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8322A - 그래프트된 점도 지수 개선제 - Google Patents

그래프트된 점도 지수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8322A
KR900018322A KR1019900007793A KR900007793A KR900018322A KR 900018322 A KR900018322 A KR 900018322A KR 1019900007793 A KR1019900007793 A KR 1019900007793A KR 900007793 A KR900007793 A KR 900007793A KR 900018322 A KR900018322 A KR 90001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composition
ethylene
graft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7932B1 (ko
Inventor
엔-렁 청 데이비드
조셉 스트러글린스키 마크
에릭 존스톤 존
Original Assignee
존 제이. 마혼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제이. 마혼,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 제이. 마혼
Publication of KR90001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92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9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2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0L1/234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23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2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and/or tellurium
    • C10L1/246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and/or tellurium 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246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and/or telluriu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hydrocarbon or such hydrocarbon modified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hydrocarbon or such hydrocarbon modified by oxidation
    • C10M143/02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n alcohol, aldehyde, ketonic, ether, ketal or aceta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4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5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10M15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02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02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 C10M2205/02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n alcohol or ester thereof; bound to an aldehyde, ketonic, ether, ketal or aceta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n acyloxy radical of saturated carboxylic or carbon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n acyloxy radical of saturated carboxylic or carbonic acid
    • C10M2209/062Vinyl esters of saturated carboxylic or carbonic acids, e.g.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 C10M2209/08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mono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 C10M2209/084Acrylate;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 C10M2209/08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polycarboxylic, e.g. male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15/04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Alkoxylate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6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from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from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2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from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n amino group
    • C10M2217/02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from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containing an est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from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from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n amido or imido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from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from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nitrogen-containing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4Macromolecular compounds from nitrogen-containing mono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46Polyamines, i.e. macromoleculars obtained by condensation of more than eleven amine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unctionalisation op polymers with a nitrogen containing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1/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1/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f mono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70/00Specific manufacturing methods for lubricant compositions
    • C10N2070/02Concentrating of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Lubrica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그래프트된 점도 지수 개선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81)

  1. (1)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메틸렌 단위 분절 및 최소한 하나의 저결정성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분절을 함유하는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공중합체 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분절은 상기 공중합체 쇄의 약 10중량% 이상을 차지하고 약 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함유하며, 상기 저결정성 분절은 약 53중량%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공중합체는 2미만의비 및 1.8 미만의비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 분포를 가지며, 개개의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쇄의 두 부분 이상 (각각의 부분은 상기 쇄의 5중량% 이상을 차지한다)이 조성에 있어서 서로 에틸렌 7중량%이상 차이나는, 에틸렌과 최소한 하나의 기타 알파-올레핀 단량체와의 주쇄 공중합체: 및 (ⅱ) 상기 주쇄 공중합체상에 그래프트된, 에틸렌형 불포화 그래프트화 물질의 잔기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유성 조성물용 점도 개선제로 유용한 유용성(oil soluble)의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ⅱ)가 (a) 불포화 알콜의 에스테르: (b) 포화 알콜과 불포화산과의 에스테르: (c) 불포화 에테르: (d) 불포화 케톤: (e) 불포화된 극성의 질소-함유 탄화수소 화합물: (f) 불포화 카복실산 물질: (g) 말레산 또는 무수물, 및 그와 공중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 (h)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단량체 및 중합체 둘다): 및 (ⅰ) 산소-또는 황-함유 비닐 이종환형 화합물 :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물질의 잔기인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성분 (ⅱ)가 성분(f)인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성분 (f)가 에틸렌형 모노불포화 C4내지 C10디카복실산 또는 무수물인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5. 제4항에 있어서, 성분(f)가 말레산 또는 무수물인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주합체(ⅰ)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5중량%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분자간 조성 분산도를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의 상기 분자간 조성 분산도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0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결정성 분절이 약 20내지 53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이 약 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가 약 2,000 내지 약 12,00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 (ⅰ)가비 약 1.5 미만 및비 약 1.5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가비 약 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의 상기 분자간 조성 분산도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3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14. 제13 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의 상기 저결정성 분절이 약 30 내지 50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가 중량 기준으로 약20%의 총 에틸렌 최소 함량을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의 쇄 분절 서열이 하기 구조식들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상기식에서, x 및 y는 각각 1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상기 결정가능한 분절을 포함하며, T는 상기 저결정성 분절을 포함하고, M1및 M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M 분절을 포함하고, T1및 T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T 분절을 포함한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의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Ⅰ)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의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Ⅱ)를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19. 제18항에 있어서, x가 1인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의 합이 실질적으로 상기 M 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과 동일한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가비 약 1.5 미만 및비 약 1.5 미만 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가비 약 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 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 (ⅰ)가비 및 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 둘다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가 중량 기준으로 약 35%이상의 총 에틸렌 함량을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26. 윤활유 및 연료유중에서 선택된 유성 물질(1) 및 제1항의 그래프트된 공중합체(2)를 함유하는 유성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주요량의 성분(1) 및 미량의 성분(2)를 함유하는 유성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성분(1)이 점도 개선 효과량의 성분(2)를 함유하는 윤활유인 유성 조성물.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조성물이 오일 농축물인 유성 조성물.
