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071Y1 -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 - Google Patents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1071Y1
KR900011071Y1 KR2019870017664U KR870017664U KR900011071Y1 KR 900011071 Y1 KR900011071 Y1 KR 900011071Y1 KR 2019870017664 U KR2019870017664 U KR 2019870017664U KR 870017664 U KR870017664 U KR 870017664U KR 900011071 Y1 KR900011071 Y1 KR 900011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lever
bimet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688U (ko
Inventor
유우지 사꼬
하루히꼬 이또
미네오 사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8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6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1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5/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power reset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 H01H83/2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the other condition being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 H01H83/223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the other condition being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with bimet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01H2071/084Terminals;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for avoiding decalibration of trip unit, e.g. bimetal, when fixing conductor wire to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2071/109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with provisions for selecting between automatic or manual reset

Landscapes

  • Breaker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의 커버를 해탈한 경우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절단선 U-U로 절단한 경우의 U-U선 단면도.
제3도는 동일하게 제1도의 절단선 V-V로 절단한 경우의 V-V선 단면도.
제4도는 동일하게 제1도의 절단선 W-W로 절단한 경우의 W-W선 단면도.
제5도는 동일하게 제1도의 절단선 X-X로 절단한 경우의 X-X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에서 사용한 과열소자 부분의 평면 및 정면 및 좌우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에서 사용한 상개접점 및 리세트 장치 부분의 부품 분해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에서 사용한 상개접점 및 반전기구부분의 부품 분해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에서 사용한 제1레버 및 제2레버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의 배면도.
제11도는 종래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의 커버를 해탈한 경우의 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절단선 A-A로 절단한 경우의 A-A선 단면도.
제13도는 동일하게 제11도의 절단 B-B로 절단한 경우의 B-B선 단면도.
제14도는 동일하게 제11도의 절단선 C-C로 절단한 경우의 C-C선 단면도.
제15도는 종래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에서 사용한 가동접촉자의 사시도.
제16도는 종래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에서 사용한 가동레버의 사시도.
제17도는 종래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에서 사용한 반전기구의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55 : 레버지지부재
56 : 가동접촉자 60 : 가동측단자
61 : 접촉스프링
본 고안은 모우터등을 과부하에 의한 소손사고로부터 모호하는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동작기구 부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1도에서 제17도는 종래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1도는 커버(2)를 해탈한 경우의 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절단선 A-A에서 절단한 경우의 A-A단면도, 제13도는 동일하게 제11도의 절단 선 B-B에서 절단한 경우의 B-B 단면도, 제14도는 동일하게 제11도의 절단선 C-C에서 절단한 경우의 C-C단면도, 제15도는 가동접촉자, 제16도는 가동레버 제17도는 반전기구의 요부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케이스, 2는 커버이다.
3은 각조마다 설치된 바이메탈이며 주회로전류가 흘러서 발열하는 히터(4)가 두루감겨 있으며 그 히터(4)에 의하여 가열되어 제11도에 도시된 파선과 같이 만곡 변형한다.
부하측 주회로단자(5)는 그 설부(舌部) (5a)에 바이메탈(3)의 상단을 접합 고정하고 있다.
또 부하측 주회로단자(5)는 나사(6)에 의하여 케이스(1)에 고정되어 있고 그 일단(5b)에는 부하측주회로(외부회로) 접속용의 단자나사(7)가 착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3)의 하단에서 히터(4)의 하단부(4b)가 용접등의 수단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측 주회로단자(40)는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40a)에는 히터(4)의 상단부(4a)가 용접등의 수단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전원측 주회로단자(40)의 좌단부(40b)는 전자접촉기(도시없음)등의 전원회로의 단자에 나사식 부착이 되어 있다.
연동판(8)은 각국의 바이메탈(3)의 선단에 닿아있고 바이메탈(3)의 변형동작을 전달한다.
그리고 제11도에 표시한 연동판(8)의 좌단부에서는 온도보상 바이메탈(9)의 하단부를 누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작동레버(10)는 온도보상 바이메탈(9)의 상단부를 고착하고 축(11)의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축(11)은 레버지지부재(12)에 의하여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레버지지부재(12)는 그 L자형 절곡 내측각(12a)에서 케이스(1)의 에지부(1a)에 맞닿았고 거기에서 지점지지되어 있고, 제1의 설부(2b)에서 조절나사(13)에 압지되어 맞닿게 되어 있다.
또, 제2의 설부(12c)는 판스프링(14)에 의하여 제11도에 표시한 좌방향에 가세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조절나사(13)의 상방에 설치된 조정손잡이(15)를 회전시키므로서 레버지지부재(12)는 에지부(1a)를 중심으로한 회동동작을 한다.
그리고 레버지지부재(12)에 착설된 축(11)은 제11도에 있어서 대략의 전류에 의하여 만곡하는 바이메탈(3)에 응동하는 동작전류를 조정한다.
