 일이 많다. 즉, 회동식으로 구조가 간단하다고는해도, 상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시키는 동작, 혹은 그 기구가 필요하며, 이들 동작 혹은 기구를, 단지 장착의 하나의 요소로서 인정하지 않을수 없는 상황이다.
이 동작, 혹은 기구들, 다른 요소(예를들면 헤드의 이동)기구와 유기적으로 관계를 가지게 하면, 장치전체로서, 효율적인 설계가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회동식의 카세트장착기구는, 카세트를 컴파아트먼트에 출입시킬때에, 장치에 대해서 기울어지게 되어 있으며, 이 경사방향에 따라서 카세트를 슬라이드시키기 때문에, 그때의 동작방향이, 장치쪽의 부재에 대하여 기울어진 움직임이 되어, 연관시키는 일이 곤란하다. 또 배출기구도, 그 주요한 부분은 컴파아트먼트에 설치되며, 이것도 경사해서 움직인다. 또, 컴파아트먼트 자체의 중량도 커지기 때문에, 동작력을 크게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카세트슬라이드동작이나, 배출기구를 장치쪽과 유효하게 연결시킨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하고 간단하며, 또한 장치쪽의 기구와 유기적으로 연관시켜서, 장치전체로서 효율적인 카세트 장착기구를 탑재한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동동작에 의해서 개폐되는 개리지와, 이 개리지와 동축을 가지며, 개리지에 연동해서 카세트를 장착하는 컴파아트먼트로 이루어지고, 이 컴파아트먼트에 카세트를 슬라이드시켜서 삽입 또는 배출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이 슬라이드방향과 상기 축방향이 일치하고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때문에, 회동식의 카세트 장착기구이지만, 카세트를 컴파아트먼트내에 삽입하거나, 또 밖으로 배출하거나하는 슬라이드 방향이, 장치에 대해서 경사지지 않고 평행하다. 즉, 이 동작을 장치쪽의 부재와 유기적으로 연관시키는 일이 용이해진다.
이하, 도면을 사용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a,b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록장치의 구성도이다. 카세트(1)는 셔터(2)에 의해서 헤드삽입구(후술함)를 닫고 있으며, 이 셔터(2)는 화살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그 때문에, 카세트(1)를 화살표(4)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컴파아트먼트(5)내로 삽입함으로써, 셔터개폐기구(6)에 의해서 셔터(2)가 열린다. 카세트(1)가 컴파아트먼트(5)로부터 배출될때, 셔터개폐기구(6)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셔터(2)는 닫힌다. 컴파아트먼트(5)는 카세트(1)가 삽입되는 쪽에, 복수개의 안내편(7a)∼(7f)을 갖추고 있어,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개리지(8)는 컴파아트먼트(5)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다같이 베이스플레이트(9)상의 지지축(10a)(10b)에 축지된다. 이 축지방향은 카세트(1)의 삽입방향, 즉 화살표(4)의 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카세트(1)를 삽입할때는 베이스플레이트(9)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에서 슬라이드시키게 된다. 다만 슬라이드방향은 베이스플레이트(9)에 대해서 평행으로 되어,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와 연동하는데 지장이 없다.
슬라이드플레이트 B(12)는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위에 있고, 다같이 카세트삽입방향으로 베이스플레이트(9)상을 슬라이드해서, 헤드(13)의 이동이나 카세트(1)의 배출등을 행한다. 이 2매의 판은 스프링(14)에 의해서 서로 끌어당기고 있다.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의 절곡부(11a)는 카세트(1)와 결합해서, 삽입시에는 화살표(15) 방햐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더(16)의 차아지를 행하고, 솔레노이드(17)의 흡인력에 의한 2단 구조클릭(후술함)의 작동에 의해서 헤드(13)의 이동을 행한다. 개리지(8)가 개방(도면과 같은 상태이나, 도면은 설명을 위하여 실제보다 크게 열려있음)되면, 개방스프링(18)이 후크판(19)을, 그 돌부(19a)와 결합해서 이동시키고,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의 후크부(11b)의 결합을 해제하여, 슬라이드플레이트 A(11)가 카세트(1)의 삽입으로 차아지된 스프링(후술함)의 힘에 의해서 화살표(15)와 방대방향으로 나아간다. 이 동작에 의해서, 절곡부(11a)는 카세트(1)를 컴파아트먼트(5)밖으로 배출한다. 또 슬라이드플레이트 A(11)는 동시에 슬라이드플레이트 B(12)를 압압해감으로써, 슬라이드플레이트 B(12)의 랙부(12a), 기어플레이트(20)에 부착된 기어(21)(22)를 개재해서, 래칫(23)에 동작이 전달되고, 일체적으로 설치된 캠(후술함)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9)의 이면쪽에 배설된 헤드플레이트(98)를 외력에 의해서 화살표(99)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동작을 슬라이더(16)에 전달하여, 캠종동부(24)를 캠으로부터 이간시켜서 헤드(13)를 초기위치로 가지고 간다. 슬라이더(16)는 슬라이드블록(25)에 압압스프링(26a)∼(26c)[(26d)는 후술함]과 조정나사(후술함)에 지지된 슬라이드축(27a)(27b)을 따라서 이동하고, 캠쪽으로 스프링부세하고 있다. 그 때문에 헤드플레이트(98)에 화살표(99)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때에는 캠에 당접한다.
