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251Y1 - 다중 접점 스위치 - Google Patents

다중 접점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251Y1
KR910000251Y1 KR2019900017065U KR900017065U KR910000251Y1 KR 910000251 Y1 KR910000251 Y1 KR 910000251Y1 KR 2019900017065 U KR2019900017065 U KR 2019900017065U KR 900017065 U KR900017065 U KR 900017065U KR 910000251 Y1 KR910000251 Y1 KR 910000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unger
contact piece
insulating substrate
sid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7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쯔요시 요시다
미쯔또시 히꾸찌
미노루 니시오
고지 히라이
시게오 나까무라
신이찌 히끼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리까 덴끼 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609354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2915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리까 덴끼 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리까 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900017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2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8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 H01H23/3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with stable centre positions and one or both end positions un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with spring blade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01H13/6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the operating member having only two positio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 접점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스위치의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에 도시된 절연 기판의 상면도.
제4도는 스위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제1도에 대응하는 수직 단면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각각 대응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5 : 절연기판
6,7 : 통상 개방축 접점부 10,11 : 통상 폐쇄측 접촉면
14,15 : 가동 접촉면 14a,15a : 반전 스프링부
14b,14b : 다리부 20 : 내지
23 : 접점부 24,25 : 플런저
24a,24a′,24b,24b′ 및 25a,25a′,25b,25b′ : 플런저 돌기부
28 : 노브 29,30 : 통상 폐쇄 측 접촉면
31,32 : 점점부
본 고안은 소정 방향으로 만곡하여, 압압되면 반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반전 만곡하는 반전 스프링 부재를 갖는 다중 접점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반전 스프링을 이용한 스위치는 반전판 스프링의 주위 모서리부를 링 형상의 제1접점부로 지지시키고, 그 제1접점부의 중앙부에 제2접점부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푸쉬 로드에 의해 압압되면, 반전스프링은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구부러져서 제2접점부에 접촉하므로서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된다. 이 동작중에, 조작자는 스위치의 노작을 느낄 수가 있다. 푸쉬 로드에 의한 압력이 해제되면, 반전 판 스프링은 그 원래의 형상으로 상방으로 만곡하여 스위치가 다시 오프 상태로 된다. 그와 같은 스위치들은 전자 공학 분야에서 신호입력용 수단으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제3접점부를 제2접점부 위에 제공하여 푸쉬 로드에 의해 작동되게 한 또 다른 형태의 다중접점 스위치가 개발되어졌다. 그와 같은 스위치에 있어서의 반전 판 스프링은 평상시에 제3접점부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므로써, 제2접점부를 통한 개방측 접점부로 그리고 제3접점부를 통상 폐쇄측 접점부로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와 같은 스위치의 반전 판 스프링의 운동은 통상 0.2 내지 0.3mm로 극히 작으므로, 반전 판 스프링의 통상폐쇄측 접점부인 제3접점부에 대한 접촉 압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제1접점부와 제3접점부사이의 간격이 극히 높은 정밀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스위치를 조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의 제조 기술로는 곤란하여 실용화하기가 어려웠다.