  30. 약255℃ 미만의 온도에서, (ⅰ)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메틸렌 단위 분절 및 최소한 하나의 저결정성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분절을 함유하는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공중합체 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분절은 상기 공중합체 쇄의 약10중량% 이상을 차지하고 약57 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함유하며, 상기 저결정성 분절은 약53 중량%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2 미만의비 및 1.8 미만의비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 분포를 가지며, 개개의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쇄의 두 부분이상(각각의 부분은 상기 쇄의 5중량% 이상을 차지한다)이 조성에 있어서 서로 에틸렌 7중량% 이상 차이나는, 에틸렌과 최소한 하나의 기타 알파-올레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와 (ⅱ) 에틸렌형 불포화 그래프트화 물질을 그래프트시킨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상기 공중합체(ⅰ)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성분(ⅱ)가 (a) 불포화 알콜의 에스테르: (b) 포화 알콜과 불포화산과의 에스테르 : (c) 불포화 에테르 : (d) 불포화 케톤 : (e) 불포화된 극성의 질소-함유 탄화수소 화합물 : (f) 불포화 카복실산 물질 : (g) 말레산 또는 무수물, 및 그와 공중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타 단량체 : (h)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단량체 및 중합체 둘다) : 및 (i) 산소-또는 황-함유 비닐 이종환형 화합물 :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성분(ⅱ)가 성분(f)인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성분(f) 에틸렌형 모노불포화 C4내지 C10디카복실산 또는 무수물인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성분(f)가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5중량%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분자간 조성 분산도를 갖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공중합체(ⅰ)의 상기 분자간 조성 분산도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0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저결정성 분절이 약 20내지 53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이 약 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ⅰ)가 약 20,000 내지 약 25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 1.5 미만 및비 약 1.5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 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상기 분자간 조성 분산도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3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상기 저결정성 분절이 약 30내지 50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4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중량 기준으로 약 20%의 총 에틸렌 최소 함량을 갖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4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쇄 분절 서열이 하기 구조식들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상기식에서, x 및 y는 각각 1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을 포함하며, T는 상기 저결정성 분절을 포함하고, M1및 M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M 분절을 포함하고, T1및 T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T 분절을 포함한다.
  46.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Ⅰ)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Ⅱ)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48. 제47항에 있어서, x가 1인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의 합이 실질적으로 상기 M 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과 동일한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1.5 미만 및비 약 1.5 미만 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52.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 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 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 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 둘다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5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중량 기준으로 약 35% 이상의 총 에틸렌 함량을 갖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55. 윤활유 및 연료유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유성 물질(A) 및 제30항의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56. 제55항에 있어서, 성분(A)가 윤활유인 유성 조성물.
  57. 제55항에 있어서, 주요량의 성분(A) 및 미량의 성분(B)를 함유하는 유성 조성물.
  58. 제56항에 있어서, 오일 농축물인 유성 조성물.
  59.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가 실질적으로 하기 성분(ⅰ)의 분자량 분포를 유지하도록 하기에 효과적인 그래프트화 조건하에 (ⅰ)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메틸렌 단위 분절 및 최소한 하나의 저결정성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분절을 함유하는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공중합체 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분절은 상기 공중합체 쇄의 약10중량% 이상을 차지하고 약 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함유하며, 상기 저결정성 분절은 약53중량%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2 미만의비 및 1.8 미만의비중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 분포를 가지며, 개개의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쇄의 두 부분이상(각각의 부분은 상기 쇄의 5중량% 이상을 차지한다)이 조성에 있어서 서로 에틸렌 7중량% 이상 차이나는, 에틸렌과 최소한 하나의 기타 알파-올레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주쇄상에, 최소한 하나의 (ⅱ) 에틸렌형 불포화 그래프트화 물질을 그래프트시킴으로써 제조한, 에틸렌형 불포화 그래프트화 물질의 잔기가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주쇄를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화 조건이 약 225℃ 미만의 온도에서의 용액 그래프트화를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체.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화 조건이 약 200℃ 미만의 온도를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화 조건이 약 180℃ 미만의 온도를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체.
