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216Y1 -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대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대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216Y1
KR200208216Y1 KR2019980015748U KR19980015748U KR200208216Y1 KR 200208216 Y1 KR200208216 Y1 KR 200208216Y1 KR 2019980015748 U KR2019980015748 U KR 2019980015748U KR 19980015748 U KR19980015748 U KR 19980015748U KR 200208216 Y1 KR200208216 Y1 KR 200208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rminal block
thermal overload
overload relay
sh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058U (ko
Inventor
최승렬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80015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21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216Y1/ko

Links

Landscapes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부하로 인한 전동기의 소손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대를 케이스내에 쉽게 조립하여 바이메탈과 연결할 수 있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열체(22)와 주바이메탈(23) 및 시프터(24)가 내장된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 케이스(25)와, 상기 보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시프터와 연동하는 온도보상 바이메탈(28)이 고정되어 시프터의 이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석방레버(27)와, 상기 석방레버의 회전운동에 따라 반전하는 반전기구(32)와, 상기 반전기구의 반전에 의해 접속 분리되는 통상 폐쇄접점 및 통상 개방접점과, 상기 반전기구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반전된 반전기구가 원위치 되도록 눌러주는 리셋버튼(43)을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주바이메탈(23)에 보스(46b)를 가진 단자 연결자(46)를 고정하고 단자대(47)에는 체결공(48)을 형성하여 상기 보스(46b)를 체결공(48)으로 끼워 고정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대의 결합구조이다.

Description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대의 결합구조
본 고안은 과부하로 인한 전동기의 소손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대를 케이스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주바이메탈과 단자대를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과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의 발열에 따라 기구적으로 작동하여 접점을 트립(Trip)시키는 개폐 기구부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구성도로서 케이스(1)의 하부에 가열체(2)와 주바이메탈(3)로 구성된 히터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에 석방레버(5)와 온도 보상 바이메탈(6) 및 조정링크(7) 등으로 구성된 개폐기구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상부에는 개폐 기구부의 작동에 따라 개리되는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체(2)는 주바이메탈(3)에 감겨져 과전류의 발생시 주바이메탈(3)에 변위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주바이메탈(3)의 일단에는 단자대(15)가 연결되어 있고 반대측 자유단(3a)에는 시프터(Shifter)(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개폐기구부는 X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석방레버(5)와, 상기 석방레버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하단부가 시프터(4)의 선단에 결합된 온도 보상 바이메탈(6)과, 상기 석방레버(5)와 X점에서 핀으로 연결되고 조정다이얼(8)의 회전에 의해 W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X점의 위치를 변화시켜 주는 조정링크(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점부는 서로 절연이 되어 다른 전위에서 사용이 가능한 통상 개방 접점과 통상 폐쇄 접점으로 구성되며, 통상 개방 접점의 가동접점은 전원을 외부로 연결하는 단자(9)와 단자에 고정된 가동판(9a) 및 가동접점(9b)으로 구성되고, 고정접점은 단자(10)와 가동판(10a) 및 고정접점(10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 폐쇄접점 가동접점은 단자(11)와 이 단자에 고정되어 석방레버(5)와의 접촉에 따라 반전하는 반전 스프링(12) 및 반전 스프링에 고정된 가동접점(12a)으로 구성되고, 고정접점은 단자(13)와 가동판(13a) 및 고정접점(1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내에는 반전 스프링(12)에 결합된 상태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구동판(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판(14)에는 통상 개방접점을 구동시키는 돌출부(14a)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는 통상 개방 접점과 통상 폐쇄접점의 개리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동작 표시편(14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기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과전류가 단자대(15)를 거쳐 주바이메탈(3)로 흐르면서 가열체(2)에 과전류가 흘러 발열하게 되고, 가열체(2)의 발열에 의해 주바이메탈(3)이 형상변화를 일으키면서 자유단(3a)이 만곡되어 시프터(4)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시프터(4)의 이동에 따라 온도보상 바이메탈(9)이 일체화된 석방레버(5)와 함께 X점을 축으로 하여 도면상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석방레버(5)가 회전을 하면 석방레버(5)의 상단부가 반전 스프링(12)의 러그부(12b)를 반전 위치까지 눌러 반전 스프링(12)이 반전되고 이때 반전 스프링(12)의 상단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통상 폐쇄 접점의 고정접점(13b)과 가동접점(12a)은 개로된다.