가동접촉자(16)는 탄성 및 도전성을 가진 금속박판으로되고,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내측양부(16a)와 외측양부(16b)로된 형상으로 타발되어 내측양부(16a)의 선단과 외측양부(16b)와의 사이에는 자형 판스프링(17)이 탄압가세하도록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 가동접촉자(16)의 접점부(16c)는 상폐접점을 고정접촉자(18)와 맞닿도록 대향배치하여 상폐접점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5도에 표시한 가동접촉자(16)의 하단부(16e)는 그 구멍(16g)에 의하여 제11도에 표시한 상폐가동 측단자(19)에 밀착 고정하였다.
상폐가동측 단자(19)는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나사(20)에 의하여 케이스(1)에 고정되었다.
가동접촉자(16)의 내측양부(16a)는 제16도에 도시한 작동레버(10)의 선단부에 형성된 대략 T자형 공(10a)에 끼워져 통해 있다.
가동접촉자(16)의 외측양부(16b)의 연장된 상단부(16f)는 크로스바(21)의 좌단부에 형성된 홈(21a)에 끼워져 있다.
크로스바(21)는 케이스(1)에 의하여 제11도의 좌우방향에 이동이 자유롭게 가이드되어 있다.
상개고정접촉자(24) 및 상개가동접촉자(25)는 탄성 및 도전성을 가진 금속도판으로 되었고 제12도에 도시한 상개고정측단자(22), 상개가동측단자(23)에 각각 리베트 고정되어 있다.
상개고정접촉자(25)의 변화에서 상부선단의 배면(25a)은 크로스바(21)의 돌출편(21g)에 맞닿게 배치되었다.
리세트바(21)는 케이스(1)에 의하여 접동자재하게 지지되며 제11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통상 리세트바(26)는 에지부(26c)에서 복귀스프링(27)에 의하여 상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받아서 가세되어 상한의 정지점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때 리세트바(26)의 하부수직면(26d)은 상개 고정접촉자(24)의 배면에 설치한 곡선부(24a)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그 사면부(26a)는 리세트바(26)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곡선부(24a)를 접동압압하고 상기 고정접촉자(24)를 제11도의 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자동복귀방식으로 이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리세트바(26)를 하방으로 입하하고 전환판(30)을 제11도의 좌방향에 이동시켜 전환판(30)의 선단을 리세트바(26)에 설치된 걸림용 구멍(26b)에 삽입하고 케이스(1)의 끼워맞춤 돌출부(1b)와 전환판(30)의 저면의 끼워맞춤 오목부와를 끼워맞는 상태로하여 리세트바(26)의 상방향으로 복귀를 제지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제14도에 있어서 주회로전류는 전원측 주회로단자(40)에서 히터(4)를 통하여 바이메탈(3)을 경유하여 부하측주회로단자(5)에로 동전된다.
부하측 주회로단자(5)의 일단(5b)에 나사고착된 단자나사(7)에는 전선(도시없음)이 접속되었으며 그 선단은 전동기동의 부하(도시없음)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주회로전류는 부하전류는 부하전류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주회로전류가 히터(4) 및 바이메탈(3)에 의하여 발생하는 쥴열에 의하여 바이메탈(3)은 가열되어서 제11도에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만곡되게 된다.
상기 부하가 과전류의 상태가 되면 주회로 전류는 증대하고 제11도의 파선도에서 표시한 바이메탈(3)의 만곡은 더욱 커진다.
이 때문에 연동판(8)은 바이메탈(3)의 선단에 눌려서 제11도의 좌방향으로 이동한다.
연동판(8)이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좌단부에 눌려서 온도보상 바이메탈(9)과 작동레버(10)의 선단에 설치된 대략 T자형 공(10a)의 주위에 맞닿는 가동접촉자(16)의 내측양부(16a)도 제11도의 우측에 휘어진다.
그리고 자형 판스프링(17)의 가세력의 방향과 가동접촉자(16)의 외측양부(16b)가 원위치에 복귀하려고하는 탄력과의 관계에 의하여 결정되는 데드 포인트까지 내측양부(16a)가 휘어져서 이동한때 가동접촉자(16)는 급전하여 제11도에서 외측 양부(16b)는 좌측으로 내측양부(16a)는 우측으로 도약한다.
따라서 접점부(16c)와 상폐접점용 고정접촉자(18)와의 맞닿음에 의하여 전기적 도통을 유지하고 있던 상폐접점은 열려 차단상태가 된다.
또한 크로스바(21)는 외측양부(16b)의 상단부(16f)에 인정되어서 제11도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돌출편(21g)은 상개가동접촉자(25)를 좌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 때문에 상개가동접촉자(25)는 상개고정접촉자(24)와 맞닿아서 전기적으로 도통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폐접점을 주회로전류를 개폐하는 전자접촉기(도시없음)의 조작코일회로에 직렬로 접속하므로서 전동기 등의 부하(도시없음)가 과부하로 되었을 때에 주회로를 차단하여 보호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상개접점에 직렬로 경보램프등의 회로를 접속하므로 과부하의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가 있다.
