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224Y1 - 무늬띄우기장치를 구비한 퀼팅머시인 (Quilting Machine) - Google Patents

무늬띄우기장치를 구비한 퀼팅머시인 (Quil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224Y1
KR910000224Y1 KR2019880009147U KR880009147U KR910000224Y1 KR 910000224 Y1 KR910000224 Y1 KR 910000224Y1 KR 2019880009147 U KR2019880009147 U KR 2019880009147U KR 880009147 U KR880009147 U KR 880009147U KR 910000224 Y1 KR910000224 Y1 KR 910000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otor
pattern
sending means
s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887U (ko
Inventor
이사오 사도오
Original Assignee
가브시기가이샤 하시마
오오쯔까 겐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브시기가이샤 하시마, 오오쯔까 겐고 filed Critical 가브시기가이샤 하시마
Publication of KR890008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8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늬띄우기장치를 구비한 퀼팅머시인(Quilting Machine)
제1도는 본 고안의 무늬띄우기장치를 구비한 퀄팅머시인의 세로 보냄 수단 및 가로 보냄 수단을 표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우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제3도는 봉제(縫製)수단과 연결수단과를 표시한 정면도.
제4도는 연결수단을 표시한 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퀼팅머시인에 있어서의 무늬띄기장치를 표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제1모우터 21 : 틀
22 : 제2모우터 27 : 작동간
29 : 재봉침 33 : 제3모우터
39 : 회전전달장치
본 고안은 무늬띄우기장치를 구비한 퀄팅머시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퀄팅머시인으로서는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개소 50-13305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퀄팅머시인에 있어서도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무늬띄우기장치(1)가 구동모우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왕복 회동하는 작동로드(2)에 봉제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링크(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연결하고, 당해 작동간(2)에 고착된 연계부재(3)의 연계단부(4)에다 연계간(5)을 연계시켜서, 상기 작동간(2)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하는 기계적 정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봉제수단(도시하지 않음)의 재봉침(도시하지 않음)을 윗쪽에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면서 피봉제 재료를 이송하여 바느질 자리에 의하여 형성된 무늬와 다른 무늬와의 사이를 바느질자리 없이 잇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그렇지만, 이 퀄팅머시인에 있어서는 무늬띄우기장치가 상술과 같이 작동간의 회동을 기계적 수단으로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계시의 작동소리가 커지고, 또한 부품의 마모등에 의하여 기계적 손상을 발생시키는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작동소음이 조용하며, 기계 손상의 우려가 없는 무늬띄우기 장치를 구비한 퀄팅머시인을 제공코져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제1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피 봉제재료(×)를 전후 좌우로 이송하면서 다수의 재봉침(29)을 상하 움직이게 하여 피 봉제재료(×)를 무늬 봉제하는 퀄팅머시인(11)에 있어서, ⓐ: 상기 피 봉제재료(×)를 협지하는 복수의 로울러(16)와 이들의 로울러(16)에 연결하는 제1모우터(17)에 의하여 구성하고 상기 피 봉제재료(×)를 로울러(16)에 끼운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세로 보냄 수단과, ⓑ: 상기 로울러(16)을 맞붙인 틀(21)을 좌우 움직임시키는 제2모우터(22)에 의하여 구성하고, 상기 피 봉제재료(×)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가로보냄 수단과, ⓒ: 상기 세로 보냄 수단 및 가로 보냄 수단과 같이 협동하여 이송된 피 봉제재료(×)에 무늬(49)를 봉제하는 봉제수단과, ⓓ: 이 봉제수단과 봉제수단을 구동시키는 제3모우터(33)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 상기 세로 보냄수단 및 가로 보냄수단의 피 봉제재료(×)의 이송폭을 지령하고 이 이송폭에 맞쳐서 봉제수단의 속도를 지령하여서, 피 봉제재료(×) 위에 봉제하는 무늬(49)를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한 세로 보냄수단, 가로 보냄수단, 봉제수단 및 연결수단에 의하여 무늬(49)를 봉제한 후, 연결수단에 의하여 봉제수단의 재봉침(29)을 위로 움직이게한 상태에서 봉제 수단과 제3모우터(33)를 분리시키고, 봉제수단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세로 보냄수단 및 가로 보냄수단을 작동시켜 피 봉제재료(×)를 다음의 봉제 위치로 이송하고, 다시 연결수단에 의하여 봉제수단과 제3모우터(33)를 연결시켜서 피 봉제재료(×)위에 무늬(49)를 봉제하도록 지령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무늬띄우기장치(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퀄팅머시인이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표시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코져 한다.