전술의 견지에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반전 스프링 부재의 통상 폐쇄측 접촉면에 대한 접촉 압력을 안정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다중 접점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밀도를 요함이 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서 실용화하기가 용이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들 목적 및 기타 다른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의 스위치가 공된다. 즉, 본 고안의 스위치는 케이스, 케이스에 지지된 절연 기판 및, 절연 기판에 고정된 통상 개방측 접점부를 포함한다. 이 통상 개방측 접점부와 대향하도록 하여 절연 기판에 통상 폐쇄측 접촉편이 고정된다. 가동접촉편은 그 선단부에 통상 폐쇄측 접촉편쪽을 향해 만곡되는 반전 스프링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반전 스프링 부로부터 연장 돌출하여 절연기판에 접촉하는 다리부를 갖고 있다. 이 반전 스프링부는 평상시에 가동 접촉편의 탄성력에 의해 통상 폐쇄측 접촉편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점점 부재를 갖는다. 케이스내의 적어도 하나의 플런저는 통상 폐쇄측 접촉면의 각 측부상에 한쌍의 플런저 돌기부를 갖고 있다. 플런저와 상기 한쌍의 플런저 돌기부가 압압 조작되면, 가동 접촉면의 반전 스프링부가 압압되므로써, 반전 스프링부를 통상 개방측 접점부쪽으로 만곡시켜 준다. 따라서 반전 스프링부상의 접점부재가 통상 개방측 접점부와 접촉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양호하게, 가동 접촉편은 이 접촉편의 두 선단부를 구성하는 다리부들에 의해 Y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의 다리부에 대향하는 단부는 절연 기판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통상 폐쇄측접촉편은 그 선단부를 절연기판에 고정시켜서 T자 형상을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반전 스프링부는 플런저와 플런저 돌기부가 그곳으로부터 떨어질 때 플런저에 대향하는 볼록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플런저의 이동시에 플런저 돌기부가 상기 반전 스프링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켜서 상기 반전 스프링부는 플런저에 대향하는 오목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차용 창 조절기 스위치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창 조절기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스위치는 바닥이 개구된 직사각형용기 형상의 플라스틱 케이스(1)를 포함하며, 그 상면부에는 직사각형 돌출부(2)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이 돌출부(2)에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두 개의 안내 구멍부(3,4)가 좌우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안내 구멍부(3)는 그 바닥의 양측부상에 대응하는 두 개의 측부구멍(3a,3a′)을 가지며, 직사각형 안내 구멍부(4)도 또한 그 바닥의 양 측부상에 대응하는 두 개의 측부 구멍(4a,4a′)을 갖고 있다. 제1도에 단지 하나의 측부 구멍(4a)만이 도시되어 있다. 직사각형 절연기판(5)은 상기 케이스(1)내에 그 케이스(1)의 상부 내면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있다. 이 절연기판(5)에는 각각 상기 안내구멍부(3,4) 아래에 통상 개방측 접점부(6,7)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통상 개방측 접점부(6,7)에는 절연기판(5)의 하면부에 있어서 접속단자(8,9)가 스테이킹등에 의해 접속 고정되어 있다.
제3도에 보다 명료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스위치는 또한 T자형을 이루는 통상 폐쇄측 접촉면(10,11)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접촉편(10)은 제1측부(10a) 및 제2측부(10b)로 이루어지며, 마찬가지로 접촉편(11)도 제1측부(11a) 및 제2측부로 이루어진다. 이들 접촉편(10,11)은 제2측부(10b,11b)가 각각 통상 개방측 접점부(6,7)에 상방으로부터 대향하도록 하여 절연기판(5)상에 배치된다. 제1측부(10a,11a)의 단부들은 하방으로 구부러져서 절연기판(5)에 스테이킹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제1측부(10a,11a)의 나머지 다른 단부들도 하방으로 구부러져서 접속핀(12,13)으로 절연기판(5)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접촉편(10,11)은 절연기판(5) 아래에서 접속핀(12,13)의 스테이킹에 의해 접속단자(도시안됨)에 각각 접속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스위치는 베릴륨등과 같은 스프링 재료로 만들어진 Y자 형상의 가동 접촉편(14,15)을 또한 포함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들 가동 접촉편의 각각의 기단부는 절연기판(5)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에 접속핀(16,17)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접속핀(16,17)에는 스테이킹 등에 의해 접속단자(18,1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접촉편(14,15)의 상단부에는 각각 상기 접촉편(10,11)의 제2측부(10b,11b)쪽을 향해 상방으로 만곡하는 반전 스프링부(14a,15a)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반전 스프링부(14a)에는 복수개 예를들어 두 개의 다리부(14b,14b′)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반전 스프링부(15a)에도 두 개의 다리부(15b,15b′)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다리부(14b,15b)는 절연기판(5)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 이들 다리부(14b,15b)가 도시되어 있다. 가동접촉편(14,15)의 반전 스프링부(14a,15a)의 중앙부 하면에는 접점부(20,21)가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반전 스프링부(14a,15a)의 중앙부 상면에도 각각 접점부(22,2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접촉편(14,15)은 그들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편이되어서, 스위치가 제1도의 형상에 있을 때, 상기 접점부(22,23)를 통상 폐쇄측 접촉편(10,11)의 제2측부(10b,11b)에 각각 접촉시키고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의 스위치는 상면이 폐쇄된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플라스틱 플런저(24,25)를 포함한다. 