개리지(8)는 스프링(28)이 베이스플레이트(9)의 스프링걸이부(29)와 개리지의 스프링걸이부(30)에 걸려있으므로, 항상 열리려고 하며, 또 스프링(31)이 컴파아트먼트(5)를 개리지(8)로부터 멀어지도록 부세하고 있다. 지금, 카세트(1)를 컴파아트먼트(5)내에 삽입하고, 개리지(8) 닫으면, 먼저 컴파아트먼트(5)가 높이 결정핀(32)에 당접할때까지 하강하고, 카세트(1)는 그 위치결정구멍(33a)(33b)이, 위치결정핀(34a)(34b)과 감합해서 위치결정되고, 그 2개의 핀과, 높이결정핀(35)에 의해서 높이도 결정된다. 이 사이에, 카세트(1)의 착오소거방지클릭(36)과 결합하는 스위치(37)는 개리지(8)의 돌부(38)에 의해서 카세트(1)와 결합하지 않는 위치로 밀려나고 있다. 이후, 개리지(8)가 하강함으로써, 압압스프링(39)이 카세트(1)를 지지하고, 삽입스프링(40)이 모우터(41)의 스핀들(42)에 센터코어(후술함)을 압입한다. 또, 패드스프링(43)에 의해서 개리지(8)에 지지된 패드플레이트(44)는 PG(45)나 패드(46)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들도, 패드높이결정핀(47a)(47b)이 패드(46)에 당접하며, 또, 높이조정나사(48)가 스핀들(42)의 중앙부(후술함)에 당접해서 위치결정된다. 이들 동작의 종료후, 개리지(8)의 록구멍(49)이 록(50)과 결합해서 개리지(8)를 고정한다. 개방하려면 압압부(50a)를 스프링(51)에 대항해서 압입함으로써, 록(50)의 결합이 해제되게 한다.
이와 같이 해서 카세트(1)를 베이스플레이트(9)상에 고정하고, 헤드(13)에 의한 기록을 행하는 것이나, 각 부의 동작에 관해서 더욱 상세하게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사용되는 카세트(1)의 설명도이다. 내장된 자기시이트(52)는 센터코어(53)에 맞붙어 있다. 이센터코어(53)에는 위치결정벽(54a)(54b), 위치결정스프링(55), PG요우크(56)가 설치되어, 스핀들(42)에 대해서 위치결정된다. 하우징(57)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33a)(33b)의 위치결정구멍이 있고, 위치결정핀(34a)(34b), 높이 결정핀(35)에 의해서 위치결정된다. (58)은 셔터(2)가 화살표(3) 방향으로 슬라이드한 후(2'), 자기시이트(52)를 노정시키기 위하여 하우징(57)의 양쪽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창이며, 패드높이 결정핀(47a)(47b)도 이 창(58)안을 사용한다. (59)는 라벨이며, 사용한 월·일등을 기입해서 정리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36)의 착오소거방지클릭은 이면쪽에 설치해서, 기록된 내용을 잘못하여 소거하거나 중첩기록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제3도는 베이스플레이트(9)상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제4도 제8도는 각 구성요소의 설명도이며, 이상의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4도는 제3도의 X방향, 제5도는 Y방향, 제7a,b도는 Z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또 제8도는 이면쪽을 본 도면이다. 슬라이드플레이트 A(11)는 카세트(1)에 의해서, 스프링(60)에 대항해서 화살표(15)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크판(19)에 의해서 차이지된 상태(제4도 11')로 유지된다. 후크판(19)은 개리지(8)가 하강할때는 개방스프링(18)이 휘기때문에 동작하지 않으나, 상승할때는 그 형상에 의해서 스프링(61)에 대항해서 이동하고, 후크부(11b)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슬라이드플레이트 A(11)는 화살표(15)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플레이트 B(12)는 스프링(14)에 의헤서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와 서로 끌어당기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당접해서 그 스프링힘은 없어지고, 스프링(60)의 힘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은 상술한 바와같이 랙부(12a), 기어(21)(22)를 개재해서 래칫(23)과 일체화해서 설치된 기어(62)를 회전시키고, 캠(63)까지도 회전시킨다. 제6a도는 이때의 모양을 도시하고 있으며, 포인터(64)는 래칫(23)과 결합하고 있으나, 래칫(23)이 축(65)에 대하여 화살표(66)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64')와 같이 동작하여 래칫(23)의 회전이 가능하다. (67)은 카운터레버이며, 축(68)을 포인터(64)와 공유하여, 그 단부(67a)를 스프링(69)에 의해서 끌어당겨서 시계방향으로 부세하고, 타단부(67b)가 베이스플레이트(9)의 스토퍼부(70)에 당접하고 있다. 