  63.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화를 실질적인 산소 부재하에 수행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체.
  64.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그래프트화를 유리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체.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그래프트화를 약 180℃ 미만의 온도에서 유리 라디칼 그래프트화 개시제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체.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그래프트화를 위한 용매가 광물성 오일인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체.
  67. 제59항에 있어서, 성분(ⅱ)가 (a) 불포화 알콜의 에스테르 : (b) 포화 알콜과 불포화산과의 에스테르 : (c) 불포화 에테르 : (d) 불포화 케톤 : (e) 불포화된 극성의 질소-함유 탄화수소 화합물 : (f)불포화 카복실산 물질 : (g) 말레산 또는 무수물, 및 그와 공중합할 수 있는 하나이상의 기타 단량체 : (h)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단량체 및 중합체 둘다) : 및 (ⅰ) 산소-또는 황-함유 비닐 이종환형 화합물 :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체.
  68. 제67항에 있어서, 성분(ⅱ)가 성분(f)인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69. 제68항에 있어서, 성분(f)가 에틸렌형 모노불포화 C4내지 C10디카복실산 또는 무수물중에서 선택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70. 제69항에 있어서 성분(f)가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7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5중량%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분자간 조성 분산도를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상기 분자간 조성 분산도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0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저결정성 분절이 약 20 내지 53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74.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이 약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약 2,000 내지 약 12,00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76.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 1.5 미만 및비 약 1.5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78.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상기 분자간 조성 분산도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3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상기 저결정성 분절이 약 30 내지 50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8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중량 기준으로 약 20%의 총 에틸렌 최소 함량을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8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쇄분절 서열이 하기 구조식들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상기식에서, x 및 y는 각각 1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을 포함하며, T는 상기 저결정성 분절을 포함하고, M1및 M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M 분절을 포함하고, T1및 T3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T 분절을 포함한다.
  82. 8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Ⅰ)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83. 8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Ⅱ)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84. 제83항에 있어서, x가 1인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의 합이 실질적으로 상기 M 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과 동일한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87.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중량 기준으로 약35% 이상의 총 에틸렌 함량을 갖는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88. (ⅰ)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메틸렌 단위 분절 및 최소한 하나의 저결정성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분절을 함유하는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공중합체 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분절은 상기 공중합체 쇄의 약 10중량% 이상을 차지하고 약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함유하며, 상기 저결정성 분절은 약53중량%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2 미만의비 및 1.8 미만의비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 분포를 가지며, 개개의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쇄의 두 부분 이상(각각의 부분은 상기 쇄의 5중량% 이상을 차지한다.) 이 조성에 있어서 서로 에틸렌 7중량% 이상 차이나는, 에틸렌과 최소한 하나의 기타 알파-올레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와 (ⅱ) 카복실산 그룹 또는 무수물 그룹 1 내지 2개를 가진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 물질을 약 225℃미만의 온도에서 그래프트시킨 다음, (ⅲ) 하나의 반응성 1급 아민 그룹과 최소한 하나의 3급 아민 그룹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폴리아민과 반응시킨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5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분자간 조성 분산도를 갖는 조성물.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상기 분자간 조성 분산도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0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조성물.
  91.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저결정성 분절이 약 20 내지 53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이 약 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93.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약 2,000 내지 약 12,00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4.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 1.5 미만 및비 약 1.5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96.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상기 분자간 조성 분산도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3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조성물.
  97.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상기 저결정성 분절이 약 30 내지 50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98.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중량 기준으로 약 20%의 총 에틸렌 최소 함량을 갖는 조성물.
  9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쇄 분절 서열이 하기 구조식들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식에서, x 및 y는 각각 1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을 포함하며, T는 상기 저결정성 분절을 포함하고, M1및 M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M 분절을 포함하고, T1및 T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T 분절을 포함한다.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Ⅰ)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1.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Ⅱ)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2. 제99항에 있어서, x가 1인 조성물.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조성물.
  104.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의 합이 실질적으로 상기 M 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과 동일한 조성물.
