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170Y1 - 누름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1170Y1
KR900011170Y1 KR2019880001998U KR880001998U KR900011170Y1 KR 900011170 Y1 KR900011170 Y1 KR 900011170Y1 KR 2019880001998 U KR2019880001998 U KR 2019880001998U KR 880001998 U KR880001998 U KR 880001998U KR 900011170 Y1 KR900011170 Y1 KR 900011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liders
cam groove
cor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1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518U (ko
Inventor
아끼라 니이누마
히데노리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1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1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herein the switch has means for limiting the number of operating members that can concurrently be in the actuated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 H01H13/56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the contact also returning by some external action, e.g. interlocking, protection,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herein the switch has means for limiting the number of operating members that can concurrently be in the actuated position
    • H01H13/7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herein the switch has means for limiting the number of operating members that can concurrently be in the actuated position each contact se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only upon actuation of another of the operating memb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누름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한실시예인 누름스위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누름스위치의 상케이를 제거한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누름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누름스위치의 하트형 캠홈의 평면도.
제5도는 상기 하트형캠의 단차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케이스 1a : 스프링수납부
1b : 연통홈 2 : 상케이스
2a, 2a' : 투공 3, 3' : 스프링
4 : 제1슬라이더 4' : 제2슬라이더
4a, 4a' : 접동공 4b, 4b' : 조작캠
5, 5' : 압축스프링 6 : 제1코어
6' : 제2코어 6a, 6a' : 스프링받침부
6b, 6b' : 조작돌부 7, 7' : 클립편
8, 8' : 고정접점 9, 9' : 판스프링
9a, 9a' : 누름편 10, 10' : 구동편
11' : 제1구동판(동시 록크방지체) 12 : 제2구동판(동시 록크방지체)
11a, 12a : 제 1사면(캠면) 11b, 12b : 제2사면
13 : 하트형 캠홈 14 : 제1캠홈
15 : 제2캠홈
본 고안은 누름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허 인접하는 2개의 슬라이더중에서 한쪽 슬라이더가 비록크 상태에 있는 경우에 다른쪽 슬라이더가 누름조작에 의하여 록크와 해제를 반복하는 단동동작을 행하고, 한쪽 슬라이더가 록크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쪽 슬라이더는 록크상태해 있는 슬라이더를 해제함과 동시에 자신은 록크되어 연동동작을 행하고, 또한 2개의 슬라이더가 동시에 눌려지는 경우에는 양자의 동시 록크를 저지하는 소위 동시 록크방지 기능이 붙은 연단동형(連單動形)외 누름스위치애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연단동 스위치에서 통상 하트형의 캠홈과 이 캠홈내를 트레이스하는 구동핀에 의하여 누름록크기구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특개소 61-47027호에 기재된 누름 스위치에서는 한쌍의 슬라이더에 구동핀을 요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케이스의 내측벽에 한쌍의 하트형캠홈을 형성한 캠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캠판의 각 구동핀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각 슬라이더를 누르면 각각의 구동핀이 대응하는 캠홈내를 트레이스하여 누름록크(단동)가 행하여지고 한쪽의 슬라이더가 록크상태에 있을때에 다른쪽 슬라이더를 누르게 되면 눌러진 쪽의 구동핀이 록크됨과 동시에 그 구동편애 의하여 캠판이 회전되어 이전에 록크상태에 있던 상대측 슬라이더가 해제(연동동작) 상태로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연단동 스위치에 있어서, 동시 록크 방지기능이 필요한 정부는 상기 공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통상은 8개의 슬라이더 사이에 이들 슬라이더의 왕복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가능한 동시 록크방지판을 배설하고, 이동시 록크방지판에 의하여 양 슬라이더가 동시에 