주회로 전류가 차단되어 바이메탈(3)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 후 상기 상개, 상폐접점을 원위치에 복귀시키는데는 외부에서 수동조작에 의하여 리세트바(26)를 제11도의 하방향으로 압하하므로서 실행된다.
리세트바(26)를 수동으로 제11도의 하방향으로 복귀용 스프링(27)의 탄성력에 항거하변서 압하하면 사면부(26a)를 우방향으로 눌려서 상개고정접촉자(24)와 맞닿을 수가 있다.
이때 상개가동접촉자(25)는 크로스바(21)의 돌출편(21g)에 제11도의 우방향으로 눌려서 크로스바(21)는 우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동작하는 종래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에 있어서 상폐가동축단자(19)의 외부접속용 단자나사(90)를 배선을 위하여 조일경우에 대하여 고려한다.
이때 상폐가동축단자(19)는 단자나사(90)의 조임에 의하여 위치변화를 하지 않게 조임나사(20)로 고정되고는 있지만 단자나사(90)의 체결토오크를 감내하지 못하고 근소한 위치변환(제11도에서 조임나사(20)를 중심으로 한 회도위치변화)를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가동접촉자(16)는 그 하부(16e)에서 밀착고정등의 수단으로 상폐가동측단자(19)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가동접촉자(16)의 선단에는 상기한 근소안 위치변화가 확대된 위치변화로 연출되어 반전위치가 어긋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외부접속용 단자나사를 배선을 위하여 체결한 경우에도 동작점이 어긋나지 않은 열동식 과전류계전길은 토글기구를 구성하는 반전동작을 하는 가동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를 지점부에서 기계적으로 지지하고 전기적으로 접속상태로 하는 레버지지부재와 케이스에 고정되어서 상기 레버지지부재에 전기적으로 도통상태로하는 접촉스프링을 통하여 급전을 하는 가동축단자를 구비하도록 한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동접촉단자를 지점부에서 기계적으로 지지하고 전기적으로 접속상태로하는 레버지지부재와 가동측단자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접속을 접촉스프링을 통하여하는 것이므로 단자 배선시의 힘이 접촉스프링으로 완충되어서 내부의 토글기구의 시발점을 변경시키는 일이 없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열동식과 전류계전기를 표시한 커버(20)를 해탈한 경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 좌우측면도, 제7도는 상개접점 및 리세트장치 부분의 부품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상개접점 및 반전기구부분의 부품 분해사시도, 그리고 제9도는 제1레버 및 제2레버의 사시도를 표시한 부품의 분해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를 표시한 배변도(제5도의 Y방향 화살표로 본 도면)이다.
더우기 도면중 제11도에서 제17도와 동일부호 및 동일기호는 종래의 열동식과 전류계전기의 구성부분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상마다 설치된 바이메탈(3)은 주회로전류가 흘러서 발열하는 히터(4)에 의하여 가열되어서 제1도의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변형한다.
부하측 주회로단자(5)는 L자형이고, L자형의 일단(5b)에는 부하측주회로(외부회로) 접속용의 단자나사(7)가 나사식 착설이 되어있고 타단(5c)은 용접등의 수단으로 바이메탈 지지부재(50)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바이메탈 지지부재(50)는 설부(50a)에 바이메탈(3)의 상단을 용접등의 수단으로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합고정되어 있다.
전원측 주회로단자(40)는 제5도 및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40a)에는 히터(4)의 상당부(4a)가 용접동의 수단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었다.
전원측 주회로단자(40)의 좌단부(40b)는 전자접촉기(도시없음)등의 전원회로의 단자에 나사식 착설이 되어있다.
내열성이 있는 수지로 형성된 히터지지체(51)는 그 제1홈부(51a)에서 전원측 주회로단자(40)를 협지하므로서 고정되어 있다.
또, 제2도의 홈부(51b)와 바이메탈(3)의 상단의 접합부를 각각 협지하므로서 고정되었다.
히터 지지체(51)는 그 우단부에 형성한 원주형의 핀(51c)을 바이메탈 지지부재(50)의 상단부에 뚫은 구멍(50c)에 끼워져 있다.
히터지지체(51)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원측 주회로 단자(40), 바이메탈지지부재(50), 바이메탈(3), 히터(4)등의 주회로 및 가열소자 주변부품을 연결일체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일체화되어서 제6도와 같이 조립된 가열소자부분(52)은 케이스(1)에 수납된다.
이때 히터지지체(51)의 핀(51c)의 선단은 제5도의 Y방향의 화살표방향으로 본 도면인 제10도에 도시한 케이스(1)의 구멍(1x)에 끼워지고 이핀(51c)을 중심으로하여 회전자재한 상태에서 바이메탈(3)의 선단이 각 상에서 상호 위치가 동등해지게 조정된 후 제5도에 표시한 고착나사(6)로 바이메탈 지지부재(50)의 하단(50b)이 케이스(1)에 고정된다.