  105.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 1.5 미만 및비 약 1.5 미만 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106.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 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107.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 둘다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108.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중량 기준으로 약 35% 이상의 총 에틸렌 함량을 갖는 조성물.
  109. 제88항에 있어서, 성분(ⅱ)가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10. 제109항에 있어서, 성분(ⅱ)가 말레산 무수물인 조성물.
  111.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민(ⅲ)이 하기식으로 나타내어진 폴리아민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상기식에서, p는 0 또는 1이고 : s는 0 또는 1이며 : t는 1 내지 약 10이고 : R1및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원자 1 내지 약 6개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 및 고리 탄소원자 4 내지 약8개를 함유하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중에서 선택되며 : R3및 R6는 독립적으로 탄소원자 1 내지 약 6개를 가진, 치환되지 않거나 C1-C6알킬 치환된 알킬렌 라디칼중에서 선택되고:R4및 R5는 독립적으로 탄소원자 1 내지 약 6개를 함유하는, 치환되지 않거나 C1-C6알킬 치환되거나 Y 치환된 알킬렌 라디칼 : 또는 탄소원자 2 내지 약 6개를 함유하는, 치환되지 않거나 C1-C6알킬 치환되거나 Y 치환된 알케닐렌 라디칼중에서 선택되며 : R7은 수소, 탄소원자 1 내지 약6개를 함유하는 알킬 라디칼 또는이고 (단, s가 0인 경우 R7은 수소가 아니다) ; X1및 X2는 독립적으로 -0-, -S-, -NR1, -R3, -NY 또는 -CHY 라디칼중에서 선택되며 ; Y는 -NH2또는 -R3-NH2이고 ; 단 X1, X2, R4및 R9그룹은 구조식(Ⅲ)의 분자당 단지 하나의 1급 아민 그룹 및 최소한 하나의 3급 아민그룹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112. 제88항에 있어서, 유리 라디칼 그래프트화 개시제의 존재하에 용매중에서 에틸렌 공중합체(ⅰ)와 모노-에틸렌형 불포화 모노-또는 디카복실산 물질(ⅱ)을 그래프트시키는 조성물.
  113.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광물성 오일인 조성물.
  114. 제112항에 있어서, 성분(ⅱ)가 모노에틸렌형 불포화 C4내지 C10디카복실산 물질인 조성물.
  115. 제114항에 있어서, 성분(ⅱ)가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또는 이의 혼합물인 조성물.
  116. 제115항에 있어서, 성분(ⅲ)이 N-아미노프로필-모르폴린인 조성물.
  117. (1) 유성 물질, 및 (2) (ⅰ)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메틸렌 단위 분절 및 최소한 하나의 저결정성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분절을 함유하는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공중합체 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분절은 상기 공중합체 쇄의 약 10중량% 이상을 차지하고 약 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함유하며, 상기 저결정성 분절을 약53중량%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2 미만의비 및 1.8 미만의비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 분포를 가지며, 개개의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쇄의 두 부분이상(각각의 부분은 상기 쇄의 5중량% 이상을 차지한다) 이 조성에 있어서 서로 에틸렌 7중량% 이상 차이나는, 에틸렌과 최소한 하나의 기타 알파-올레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와 (ⅱ) 카복실산 그룹 또는 무수물 그룹 1 내지 2개를 가진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 물질을 225℃ 미만의 온도에서 그래프트시킨 다음, 상기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체를 (ⅲ) 하나의 반응성 1급 아민 그룹과 최소한 하나의 3급 아민 그룹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폴리아민과 반응시킨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조성물.
  118.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물질이 윤활유인 조성물.
  119.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5중량%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분자간 조성 분산도를 갖는 조성물.
  120.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상기 분자간 조성 분산도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0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조성물.
  121.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저결정성 분절이 약 20 내지 53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122.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이 약 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123. 제122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약 2,000 내지 약 12,00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4.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 1.5 미만 및비 약 1.5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125. 제124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비 약 1.25 미만 및비 약 1.2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126.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상기 분자간 조성 분산도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3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조성물.
  127.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상기 저결정성 분절이 약 30 내지 50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128.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가 중량 기준으로 약 20%의 초 에틸렌 최소 함량을 갖는 조성물.
  129.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의 쇄 분절 서열이 하기 구조식들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식에서, x및 y는 각각 1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을 포함하며, T는 상기 저결정성분절을 포함하고, M1및 M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M 분절을 포함하고, T1및 T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T분절을 포함한다.