록크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즉, 한쪽의 슬라이더만을 누르게되는 단동동작에 있어서는 상기 동시 록크방지판은 한쪽의 슬라이더에 눌려져서 다른쪽의 슬라이더 방향으로 이동하나, 양슬라이더가 동시에 눌려지면 상기 동시 록크방지판은 그 양단이 양슬라이더의 일부와 당접하므로서 이들 슬라이더의 누름을 저지하고, 다시말해 2개의 회로가 동시에 변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누름스위치에 있어서는 캠판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핀과 캠홈의 록크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해제시에 캠홈의 록크용 단부가 구동핀의 선단과 강하게 당접하고 캠홈이 변형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단동동작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록크용 단부를 깊게할 필요가 있으나 그 경우에는 록크해제시에 캠판의 회전각도를 크게하지 않으면 않되므로 캠판이 회동되기 위한 전용공간이 넓어져서 소형화가 저해되고. 반대로 캠판의 회전각도를 작게하면 상기 단동동작이 불확실하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동시 록크방지 기능을 갖게하는 경우 누름록크 기구외에 동시 록크방지판이 필요해지고 이점에서 소형화에 불리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확실한 단동동작을 실현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 록크방지 기능이 붙은 누름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스에 왕복동 가능하게 배설되는 복수의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측면에 마련된 하트형 캠홈과가 이 하트형캠홈과 형동하여 상기 각 슬라이더를 누름위치로 록크하는 구동핀과 인접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왕복동구간에 이동가능하게 배설되는 동시 록크방지체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슬라이더가 상기 동시 록크방지체의 양단에 각각 인접되므로서 이들 슬라이더의 동시 록크가 방지되도록 되어 있는 누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더에 그 왕복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동가능한 코어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코어의 일단면에 상기 하트형 캠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동시 륵크방지체의 양단에 상기 코어의 타단과 당접하여 이것을 구동하는 캠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한쪽 슬라이더가 비록크 상태에 있을 때에 다른쪽 슬라이더를 누르면 이 눌려진 슬라이더는 구동편이 코어 단독 또는 코어와 슬라이더에 의해 형성된 하트형 캠홈을 트레이스 하므로서 확실한 누름록크(단동동작)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한쪽의 슬라이더가 록크상태에 있을 때에 다른쪽 슬라이더를 누르면 이 눌러진 쪽의 슬라이더는 상술과 같이 누름록크되나, 이와 동시에 슬라이더가 동시 록크방지체를 통해서 상대측의 슬라이더에 구비되는 코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때까지 하트형캠홈의 록크용 단부에 걸러져 있던 구동핀이 단부로부터 벗겨지고 연동동작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양슬라이더를 동시에 누른 경우 동시 록크방지체의 양단이 양슬라이더의 일부와 당접하기 때문에 이 슬라이더를 록크 위치까지 누를수가 없는 상태로 동시 록크방지 동작이 행해진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에 의거 도면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누름스위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상케이스를 제거한 누름스위치의 평면도, 제3도는 누름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하트형 캠홈의 평면도, 제5도는 하트형 캠홈의 단차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1은 상단을 개방한 하케이스, 2는 상면에 2개의 투공(2a)(2a')을 가진 상케이스이고, 이들 케이스(1)(2)는 스냅결합되어 누름 스위치의 외각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케이스(1)(2) 내에는 소정외 간극을 두고 제1 및 제2의 스위치 유니트가 내장 되어있다. 양스위치 유니트는 동일구성이므로 이하 제1의 스위치 유니트에 대하여 그 구성을 설명한다.
제2의 스위치 유니트에 대해서는 대용하는 부재의 부호에 대시(dash)를 붙이고 설법을 생략한다. 즉 상기 하케이스(1)내에는 스프링(3)을 통해서 제1슬라이더(4)가 상하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고 이 제1슬라이더(4)의 상부는 상기 투공(2a)을 삽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의 슬라이더(4)의 하부에는 그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동공(4a)이 형성되고 이 접동공(4a)의 한쪽의 개구단 하방에는 V자형의 조작캠(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동공(4a)내에는 상면에 스프링받침부(6a)가 돌출하는 제1코어(6)가 압축스프링(5)을 통해서 접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이 스프링받침구(6a)에 의하여 제1코어(6)의 접동방향의 일단에는 조작돌부(6b)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후술하는 하트형캠홈의 일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더(4)의 하부에는 상기 접동공(4a)을 걸쳐서 한쌍의 클림편(7)이 부착되고, 이들 클립편(7)은 하케이스(1)에 병설한 복수의 고정단자(8
)를 선택적으로 협지한다.