다시 제10도에 표시한 케이스(1)의 .구멍(1y)에 접착수지(53)가 충전되고 바이메탈 지지부재(50)의 각부(50d)와 구멍(1y)의 사이가 된다.
제10도에 사선부분으로 표시한 공간의 접착수지(53)가 경화하므로서 바이메탈(3)의 제1도의 회전방향의 위치는 완전하게 고정된다.
바이메탈(3)의 가열만곡동작을 전달하는 연동판(8)은 각극의 바이메탈(3)의 선단에 맞닿고 제1도의 연동판(8)의 좌단부에서 온도보상 바이메탈(54)의 하단부(54c)를 압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레버지지부재(55)는 그 하부에 1쌍의 제1지점부(55a)와 그 상부에 1쌍의 제2저점부(55b)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상폐가공접촉자(56)는 도전성 금속박판으로 되었다.
온도보상바이메탈(54)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1쌍의 에지부(54a)는 레버지지부재(55)의 제1의 지점부(55a)에 상폐가동접촉자(56)의 하부에 형성한 1쌍의 에지부(56a)는 레버지지부재(55)의 제2의 지점부(55b)에 각각 그리고 상폐가공접촉자(56)는 도전성 금속박판으로 되었다.
온도보상바이메탈(54)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1쌍의 에지부(54a)는 레버지지부재(55)의 제1의 지점부(55a)에 상폐가동접촉자(56)의 하부에 형성한 1쌍의 에지부(56a)는 레버지지부재(55)의 제2의 지점부(55b)에 각각 닿았고 온도보상 바이메탈(54) 상부에 뚫은 구멍(54b)과 상폐하동접촉자(56)에 뚫은 구멍(54b)과의 사이에 인장코일 스프링(57)이 팽팽하게 걸려 있다.
레버지지부재(55)는 그 L자형의 전곡내측각(55c)으로 케이스(1)의 에지부(1a)에 맞닿았고 거기서 지정지지되어 있고 또 그 제1설부(55d)에서 조절나사(13)에 늘려 맞닿았고, 제2의 설부(55e)는 판스프링(14)에 의하여 제1도에 있어서 좌방향으로의 가세력을 받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나사(13)의 상측에 입혀싼 조정손잡이(15)를 회전시키므로서 레버지지부재(55)는 제1도에서 케이스(1)의 에지부(1a)를 중심으로한 회동동작을 하고 온도 보상 바이메탈(54)의 하단부(54c)는 제1도의 대략 좌우방향에 위치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이메탈(3)의 가열만곡동작하는 동작전류를 변화시켜 상폐가동접촉자(56)의 동작전류를 조정할 수가 있다.
탄성 및 도전성을 가진 금속박판으로된 상폐고정접촉자(59)의 하부(59a)로 상폐고정측단자(58)에 밀착등의 수단으로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고정되어 있다.
또 그 상부에 착설된 접점(59b)은 상폐가동접촉자(56)의 상부에 설치된 접점(56c)과 대향배치되어서 이들 접점의 접촉과 열림에 의하여 상폐접점이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폐고정측단자(58)는 케이스(1)에 압입고정되어 있다.
상폐가동측단자(60)는 케이스(1)에 압입고정되었고 그 설부(60a)는 레버지지부재(55)의 제1의 설부(55d)에 착설된 접촉스프링(61)의 제1스프링부(61a)와 접촉하고 있다.
접촉스프링(61)은 탄성 및 도전성을 가진 금속박판으로 제작되었고 상폐가동측단자(60)→접촉스프링(61)→레버지지부재(55)→상폐가동접촉자(56)의 경로를 통하여 상폐접점의 가동측으로의 급전이 실행되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상개고정측단자(22) 및 상개가동측단자(23)는 케이스(1)에 압입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24) 및 상개가동접촉자(25)의 상개고정 및 가동접촉자는 어느것이나 탄성 및 도전성을 가진 금속박판으로 되었고 상기 상개고정측단자(22) 및 상개가동측단자(23)에 각각 그 우단부를 밀착고정등의 수단에 의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상개고정접촉자(24), 상개가동접촉자(25)는 각각 그 대략좌단부에 상호 대향하도록 접점(24a) 및 접점(25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점(24a)과 접점(25a)의 접촉과 열림에 의하여 상개접점이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개가동접촉자(25)는 상패접점 및 상개접점을 연동동작시키는 연동수단을 구성하는 제1레버(62)로 조작된다.