이 카운터레버(67)는 포인터(64)를 상하부로부터 끼워넣도록 구성되고, 스프링(71)을 구비하여 포인터(64)를 부세한다. 이 스프링(71)은 포인터(64)와 카운터레버(67)가 서로 밀도록 구성하였으나, 물론 스프링(69)과 같이 베이스플레이트(9)와의 사이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포인터(64)의 돌부(64a)는 클릭부(64b)가 랫치(23)과 당접해서 정지되고 있기때문에 단부(67a)와의 사이에 간격(d)을 두고 있다. 이들 스프링의 힘은 작기 때문에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의 이동에 그다지 부하로는 작용하지 않는다.
즉, 특히 클릭부(64b)를 래칫(23)으로부터 이간시키기 위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게 캠(63)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헤드(13)는 슬라이더(16)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나사(60)의 힘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의 동작은 스토퍼(74)에 의해서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되고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래칫(23)은 포인터(64)의 클릭부(64b)가 톱니부(23a)와 맞물릴때에 캠(63)이 헤드(13)에 제1트랙위치를 부여하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그러나, 기어열의 맞물림부분에는 유격이 있으며, 또 래칫(23) 등의 관성력에 의해서 톱니부(23a)가 오우버런을 해서, 캠(63)에 정확한 위치를 부여하는 상태보다도 나아가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래칫(23)에는 스토퍼핀(96)이, 또 베이스플레이트(9)에도 스토퍼핀(97)이 설치되어 있다. 이 2개의 스토퍼핀(96)(97)은 슬라이드플레이트 A(11)가 스토퍼(74)에 당접해서 정지할때에, 간격(d)이 생기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간격(d)은 래칫(23)이 오우버런해도 다음의 톱니까지 나아가지 않을 만큼의 길이로 되어 있다. 즉, 기어열의 유격에 의한 오우버런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체의 스프링(60)에 의한 충격은 이미 스토퍼(74)에서 받고 있으며, 특히 이들 스토퍼핀(96)(97)에는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고, 다만 오우버런을 방지할 뿐이다. 즉, 캠(63)을 확실하게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은 다른부분에서 받고, 여분의 힘만을 래칫(23)에서 받도록 구성하여, 정확한 위치관계를 무너뜨리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리지(8)를 개방함으로써 카세트(1)가 배출되고, 캠(63)도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즉, 헤드(13)도 초기위치로 캠(63)에 압압되어 복귀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다른 실시예로서 이젝트동작에 의해서 직접 헤드(13)를 복귀할 경우의 설명을 한다. 즉,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플레이트 B(12)의 작동에 앞서서 헤드플레이트(98)가 화살표(99)방향으로 움직이고, 이 움직임은 이젝트레버로부터 직접 얻을 수 있으나, 후술한다. 슬라이더(16)에는 슬라이드블록(25), 베이스플레이트(9)를 관통해서, 베이스플레이트(9)의 이면쪽에서 헤드플레이트(98)의 볼록부(98a)와 결합하는 헤드핀(100)이 설치되어 있다. 헤드플레이트(98)의 볼록부(98a)는 통상 헤드(13)가 최내주를 부여하는 위치와의 사이에 간격(e1)을 가지고 있으며, 헤드(13)의 이동에 어떤 지장을 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젝트레버에 의해서 부여되는 스트로우크(s1)는 간격(e1)을 가지고 있던 헤드플레이트(98)가 헤드핀(100)에 결합해서 헤드(13)를 그 최외주위치 [캠(63)이 초기위치=제1트랙위치를 취하였을때에 캠종동부(24)와 캠(63)이 당접해서 헤드(13)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100')]까지 이동시키는 스트로우크(s2)로부터 다시 (e2)만큼 여분으로 이동된 위치(100")까지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98'). 