본 고안의 무늬띄우기 장치를 구비한 퀄팅머시인은 ⓐ: 세로 보냄수단, ⓑ: 가로 보냄 수단, ⓒ: 봉제수단, ⓓ: 연결수단 및 ⓔ: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무늬띄우기 장치(11)를 구비하고 있다.
ⓐ: 세로 보냄 수단은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퀄팅머시인의 좌우 방향으로 횡설된 복수의 로울러(16)와 이들의 로울러(16)에 연결된 당해 로울러(16)을 간헐적으로 정전 및 역전시키는 제1모우터(17)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로울러(16)는 퀄팅머시인 후방에 2개, 전방에 3개가 일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횡설되어 있다. 이들 각 로울러(16)에는 기어(18)가 부착되어 있고, 전방 및 후방에 배치한 각 로울러(16)의 기어(18)는 상호간 맞물림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전방의 1개의 로울러(16)와 후방의 1개의 로울러(16)에는 각각 풀리(19)가 장착되고, 이를 풀리(19)에는 밸트(20)가 걸어 장치되어, 전방 및 후방의 각 로울러(16)사이에 피 봉제재료(×)가 중간에 끼인 상태로 각 로울러(16)가 동기 운전하여 피 봉제재료(×)에 일정의 장력이 주어지도록 되어있다.
이들 로울러(16)의 후방의 1개의 로울러(16)의 왼쪽에 제1모우터(17)가 연결되어 있다. 제1모우터(17)는 펄스 모우터로서, 소정의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제1모우터로는, 펄스 모우터에 한정하지 않고, 서보 모우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구성된 세로 보냄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 및 후방으로 횡설된 로울러(16)사이에 피 봉제재료(×)가 끼이게 되어 제1모우터(17)의 간헐적인 정상회전 및 역회전에 수반하여 피 봉제재료(×)가 일정의 장력으로 전후방향에 이송되도록 되어있다.
이 세로 보냄 수단의 복수의 로울러(16)가 가로 보냄 수단의 틀(21)에 맞붙이어져 있다.
ⓑ : 가로 보냄 수단은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틀(21)과 이 틀(21)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모우터(2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틀(21)은 퀄팅머시인의 기대(12)위에 병설된 2개의 레일(23) 위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대략 사각모양의 부재이고, 이 틀(2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전기 각 로울러(16)가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받쳐져 있다. 이 틀(21)의 왼쪽끝의 틀(21)내에는 거의 중앙에 나사 구멍이 형성된 이 맞물림판(25)에 설치되고, 동 이 맞물림판(25)의 나사구멍(24)에 제2모우터(22)에 연결한 나사봉(26)이 맞물림되어 있다. 또한, 제2모우터로서는, 펄스 모우터에 한정하지 않고, 서보 모우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제2모우터(22)를 회전시킴으로서, 복수의 로울러(16)를 맞붙인 틀(21)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각 로울러(16)에 끼어진 피 봉제재료(×)가 좌우방향으로 이송되어지도록 되어있다. 또한, 틀(21)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는, 상술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들면, 제2모우터(22)에 기어를 부착시켜, 이 기어가 이 맞물림하는 랙을 퀄팅머시인의 기대위에 가로방향으로 배치하고, 이 랙에 틀(21)을 붙이는 것에 의하여, 제2모우터(22)의 회전에 수반하여 틀(21)이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가로 보냄 수단 및 상술한 세로 보냄 수단과 함께 움직이어서 봉제수단이 작동하고 피 봉제재료(×)위에 틀(21)이 봉제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 : 봉제수단은,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퀄팅머시인이 상부방향으로 횡설되어 간헐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는 작동간(27)과, 이 작동간(27)에 소정간격으로 기초끝부분이 중앙에 고정되어 간헐적으로 상하 동작하는 복수의 가동간(28)과, 이 가동간(28)의 선단에 부착되어 상기한 전방의 로울러(16)와 후방의 로울러(16)와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재봉침(29) 및 천누름판(30)을 구비하여 있다. 