제1레버(62)는 제9도는 사시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략 Y자 형상이며 그 중앙에부의 원통부(62a)에서 케이스(1)에 설치한 돌출축(1z)에 끼워지고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레버(62)는 상기 원통부(62a)를 중심으로하여 3방향으로 연신한 제1의 완간(62b), 제2의 완간(62c) 및 제2의 완간(62d)으로 되어 있고 제1의 완간(62d)은 선단이 2개의 돌출편(62e) 및 돌출편(62f)으로 분리되어있고 이 돌출편(62e)과 돌출편(62f)으로 상폐가동접촉자(56)의 선단부분(56d)을 끼워잡고 있다. 또 제2의 완간(62c)을 선단히 돌출면(62g) 및 돌출편(62h)의 2개로 분리되어 있고 이 돌출면(62g)과 돌출편(62h)사이에 상개가동접촉자(25)의 선단이 배치되어 있다.
또 제3의 완간(62d)은 그 선단이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접곡된 표시편(62j)으로 되어 있고 이표시편(62j)이 케이스(1)의 창(1w)에 대응한 위치에 돌출되어 있다.
제1암(63b)의 선단은 돌출편(63d) 및 돌출편(63e)으로 분리되고 그 간극에는 상폐고정접촉자(59)의 선단(59c)이 끼워져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2암(63c)의 선단(63f)은 후술하는 리세트바(64)에 눌려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한 접촉스프링(61)에 설치한 제2스프링부(61b)는 상기 제2레버(63)의 제1망(63b)의 대략 중앙부를 제1도에서 좌의 방향으로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레버(63)는 돌출축(1z)을 중심으로하여 반시계방향의 가세력을 받아 케이스(1)의 스톱퍼부(1s)에서 케이스(1)와 맞닿아 정지되고 있다.
리세트바(64) 및 전환레버(65)는 리세트바 케이스(66)에 조합된 후에 케이스(1)에 착설되어 있다,
리세트바(64)는 그 양측면을 리세트바 케이스(66)의 가이드(66a) 및 가이드(66b)에 접동지지되며 제1도에 있어서 상하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 스프링 받이부(64a)와 리세트바 케이스(66)이 설치한 스프링받이부(66c)와의 사이에 복귀스프링(67)을 압축가세하여 조립되었고 리세트바(64)는 복귀스프링(67)에 의하여 상측으로 가세되어 있다.
또 리세트바(64) 하부의 제1돌기(64b)는 상개고정접촉자(24)의 상면을 압압하도록 배치하고 제2돌기(64c)는 상기 제2레버(63)의 제2암(63c)의 선단(63f)을 압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레버(65)는 장치의 접점동작후의 복귀방식을 수동복귀에서 자동복귀로 전환하기 때문에 리세트바 케이스(66)의 축공(66d)에 전환레버(65)의 선할축(65a)을 끼워넣어 조립되었고 이 축공을 중심으로하여 전환레버(65)가 희동한다.
가이드공(65c)은 전환레버(65)를 수동복귀 위치, 자동복귀 위치의 2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대략 오뚜끼형공이 되어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공(66e)에 전환레버(65)의 돌기대(65b)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우기 제1도는 수동복귀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또, 자동복귀때는 전환레버(65)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실행하고 그 선단(65c)은 상개고정접촉자(59)의 상면을 입하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있어서 주회로전류는 전원축주회로 단자(40)에서 히터(4)를 통하여 바이메탈(3), 바이메탈지지부재(50)를 경유하여 부하측 주회로단자(5)에로 흐른다.
부하측 주회로단자(5)의 L자형의 일단(5b)에 나사착설된 단자나사(7)에 의하여 전선(도시없음)이 조여붙여 접속되었으며 그 타단은 전동기등의 부하(도시없음)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주회로전류는 상기 부하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하게 된다.
주회로전류가 히터(4) 및 바이메탈(3)을 흐르므로서 발생하는 쥴열로 바이메탈(3)이 가열되고 제1도의 파선도시와같이 만곡하는 것은 종래의 예와 동일하다.
부하가 과부하상태가 되면 주회로전류가 증대하므로 제1도에 도시한 파선과 같이 바이메탈(3)의 만곡은 더욱 커지고 이 때문에 연동판(8)은 바이메탈(3)의 선단에 압압되어서 제1도의 좌방향으로 이동하다.
이 때문에 연동판(8)의 좌단부에 하단(54c)을 좌방향으로 눌린 온도보상 바이메탈(54)은 레버지지부재(55)의 제1의 지점부(55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운동에 의하여 온도보상 바이메탈(54)의 구멍(54b)은 제1도의 우측에 이동한다.
온도보상 바이메탈의 구멍(54b)과 가동접촉자의 구멍(56b)을 연결하는 직선 즉 제1도에 있어서 인장 코일스프링(57)의 축선이 상폐가 동접촉자(56)의 구멍(56b)과 레버지지부재(55)의 제2의 지점부(55b)와를 연결하는 구멍(54b)은 제1도의 우측에 이동한다
온도보상 바이메탈의 구멍(54b)과 가동접촉자의 구멍(56b)을 연결하는 직선 즉 제1도에 있어서 인장 코일스프링(57)의 축선이 상폐가동접촉자(56)의 구멍(56b)과 레버지지브재(55)의 제2도의 지점부(55b)와를 연결하는 직선을 우측에 이월하는 상태(데드포인트)까지 온도보상 바이메탈(54)이 회동한때 인장코일스프링(57)의 인장력이 상폐가동접촉자(56)를 가세하는 힘의 방향이 변경되어 상폐가동접촉자(56)는 레버지지부재(55)의 제2의 지점부(55b)를 중심으로하여 급속하게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한다.