즉 이 상태에서 캠(63)과 캠종동부(24)가 당접하는 일은 없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캠(63)의 초기위치에의 이동등일때에, 캠(63)의 부하가 되지 않고, 스프링(60)을 외주나 불필요하게 큰힘으로 하는일이 없다. 또, 캠(63)등의 동작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충격도 없으며, 캠(63)의 외주나 캠종동부(24)가 손상되거나 하는일도 없다. 이 때문에 정밀한 위치결정(높이,경사,트랙위치)이 요구되는 헤드(13)의 이동기구로서 극히 유효하다. 물론 개리지(8)의 개방은 이 헤드플레이트(98)의 이동후에 행해지도록 이젝트레버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새롭게 카세트(1)를 삽입하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삽입방향은 베이스플레이트(9)에 평행하게 되어, 슬라이드플레이트 A(11)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11')에 도달해서 정지한다. 그러나, 슬라이드플레이트 B(12)는 제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인터(64)와 래칫(23)이 결합하고 있어서 이동하지않고, 스프링(14)이 늘어나게 되어, 슬라이드플레이트 B(12)에 슬라이드플레이트(11) 방향 즉, 화살표(15)방향의 부세력이 부여된다. 이 힘은 상술한 바와같이, 개리지(8)가 개방되어서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와 슬라이드플레이트 B(12)가 당접할때까지 존재하고, 제6b도에 있어서는 화살표(75) 방향의 힘이 된다. 이 때문에, 래칫(23)은 제6a도의 상태에서 안정된다. 개리지(8)를 닫음과 동시에 헤드플레이트(98)도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헤드핀(100)은 자유롭게되므로 슬라이더(16)도 스프링(95)에 의해서, 캠(63)에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되어 헤드(13)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 차아지힘은 스프링(14)(60)에 대항하는 것이나, 스프링(14)은 스프링(60)에 의한 캠(63)과 캠종동부(24)와 의 접촉마찰력에 대항해서 래칫(23)을 회전할 수 있는 것이며, 스프링(60)은 포인터(64)와 래칫의 마찰력과, 카세트(1)를 배출하면서 슬라이드플레이트 A(11)를 이동시킬 수 있는 힘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다소 큰 힘이 되나, 카세트(1)의 삽입동작, 즉 인간의 손에 의한 동작, 혹이 이 장치외의 기구로부터 얻어지는 힘에 의해서 행해지기 때문에, 이 장치에 의해서 전혀 부담이 되지 않고, 그 간소화나 소형화를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스프링(14)은 2매의 판에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부여할 뿐이고, 그 크기가 스프링(60)에 영향을 부여하는 일이 없으며, 카세트(1)를 배출할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13)는 헤드플레이트(98)에 의해서 이동되게 되어 있으므로 부하로 작용하지 않는다. 즉, 차아지힘을 불필요하게 크게 하는 일도 없고, 카세트 삽입시의 손에 주는 불쾌감이나, 다른 기구에 걸리는 부담도 적다. 또, 개리지(8)나 컴파아트먼트(5)의 축지방향을 카세트(1)의 슬라이드방향과 같게 함으로써, 이 카세트 삽입력을 용이하게 베이스플레이트(9)상의 슬라이드힘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변환기구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솔레노이드(17)에 통전한다. 제6b도와 같이 솔레노이드축(76)은 흡인되어서, 화살표(77)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카운터레버(67)를, 핀(78)을 개재해서 스프링(69)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단부(67a)는 포인터(64)의 돌부(64a)에 당접하고, 마찬가지로 포인터(64)를 회전 시킨다. 이때 카운터레버(67)의 클릭부(67b)는 래칫(23)과 결합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포인터(64)의 클릭부(64b)는 래칫(23)으로부터 이간한다. 래칫(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75) 방향으로의 부세력이 있기 때문에, 클릭부(67b)에 당접할때까지 회전한다.