이들 플런저(24,25)는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돌출부(2)의 안내 구멍부(3,4)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24)의 하단부의 대향하는 두 측부에는 한쌍의 플런저 돌기부(24a,24a′)가 연장설치되어서 (제3도 참조). 상기 구멍(3a,3a′)을 관통하여 반전스프링부(14a)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플런저(25)의 하단부의 대향하는 두 측부에는 한쌍의 플런저 돌기부(25a,25a′)가 연장설치되어서(제3도 참조). 안내구멍부(4)의 저부에 형성된 상기 구멍(4a,4a′)(단지 하나만 도시)을 관통하여 상기 반전 스프링부(15a)의 상면상의 각각의 2개소에 접촉하거나 혹은 접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24,25)의 한쌍의 플런저 돌기부(24a,24a′ 및 25a,25a′)는 각각 통상 폐쇄측 접촉편(10)의 제2측부(10b)와 통상 폐쇄측 접촉편(11)의 제2측부(11b)를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26,27)은 각각 플런저(24,25)속에 삽입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프링은 각 플런저의 상부와 안내구멍부의 하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스위치는 또한 바닥에 개구된 직사각형 형상의 노브(28)를 포함한다. 이 노브(28)는 상기 돌출부(2)를 덮도록 하여 선회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화살표 A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가 있다. 상기 노브(28)의 상부 내면에는 각각 플런저(24,25)의 상면부와 접촉하도록 하여 돌기(28a,28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브(28)는 압축 코일 스프링(26,27)의 스프링력에 의해 플런저(24,25)를 거쳐 수평상태의 원래 위치로 보유 지지되고, 플런저(24,25)는 상방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다음에, 제1도 내지 제3도의 스위치 자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수평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노브(28)를 그 좌단부를 밀어주므로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런저(24)는 돌기(28a)에 의해 압압조작되어 압축 코일 스프링(2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런저(24)의 플런저 돌기부(24a,24a′)도 하방으로 이동하여 가동접촉편(14)의 반전 스프링부(14a)의 대응하는 2개소를 밀어 누르게 된다. 그러므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동 접촉편(14)이 하방 또는 통상 개방측 접점부(6)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접점부(22)는 통상 폐쇄측 접촉편(10)의 제2측부(10b)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이동되는 반면에 접점부(20)는 통상 개방측 접점부(6)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위치의 절환동작이 수행되어진다. 즉, 통상 개방측 접점부(6), 가동접촉편(14,15), 및 통상 폐쇄축 접촉편(11)을 거쳐서 자동차의 창 유리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동모터의 정회전 통전 회로가 완료되며, 창유리가 예를들어 하강 이동한다.
그후, 노브(28)에 대한 압압조작력이 해제되면, 플런저(24)가 압축 코일 스프링(26)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방으로 복귀 이동하여 노브(28)가 제1도에 도시하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플런저(24)의 플런저 돌기부(24a,24a′)에 의한 가동 접촉편(14)의 반전 스프링부(14a)에 대한 압압력도 해제되므로서, 그 반전 스프링부(14a)는 원래의 형상 즉 상방측으로 재차 반전복귀되게 되며, 접점부(20)가 통상 개방측 접점부(6)으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접점부(22)가 통상 폐쇄측 접촉편(10)의 제2측부(10b)에 접촉한다.
이상은 노브(28)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조작하여 스위치를 조작한 경우의 동작이지만, 노브(28)를 그 반대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여 스위치를 압압 조작한 경우의 동작도 전술한 바와 대략 동일하다. 즉, 플런저(25)가 압압 조작되면, 그 한쌍의 플런저 돌기부(25a,25a′)가 가동 접촉편(15)의 반전 스프링부(15a)의 대응하는 2개소를 압압하고, 이에 따라 반전 스프링부(15a)가 하방측으로 탄성적으로 반전 만곡하여 접점부(23)가 통상 폐쇄측 접촉편(11)의 제2측부(11b)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접점부(21)가 통상 개방측 접점부(7)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번에는 통상 개방측 접점부(7), 가동 접촉편(15,14) 및 통상 폐쇄측 접촉편(10)을 거쳐서 상기 구동 모터의 역회전 통전 회로가 형성되며, 창유리가 상승 이동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같이, 판 스프링제의 가동 접촉편(14)의 한 단부에는 반전 스프링부(14a)가 형성되고, 다른 단부에는 다리부(14b,14b′)가 연장설치되어 있다. 유사하게, 가동 접촉편(15)의 한 단부에는 반전 스프링부(15a)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단부에는 다리부(15b,15b′)가 연장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전 스프링부(14a,15a)는 평상시에는 가동 접촉편(14,15)을 거쳐서 통상 폐쇄측 접촉편(10,11)의 제2측부(10b,11b)와 각각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반전 스프링부(14a,15a)의 통상폐쇄측 접촉편(10,11)에 대한 접촉 압력이 안정된다.