한편 반전 스프링(12)이 반전되면 구동판(14)의 돌출부(14a)가 이동하여 개로 상태로 위치한 통상 개방접점의 가동접점(9b)과 고정접점(10b)을 폐로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동작전류를 바꾸고자 할 때에는 동작전류의 변화에 수반하여 가열체(2)의 발열과 주바이메탈(3)의 만곡량이 변하게 되므로 석방레버(5)의 회전에 따른 반전스프링(12)의 반전위치를 변화시켜야 하는데, 이때 조정 다이얼(8)을 회전시켜주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조정링크(7)가 W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정링크(7)와 석방레버(5)의 연결점인 X점의 위치가 이동되므로 반전 스프링(12)의 반전 위치도 변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사용되어온 종래의 단자대는 도 2와 같이 단자대(15)에 주바이메탈(3)의 고정을 위한 바이메탈 용접부(15a)와 케이스(1)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16)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단자대(15)는 주바이메탈(3)과의 조립 위치의 결정을 위한 아무런 장치가 없이 주바이메탈(3)을 단자대(15)의 바이메탈 용접부(15A)에 적당히 접속시킨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하였기 때문에 단자대의 결합 위치가 정확하지 못하였고 용접작업시 열집중이 않되어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용접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단자대를 케이스에 조립할 때 체결공(16)으로 스크류를 끼워 결합하는 구조이어서 조립시간이 증가하고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용접작업이 필요없고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단자대를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대의 결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가열체와 주바이메탈 및 시프터가 내장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 케이스와, 상기 보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시프터와 연동하는 온도보상 바이메탈이 고정되어 시프터의 이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석방레버와, 상기 석방레버의 회전운동에 따라 반전하는 반전기구와, 상기 반전기구의 반전에 의해 접속 분리되는 통상 폐쇄접점 및 통상 개방접점과, 상기 반전기구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반전된 반전기구가 원위치 되도록 눌러주는 리셋버튼을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주바이메탈에 보스를 가진 단자 연결자를 고정하고 단자대에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보스를 체결공으로 끼워 고정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대의 결합구조이다.
도 1은 종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에 사용되어온 단자대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3은 본고안이 적용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구성도
도 4는 본고안에 따른 단자 연결자와 단자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케이스 21a : 홈부
21b : 돌기부 23 : 주바이메탈
46 : 단자 연결자 46b : 보스
47 : 단자대 47a : 돌출편
47b : 오목홈부 48 : 체결공
도 3은 본 고안의 반전기구가 적용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전체구성도이다.
케이스(21)내에 히터부를 이루는 가열체(22)와 주바이메탈(2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바이메탈(23)의 일단에 단자 연결자(46)가 결합되어 있으며, 주바이메탈(23)의 반대측 자유단(23a)에는 시프터(2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1)의 상부에 보조 케이스(25)가 결합되어 있고 개폐기구부와 접점부는 상기 보조케이스(25)내에 설치되어 있다.
개폐기구부를 이루는 조정링크(26)는 보조케이스(25)에 형성된 돌기(25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석방레버(27)는 상기 조정링크(26)에 형성된 돌기(26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석방레버(27)에는 온도보상 바이메탈(28)이 수직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온도보상 바이메탈(28)의 하단부는 시프터(24)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24a)의 일측에 위치되어 시프터(24)의 이동시 돌출부(24a)가 온도보상 바이메탈(28)과 접속하게 되어 있다.
상기 조정링크(26)의 상단에는 동작전류의 변환에 따라 조정링크(26)를 변위시키기 위한 조정 다이얼(29)과 미세조정 스크류(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정링크(26)는 보조 케이스(25) 내벽면에 있는 판스프링(3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석방레버(27)의 일측 끝부분은 반전기구(32)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반전기구(32)의 일측은 단자(34)에 결합되어 있고 반대측은 보조홀더(35)의 홈부분(35a)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반전기구(32)의 중앙부분에는 압축코일 스프링(33)이 결합되어 석방레버(27)의 회전동작에 따라 반전기구(32)는 반전 동작을 한다.