이 회전량은 클릭부(64b)가 래칫(23)의 한개의 톱니를 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후, 솔레노이드(17)에의 통전을 차단하고, 스프링(69)에 의해서 다시 제6a도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때, 래칫(23)은 톱니 하나만큼 나아가 있으며, 캠(63)에 의해서 슬라이더(16)가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헤드(13)를 솔레노이드(17)에의 통전 1회에 대하여 1트랙씩 이동시킨다. 솔레노이드(17)의 흡인력은 스프링(69)과, 화살표(75)방향의 부세력에 의한 래칫(23)과 포인터(64)와의 마찰력에 대항하는 것만으로도 되고, 극히 작은힘으로 되며, 따라서 솔레노이드(17)의 소형화나 전력절약화에 크게 유익하다. 또 통전도 온-오프뿐이기 때문에 회로구성도 간단해진다. 이 헤드(13)의 이동은 제3도에 있어서 화살표(73)와 반대방향으로 행해져서(13')까지 이동한다. 또, 포인터(64)와 카운터레버(67)를 2단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헤드(13)의 위치결정, 즉 래칫(23)의 위치결정시에 카운터레버(67)와 포인터(64)와의 사이에 간격(d)을 가지게하여, 카운터레버(67)가 영향을 받지않도록해서 그 정밀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 캠(63)을 초기위치로 복귀할때에는, 포인터(64)를 단독으로 움직여, 캠(63)을 이동시켜서 헤드(13)를 이송할때는 일체화해서 움직이게하여 기구가 복잡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헤드(13)는 슬라이더(16)에 고착되어 있으나, 이 슬라이더(16)의 안내부재인 2개의 슬라이드축(27a)(27b)은 제7b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축(27a)은 슬라이더(16)의 결합구멍(16a)에 삽입되어 있다. (79)는 부시이다. 또, 슬라이드축(27b)은 결합홈(16b)에 감합하고 있고, 슬라이드축(27a)으로 상하좌우를, 슬라이드축(27b)으로 상하를 결정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축(27a)은 도면과 같이 슬라이드블록(25)에 대하여 2개의 조정나사(80)(81)와 압압스프링(26b)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 상하좌우위치를 조정가능하게 하고 있다(도시하지 않았으나, 타단부도 마찬가지의 구성임). 또 슬라이드축(27b)은 조정나사(82)와 압압스프링(26c)으로 지지되어, 그 상하위치가 조정가능하게 되어있다(타단부도 동일구성임).
이와같이 헤드(13)의 위치는, 모우터(41)에 대한 미세한 상하좌우, 기울기등을 그 스트로우크 전체영역에 걸쳐서 완전히 조정가능하게 되어, 자기시이트(52)와의 접촉이나 트랙정밀도를 유지하는데 매우 유효하다. 또, 캠(63)과 슬라이더(16)와의 위치관계는 조정판(72)에 의해서 조정가능하며, 헤드(13)의 위치는 캠(63)이나 래칫(23)이외에는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아도 충분히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개리지(8)등의 구성을 제9a,b도, 제10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이들은 제3도의 Y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제9도에 있어서 (a)는 개방상태, (b)는 카세트(1)를 모우터(41)에 세트한 상태이다. 제5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카세트(1)를 위치결정하는 2개의 위치결정핀(34a)(34b)은 지지축(10a)(10b)을 연결하는 개리지(8) 및 컴파아트먼트(5)의 회동축으로부터 먼 곳에 있으며, 카세트(1)의 탈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모우터(41)와 패드(46)등이 된다. 제8a도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들 부재도, 개리지(8)의 축방향, 카세트(1)의 창(58)내로 들어오는 패드(46)에 대한 위치선정방법에 의해서, 이 카세트(1)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그 개방각도를 작게 한 상태에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카세트(1)를 탈착하는 상태에서 그 개방각도를 최소로하여, 먼지등의 침입이나 손가락등에 의한 내부로의 접촉등을 방지하고 있다. 개리지(8)의 개방각도는 지지축(10b)을 가진 부재와의 당접으로 결정되고, 개리지(8)에 대한 컴파아트먼트(5)의 개방각도는 컴파아트먼트(5)의 돌부(83)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제9a도로부터 제9b도로의 이동에 있어서, 삽입스프링(40)은, (A)에서는 카세트(1)가 탈착할 수 있을만큼, 컴파아트먼트(5)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대로 개리지(8)를 하강시키면, 개리지(8)와 컴파아트먼트(5)와의 상대각도는 스프링(31)에 의해서 지지된 채로, 카세트(1)가 모우터(41)에 세트되어 간다. 센터코어(53)는 스핀들(42)에 삽입되나, 그때 다수의 저항력이 있어, 삽입이 불완전하게 되는 일을 고려할 수도있다. 컴파아트먼트(5)가 정지된 후에는 개리지(8)만이 하강을 계속하여, 삽입스프링(40)이 센터코어(53)를 압압해서 스핀들(42) 확실하게 압입된다. 또, 개리지(8)를 회동하강시키면, 컴파아트먼트(5)의 위쪽의 볼록편(84)과, 삽입스프링(40)이 당접한다. 이때문에 선단부(40a)는 센터코어(53)로부터 위쪽으로 이간하여, 제9b도와 같이 되고 센터코어(53)를 회전시키는데 있어서의 부하로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개리지(8)에 설치된 삽입스프링(40)은 판스프링 1매라는 간단한 구성이면서 센터코어(53)의 스핀들(42)에의 학실한 삽입과, 그 후의 이간동작을 행할 수 있어 가치도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개리지(8)에 설치된 패드스프링(43)에 의해서, 베이스플레이트(9)쪽으로 부세지지된 패드플레이트(44)에 배설된 PG(45)나 패드(46)도 도면과 같이 패드높이결정핀(47a)에 의해서 정밀하게 그 높이가 결정된다.