  130. 제12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i)의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I)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1. 제12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i)의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II)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2. 제129항에 있어서, x가 1인 조성물.
  133. 제12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i)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조성물.
  134.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i)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의 합이 실질적으로 상기 M 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과 동일한 조성물.
  135. 제12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i)가비 약 1.5 미만 및비 약 1.5 미만 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136. 제13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i)가비 약 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 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137. 제 136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i)가비 약 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 둘다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138.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i)가 중량 기준으로 약 35% 이상의 총 에틸렌 함량을 갖는 조성물.
  139. 제117항에 있어서, 성분(ii)가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40. 제139항에 있어서, 성분(ii)가 말레산 무수물인 조성물.
  141.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만(iii)이 하기식으로 나타내어진 폴리아만층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상기식에서, p는 0 또는 1이고; s는 0 또는 1이며; t는 1 내지 약 10이고; R1및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원자 1 내지 약 6개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 및 고리 탄소원자4 내지 약8개를 함유하는 사이클로알킬라디칼중에서 선택되며; R3및 R6는 독립적으로 탄소원자 1 내지 약 6개를 가진, 치환되지 않거나 C1-C6알킬치환된 알킬렌 라디칼중에서 선택되고; R4및 R5는 독립적으로 탄소원자 1 내지 약 6개를 함유하는, 치환되지 않거나 C1-C6알킬 치환되거나 Y 치환된 알킬렌 라디칼 ; 또는 탄소원자 2 내지 약 6개를 함유하는, 치환되지 않거나 C1-C6알킬 치환되거나 Y 치환된 알케닐렌 라디칼중에서 선택되며;R7은 수소,탄소원자 1 내지 약 6개를 함유하는 알킬 라디칼 또는-이고 (단,s가0인 경우 R7은 수소가 아니다); X1및 X2는 독립적으로 -0-,-S-,-NR1,-R3,-NY 또는 -CHY 라디칼중에서 선택되며; Y는-NH2또는-R3-NH2이고; 단X1, X2, R4및 R9그룹은 구조식(Ⅲ)의 분자당 단지 하나의 1급 아민 그룹 및 최소한 하나의 3급 아민그룹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댜.
  142. 제117항에 있어서, 유리 라디칼 그래프트화 개시제의 존재하에 용매중에서 에틸렌 공중합체(i)와 에틸렌형 불포화 카복실산 물질(ii)을 그래프트시키는 조성물.
  143. 제14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광물성 오일인 조성물.
  144. 제14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중에서 성분(iii)을 상기 용매중에서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체와 반응시키는 조성물.
  145. 제14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광물성 오일인 조성물.
  146.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오일 농축물인 조성물.
  147. 에틸렌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와 약 10% 이상 차이나지 않는 분자량 분포를 갖는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를 생성시키기에 효과적인 그래프트화 조건하에, (i)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메틸렌 단위 분절 및 최소한 하나의 저결정성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분절을 함유하는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공중합체 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분절은 상기 공중합체 쇄의 약 10중량% 이상을 차지하고 약 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함유하며, 상기 저결정성 분절은 약 53중량%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2 미만의비 및 1.8 미만 및비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 분포를 가지며, 개개의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쇄의 두 부분 이상(각각의 부분은 상기 쇄의 5중량% 이상을 차지한다)이 조성에 있어서 서로 에틸렌 7중량% 이상 차이나는, 에틸렌과 최소한 하나의 기타 알파-올레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와 (ⅱ) 에틸렌형 불포화 그래프트화 물질을 그래프트시킨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유성 조성물용 점도 지수 개선제로서 유용한 유용성 조성물.
  148. 제14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화 조건이 약 225℃ 미만의 온도에서의 용액 그래프트화를 포함하는 조성물.
  149.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그래프트화를 유리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조성물.
  150. 제14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화 물질이 카복실산 그룹 또는 무수물 그룹 1 내지 2개를 함유하는 에틸렌형 모노불포화 카복실산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151. 제150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형 모노불포화 카복실산 물질이 에틸렌형 모노불포화 C3내지 C10모노카복실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152. 제150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형 모노불포화 카복실산 물질이 에틸렌형 모노불포화 C3내지 C10다카복실산 또는 무수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53. 제152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복실산 또는 무수물이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54. 제153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복실산 또는 무수물이 말레산 무수물인 조성물.
  155. 제147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상기 분자간 조성 분산도가, 상기 공중합체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0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조성물.