또, 작동간(27)상방에는 위실(Y)을 둘러댄 복수의 실패(Cheese)(31)가 배치되고, 위 실(Y)이 가이드(32)를 통하여 상기 재봉침(29)으로 통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 보냄 수단 및 가로 보냄 수단의 보냄 폭에 맞추어서 재봉침(29) 및 직물 누름판(30)이 간헐적으로 상하로 움직여서 봉제위치에 이송된 피 봉제재료(×)위에 무늬가 봉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봉제 수단의 왼쪽에는 당해 봉제 수단을 구동시키는 제3모우터가 배치되어 연결수단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 : 연결수단은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퀄팅머시인의 좌우 방향으로 횡설된 회전축(34)과, 이 회전축(34)에 고착된 편심 캠(35)과 이 편심 캠(35)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4)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움직여서 상기 작동간(27)을 회동시키는 샤아프트(36)와, 상기 회전축(34)의 왼쪽 끝에 붙여진 플리(37)와 밸트(38)를 통하여 연결한 회전전달장치(39)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회전 전달장치(39)는, 상기 제3모우터(33)에 플리(45), 밸트(46)를 통하여 연결되는 입력축(43)을 설치한 클러치(40)와 회전축(34)에 플리(37), 밸트(38)을 통하여 연결되는 출력축(44)를 설치한 브레이크(41)와, 브레이크(41) 및 클러치(40)을 전자력에 의하여 연결하는 연결판(42)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소정의 회전수로 브레이크(41) 및 클러치(40)가 연결되든지, 분리되든가 하여 제3모우터(33)의 회전이 플리(45), 밸트(46)을 통하여 회전축(34)에 전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3모우터(33)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 전달장치(39)의 브레이크(41)와 클러치(40)가 연결되고, 플리(37) 밸트(38)을 통하여 회전축(34)이 회전하고, 이 회전축(34)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34)에 고착된 편심 캠(35)을 통하여 샤아프트(36)가 상하 작동하고, 이 샤아프트(36)에 붙여진 작동간(27)이 회동하여, 상기 봉제수단이 작동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어수단의 지령에 의하여 상기 봉제수단의 재봉침(29)이 위로 작동할 때 회전 전달장치(39)의 클러치(40)와 브레이크(41)가 분리되어져서, 제3모우터(33)가 회전한 상태로 회전축(34), 샤아프트(36), 작동간(27)이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술한 세로 보냄 수단, 가로 보냄 수단, 봉제수단 및 연결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 : 제어수단은, 상기 연결 수단의 회전축(34) 왼쪽끝 근방에 설치한 2개의 센서-(47)(48), 즉 재봉침(29)의 위 멈춤의 타이밍을 계산하는 제1센서(47)와, 세로 가로 방향의 피 봉제재료(×)의 이동을 계산하는 제2센서(48)로부터 보내어지는 신호를 받아서, 제3모우터(33)와 봉제수단과를 연결시킨다든가 분리시킨다든가, 세로 보냄 수단, 가로 보냄 수단의 보내는 폭을 변경한다든지 하여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수단에 관하여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수단은 상술한 각 구성을 아래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먼저, 제1모우터(17) 및 제2모우터(22)의 회전수를 지정하여 세로 보냄 수단 및 가로 보냄 수단의 피 봉제재료(×)의 보냄 폭을 설정한다. 다음에, 봉제수단을 구동시키는 제3모우터(33)의 회전수를 지정하고 봉제수단의 봉제속도를 설정하고, 피 봉제재료(×)위에 봉제하는 무늬(49)를 설정한다.