제10도는 패드플레이트(44)의 위치가 결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패드(46)는 2개의 패드높이결정핀(47a)(47b)에 당접해서 높이가 결정된다. 패드플레이트(44)에는 모우터(41)의 중심부(85)에 상당하는 위치에 높이조정나사(48)가 스프링(86)으로 부세되어서 유격을 흡수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높이조정나사(48)를 최후의 하나로해서 패드플레이트(44), 즉 패드(46)나 PG(45)의 높이결정이 정확하게 행해진다. 그 평면적 위치에 대해서는 패드스프링(43)에 의해서 이미 결정된다.
이 결과, 헤드(13)와 자기시이트(52)와의 접촉이나, PG핀(87)과 PG요우크(56)와의 관계도 확실하게 보증되게 되어, 그 기록성능을 충분한 것으로 할수 있다. 또한 PG요우크(56)는 자기시이트(52)를 맞붙여서, 모우터(41)의 지지부(88)와 당접하는 자성판(89)과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이 자성판(89)을 흡착해서 위치결정이나 회전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마그네트(90)의 자력을 PG핀(87)에 전달한다. 이것을 코일(91)로 검출하여 PG출력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11ab도를 사용하여 스위치(37)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카세트(1)를 탈착할때에, 그것을 방해하는 부품은 모두 그 경로밖으로 물러나게 하고 있다. 단, 착오소거방지클릭(36)은 개리지(8)의 축중심부군이며, 그 스위치(37)도 그 부근에 있으므로 통상의 검출가능위치로부터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제11a도에서 볼 수 있다. 그래서 (b)와 같이, 개리지(8)의 돌부(38)가, 개리지(8)의 개방시에 스위치(37)가 설치된 스위치플레이트(92)를 부세하는 스프링(93)에 대항하여 이동시켜서, 화살표(15)방향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카세트(1)가 슬라이드하는데 지장이 되지않도록 구성한다. 스위치플레이트(92)는 베이스플레이트(9)의 측벽부(도시하지 않음)에 축(94)에 의해서 축지되어 있고, 베이스플레이트(9)에 당접해서 위치가 결정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상태로부터 이동해서 카세트(1)의 슬라이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개리지(8)의 축지방향의 결정에 스위치(37)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다른 장점을 살릴수 있어서 유효하다.
최후로 제12도를 사용해서 이젝트레버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젝트레버(101)를 화살표(102)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103)으로 끌어당겨 결합레버(104)도 마찬가지로 움직인다. 이 결합레버(104)는 상술한 헤드플레이트(98)를 화살표(99)방향으로 이동시켜 헤드(13)를 움직이게 한다. 결합레버(104)의 결합부(104a)와 헤드플레이트(98)와의 사이에는 간격(f1)이 있기때문에 헤드플레이트(98)의 스트로우크(s1)와 간격(f1)을 합한 양만큼 나아간 곳에 스토퍼(105)가 설치되어 있다. 이후 다스 스프링(103)에 대항해서 간격(f2)만큼 나아가면, 해제레버(106)의 선단부(106a) 에 당접해서 화살표(107)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결과 타단부(106b)가 록(50)의 압압부(50a)를 화살표(108) 방향으로 압압해서 개리지(8)를 해방한다. 이와같이 이젝트레버(101)의 움직임을 연속하는 2개의 스트로우크(즉 f1+s1의 기간과 f2+α의 가간)로 구성하고, 먼저 헤드(13)의 이동, 그후 개리지(8)의 해방을 행하기 때문에 캠(63)과 캠종동부(24)가 당접하는 일이 없고, 부하의 경감이나 충격의 회피를 확실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헤드(13)를 이젝트동작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물론 캠(63)에 의해서 이동시켜도 된다. 부품점수나 부하나 충격의 정도에 따라 형편이 좋은쪽을 선택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채용한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는, 그 카세트장착기구가 회동식이라는 가장 콤팩트하고 간단한 것으로 되는데도 불구하고 컴파아트먼트내에의 카세트의 삽입이나 배출방향을 장치에 대해서는 평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그 동작을 장치쪽의 기구와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일이 가능해지며, 장치전체로서 극히 효율적인 설계를 할수 있어, 소형화 및 경량화나 원가절감에 크게 공헌하는 것이다.