  156. 제155항에 있어서, 상기저결정성 분절이 약 20 내지 53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157. 제15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이 약 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158. 제147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가비 약 1.5 미만 및비 약 1.5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159. 제158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가비 약 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160. 제147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쇄 분절 서열이 하기 구조식들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식에서, x 및 Y는 각각 1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을 포함하며, T는 상기 저결정성 분절을 포함하고, M1및 M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M 분절을 포함하고, T1및 T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T 분절을 포함한다.
  161. 제160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Ⅰ)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2. 제160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Ⅱ)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3. 제162항에 있어서, x가 1인 조성물.
  164. 제163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조성물.
  165. 제164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의 합이 실질적으로 상기 M 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과 동일한 조성물.
  166. (ⅰ) 에틸렌 공중합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분자량 분포를 갖는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체를 생성시키기에 효과적인 그래프트화 조건하에, 에틸렌형 불포화 그래프트화 물질과 그래프트화 물지과 그래프트시킨 에틸렌과 최소한 하나의 기타 알파-올레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상기 공중합체는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메틸렌 단위 분절 및 최소한 하나의 저결정성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분절을 함유하는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최소한 하나의 결정화가능한 분절은 상기 공중합체 쇄의 약 10중량% 이상을 차지하고 약 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함유하며, 상기 저결정성 분절은 약53중량%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2 미만의비 및 1.8 미만의비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 분포를 가지며, 개개의 분자내적으로 비균질한 쇄의 두 부분이상 (각각의 부분은 상기 쇄의 5중량% 이상을 차지한다)이 조성에 있어서 서로 에틸렌 7중량% 이상 차이난다]; 와 (ⅱ) 하나의 1급 아미노 그룹과 최소한 하나의 3급 아미노 그룹을 갖는 폴리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조성물용의 다작용성점도 지수 개선제로 유용한 유용성 조성물.
  167. 제16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된 에틸렌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가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와 약 10% 이상 차이나지 않는 조성물.
  168. 제16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화 조건이 약 225℃ 미만의 온도에서의 용액 그래프트화를 포함하는 조성물.
  169. 제168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그래프트화를 유리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조성물.
  170. 제16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분자량 분포가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와 약 10% 이상 차이나지 않는 조성물.
  171. 제166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상기 분자간 조성 분산도가, 상기 공중합체의 쇄의 95중량%가 상기 평균 에틸렌 조성과 10중량% 이하 차이나는 조성을 갖도록 하는 조성물.
  172. 제171항에 있어서, 상기 저결정성 분절이 약 20 내지 53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173. 제17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이 약 57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174. 제167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가비 약 1.5 미만 및비 약 1.5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175. 제174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가비 약 1.25 미만 및비 약 1.2 미만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MWD를 갖는 조성물.
  176.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쇄 분절 서열이 하기 구조식들중의 최소한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식에서, x 및 y는 각각 1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상기 결정화가능한 분절을 포함하며, T는 상기 저결정성 분절을 포함하고, M1및 M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M 분절을 포함하고, T1및 T2는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T 분절을 포함한다.
  177. 제176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Ⅰ)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8. 제176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쇄 분절 서열이 구조식(Ⅱ)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9. 제178항에 있어서, x가 1인 조성물.
  180. 제179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조성물.