다음에, 제3모우터(33)가 시동하여 설정한 회전수로 될 때, 회전전달장치(39)의 클러치(40)와 브레이크(41)을 연결판(42)에 의하여 연결시켜 제3모우터(33)을 플리(37), 밸트(38), 회전축(34), 편심캠(35), 샤아프트(36)를 통하여 봉제 수단에 연결시켜서 봉제수단을 작동시킨다.
동시에, 세로 보냄 수단 및 가로 보냄 수단을 작동되게 하여, 피 봉제 재료(×)를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이송시켜, 피 봉제재료(×)위에 무늬(49)를 봉제한다. 다음에, 피 봉제재료(×)위에 무늬(49)가 봉제되었을시, 회전축(34)에 설치한 제1센서(47)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봉제수단의 재봉침(29)이 위로 움직인 상태에서 회전 전달 장치(39)의 클러치(40)와 브레이크(41)를 연결판(42)에 의하여 분리시키고, 또 제3모우터(33)와 봉제수단과를 분리시켜서, 봉제수단을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1모우터(17) 및 제2모우터(22)를 구동시켜 세로 보냄 수단 및 가로 보냄 수단을 작동시키고, 피 봉제재료(×)를 다음의 봉제 위치에 이송된다. 다음, 회전축(34)의 제2센서(48)로부터 피 봉제재료(×)가 봉제위치에 이송된 신호를 받아서, 연결수단의 회전전달장치(39)의 브레이크(41)와 클러치(40)를 연결판(42)에 의하여 연결시켜서 제3모우터(33)와 봉제수단을 연결시켜 다시 피 봉제재료(×) 위에 무늬(49)를 봉제하도록 지령한다. 이상 기술한 조작을 소정의 회수만 반복한 후, 봉제 수단의 재봉침(29)을 위로 움직이게 한 상태에서, 연결 수단의 회전전달장치(39)의 클러치(40)와 브레이크(41)를 연결수단에 의하여 분리시켜, 제3모우터(33)와 봉제수단을 분리시키고, 봉제수단을 정지하여, 회전전달장치(39)의 브레이크(41)에 의하여, 제3모우터(33)을 정지시킨다. 동시에, 제1모우터(17) 및 제2모우터(22)를 정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세로 보냄 수단 및 가로 보냄 수단을 정지시켜서, 피 봉제재료(×)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이송이 정지되도록 지령하고, 피 봉제재료(×)의 무늬(49) 봉제를 완료한다.
또한, 본 고안의 무늬띄우기 장치를 구비한 퀄팅머시인에 있어서는, 세로 보냄 수단 및 가로 보냄 수단 및 봉제 수단에는 각각 제1모우터(17), 제2모우터(22) 및 제3모우터(33)가 연결되어 있지만, 1개 또는 2개의 모우터에 의하여 상술한 각 수단을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무늬띄우기 장치를 구비한 퀄팅머시인은, 무늬띄우기 장치가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된 회전전달장치를 구비한 연결수단으로 봉제수단과 그 구동원과를 분리시켜 재봉치을 윗쪽에서 정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세로 보냄 수단 및 가로 보냄 수단에 의하여 피 봉제재료를 다음의 봉제위치에 이송하여 바느질자리에 의하여 형성된 무늬와 다른 무늬와의 사이를 바느질자리가 안나게 잇도록 구성되어 있어, 종래와 같은 기계적 수단으로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구성에 비교하여, 작동소음을 저감할 수가 있고, 또한 부품의 마모등에 의한 기계적 손상도 적게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무늬띄우기 장치를 구비한 퀄팅머시인은, 무늬띄우기 장치가 제어수단에 의하여 세로 보냄 수단, 가로 보냄 수단, 봉제수단 및 연결수단의 작동 정지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히 무늬와 무늬의 간격의 설정이라든가 위치의 설정을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피 봉제재료를 전후 좌우로 이송하면서 다수의 재봉침을 상하로 작동하여 피 봉제재료를 무늬 봉제한 퀄팅머시인에 있어서, ⓐ : 상기 피 봉제재료를 협지하는 복수의 로울러와 이들의 로울러에 연결되는 제1모우터에 의하여 구성되어 상기 피 봉제재료를 로울러에 끼운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세로 보냄 수단. ⓑ : 상기 로울러를 부착시킨 틀과 이 틀을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제2모우터에 의하여 구성되어 상기 피봉제재료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가로 이송수단과, ⓒ : 상기 세로 보냄 수단 및 가로 보냄 수단과 함께 작동하여 이송된 피 봉제재료 위에 무늬를 봉제하는 봉제수단과, ⓓ : 이 봉제수단과 봉제수단을 구동시키는 제3모우터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 : 상기 세로 보냄 수단 및 가로 보냄 수단의 피 봉제재료의 이송 폭을 지령하여 이 이송폭에 맞추어서 봉제수단의 속도를 지령하여 피 봉제재료상에 봉제하는 