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329B1 - 접는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접는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329B1
KR910000329B1 KR1019870012395A KR870012395A KR910000329B1 KR 910000329 B1 KR910000329 B1 KR 910000329B1 KR 1019870012395 A KR1019870012395 A KR 1019870012395A KR 870012395 A KR870012395 A KR 870012395A KR 910000329 B1 KR910000329 B1 KR 910000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rame
blind
blinds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517A (ko
Inventor
다까시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겐꼬오샤
아오끼 마사아끼
닛뽄 엔지니어 메이쯔 가부시끼가이샤
다까시 니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겐꼬오샤, 아오끼 마사아끼, 닛뽄 엔지니어 메이쯔 가부시끼가이샤, 다까시 니시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겐꼬오샤
Publication of KR89000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는 블라인드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1도는 블라인드를 내렸을 때의 사시도.
제2도는 접었을 때의 사시도.
제3도는 블라인드로서 사용했을 때의 측면도.
제4도는 차양으로서 사용했을 때의 측면도.
제5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5도는 블라인드를 내렸을 때의 사시도.
제6도는 접었을 때의 사시도.
제7도는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날개 2 : 봉상체
3 : 경첩 4 : 로드
5 : 경첩 A 6 : 프레임
7 : 경첩 B 8 : 축
9 : 로울러 10 : 가이드
11a,11b : 스프로켓 12 : 축
13 : 체인 14 : 추
본 발명은 건물의 창문 등에 있어서의 차양이나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물의 창문에는 햇살을 가리기 위해 차양을 설치하거나 실내에 블라인드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목조가옥 이외의 건물에 있어서는 빌딩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차양을 설치하는 일은 전무하며, 햇살을 가리는 것은 주로 블라인드나 커어튼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햇살을 가리기 위해서는 블라인드를 내리거나 커어튼을 닫는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창문을 통해 바깥 경치를 볼 수 없어서 실내는 아무래도 컴컴한 느낌이 든다.
이 때문에 블라인드가 필요에 따라서 차양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창문을 통해 바깥이 보이고 실내도 밝은 느낌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블라인드를 내린 상태에서 이것을 <자형으로 접을 수 있다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매의 날개(1)를 각각 수평으로 하여, 상하로 등간격으로 줄지은 상태로 해서 날개(1)의 서로 대하는 단변의 중앙, 또는 대략 중앙을 2개의 봉상체(2)로 날개(1)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봉상체(2)의 대략 중간에 굴절이 자유로운 경첩 A(3)를 설치한다.
또한 각 날개(1)의 장변측의 단면근방의 동일한 곳을, 로드(4)로 각 날개(1)가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상기 로드(4)에 연결하고 봉상체(2)와 같이 대략 중간에 굴절이 자유로운 경첩 B(5)를 설치한 구성의 본체를 프레임(6) 상부내측에 경첩(7)으로 매단다.
이와 같은 구조 때문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것을 <자형으로 접을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을 사용할 때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한 상태에서 로드(4)를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날개(1)의 각도가 바뀌어 블라인드로서 햇살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 대체로 위까지 접음으로써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양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날개(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앞끝에 각도를 붙인 형상 때문에, 차양형상으로 했을 때 비가 새는 일이 없으며, 또 블라인드 모양으로 했을 때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이것을 접은 상태를 나타내지만, 그 내용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5도 내지 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접는 블라인드를, 프레임(6)내에 경첩(7)으로 매단 것이다. 따라서 로드(4)를 상하 운동시킴으로써, 각 날개(1)는 일제히 각도가 바뀌어 블라인드로서 차광을 하고 또는 가리개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에 봉상체(2)의 양쪽 아래 끝에 축(8)을 설치하고, 축(8)에 로울러(9)를 부착하여, 이것을 새로 프레임 안쪽에 설치한 가이드(10)에 따라서 상하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블라인드는 프레임(6)내에 있어서, 「<」자 모양으로 꺾여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마 모양으로 된다.
