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690Y1 - 보온병용 뚜껑 - Google Patents

보온병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690Y1
KR900010690Y1 KR2019880020866U KR880020866U KR900010690Y1 KR 900010690 Y1 KR900010690 Y1 KR 900010690Y1 KR 2019880020866 U KR2019880020866 U KR 2019880020866U KR 880020866 U KR880020866 U KR 880020866U KR 900010690 Y1 KR900010690 Y1 KR 900010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hole
retain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508U (ko
Inventor
유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진공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진공, 김영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진공
Priority to KR2019880020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690Y1/ko
Publication of KR900011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5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온병용 뚜껑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공보온용기 2 : 뚜껑
3 : 리테이너 4, 10 : 통공
5, 6, 7 : 패킹 8 : 캡
9 : 상판 11 : 요홈부
12 : 벤트밸브(VENT VALVE) 13 : 스프링
14 : 고리
본 고안은 진공보온병에 있어서, 이를 밀폐시킬수 있고 내용물등을 꺼낼때는 뚜껑을 용이하게 열수 있도록한 보온병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진공용기는 용기내에 내용물을 담은 다음, 이를 밀폐시켜야만 내용물을 보온시킬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을 투입하거나, 꺼내기 위한 뚜껑에 밀폐용 패킹등을 구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내용물의 밀폐만을 위하여 뚜껑을 설계하게 되면 용기내의 내압에 의해서 뚜껑을 쉽게 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종래의 진공보온 용기에 설치된 뚜껑들이 상기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뚜껑을 열기가 매우 난해하게 되었고 또한 뚜껑을 열 때 자칫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는 점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진공용기를 확실하게 밀폐시킬수 있도록 하고 또 밀폐시켰던 뚜껑을 용이하게 열수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진공 보온용기(1)에 뚜껑(2)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2)의 리테이너(3) 하부 중앙에 통공(4)을 형성하여 이에 패킹(5)을 설치하고 리테이너(3)의 외주 상, 하에는 밀폐용 패킹(6)(7)을 설치하며 이의 외측에 캡(8)을 설치하고 리테이너(3)의 상부에는 통공(10)과 요홈부(11)를 형성한 상판(9)을 설치하며 상기 리테이너(3)와 상판(9)의 각 통공(4)(10)에는 벤트밸브(12)를 스프링(13)으로 탄력 설치하고 벤트밸브(12)에는 고리(14)를 연결설치토록 구성하여서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도에서와 같이 용기(1)내에 내용물을 담아놓고 이의 상부를 뚜껑(2)으로 닫게되면 뚜껑(2)의 리테이너(3) 외주에 설치된 상, 하의 패킹(6)(7)이 용기(1)내로 들어가 밀폐시켜 주게 되며 캡(8)이 용기(1)에 결합된다.
이때 벤트밸브(12)는 상판(9)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3)에 의하여 하강되어 있고 벤트밸브(12)가 리테이너(3)의 통공(4)에 설치된 패킹(5)과 밀착되어 제2도와 같은 상태로 통공(4)을 밀폐시켜주게되며 벤트밸브(12)에 설치된 고리(14)는 상판(9)의 요홈부(11)에 삽입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1)내의 내용물을 꺼내고져할때는 상판(9)의 요홈부(11)에 있던 고리(14)를 빼내고 이를 제3도와 같이 상부로 잡아당기면 벤트밸브(12)가 스프링(13)을 누르면서 상승되며 이때 리테이너(3)의 통공(4)이 개방된다.
리테이너(3)의 통공(4)이 개방되면, 이를 통하여 용기(1)내의 내압이 상기 통공(4)으로 빠지게되고 이는 다시 상판(9)의 통공(10)으로 배출되어 용기(1)내의 내압을 없애주며 이러한 상태로 캡(8)을 회전시켜 뚜껑(2)을 열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벤트밸브 장치를 뚜껑에 설치하고 이로써 용기내의 내압을 제거하므로서 뚜껑을 쉽게 열수 있으며 뚜껑을 닫았을때는 용기를 완전히 밀폐시켜 내용물을 보온할 수 있게되는 점등의 특징으로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용기(1)에 뚜껑(2)을 개폐시킴에 있어서, 뚜껑(2)의 리테이너(3)에 통공(4)과 패킹(5)(6)(7)을 각각 설치하고 이의 외측과 상부에는 캡(8)과, 요홈부(11)와 통공(10)을 가진 상판(9)을 각각 설치하며, 상기 통공(4)(10) 사이에는 고리(14)를 가진 벤트밸브(12)를 스프링(13)으로 탄력설치토록 구성하여서된 보온병용 뚜껑.
KR2019880020866U 1988-12-16 1988-12-16 보온병용 뚜껑 KR900010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866U KR900010690Y1 (ko) 1988-12-16 1988-12-16 보온병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866U KR900010690Y1 (ko) 1988-12-16 1988-12-16 보온병용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508U KR900011508U (ko) 1990-07-02
KR900010690Y1 true KR900010690Y1 (ko) 1990-11-30

Family

ID=1928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866U KR900010690Y1 (ko) 1988-12-16 1988-12-16 보온병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6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508U (ko) 199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6380A (en) Caps for drink containers
KR960007383A (ko) 합성수지제 필퍼프루프 캡
KR860006242A (ko) 샌드위치 조리 및 저장 용기세트
KR870010835A (ko) 압력강하시 솥내부공간을 보호하는 밀봉장치가 제공된 증기 압력솥
PT976663E (pt) Tampa articulada em alcapao
PL315579A1 (en) Container closures and its associated venting assembly
KR900017869A (ko) 용기용 폐쇄부
US4625887A (en) Water-sealed type pot comprising steam escape valve member
KR900010690Y1 (ko) 보온병용 뚜껑
EP0021728A1 (en) Closure device for tumbler-like containers
KR200182877Y1 (ko) 유체용 밀폐용기의 개폐장치
US2882947A (en) Plastic container
JP3676024B2 (ja) 内容物吐出容器のキャップ
KR200433727Y1 (ko) 음식물 보관용기용 밀폐뚜껑
JPH11349026A (ja) 密閉容器
DE3872454D1 (de) Verschluss aus kunststoff fuer einen behaelter.
JPS5890051A (ja) 圧力補償装置
KR940008442B1 (ko) 도시락상자
JPH0417495Y2 (ko)
JPH0534372Y2 (ko)
JPS6228174Y2 (ko)
JPS6215149Y2 (ko)
KR0124937Y1 (ko) 내용물변질방지 뚜껑구조
KR200259214Y1 (ko) 밀폐용기용 잠금장치
KR970000145A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