이때 데드포인트에 도달하기까지 인장코일스프링(57)의 인장력은 상폐가동접촉자(56)를 제2의 지점부(55b)를 중심으로하여 반시계방향의 가세력이 되어 작용하여 접점(59b)과 접점(56c)과의 맞닿음을 유지하고 인장코일스프링(57)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폐고정접촉자(59)는 제1도의 좌방향으로 압압되어 제2레버(63)의 돌출면(63e)에 맞닿은 위치에서 정지한다.
즉, 상폐가동접촉자(56)는 인장코일 스프링(57)의 인장력에 의하여 토글기구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데드포인트를 초과하여 상폐가동접촉자(56)가 시계방향으로 급속회전을 하게되면 상폐고정접촉자(59)는 그 선단(59c)이 제2레버(63)의 돌출편(63d)에 맞닿은 위치까지 상폐가동접촉자(56)에 추종하고 돌출편(63d)에 맞닿은 위치에서 구속되고 그 뒤에도 상폐가동접촉자(56)는 시계방향의 회전을 하므로 접점(56c)과 접접(59b)의 접촉은 분리되어 상폐접점은 개로한다.
여기서 상폐고정접촉자(59)가 제2레버(63)의 돌출편(63e)에 맞닿은 위치에서 돌출편(63d)에 맞닿기까지 상폐가동접촉자(56)에 추종하는 치수가 상폐접점의 오버트래블치수가 되어 상폐접점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은 상폐가동접촉자(56)가 급속하게 시계방향의 회전을 하면 상폐가동접촉자(56)의 선단(56d)에 의하여 돌출편(62f)을 제1도의 우방향에 압압된 제1레버(62)는 돌출축(12)을 중심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제1레버(62)의 돌출편(62g)에 압압되어서 상개가동접촉자(25)는 변형하고 접점(25b)은 상개고정접촉자(24)의 접점(24)의 접점(24a)과 맞닿고 상계접점이 폐성된다.
상기 상개고정접촉자(24)는 탄성을 가진 금속박판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폐성후에도 제1레버(62)의 돌출면(62)의 돌출면(62g)에 압압되어서 상개가동접촉자(25)가 다함께 상축으로 더욱 변형한다.
상개고정접촉자(24)가 리세트바(64)의 제1돌기(64b)에 맞닿을때까지 변형이 진행하고 상개고정접촉자(24)가 리세트바(64)의 제1돌기(64b)에 맞닿은 위치에서 변형이 정지한다.
이 위치에서 상폐가동접촉자(56) 및 제1레버(62)의 회동동작도 정지하고 반전동작(트립)을 완료한다.
점점(24a)과 접점(25b)이 맞닿고 상개접점폐성후의 상개고정접촉자(24)의 변형량(즉, 제1도의 초기상태에 있어 상개고정접촉자(24)와 리세트바(64)의 제1돌기의 사이의 캡)이 상개접점의 오버트래블치수가 되어있고 상개접점접촉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 오버트래블 치수내에서의 상개고정접촉자(24)와 상개가동접촉자(25)의 변형동작에 의하여 접점(24a) 및 접점(25b)은 상호 제1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접합되는 동작을하여 각 접점표면의 티끌, 먼지, 산화물등을 제거하도록 작용하고 상개접점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반전동작(트립)을 완료한상태에 있어서는 제1레버(6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제3의 완간(62d)도 좌측으로 회동하고 있고 그 선단의 표시편(62j)은 제1도의 초기상태에서는 케이스(1)의 창(1w)을 통하여 외부에서 볼수 있게 되었지만 반전동작 완료후는 케이스(1)의 벽(1v)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된다.
즉, 표시편(62j)이 케이스(1)의 창(1w)을 통하여 외부에서 보일때는 반전하고 있는 상태(리세트상태)보이지 않을때는 반전동작 완료상태(트립)를 표시한 것이 되고 표시편(62j)은 동작표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이 표시편(62j)은 동작표시기능외에 테스트트립 조작부분의 기능을 함께가지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과전류계전기가 과부하에 의한 반전동작을 한때 상폐및 상개 접점이 외부회로에 접속되어서 소요의 작동을 하는지 여부를 첵크하는 테스트트립의 경우 주회로전류를 흐르는 일없이 접점만 동작시킬수가 있다.
다음은 본 실시예의 열동식과 전류계전기의 테스트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의 초기상태에 있어서 케이스의 창을 통하여 표시편(62j)을 제1도에서 좌방향에 인위적으로 외부에 이동시킨다.