한편, 상기 하케이스(1)의 내측면에는 스프링수납부(la)가 형성되며, 이 스프링수납부(13)내에는 탄성판을 절곡 가공한 판스프링(9)이 보전되어 있다. 이 판스프링(5)에는 ㄷ자형 구핀(10)의 상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핀(10)은 판스프링(9)에 형성된 누름편(9a)에 의하여 상기 제1의 슬라이더(4) 방향으로 힘을 받음과 동시에 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을 받는다. 그리고 구동핀(10)의 상단을 상기 제1슬라이더(4)의 측면에 형성된 도피홈(4c)내에 위치하고, 그 하단은 상기 제1코어(6)의 일단과 제1슬라이더(4)의 하부측면에 연속 형성된 후술하는 하트형 캠홈과 걸어 맞추어진다.
이상의 제1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설명이나 상기와 같이 이 제1스위치 유니트 및 제1스위치유니트와 동일구성인 제2스위치유니트가 상기 하케이스(1)내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배설된다. 그리고 하케이스(1)의 일측면 내방에는 양스위치유니트를 연통하는 연통흠(1b)이 형성되고, 이 연통흠(1b)내에는 제1및 제2의 구동판(11)(12
)이 접동가능하게 배설된다. 이들 구동판(11)(12)은 박육부(薄肉部)와 후육부(厚肉部)가 다른 단부(l1c)(12c)를 통해서 연속형성한 형상을 가지며, 각 후육부가 하케이스(1)의 육변(肉壁)과 대면하도록 조합되고 각각의 후육부의 끝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의 사면(l1a)(12a)이, 그리고 각각의 박육부의 끝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끝이 좁혀진 제2사면(11b)(12b)과 낚시형의 걸림부(11d)(12d)가 형성된다.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1구동판(11)의 제1사면(11a)은 제2코어(6')의 조작돌부(6a')와 제2사면(11b)이 제1슬라이더(4)의 조작캠(4b)과 각각 대향하고 또한 제2의 구동판(12)의 제1사면(12a)은 제1코어(6)의 조작돌부(6a)와 제2사면(12b)은 제2슬라이더(4')의 조작캠(4b')과 각각 대향한다.
다음 제4도 및 제5도를 이용하여 상기 하트형 캠홈의 상세를 설명한다.
제4도에 나타낸 본 실시에에 관한 하트형 캠흠(13)은 A 내지 I의 9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영역 A, B, C, G, H, I로 구성되는 제1캠홈(14)은 상기 제1및 제2의 슬라이더(4)(4')의 하부측면에 형성되고, 영역 D, E, F로 구성되는 제2캠홈(15)은 상기 제1및 제2코어(6)(6')의 끝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 캠홈(14)(15)은 양코어(6)(6')가 이동에 의하여 상대적인 높이가 변화하나 양코어(
6)(6')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각 영역 A ∼ I의 높이는 제5도에 나타낸 관계를 가지며, 이 경우 영역 I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이에 대해 양코어(6)(6')가 구동되면 영역 D, E, F로 된 제2캠흠(15)이 제5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하여 영역 E가 영역 I보다도 높은 위치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은 이하와 같다.
제2슬라이더(4')가 록크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제1슬라이더(4)를 스프링(3
)에 대항하면서 누르게 되면 구동핀(10)과 하트형 캠홈(15)의 상대위치가 변화하고, 구동핀(10)의 하단이 판스프링(3)을 요동지점으로 하여 하프형캠홈(15)내를 트레이스 한다. 즉 제4도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슬라이더(4)가 비압압 상태에 있을 때 구동핀(10)은 제1슬라이더(4)에 형성되어 있는 제1캠홈(14)의 영역 A와 걸어맞춰지고 제1슬라이더(4)를 누르면 이 구동핀(10)은 영역 A(평탄면)로부터 영역 B(상향경사면) 및 영역 C(평탄면)를 경유한 후에 제1코어(6)에 형성된 제2캠홈(15)의 영역 D(평판면)를 경유하여 영역 E(평탄면)에 도달한다.
이 경우 영역 E는 그 하방의 영역 I(평탄면)에 대하여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1의 슬라이더(4)는 구동핀(10)이 당해 위치에서 하트형 캠홈(15)과 걸어 맞추어지므로서 록크된다. 이 록크상태로부터 제1슬라이더(4)를 약간 누르게되면 구동핀(10)은 영역 E로부터 영역 F(평탄면)로 이행하고. 그 후에 스프링(3)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슬라이더(4)가 상승하면 구동핀(10)은 영역 G(상향경사면) 및 영역 H(평탄면)을 경유하여 영역 A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제1슬라이더(4)가 왕복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양클립편(7)과 각 고정접점(8)과의 접촉상태가 변화하여 스위치의 변환이 행하여지고 누름록크(단동동작)가 행해진다. 이것과는 역으로 제1슬라이더 (4)가 록크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제2슬라이더(4')를 누르면 상기와 전혀 동일하게 되어 제2슬라이더(4')의 누름록크가 행하여진다.
