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864Y1 - 장신구용 이어링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이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864Y1
KR900010864Y1 KR2019880009627U KR880009627U KR900010864Y1 KR 900010864 Y1 KR900010864 Y1 KR 900010864Y1 KR 2019880009627 U KR2019880009627 U KR 2019880009627U KR 880009627 U KR880009627 U KR 880009627U KR 900010864 Y1 KR900010864 Y1 KR 900010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kettle
perfume
ring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140U (ko
Inventor
박문원
Original Assignee
박문원
강연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원, 강연혜 filed Critical 박문원
Priority to KR2019880009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864Y1/ko
Publication of KR900000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1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8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2Jewellery dispersing perfum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신구용 이어링
제1도는 본 고안의 몸체를 양분으로 분리시킨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몸체 1a : 불투명몸체
2 : 지지대 2a : 고리부
3 : 결착너트 4 : 링
5 : 배기관 5a : 배구구멍
6 : 향수 7a : 발향물 수납실
8 : 발향조절노즐 9 : 고체향료
본 고안은 링중앙부에 투명의 발향수납실을 형성시킨 주전자형상의 액세서리를 지지시키며, 주전자몸체내부에는 상단부로 발향조절노즐을 결착시킨 배기구멍을 설한 배기관을 발향수납실과 연통하도록 착설하여 배기구멍의 상단부에 결착시킨 발향조절노즐에 의하여 배기구멍을 개폐조절하면서 발향수납실내에 수납된 향수의 발산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장신구용 이어링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사용하면서 사용시기와 장소 및 그 분위기에 따라서 향수의 배출량의 자유자재로 조절하면서 사용장소와 시기에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필요 적절하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향수를 넣은 투명한 주전자형상의 몸체 내에 다양한 색상의 유색향수를 넣거나 몸체를 불투명으로 하여 고체향료를 넣어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새로운 신미감을 주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멋과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게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 향수 함침물을 넣은 함침실에 발산구멍을 뚫어 배출구멍을 뚫은 내실과 연통되도록 하여 내실에는 테이퍼형 선단부가 발산구멍을 항상 막아주도록 탄발스프링으로 탄설시킨 별도의 괘지구를 결합시켜 구성시킨 것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용효과에 있어서도 괘지구의 테이퍼형 선단부가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발산구멍을 항상 막아주고 있다가 사용시에는 발산구멍이 완전히 개방되어버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발향상태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불필요하게 발향되어 수명이 짧은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결점을 적게 하기 위하여 발향수납실이 투시되도록 투명체로 형성시킨 주전자형의 몸체를 링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결합시켜 필요에 따라 향수의 발향정도를 간단조작으로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발향 수납실내에 유색향수를 넣어주므로써 투명인 몸체외부로 표현되는 유색향수에 의하여 미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전자형상의 투명몸체(1)를, 두부에 고리(2a)가 형성된 지지대(2)에 의하여 결착너트(3)로서 링(4)의 테두리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창하되, 투명몸체(1)내상에는 단부에 발향조절노즐(8)을 결착시킨 배기구멍(5a)을 설한 배기관(5)을 투명몸체(1)내부에 형성시킨 발향물수납실(7a)가 서로 연통하도록 설치하여 발향조절노즐(8)을 조절하면서 발향물수납실(7a)내에 수납한 향수(6)의 발향정도를 배기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서된 것이며,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주전자형상의 