Claims (4)

  1. 내부에 위치하는 카세트(1)의 기록매체(52)에 기록헤드(13)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의 밑판(8)위에 장착된 축부재(10a)(10b)와, 상기 밑판(9)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고 상기 축부재(10a)(10b)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축부재(10a)(10b)위에 추축으로 지지되고, 카세트 위치결정수단(34a)(34b)(35)을 구비한 상기 밑판(9)의 면과 대항한 면에 제1압압스프링수단을 가지는 커버(8)와, 상기 커버(8)와 동축이며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축부재(10a)(10b)위에 추축으로 지지되어, 상기 커버(8)와 상기 밑판(9)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카세트(1)의 삽입 및 배출을 위해 열리며 그 삽입 및 배출방향은 상기 축부재(10a)(10b)의 축과 평행하고, 상기 커버(8)의 열림동작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8)와 느슨하게 맞물려 있는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와, 상기 컴파아트먼트(5)와 상기 커버(8)와의 사이에 느슨하게 맞물린 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각도에 의해 상기 커버(8)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컴파아트먼트(5)를 경사지게 하고, 그로 인해 상기 컴파아트먼트(5)가 상기 커버(8)와 상기 밑판(9)사이에 경사를 유지하고 상기 커버(8)의 열림에 때라 상기 컴파아트먼트(5)안으로 상기 열림으로부터 상기 카세트(1)의 삽입을 허용하게 하는 제2스프링수단(31)과, 상기 밑판(9)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3스프링수단(60)을 통해 상기 밑판(9)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컴파아트먼트(5)와의 경사를 유지하면서 상기 컴파아트먼트(5)안으로 상기 열림으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카세트(1)에 반응하여 상기 축부재(10a)(10b)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상기 카세트(1)와 접동가능한 슬라이드부재(11)와, 상기 카세트(1)의 삽입완료시 완료위치에서 상기 카세트(1)를 지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11)와 접동가능하고, 상기 커버(8)가 열린 경우 상기 카세트(1)를 상기 컴파아트먼트(5)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11)와 해제가능한 스토퍼수단(19)으로 구성되고, 상기 카세트(1)의 삽입에 반응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11)는 상기 카세트(1)의 삽입에 의해 생긴 상기 제3스프링수단(60)의 바이어스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드되어 상기 완료위치에서 상기 스토퍼수단(19)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커버(8)가 상기 카세트(1)의 삽입완료후에 닫힌 경우, 상기 밑판(9)위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카세트위치결정수단(34a)은 상기 카세트(1)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1압압스프링수단(39)은 상기 카세트(1)를 압압하며, 기록종료후에, 상기 슬라이드부재(11)은 상기 커버(8)의 열림에 반응하여 상기 스토퍼부재(19)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밑판(9)에 대해서 상기 컴파아트먼트(5)와 경사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3스프링수단(60)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상기 컴파아트먼트(5)로부터 상기 카세트(1)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수납 컴파아트먼트(5)는 상기 카세트(1)가 그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카세트(1)의 셔터(2)를 열기 위한 셔터개방수단(6)을 가지므로서, 상기 기록 헤드(13)는 상기 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위치된, 상기 셔터(2)의 열림에 의해 노출되는 창(58)을 통하여 상기 기록매체(52)에 접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는 상기 카세트(1)위에 장착된 안전클릭(36)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37)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축부재(10a)(10b) 근처에 제거수단(38)을 가지며, 상기 안전클릭검출스위치(37)는 상기 밑판(9)에 의해 주축으로 지지된 판부재(9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판부재(92)의 일단부는 소정의 방향으로 제4스프링수단(93)에 의해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스위치(37)는 상기 안전클릭(36)에 접근하고, 상기 제거수단(38)은 상기 판부재(92)의 타단부와 접동가능하여 판부재의 타단부를 압압하고, 상기 커버(8)의 개방시에 상기 카세트컴파아트먼트(5)로부터 상기 카세트(1)는 배출되고, 상기 판부재(92)는 상기 제4스프링수단(93)의 바이어스력에 대하여 회전하므로서 상기 스위치(37)를 상기 카세트(1)의 상기 안전클릭(36)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의 제1압압스프링수단은 연장된 압압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압압부재(40)의 일단부는 상기 커버(8)의 상기 면의 일단부에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고 그의 타단부(40a)는 상기 커버(8)의 센터코어(53)를 향하여 상기 커버(8)의 상기 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으로 뻗어 있으므로, 상기 카세트(1)의 센터코어(53)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밑판(9)에 대해서는 상기 커버(8)의 닫힘동작에 반응하여 압압하여, 상기 코어(53)가 상기 기록장치의 기록매체구동모우터(41)의 스핀들(42)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카세트수납 컴파아트먼트(5)는, 상기 커버(8)와 대항한 면위에, 상기 연장된 압압부재(40)의 일단부의 안정한 위치와 상기 카세트(1)의 상기 코어(53)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8)의 닫힘동작완료에 반응하여 상기 연정된 기압부재(40)의 타단부를 상기 코어(53)와 분리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볼록부(8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KR1019860008879A 1985-11-01 1986-10-23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KR910000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46574 1985-11-01