통상 폐쇄 가동접점(37)은 단자(36)와 결합되어 있고 통상 폐쇄 고정접점(39)은 단자(38)에 결합되어 있으며, 통상 폐쇄 가동접점(37)의 상부에는 보조홀더(35)와 일체로 형성된 누름부(35b)가 위치되어 반전기구(32)의 동작에 따른 보조홀더(35)의 승강운동에 의해 통상 폐쇄접점은 개로되거나 폐로된다.
통상 개방 고정접점(42)은 단자(41)에 결합되어 있고 리셋(Reset)버튼(43)은 보조 케이스(25)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리셋버튼(43)의 하단부는 통상 개방 고정접점(42)을 위에서 지지하고 있다.
테스트 버튼(44)은 보조 케이스(25)의 상부 중앙에 스프링(45)으로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누름 작동에 의해 석방레버(27)를 회전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연결자(46)애는 주바이메탈(23)과의 조립을 위한 복수개의 돌기(46a)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보스(46b)가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대(47)에는 상기 보스(46b)가 끼워지는 체결공(48)과 상기 케이스(21)와의 결합을 위한 돌출편(47a) 및 오목홈부(47b)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21)에는 상기 돌출편(47a)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의 홈부(21a)와 상기 오목홈부(47b)에 끼워져 결합되는 형상의 돌기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과전류가 주바이메탈의 일측에 결합된 단자대(47)와 단자 연결자(46)를 거쳐 주바이메탈(23)로 흐르면서 가열체(22)에 과전류가 흐르면 가열체(22)의 발열에 의해 주바이메탈(23)의 자유단(23a)이 만곡하여 시프터(24)가 이동을 하게 되고 시프터(24)가 이동하면 시프터(24)의 돌출부(24a)가 온도보상 바이메탈(28)의 하부 자유단에 접속하면서 온도보상 바이메탈(28)을 우측으로 밀게된다.
이렇게 온도보상 바이메탈(28)이 밀리는 힘을 받게 되면 석방레버(27)가 조정링크(26)와의 연결점인 돌기(26a)를 중심점으로 반시계 방향의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석방레버(27)의 회전에 따라 석방레버(27)의 끝단부가 반전기구(32)의 중앙부분을 반전위치까지 눌러주면 반전기구(32)가 반전하면서 보조홀더(35)의 홈부분(35a)에 끼워진 반전기구(32)의 좌측 끝단부가 시계방향의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홀더(35)는 위로 상승하면서 보조 케이스(25) 밖으로 돌출되어 계전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여 주게되고 누름부(35b)에 눌려있던 통상폐쇄 가동접점(37)이 구속상태로 부터 해제되면서 통상 폐쇄 가동접점(37)과 통상 폐쇄 고정접점(39)은 개로하게 되며, 개로 상태로 있던 통상 개방 가동접점(42)은 폐로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반전기구(32)가 반전된 상태에서 리셋버튼(43)을 눌러주면 리셋버튼(43)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통상개방 고정접점(42)을 누르게 되고 통상개방 고정접점(42)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반전기구(32)의 반전부(32b)좌측부분을 아래로 누르게 되므로 반전기구(32)와 압축코일 스프링(33) 사이에 힘의 반전이 일어나 반전기구(32)는 본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보조 케이스(25) 위로 돌출되어 있던 보조홀더(35)는 하강하게 되고 보조홀더(35)의 누름부(35b)가 통상 폐쇄 가동접점(37)을 눌러 통상 폐쇄 가동접점(37)과 통상 폐쇄 고정접점(39)이 접촉되므로 단자(36)(38)는 다시 통전 상태로 된다.
또한 동작 전류를 바꾸고자 할 때 조정 다이얼(29)을 회전시켜 주면 미세조정 스크류(30)로 고정되어 있는 조정링크(26)가 보조 케이스(25)에 형성된 돌기(25a)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여 석방레버(27)의 위치가 변화되고 이에따라 시프터(24)의 돌기부(24a)와 온도보상 바이메탈(28) 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므로 동작전류가 바뀌게 된다.