  181. 제180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에서, 상기 T1및 T2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의 합이 실질적으로 상기 M 분절의 중량-평균 분자량과 동일한 조성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007793A 1989-05-30 1990-05-29 그래프트된 점도 지수 개선제 KR0137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8,777? 1989-05-30
US07/358,777 US5167848A (en) 1989-05-30 1989-05-30 Grafted viscosity index improver
US358777 1999-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322A true KR900018322A (ko) 1990-12-21
KR0137932B1 KR0137932B1 (ko) 1998-04-28

Family

ID=2341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793A KR0137932B1 (ko) 1989-05-30 1990-05-29 그래프트된 점도 지수 개선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67848A (ko)
EP (1) EP0400867A1 (ko)
KR (1) KR0137932B1 (ko)
BR (1) BR9002566A (ko)
CA (1) CA2015059C (ko)
MX (1) MX205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4590A (en) * 1989-10-12 1993-09-14 Exxon Chemical Patents Inc. Viscosity index improver
US5118433A (en) * 1989-10-12 1992-06-02 Exxon Chemical Patents Inc. Multifunctional viscosity index improver derived from amido-amine and degraded ethylene copolymer exhibiting improved low temperature viscometric properties
DE69118605T2 (de) * 1990-02-19 1996-09-12 Mitsui Petrochemical Ind Verfahren zum herstellen thermoplastischen elastomers
US5474694A (en) * 1992-09-21 1995-12-12 Texaco Inc. Lubricating oil composition
CA2110463C (en) * 1992-12-17 2005-02-08 Jacob Emert Gel-free ethylene interpolymer dispersant additives useful in oleaginous compositions
CA2110649C (en) * 1992-12-17 2004-10-26 Jacob Emert Gel-free alpha-olefin dispersant additives useful in oleaginous compositions
DE4311660C1 (de) * 1993-04-08 1994-01-13 Leuna Werke Ag Kraftstoff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m Fließverhalten bei tiefen Temperaturen
US5344886A (en) * 1993-05-14 1994-09-06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graft propylene polymers
US6300288B1 (en) 1994-03-31 2001-10-09 The Lubrizol Corporation Functionalized polymer as grease additive
US5663126A (en) * 1994-10-21 1997-09-02 Castrol Limited Polar grafted polyolefins,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5523008A (en) * 1994-10-21 1996-06-04 Castrol Limited Polar grafted polyolefins,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3953100B2 (ja) * 1995-01-27 2007-08-01 レイケム・コーポレイション 無水物含有ポリマーからのゲル
GB9726831D0 (en) * 1997-12-20 1998-02-18 Bp Chem Int Ltd Additives for hydrocarbon fuels
US7514393B2 (en) * 2003-11-21 2009-04-07 Castrol Limited Preparation of functional monomers for grafting to low molecular weight polyalkenes and their use in the preparation of dispersants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ntaining dispersant polyalkenes
US8703872B2 (en) * 2005-03-11 2014-04-22 Castrol Limited Multiple function graft polymer
CN101166771B (zh) * 2005-04-28 2013-07-03 嘉实多有限公司 多功能分散接枝聚合物
WO2011123408A1 (en) 2010-04-01 2011-10-06 Castrol Limited Multiple function graft polymer
MX341294B (es) 2010-04-07 2016-08-12 Castrol Ltd * Polimero de injerto y metodos y composiciones relacionados.
AU2014228218B2 (en) 2013-03-15 2017-06-08 Castrol Limited Multiple function dispersant viscosity index improver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6177A (en) * 1964-12-07 1967-04-25 Lubrizol Corp Functional fluid containing a sludge inhibiting detergent comprising the polyamine salt of the reaction product of maleic anhydride and an oxidized interpolymer of propylene and ethylene
US3326804A (en) * 1965-10-01 1967-06-20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Oleaginous compositions containing sludge dispersants
GB1244435A (en) * 1968-06-18 1971-09-02 Lubrizol Corp Oil-soluble graft polymers derived from degraded ethylene-propylene interpolymers
AU498559B2 (en) * 1975-06-25 1979-03-15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Lubricating oil concentrate
CA1088694A (en) * 1975-07-31 1980-10-28 Robert L. Stambaugh Polyolefin grafted with polymers of nitrogen containing monomers and lubricants and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4132661A (en) * 1976-09-13 1979-01-02 Texaco Inc. Lubricating oil additives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GB1578049A (en) * 1976-12-29 1980-10-29 Texaco Development Corp Succinimide derivatives of a copolymer of ehtylene and propylene
US4169063A (en) * 1977-03-11 1979-09-25 Shell Oil Company EPR dispersant VI improver
US4171273A (en) * 1977-03-14 1979-10-16 Texaco Inc. Fatty alkyl succinate ester and succinimide modified copolymers of ethylene and an alpha olefin
US4144181A (en) * 1977-04-29 1979-03-13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olymeric additives for fuels and lubricants
US4137185A (en) * 1977-07-28 1979-01-30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Stabilized imide graft of ethylene copolymeric additives for lubricants