이상은 2개의 슬라이더 (4)(4')중의 한쪽이 록크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나, 예를 들어 제1슬라이더(4)가 누름위치에 록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슬라이더(4')를 누르면 제2슬라이더(4')의 조작캠(4b')이 제2구동판(12)의 제2사면(12b)과 당접되어 이것을 제2도의 화살표 X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때문에 제2구 동판(12)의 제1사면(12a)이 제1코어(6)의 조작돌부(6b)와 당접하고 이 제1코어(5)가 압축스프링 (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구동핀(1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하여 제1코어(6)가 구동되면 제1슬라이더 (4)에 형성되어 있는 제1캠홈(14)의 영역 I에 대하여 제1코어(6)에 형성되어 있는 제2캠홈(15)의 영역 E가 돌출된 상태로 되고, 영역 I와 영역 E의 사이의 단차에 의하여 걸어 멈추어져 있던 구동핀(10)이 해당 단차로부터 벗어나서 제1슬라이더(4)는 스프링(3)에 의하여 상방으로 복귀하여 록크상태가 해제된다. 이 경우. 제1구동판(11)의 제2사면(11b)은 제1슬라이더(4)의 조작캠(4b)으로부터 이탈되어 있기 때문에 제1구동판(11)에 의한 제2코어(6')의 구동이 없어지고 따라서 제2슬라이더(4')는 누름위치에서 록크된다. 이것은 역으로 제2슬라이더(4')가 누름위치에 록크된 상태에서 제2슬라이더(4)를 누르면 이 제1슬라이더(4)의 조작캠(4b)과 제2사면(11b)과의 당접에 의하여 제1구동판(11)이 제2도의 화살표 Y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이 제1구동판(11)의 제1사면(11a)에 의하여 제2코어(6')가 구동되어 제2슬라이더(4')의 록크가 해제된다.
이 경우에도 제2구동판(12)에 의한 제1코어(6)의 구동은 없으므로 제1슬라이더(4)는 누름위 치에서 록크되고, 연동동작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1 및 제2의 슬라이더(4)(4')를 동시에 누르면 상기와 같이 제1구동판(11)은 제2사면(11b)이 조작캠(4b)에 의해 눌려져서 제2도의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구동판(12)은 제2사면(12b)이 조작캠(4b')에 의하여 눌려져서 동호의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하나, 이들 구동판(11)(12)은 자신의 걸어맞춤부(11d)(12d)가 상대측의 단이 다른부(11c)(12c)에 당접되므로서 소정의 길이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어 그 이상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양 슬라이더(4)(4')는 그 왕복도중에서 이들 구동관(1
1)(12)에 의하여 누름동작이 저지되고, 다시 말해서 각각의 구동핀(10)(10')이 하트형캠홈(13)의 록크형 단차에 걸려 멈춰지기전에 왕동이 저지되고 양슬라이더(4)(
4')의 동시 록크가 방지된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각 슬라이더에 내장한 코어에 의하여 구동핀의 걸어멈춤과 해제를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하트형 캠홈의 록크용단차를 충분한 치수로 설정할 수가 있으며, 안정된 단동동작이 실현된다.