그리고 계전기의 기구적인 동작이 원활히 일어나는지 시험하고자 할 때에는 테스트 버튼(44)을 눌러주게 되는데, 테스트 버튼(44)을 누르면 석방레버(27)가 테스트 버튼(44)에 의해 눌러져 회전을 하면서 반전기구(32)를 반전시키게 되므로 계전기의 동작을 용이하게 테스트 할 수 있다.
한편 단자대(47)의 조립시 별도의 조립지그에 의해 단자 연결자(46)의 보스(46b)를 단자대(47)의 체결공(48)으로 끼운 상태로 압축하여 주면 단자 연결자(46)와 단자대(47)가 고정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단자대(47)에 형성된 돌출편(47a)과 오목홈부(47b)를 케이스(21)에 형성된 홈부(21a)와 돌기부(21b)에 각각 결합하면 단자대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용접작업을 하지 않음은 물론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단자대를 케이스내에 조립하여 바이메탈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해지고 조립시간이 단축되며, 조립용 부품이 감소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가열체(22)와 주바이메탈(23) 및 시프터(24)가 내장된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 케이스(25)와,
    상기 보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시프터와 연동하는 온도보상 바이메탈(28)이 고정되어 시프터의 이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석방레버(27)와,
    상기 석방레버의 회전운동에 따라 반전하는 반전기구(32)와,
    상기 반전기구의 반전에 의해 접속 분리되는 통상 폐쇄접점 및 통상 개방접점과,
    상기 반전기구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반전된 반전기구가 원위치 되도록 눌러주는 리셋버튼(43)을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주바이메탈(23)에 보스(46b)를 가진 단자 연결자(46)를 고정하고 단자대(47)에는 체결공(48)을 형성하여 상기 보스(46b)를 체결공(48)으로 끼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대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47)에 돌출편(47a)과 오목홈부(47b)를 형성하고 케이스(21)에는 상기 돌출편(47a)이 끼워지는 홈부(21a)와 상기 오목홈부(47b)로 삽입되는 돌기부(21b)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대 결합구조.
KR2019980015748U 1998-08-21 1998-08-21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대의 결합구조 KR200208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748U KR200208216Y1 (ko) 1998-08-21 1998-08-21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대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748U KR200208216Y1 (ko) 1998-08-21 1998-08-21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대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58U KR20000005058U (ko) 2000-03-15
KR200208216Y1 true KR200208216Y1 (ko) 2001-01-15

Family

ID=6950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748U KR200208216Y1 (ko) 1998-08-21 1998-08-21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대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2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715B1 (ko) * 2009-12-28 2011-07-29 주식회사 대륙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0489834Y1 (ko) * 2015-12-31 2019-08-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전류 계전기의 주 접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58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5020A (en) Thermal-type over load relay
KR20090087799A (ko) 열 동형 과부하 계전기
KR900011070Y1 (ko)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
KR200208216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대의 결합구조
JP6255664B2 (ja) 熱動形過負荷継電器
JP4798243B2 (ja) 熱動形過負荷継電器
KR100268014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JPWO2003083887A1 (ja) 熱動式過電流継電器
KR900011071Y1 (ko) 열동식 과전류 계전기
KR101052715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0225118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석방레버와 온도보상 바이메탈결합구조
KR20000002796U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석방레버와 온도보상 바이메탈 결합구조
KR200411508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0208215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반전기구
KR20000002797U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주바이메탈과 단자대의 결합구조
KR200241479Y1 (ko) 열동형과부하계전기의조정다이얼장치
KR200218834Y1 (ko) 결상 보호용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시프터와 레버 구조
KR200241478Y1 (ko) 열동형과부하계전기
US4670728A (en) Thermal type overload relay
KR100359843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히터 어셈블리
KR200219343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시프터_
JP3093323U (ja) 欠相保護用熱動型過負荷継電器
KR200226336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장치
KR200219342Y1 (ko) 결상 보호형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940000053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