US4160739A (en) * 1977-12-05 1979-07-10 Rohm And Haas Company Polyolefinic copolymer additives for lubricants and fuels
US4320019A (en) * 1978-04-17 1982-03-16 The Lubrizol Corporation Multi-purpose additive compositions and concentrates containing same
US4219432A (en) * 1979-02-14 1980-08-26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Stabilized amide-imide graft of ethylene copolymeric additives for lubricants
GB2055852B (en) * 1979-07-03 1983-11-02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Ethylene copolymers
US4505834A (en) * 1980-10-27 1985-03-19 Edwin Cooper, Inc.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ntaining graft copolymer as viscosity index improver-dispersant
US4516104A (en) * 1981-05-06 1985-05-07 The Boeing Company Coil assembly for hot melt induction heater apparatus
US4517104A (en) * 1981-05-06 1985-05-14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Ethylene copolymer viscosity index improver-dispersant additive useful in oil compositions
US4707285A (en) * 1981-06-29 1987-11-17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Haze-free polymer additives for fuels and lubricants
US4540753A (en) * 1983-06-15 1985-09-10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Narrow MWD alpha-olefin copolymers
US4557847A (en) * 1983-11-21 1985-12-10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Ethylene copolymer viscosity index improver-dispersant additive useful in oil compositions
CA1264880A (en) * 1984-07-06 1990-01-23 John Brooke Gardiner Viscosity index improver - dispersant additive useful in oil compositions
US4632769A (en) * 1984-12-07 1986-12-30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Ethylene copolymer viscosity index improver-dispersant additive useful in oil compositions
US4640788A (en) * 1985-04-29 1987-02-03 Texaco Inc. Hydrocarbon compositions containing polyolefin graft polymers
US4699723A (en) * 1986-08-20 1987-10-13 Texaco Inc. Dispersant-antioxidant multifunction viscosity index improver
US4764304A (en) * 1986-09-25 1988-08-16 Texaco Inc. Hydrocarbon compositions containing polyolefin graft polymers
US4803003A (en) * 1987-06-16 1989-02-07 Exxon Chemical Patents Inc. Ethylene copolymer viscosity index improver dispersant additive useful in oil compositions
US4804794A (en) * 1987-07-13 1989-02-14 Exxon Chemical Patents Inc. Viscosity modifier 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002566A (pt) 1991-08-20
EP0400867A1 (en) 1990-12-05
KR0137932B1 (ko) 1998-04-28
CA2015059A1 (en) 1990-11-30
CA2015059C (en) 1999-01-26
MX20539A (es) 1993-06-01
US5167848A (en) 199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8322A (ko) 그래프트된 점도 지수 개선제
JP2941392B2 (ja) 分散作用を有する粘度指数改善剤及びその製法
KR950704455A (ko) 윤활유 조성물에 유용한, 혼합된 에틸렌 알파 올레핀 공중합체 다작용성점도 개질제(mixed dthylene alpha olefin copolymer multifunctional viscosity modifiers useful in lube oil compositions)
US4073737A (en) Hydrogenated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and when desired a vinyl aromatic monomer are useful as oil additives
US4608411A (en) Grafted ethylene polymers usable more especially as additives for inhibiting the deposition of paraffins in crude oil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oils and said additives
US4707285A (en) Haze-free polymer additives for fuels and lubricants
HU217577B (hu) Üzemanyag- és kenőanyag-adalékokként alkalmazható kopolimerek és aminokkal képzett származékaik, előállításuk, alkalmazásuk és ezeket tartalmazó üzem- és kenőanyagok
US3142664A (en) Oil soluble copolymer of a nu-vinyl pyrrolidinone and an alkyl ester of an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KR910021470A (ko) 신규의 에틸렌 알파-올레핀 중합체 치환된 모노- 및 디카복실산 분산제 첨가제
CA1184554A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EP0204587B1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US2992987A (en) Lubricating oil additive concentrate
US5264140A (en) Antioxidant-dispersant VI improver additive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4891145A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CA2020104A1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fluidity of mineral oils and mineral oil distillates
GB1480909A (en) Combination of asphaltenes with flow polymers to the flow properties of high boiling fuel oils
KR19980702903A (ko)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의 말단 비닐기를 갖는올리고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및 이것의 친핵제와의 반응 생성물
US6258761B1 (en) Lubricating oil additives
KR890000644A (ko) 오일 조성물에 유용한 안정화 그래프트화 에틸렌 공중합체 첨가제
US3052657A (en) Sulfur-containing polymers and lubricants containing them
AU770789B2 (en) Lubricating oil additives
US4990274A (en) Flowable graft and derivatized polymer concentrate and lubricant containing same
AU745243B2 (en) Nitrogen-containing dispersant-viscosity improvers for lubricating oils
US4070295A (en) Sulfone copolymeric additive for hydrocarbon oils
KR900018323A (ko) 개선된 저온 점성을 나타내는 다작용성 점도 지수 개선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