무늬를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세로 보냄 수단, 가로 보냄 수단, 봉제수단 및 연결수단에 의하여 무늬를 봉제한 후, 연결수단에 의하여 봉제수단의 재봉침이 위로 작동된 상태에서 봉제수단과 제3모우터와를 분리시키고, 봉제수단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세로 보냄 수단 및 가로 보냄 수단을 작동시켜 피 봉제재료를 다음의 봉제위치에 이송하고, 다시금 연결수단에 의하여 봉제수단과 제3모우터를 연결시켜 피 봉제재료상에 무늬를 봉제하도록 지령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무늬띄우기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퀄팅머시인.
KR2019880009147U 1987-10-16 1988-06-15 무늬띄우기장치를 구비한 퀼팅머시인 (Quilting Machine) KR91000022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9159 1987-10-16
JP1987159159U JPH0162777U (ko) 1987-10-16 1987-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887U KR890008887U (ko) 1989-05-29
KR910000224Y1 true KR910000224Y1 (ko) 1991-01-18

Family

ID=3144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147U KR910000224Y1 (ko) 1987-10-16 1988-06-15 무늬띄우기장치를 구비한 퀼팅머시인 (Quilt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62777U (ko)
KR (1) KR9100002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92B1 (ko) * 2002-05-14 2004-11-09 이상준 복합무늬 누비용 누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92B1 (ko) * 2002-05-14 2004-11-09 이상준 복합무늬 누비용 누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62777U (ko) 1989-04-21
KR890008887U (ko) 198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647B1 (ko) 재봉틀에 사용되는 바느질감 안내장치
DE423016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randposition eines textilstuecks
EP0184582A1 (en) Process for the bidirectional feeding of fabrics in quilting machines, and a machine utilizing this process
GB1509055A (en) Workpiece feed device on sewing machines
KR910000224Y1 (ko) 무늬띄우기장치를 구비한 퀼팅머시인 (Quilting Machine)
KR20120064006A (ko) 재봉기
US5167195A (en) Apparatus to be fitted up on a conventional sewing machine for simultaneously sewing parallel lines of stitches
JP3038576B2 (ja) フック・アイ金具縫い付けミシン
US5325802A (en) Sewing machine for large-surface, frame clamped material
US4926769A (en) Automatic sewing device with a sewing head including a rotary housing
KR890004809B1 (ko) 퀼팅 머시인(Quilting Machine)에 있어서의 직물 이송장치
US6920837B2 (en) Sewing machine
JPH0710313B2 (ja) 自動縫い装置
US6095070A (en) Driving device for feeding material to be sewn in a sewing machine
US11578441B2 (en) Quilted panel
JP2730784B2 (ja) 下部布送り装置を備えたミシン
US4996932A (en) Multiple-needle pattern-stitching sewing machine
JP3965594B2 (ja) 少なくとも1つの針床を持つ横編機
KR100219829B1 (ko) 다침재봉기
JPH0740377Y2 (ja) 筒状縫い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S62129092A (ja) 針送りミシン
JPS6012528Y2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H01107793A (ja) ミシン
JPH04307090A (ja) ひだ取りミシン
KR200370201Y1 (ko) 직물 표면용 루프 또는 파일 형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