그결과, 조립 정도가 충분히 높지 않다 할지라도 [특히, 통상 개방측 접점부(6,7)와 통상 폐쇄측 접촉편(10,11)의 제2측부(10b,11b)사이의 거리가 일정치 않다 할지라도], 가동 접촉편(14,15)의 탄성 변위에 의해 어떠한 잠재적인 어려움도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스위치를 이용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전 스프링부(14a,15a)를 눌러주기 위해 플런저(24,25)에 한쌍의 플런저 돌기부(24a,24a′ 및 25a,25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 돌기부(24a,24a′)는 통상 폐쇄측 접촉편(10)의 제2측부(10b)의 상부측의 2개소에 있게(즉, 걸치게)배치되며, 플런저 돌기부(25a,25a′)는 통상 패쇄측 접촉편(11)의 제2측부(11b)의 상부측의 2개소에 있게(즉, 걸치게)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실시예는 다음의 잇점들을 갖는다. 즉, 상술한 종래의 스위치에 있어서는 푸쉬 로드용 관통구멍이 제3접점부를 통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접점부의 전류 용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통구멍의 면적만큼 제3접점부의 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본 고안의 스위치에 있어서는, 제2측부(10b,11b)에 관통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제2축부(10b,11b)의 폭이 비교적 좁게 설정되더라도 충분한 전류용량을 확보할 수가 있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5도 내지 제7도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부품들에는 동일 부호로서 표시한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제1실시예와는 다른 부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 내지 제7도에 있어서, 통상 폐쇄측 접촉편(29,30)은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통상 폐쇄측 접촉편(10,11) 대신에 사용된 것이다. 접촉편(29)은 L자형의 긴 측부(29a)와 짧은 측부(29b)로 이루어지며, 마찬가지로 접촉편(30)로 L자형의 긴 측부(30a)와 짧은 측부(30b)로 이루어진다.
긴 측부(29a,30a)의 단부는 하방으로 구부러져서 절연기판(5)에 스테이킹 등에 의해 고정되며, 짧은 측부(29b, 30b)의 단부는 각각 접속편(12,13)에 의해 절연기판(5)에 고정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접점부(22,23) 대신에 점점부(31,32)가 반전 스프링부(14a,15a)의 상면에 각각 제공된다. 이들 접점부는 각각판(33,34)에 부착되어 있다. 구멍(43b,43b′ 및 44b,44b′)들 각각은 제1실시예의 측부구멍(3a,4a) 대신에 안내구멍부(3,4)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구멍(43b,44b)은 상기 구멍(3a,4a)으로부터 각각 90˚씩 이동하여 위치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플런저 돌기부(24a,24a′ 및 25a,25a′) 대신에, 플런저 돌기부(24b,24b′ 및 25b,25b′)가 각각 플런저(24,25)의 하단부에 연장설치되어 있다. 이들 플런저 돌기부(24b,24b′)는 전술한 구멍(43b,43b′)을 관통하여 상기 판(33)의 대응하는 2개소에 맞닿아져 있다. 마찬가지로, 플런저 돌기부(25b,25b′)도 상기 구멍(44b,44b′)을 관통하여 상기 판(34)의 대응하는 2개소에 맞닿아 있다. 즉, 플런저 돌기부(24b,24b′)는 통상 폐쇄측 접촉편의 긴 측부(29a)에 걸치도록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플런저 돌기부(25b,25b′)도 통상 폐쇄측 접촉편(30)의 긴 측부(30a)에 걸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반전 스프링부(14a,15a)의 접점부(31,32)는 평상시에는 가동 접촉편(14,15)의 탄성력에 의해 통상 폐쇄측 접촉편(29,30)의 긴 측부(29a,30a)에 각각 접촉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노브(28)가 화살표 A방향(또는 이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어 플런저(24 혹은 25)이 압압조작되며, 플런저 돌기부(24b,24b′ 혹는 25b,25b′)가 상기 판(33 혹은 34)을 밀어 누르게 되며, 이에 따라 반전 스프링부(14a 혹은 15a)가 접점부(31 혹은 32)를 거쳐서 압압되어 하방측에 탄성적으로 반전 만곡하게 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지지만,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특히 반전 스프링부(14a 혹은 15a)의 중앙부가 접점부(31 혹은 32)를 거쳐서 압압되므로서, 반전동작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만 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어졌지만, 본 고안은 그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들어, 본 고안의 기술적 개념은 상술한 자동차의 창조절기뿐 아니라 조작자가 반전 스프링부의 작용에 의해 스위치의 작동을 느낄 수 있는 형태의 절환 스위치 모두에 적용할 수가 있다. 