그리고 연동동작은 록크상태에 있는 한쪽슬라이더의 코어를 구동판을 통해서 다른쪽 슬라이더에 의해 구동하므로서 행하여지기 때문에 구동판의 영상이나 크기를 적의하게 변경하므로서 양슬라이더의 배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가 있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로 이동가능하게 조합된 제1 및 제2의 구동판에 의하여 동시 록크방지체를 구성하기 때문에 단동동작시에는 압압되지 않는쪽의 슬라이더에 대응하는 구동판을 자유로운 상태로 보전할 수가 있으며, 다시말하면, 동시 록크방지체에 필요한 4개의 사면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하트형캠홈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제4도에 나타낸 영역 E를 코어로 형성하고, 그 이외의 영역은 슬라이더로 형성하거나 또는 하트형 캠홈의 전영역을 코어로 형성하고, 이 코어를 제1 또는 제2구동판을 거쳐서 구동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에에서는 동시 록크방지체를 제1 및 제2구동판에 의하여 구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구동판을 일체화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인접하는 슬라이더에 하트형캠홈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갖는 코어를 각각 접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들 코어를 각 슬라이더 사이에 배설한 동시에 록크방지체의 정변에 의하여 구동하는 것이므로 하트형캠홈내를 구동핀이 트레이스 하므로서 확실한 누름록크가 실현됨과 동시에 한족의 슬라이더가 동시 록크방지체를 통해서 다른쪽 슬라이더의 코어를 구동하므로서 서로 상대측의 슬라이더의 록크상태가 해제되고, 또한 동시 록크 방지체에 의하여 양 슬라이더가 동시에 록크되는 것도 방지되고, 따라서 소형화를 저해하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단동동작을 행할 수가 있으므로 동시 록크방지기구가 붙은 누름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케이스에 왕복동 가능하게 배설되는 복수의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측면에 설치한 하트형 캠홈과 이 하트형캠홈과 협동하여 상기 각 슬라이더를 누름위치에 록크하는 구동핀과, 인접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왕복동 구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는 동시 록크방지체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슬라이더가 상기 동시 록크방지체의 양단에 각자 압전 하므로써 이들 슬라이더의 동시 록크가 방지되도록 되어있는 누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더에 그 왕복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동가능한 코어클 설치함과 동시에, 이 코어의 일단면에 상기 하트형 캠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동시 록크 방지체의 양단에 상기 코어의 타단과 당접하여 이것을 구동하는 캠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스위치.
KR2019880001998U 1987-06-01 1988-02-15 누름 스위치 KR9000111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083187U JPH055625Y2 (ko) 1987-06-01 1987-06-01
JP62-83187 1987-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518U KR890001518U (ko) 1989-03-18
KR900011170Y1 true KR900011170Y1 (ko) 1990-12-20

Family

ID=1379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1998U KR900011170Y1 (ko) 1987-06-01 1988-02-15 누름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27087A (ko)
JP (1) JPH055625Y2 (ko)
KR (1) KR900011170Y1 (ko)
DE (1) DE3818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9238A (en) * 1992-08-20 1994-11-29 Alps Electric Co., Ltd. Spring-return switch
JP2604910Y2 (ja) * 1993-12-31 2000-06-12 東洋電装株式会社 プッシュ・プッシュスイッチのロック構造
US6326572B1 (en) * 2000-09-02 2001-12-04 Tsung-Mou Yu Push-button switch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2029A (en) * 1981-07-28 1983-07-05 Indak Manufacturing Corp. Push button switch having latching spring arm molded on plastic casing
JPS60170931U (ja) * 1984-04-20 1985-11-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プッシュスイッチ
US4584897A (en) * 1984-12-21 1986-04-29 Itt Corporation Release mechanism in key assembly
JP3139183B2 (ja) * 1992-11-04 2001-02-2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排気再循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518U (ko) 1989-03-18
JPS63194430U (ko) 1988-12-14
DE3818522A1 (de) 1988-12-22
US4827087A (en) 1989-05-02
JPH055625Y2 (ko) 199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9267Y2 (ko)
US4747790A (e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EP1837953A1 (en) Card connector
US968572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4085990A (en) Longitudinally actuated zero force connector
KR20030057398A (ko) 카드용 커넥터의 이젝터 기구
US3315212A (en) Connector assembly
US5791920A (en) PC card electrical connector
CN1139956C (zh) 按钮开关
DE3229280C2 (ko)
US20040266237A1 (en) Card connector having an eject lever with a swingable locking member mounted thereto
KR900011170Y1 (ko) 누름 스위치
DE60316460T2 (de) Speicherkartenverbinder
US20020020618A1 (en) Switch device
JPS63301474A (ja) カ−ドコネクタ
US4795860A (en) Push switch
JPH055624Y2 (ko)
US979997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2002237229A (ja) キー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US20050095886A1 (en) Card connector having an eject mechanism easy to operate and assuring reliable movement
KR840002749Y1 (ko) 록(lock)식 푸시버튼 스위치
JPH07153525A (ja) 離脱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JPH0353755B2 (ko)
JP2974021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392847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