몸체(1a)를 불투명으로 하여 그 내부에 형성되는 발향물수납실(7a)내에 고체향료(9)를 수납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주전자형상의 몸체(1)(1a)의 손잡이, 11은 몸체(1)(1a)의 결합구멍, 12는 링(4)의 결합구멍, 13은 이어링의 고리줄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주전자형상의 몸체(1)(1a)를 투명이나 불투명의 재질로서 양분되게 각각 사출성형하여 발향조절노즐(8)을 결착시킨 상태의 배기관(5)이 합체되도록 접합시켜 주므로서 발향물수납실(7a)을 형성하는 주전자형상으로 완성되게 하여, 배기관(5)의 상단부에 결착시킨 방향조절노즐(8)을 탈이시켜 향수(6)를 넣은 다음, 다시 발향조절노즐(8)을 결착하여 주는 것이며, 또한 불투명재질의 몸체(1a)를 양분되게 사출 성형한 다음 양측 몸체(1a)인 경우에는 불투명재질의 주전자형상의 몸체(1a)를 접합하는 작업시에는 고체향료(9)를 수납한 상태로 배기관(5)과 함께 양측 몸체(1a)를 주전자형상으로 접합하여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주전자형상의 몸체(1)(1a)는 링(4)의 일측에 뚫은 결합구멍(12)과 몸체(1)(1a)의 손잡이(10)에 뚫은 결합구멍(11)에 고리(2a)를 설한 지지대(2)를 끼워넣어 결착너트(3)로서 결합하여 주면 되는 것으로서 사용시에는 시기와 장소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발향조절노즐(8)을 풀어주거나 잠그어주면서 몸체(1)(1a)의 내부에 형성되는 발향물수납실(7a)내에 수납되어 있는 향수(6)나 고체향료(9)의 향을 발향배기시키면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조작으로서 사용시기와 장고 및 주변분위기와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사용자의 임의대로 발향의 배기량을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투명몸체인 경우에는 다양한 색상의 유색향수를 수납하여 외관상 미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착용자)의 멋과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주전자형상의 투명몸체(1)를 링(4)의 테두리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착하되, 주전자형상의 투명몸체(1)내에 발향조절노즐(8)을 결착하는 배기구멍(5a)을 설한 배기관(5)을 공지의 발향수납실(7a)과 연통하여 일체화되도록 접합하여서된 장신구용 이어링.
KR2019880009627U 1988-06-22 1988-06-22 장신구용 이어링 KR900010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627U KR900010864Y1 (ko) 1988-06-22 1988-06-22 장신구용 이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627U KR900010864Y1 (ko) 1988-06-22 1988-06-22 장신구용 이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140U KR900000140U (ko) 1990-01-07
KR900010864Y1 true KR900010864Y1 (ko) 1990-12-08

Family

ID=1927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627U KR900010864Y1 (ko) 1988-06-22 1988-06-22 장신구용 이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8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140U (ko) 199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87190A3 (en) Two piece bioprosthetic heart valve
USD413002S (en) Combined tobacco smoking pipe bowl and receiving stem
KR900010864Y1 (ko) 장신구용 이어링
KR200490794Y1 (ko) 안정적으로 향을 발산하는 악세사리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장식구.
KR200406741Y1 (ko) 방향장식물의 방향체 결합구조
KR19990038052U (ko) 귀걸이
KR200338250Y1 (ko) 향기나는 팔찌
KR830002987Y1 (ko) 볼펜을 겸한 향(香)팔찌
KR200359069Y1 (ko) 장신구용 향기 조절장치
JP2001008720A (ja) 身廻り装飾具
KR900007053Y1 (ko) 악세사리용 향기발산구
JP3053095U (ja) 芳香体容器
KR200310407Y1 (ko)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JP3040655U (ja) ペンダントの構造
KR200200280Y1 (ko) 꽃향기 나는 조화
KR200333804Y1 (ko) 다기능 목걸이
KR200170608Y1 (ko) 라이타
KR200378679Y1 (ko) 다기능성 개폐형 펜던트
USD419917S (en) Combined jeans fly and pocket portions, and jewelry therefor
KR880000734Y1 (ko) 향수를 수장한 귀걸이
CN2039127U (zh) 芳香钮扣
KR19980022866U (ko) 향수목걸이
JP3157368U (ja) ヒーリングアクセサリー
KR860000806Y1 (ko) 조립식 단추
JPH0638628U (ja) ペンダ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