즉,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에 동등한 내용들로 규정되는 바와같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은 명백히 이해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지지된 절연기판과, 상기 절연기판에 고정된 통상 개방측 접점부와, 상기 통상 개방측 접점부에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절연기판에 고정된 통상 폐쇄측 접촉편과, 상기 통상 폐쇄측 접촉편쪽으로 만곡하는 반전 스프링부가 형성된 선단부를 갖고, 또한 이 반전 스프링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절연기판에 접촉하는 다리부를 가지며, 자기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반전 스프링부가 평상시에 상기 통상 폐쇄측 접촉편에 접촉상태로 유지되는 접점 부재를 갖도록 된 가동 접촉편 및, 상기 케이스내에서 상기 통상 폐쇄측 접촉편의 각 측부상에 한쌍의 플런저 돌기부를 갖고, 상기 플런저 돌기부와 함께 압압 조작되면 상기 가동 접촉편의 반전 스프링부를 압압하여 그 반전 스프링부를 상기 통상 개방측 접점부쪽으로 탄성적으로 만곡시켜서 상기 반전 스프링부상의 상기 접점부재를 상기 통상 개방측 접점부에 접촉되게 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플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점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가동 접촉편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를 편이시켜주는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점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편은 그 두 개의 선단부를 구성해 주는 상기 다리부들에 의해 Y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동 접촉편의 다리부에 대향하는 단부는 상기 절연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점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폐쇄측 접촉편은 상기 절연기판에 고정되는 그 각각의 선단부에 의해 T자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점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폐쇄측 접촉편은 상기 절연기판에 고정되는 그 각각의 선단부에 의해 L자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점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스프링부는 상기 플런저 돌기부가 그곳으로부터 떨어질 때 상기 플런저에 대향하는 블록면을 갖고, 상기 플런저 돌기부와 접촉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에 대향하는 오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점 스위치.
KR2019900017065U 1986-06-19 1990-11-08 다중 접점 스위치 KR910000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065U KR910000251Y1 (ko) 1986-06-19 1990-11-08 다중 접점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93547 1986-06-19
JP1986093547U JPH0532915Y2 (ko) 1986-06-19 1986-06-19
KR870002988A KR880001005A (ko) 1986-06-19 1987-03-31 다중 접점 스위치
KR2019900017065U KR910000251Y1 (ko) 1986-06-19 1990-11-08 다중 접점 스위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02988A Division KR880001005A (ko) 1986-06-19 1987-03-31 다중 접점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251Y1 true KR910000251Y1 (ko) 1991-01-18

Family

ID=2730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7065U KR910000251Y1 (ko) 1986-06-19 1990-11-08 다중 접점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2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3293B2 (en) Switch device having good sense of operational touch even when sliding operating knob or rocking operating knob is attached thereto
US3674953A (en) Slide switch with snap action
KR890004818Y1 (ko) 개폐기의 가동 접촉자 유지구조
US4760221A (en) Multiple contact switch
EP0311024A2 (en) Microswitch
JPH09147666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US2513804A (en) Snap acting control mechanism
US3499126A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with ramp guide
KR100396535B1 (ko) 다방향 조작스위치
KR890006356Y1 (ko) 스위치 장치
JPS5819825A (ja) スイツチ作動機構
KR910000251Y1 (ko) 다중 접점 스위치
US3626132A (en) Switch contacts
US3320389A (en) Electric switch having pivoting structure on fixed contact
US4835348A (en) Electrical switch device
US4393281A (en) Dip switch
US3541280A (en) Slide switch with rocker contact
US4670630A (en) Machine insertable DIP switch
JPH0389421A (ja) 押ボタンスイツチ
US4426559A (en) Push button switch having two resilient contacts operated at different times
JPH06168648A (ja) 非対称な電気スイッチアクチュエータ
US3996436A (en) Snap action switch
JP3399170B2 (ja) スイッチ
JPH082898Y2 (ja) スイッチ装置
US4398070A (en) Two-motion push-butto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