이 작동에 의하여 제1레버(62)는 반시계방향의 회동을 하지만 이 회동에 의하여 제1레버(62)의 돌출편(62e)은 상폐가동접촉자(56)의 선단(56d)을 제1도의 우방향에 압압한다.
그리고 상폐가동접촉자(56)의 구멍(56b)이 레버지지부재(55)의 제1의 지저부(55a)와 제2의 지점부(55b)를 연결하는 직선에서 우측으로 될 때까지 이동한때 인장코일스프링(57)에 의한 힘방향이 급격하게 반대방향이 되어 상폐가동접촉자(56)가 급속하게 시계방향에 회전한다.
상술한 반전동작과 동일한 상폐가동접촉자(56)의 회동동작 제1레버(62)의 회동동작을하여 상폐가동접촉자(56)가 반전동작(드립)을 완료한다.
그리고 반전동작완료상태에 있어서 리세트커버(64)를 제1도의 하방향에 수동으로 복귀스프링(67)의 탄성력에 항거하여 압하한다.
이 작동에 의하여 리세트커버(64)의 제1의 돌기(64b)가 상개고정접촉자(24) 상개가정접촉자(25)를 개재하여 제1레버(62)의 돌출편(62g)을 제1도의 하측에 압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레버(62)는 돌출축(1z)을 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돌출편(62f)에 압압되어 상폐가 가동접촉자(56)는 좌로이동한다.
그리고 상폐가동접촉자(56)의 구멍(56b)이 레버지지부재(55)의 제1의 지점부(55a)와 제2의 지점부(55b)를 연결하는 직선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때 인장코일스프링(57)에 의한 상폐가동접촉자(56)의 가세력이 시계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여 상폐가동접촉자(56)는 급속하게 제1도의 초기상태에 복귀하도록 반시계방향에 회동한다.
따라서 상폐가동접촉자(56)의 선단(56d)가 제1레버(62)의 돌출편(62e)을 압압하여 제1레버(62)는 시계방향으로 급속하게 회동하여 제1도의 초기상태(리세트상태)로 복귀하여 상개접점은 개로 되어 상폐접점은 폐로 된다.
다음에 상폐접점이 개방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의 초기상태에 있어서 리세트바(64)를 제1도의 하방에 압압하는것에 의하여 실행된다.
리세트바(64)를 복귀스프링(67)에 항거하여 하방향에 압하하면 리세트바(64)의 제2돌기(64c)가 제2레버(63)의 제2암(63c)의 선단(63f)에 맞닿아서 입하된다.
상기 제2레버(63)는 돌출축(1z)를 중심으로하여 접촉스프링(61)의 제2스프링부(61b)의 탄성력에 항거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레버(63)의 돌출편(63d)은 상폐고정접촉자(59)의 선단(59c)을 좌측으로 누른다.
이 때문에 상폐고정접촉자(59)는 좌측으로 변형한다. 이때 상폐가동접촉자(56)도 제1레버(6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위치 즉 돌출편(62g)이 케이스(1)의 정지편(1t)에 맞닿는 위치까지는 상폐고정접촉자(59)에 추종(4)의 수동압압력을 해제하므로서 리세트바(64)는 제1도에 표시한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제2레버(63)도 해제되어서 접촉스프링(61)의 제2스프링부(61b)의 가세력에 의하여 제1도의 원래상태에 복귀하여 상폐접점을 폐성된다.
고로 종래의 열동식과 전류계전기와 동일하게 상폐접점은 주회로전류를 개폐하는 전자접촉기(도시없음)의 조작코일회로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개접점은 경보램프등(도시없음)의 개폐에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열동식과 전류계전기는 토글기구를 구성하는 반전동작을하는 가동접촉자(56)의 상기 가동접촉자(56)를 지점부에서 기계적으로 지지하고 전기적으로 접속상태로하는 레버지지부대(55)와 케이스(1)에 고정되어서 상기 레버지지부재(55)에서 접촉스프링(61)을 통하여 급전을하는 가동측단자(60)와를 구비하는 것이고 만약 가동측단자(60)가 외부접속용단자 나사(100)의 회동에 의하여 위치변화가된 경우에도 접촉스프링의 제1스프링부(61a)와 가동측단자(60)는 접촉만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레버지지부재(55)위 위치변화를 발생하는 일이 없고 동작점이 변화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지극히 안정된 열동식과 전류 계전기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레버지지부재(55)는 그 끝부분에서 조정나사(13)의 회전에 의하여 희동을하여 동작전류를 조정하는 기구를 갖는 동시에 급전을 접촉스프링(61)을 통하여 가동접촉자(56)로하게 되므로 동작전류조정부분과 가동접촉자(56)의 지지부분이 공용으로 할 수 있고 부품의 계수를 감소시킬수가 있어서 저렴한 장치가 공급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판스프링에 의한 접촉스프링(61)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에는 압측코일스프링 또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동식과 전류계전기는 토글기구를 구성한 반전동작을 하는 가동접촉자와 상기가동접촉자를 지점부에서 기계적으로 지지하고 전기적으로 접속상태로하는 레버지지부재와 케이스에 고정되어서 상기 레버지지부재에 전기적으로 도통상태로 하는 접촉스프링을 통하여 급전을 하는 가동측단자와를 구비하는 것이므로 레버지지부재와 가동측단자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접촉스프링을 통하여야 하고 있고 외부접속용단자 나사를 배선을 위하여 체결고착한 경우에도 그 힘이 접촉스프링으로 완충되어서 내부의 토글기구의 시발점을 어긋나게하는 일이 없다.