이때, 손으로 가볍게 올라가거나 임의의 위치에 멈추게 하기 위해, 양끝에 스프로켓(11a)을 갖는 축(12)을 프레임(6) 상부에 설치하고, 프레임의 하부에도 역시 스프로켓(11b)을 설치하여, 양자를 체인(13)으로 잇고, 그 체인(13)에 로울러(9)와, 블라인드의 무게와 균형을 잡은 중량의 추(14)를 분할하여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면, 블라인드의 무게와 추(14)의 무게가 균형을 잡아 임의의 위치에서 멈추어지며, 또 올릴 때도 가볍게 올릴 수 있다. 그리고, 한쪽의 봉상체(2)의 아래쪽 끝부분을 손으로 올리면 블라인드 전체가 기울어서 원활하게 올라가지 않는 일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함으로써 예를 들면 좌측 끝의 봉상체(2)의 아래 끝을 올려도 끌어올리는 힘이 동시에 우측 끝의 봉상체(2)에도 걸려, 블라인드 전체가 기우는 일없이 평행으로 올릴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종래의 블라인드는 날개의 조절에 의해 차광, 가리개의 기능을 가지며, 불필요할 때는 감아 올리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감아 올리는 대신 접음으로써 차양으로서의 기능이 가해져, 햇살을 피하여 창문을 해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복수매의 날개(1)를 각기 수평으로 하여 이것을 상하로 등간격으로 줄짖게 하고, 대략 중간이 굴절자유로운 봉상체(2)이며, 각 날개(1)의 서로 대하는 단면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을 각 날개(1)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2개의 봉상체(2)로 연결하고, 또한 봉상체(2)와 같이 대략 중간이 굴절 자유로운 로드(4)이며, 각 날개(1)의 장변측의 단면 근방의 동일위치를, 역시 각 날개(1)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상기 로드(4)로 연결한 구성의 본체를 프레임(6) 상부내측에 경첩(7)으로 매달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봉상체(2)의 윗쪽 끝부분을 프레임(6)내에 경첩식으로 부착하고, 봉상체(2) 양쪽 아래 끝부분에 로울러(9)를 설치하여, 프레임(6)의 세로 프레임 양쪽에 설치한 가이드(10)에 따라서 활동시키며, 또한 프레임(6) 상부 좌우측에 설치한 축(12)의 양끝에 부착한 스프로켓(11a)과, 프레임(6) 하부에 설치한 스프로켓(11b)의 양자를 체인(13)으로 잇고, 그 체인(13)에 로울러(9)와 축(14)을 분할하여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 블라인드.
KR1019870012395A 1987-07-20 1987-11-04 접는 블라인드 KR910000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1,889 1987-07-20
JP62181889A JPH0759867B2 (ja) 1987-07-20 1987-07-20 折たたみブラインド
JP?62-181889 1987-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517A KR890002517A (ko) 1989-04-10
KR910000329B1 true KR910000329B1 (ko) 1991-01-24

Family

ID=1610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395A KR910000329B1 (ko) 1987-07-20 1987-11-04 접는 블라인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59867B2 (ko)
KR (1) KR910000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345B1 (ko) * 2006-02-17 2006-05-30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및 일반건축물용 창문구조
ES2426316B1 (es) * 2012-03-20 2014-08-12 Agustín ARTETA LOREDO Cerramiento de lamas orientables para edificaciones
IT202100012464A1 (it) 2021-05-14 2022-11-14 Marco Marchetti Frangisole
CN114250924A (zh) * 2021-12-23 2022-03-29 苏州金螳螂幕墙有限公司 一种玻璃幕墙的自动折叠遮阳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1889A (en) * 1976-09-29 1978-04-15 Nippei Sangyo Kk Grind stone rest indexing type crankkpin grinding machine
JPS5418940U (ko) * 1977-07-11 1979-02-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517A (ko) 1989-04-10
JPS6424990A (en) 1989-01-26
JPH0759867B2 (ja) 1995-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3933A (en) Motor driven shade lowering and raising mechanism for atrium walls
US4141403A (en) Garage-patio door
SE8501461D0 (sv) Cable ladder system and improved v-closure blinds
US5121783A (en) Window covering apparatus
KR910000329B1 (ko) 접는 블라인드
US3039155A (en) Awning window
US4694877A (en) Manually operated shade lowering and raising mechanism for atrium walls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US2234712A (en) Awning shutter
US2560397A (en) Combination transparent awning and shade
US3807481A (en) Device for shielding sunlight
US5927365A (en) Multi-directional window covering apparatus
JPH0115678B2 (ko)
US3097688A (en) Bay closure device with built-in blind
US3086584A (en) Vertical venetian blind
JPS63308146A (ja) 折たたみ鎧戸
US2513278A (en) Combined storm window awning and screen
JPH031987Y2 (ko)
US3881539A (en) Combined window structure
JPS63261087A (ja) 折たたみブラインド
SE517252C2 (sv) Solskydd avsett för montering utanför och framför en i en byggnad eller liknande befintlig fönsteröppning, dörröppning eller fasad
KR102129388B1 (ko) 채광루버형 일사조절장치
US2216414A (en) Window blind
AU2003246298B2 (en) Retractable blinds
DE3106928A1 (de) "fugenloser rolla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