JP60246570A JPS62107461A (ja) 1985-11-01 1985-11-01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60-246575 1985-11-01
JP60-246570 1985-11-01
JP60246575A JPH0754605B2 (ja) 1985-11-01 1985-11-01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60246574A JPS62107458A (ja) 1985-11-01 1985-11-01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388A KR870005388A (ko) 1987-06-08
KR910000369B1 true KR910000369B1 (ko) 1991-01-24

Family

ID=2733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879A KR910000369B1 (ko) 1985-11-01 1986-10-23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12931A (ko)
KR (1) KR910000369B1 (ko)
DE (1) DE3637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181A (en) * 1988-06-29 1994-11-01 Canon Kabushiki Kaisha Disk holding device with attached phase detecting device and adjusting mechanism
US5159458A (en) * 1988-09-13 1992-10-27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sensing when a memory cartridge is installed
JPH0265246U (ko) * 1988-10-31 1990-05-16
KR920007734Y1 (ko) * 1989-11-30 1992-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틸 비디오 카메라의 도어장치
JPH04254950A (ja) * 1991-02-05 1992-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レコーダ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33160B (de) * 1966-03-22 1967-01-26 Grundig Emv Kassetten-Magnetbandgeraet
US3833224A (en) * 1970-06-29 1974-09-03 Bell & Howell Co Tape recorder with cassette invertor
JPS50116129A (ko) * 1974-02-25 1975-09-11
US4071859A (en) * 1975-08-19 1978-01-31 Sanyo Electric Co., Ltd. Tape cartridge positioning and ejection device
DE7609642U1 (de) * 1976-03-29 1976-09-0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Kassettenauswerfvorrichtung fuer magnetbandgeraete
DE2845629C2 (de) * 1977-10-20 1982-04-22 Olympus Optical Co., Ltd., Tokyo Kassetten-Wendevorrichtung für ein mit einer Bandkassette betreibbares Tonbandgerät
GB2018003B (en) * 1978-03-24 1982-03-10 Clarion Co Ltd Magnetic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58159693U (ja) * 1982-04-15 1983-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デイスク装置のデイスケツト排出機構
JPS59177760A (ja) * 1983-03-28 1984-10-08 Toshiba Corp 磁気デイスク装置
GB2141571B (en) * 1983-04-26 1986-10-08 Mitsumi Electric Co Ltd Floppy discs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6057565A (ja) * 1983-09-08 1985-04-03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シ−トパックの着脱装置
EP0143598A3 (en) * 1983-11-25 1986-09-03 Electronic Processors, Inc.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with automatic tape threading
US4686593A (en) * 1984-02-28 1987-08-11 Fuji Photo Film Co., Ltd. Overriding loading door for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37246A1 (de) 1987-05-21
DE3637246C2 (ko) 1990-01-25
KR870005388A (ko) 1987-06-08
US4812931A (en) 198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16442B1 (en) Disk drive apparatus
US4953042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JPH0477396B2 (ko)
KR910000369B1 (ko)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US4964005A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swingate lever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 of cartridge in response to insertion and ejection of cartridge
US4768116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hanging magnetic disc pack
KR910000537B1 (ko)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GB2189925A (en) Cassette tape player
US4985790A (en) Mechanism for positioning a tape cartridge
JPH0439145B2 (ko)
JPH041431B2 (ko)
JPH0754605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2558657B2 (ja) 磁気デイスク装置
JPH041428B2 (ko)
JPS5819733Y2 (ja) 磁気記録再生機のカセット収納装置
JP2556762Y2 (ja) ディスクロ−ディング装置
JPH0799609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H041427B2 (ko)
JP3227370B2 (ja) カートリッジ誤挿入防止装置
JPH0441431B2 (ko)
JPH0632178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H0519874Y2 (ko)
JPH0237134Y2 (ko)
JPH0675327B2 (ja) 情報記憶装置
JP2779230B2 (ja) ケース装着・排出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