Claims (2)

  1. 케이스와 주회로를 통하여 흐르는 동작전류에 응동하여 만곡변형하는 바이메탈과, 상기 바이메탈의 만곡변형에 응동하여 동작하는 토글기구를 구성하는 스프링에 의해 급전하는 가동접촉자와, 지점부로 상기 가동접촉자를 기구적으로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동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레버지지부재와, 상기 가동접촉자에 접속되고, 상기 레버지지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촉상태로하는 접촉스프링을 통해 상기 주회로에 상기 동작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가동측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동식과전류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지지부재는 그 끝부분에서 조정나사의 회전에 의하여 회동을하는 동작전류를 조정하는 기구를 보유함을 특징으로하는 열동식과전류 계전기.
KR2019870017664U 1986-10-17 1987-10-17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 KR90001107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59004 1986-10-17
JP1986159004U JPS6365936U (ko) 1986-10-17 1986-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688U KR880008688U (ko) 1988-06-30
KR900011071Y1 true KR900011071Y1 (ko) 1990-12-14

Family

ID=1568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664U KR900011071Y1 (ko) 1986-10-17 1987-10-17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88518A (ko)
JP (1) JPS6365936U (ko)
KR (1) KR900011071Y1 (ko)
DE (1) DE3735135A1 (ko)
GB (1) GB21999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40062C1 (en) * 1988-11-28 1990-05-10 Kloeckner-Moeller Elektrizitaetsgesellschaft Mbh, 5300 Bonn, De Thermal relay having bimetallic compensation
DE19636562B4 (de) * 1996-09-09 2004-08-26 Siemens Ag Thermischer Überlastschutz
US6636141B2 (en) 2001-07-10 2003-10-21 Yingco Electronic Inc. Controllable electronic switch
US7265652B2 (en) * 2001-07-10 2007-09-04 Yingco Electronic Inc. Controllable electronic switch
US7324876B2 (en) 2001-07-10 2008-01-29 Yingco Electronic Inc.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energy distribution at local sites
KR100463603B1 (ko) * 2002-02-28 2004-12-29 엘지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
JP4978681B2 (ja) * 2009-10-23 2012-07-1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熱動形過負荷継電器
DE102011078636A1 (de) * 2011-07-05 2013-01-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Überlastauslöser, insbesondere für einen Leistungsschal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50773A (ko) * 1968-11-23 1971-10-20
GB2096397A (en) * 1981-04-04 1982-10-13 Crabtee Electrical Ind Ltd Electric overload device
EP0164690B1 (en) * 1984-06-06 1989-10-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hermal-type overcurrent relay
JPH0347242Y2 (ko) * 1985-03-26 1991-1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99990A (en) 1988-07-20
DE3735135A1 (de) 1988-04-28
JPS6365936U (ko) 1988-04-30
GB8724343D0 (en) 1987-11-18
US4788518A (en) 1988-11-29
GB2199990B (en) 1991-07-17
KR880008688U (ko)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3813A (en) Circuit breaker rocker actuator switch
US4808961A (en) Thermally-sensible overcurrent protective relay including contact toggle mechanism
KR900011070Y1 (ko)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
EP3373319A1 (en) Circuit breaker with instant trip mechanism
KR900011071Y1 (ko)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
JP2809963B2 (ja) 過電流継電器
JPS59191224A (ja) 電流しや断器
US4845455A (en) Thermally-sensible overcurrent protective relay including heater holder
JPH0727750B2 (ja) 回路しや断器
US5909161A (en) Intermediate latch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2522938B2 (ja) 電気しや断器
WO2003083887A1 (fr) Relais thermique de surintensite
KR910002181Y1 (ko)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
JPH0628763Y2 (ja) 熱動式過電流継電器
KR200218834Y1 (ko) 결상 보호용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시프터와 레버 구조
US4806899A (en) Thermal circuit breaker
JPS643020B2 (ko)
JPS6339880Y2 (ko)
JPH0422528Y2 (ko)
JPS645334Y2 (ko)
JPS645333Y2 (ko)
JP2567003B2 (ja) 回路遮断器
KR200208216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대의 결합구조
JPH0222921Y2 (ko)
JPH0618101B2 (ja) 熱動式過電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