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667Y1 - 플로어 힌지 - Google Patents

플로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667Y1
KR900009667Y1 KR2019870022090U KR870022090U KR900009667Y1 KR 900009667 Y1 KR900009667 Y1 KR 900009667Y1 KR 2019870022090 U KR2019870022090 U KR 2019870022090U KR 870022090 U KR870022090 U KR 870022090U KR 900009667 Y1 KR900009667 Y1 KR 900009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ston
hinge shaft
cam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2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479U (ko
Inventor
문흥식
Original Assignee
문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흥식 filed Critical 문흥식
Priority to KR2019870022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667Y1/ko
Publication of KR890013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4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in which a torsion spring rotates a member around an ax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pis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45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05D7/0054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by means of eccentric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4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45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05D7/0054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by means of eccentric parts
    • E05D2007/0063Eccentric hing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2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loor o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어 힌지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플로어 힌지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플로어 힌지의 작동상태 횡단면도로서, 2a 도는 출입문이 닫힌 상태도, 2b 도는 출입문이 열린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6 : 힌지축
9 : 피스턴 11 : 오리피스
12 : 피스턴롯드 14 : 압축스프링
16 : 원형편심캠 17a, 17b : 정지돌기
18 : 안내링 19 : 정지홈
본 고안은 출입구 바닥에 매설되어 출입문을 회동지지하는 플로어 힌지에 관하여 특히 출입문의 개폐가 원활하게 되고, 출입문을 열린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게 되도록 개량한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플로어 힌지는 출입구 바닥에 매설되는 케이싱 상부에서 돌출되어 출입문의 하단 지축부를 지지하는 힌지축을 그 내부 바닥과 상부캡사이에 베어링으로 지지하며, 상기 힌지축에는 반원형 캠을 고정설치하고, 피스턴의 선단을 압축스프링에 의해 상기 반원형 캠의 직선부 또는 원호부에 탄착되도록 한 것으로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피스턴의 선단이 반원형 캠의 직선부에 압착되어 출입문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출입문을 열때에는 힌지축이 회전됨에 따라 반원형 캠이 회전되어 피스턴의 선단이 반원형캠의 직선부에서 벗어나 원호부에 압착되며 이에 따라 반원형 캠과 피스턴간의 접촉저항에 의하여 출입문이 완속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로어 힌지는 출입문을 열때마다 피스턴의 선단이 반원형 캠의 직선부에서 원호부로 이동압착되며 출입문이 닫힐때마다 피스턴의 선단이 반원형 캠의 원호부에서 직선부로 이동압착되는 것으로 출입문의 개폐시마다 피스턴의 선단부가 반원형캠의 직선부와 원호부간의 모서리부분을 거치게 되므로 반원형캠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여 출입문의 개폐에 상당한 힘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출입문이 닫히는 과정에서 피스턴 선단이 반원형 캠의 원호부에서 벗어나 직선부에 접촉하는 순간에 피스턴선단과 반원형 캠간의 접촉 저항이 급겨히 저하되면서 출입문이 급속으로 닫히게 되어 출입문을 열고 통과하려는 출입자나 출입문을 열고 들어오거나 나가려는 출입자가 출입문에 부딪혀서 부상을 입게 되는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며, 또한 출입문이 열린상태에서는 피스턴 선단이 반원형캠의 원호부에 접하는 것이므로 출입문이 열린상태로 유지되지 않게 되어 출입문을 열어 둘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출입구 바닥과 출입문 하단부사이에 쐐기형 버림목을 끼워두어야 하는 등 사용이 불편하게 되고, 또한 장기간 사용시 상기 반원형캠의 직선부와 원호부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마모됨에 따라 출입문의 닫힌 위치가 변동되어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문틈이 벌어지게 되거나 닫힌상태로의 유지턱이 약화되어 바람에 의해 출입문이 열렸다 닫혔다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한편 출입구 바닥에 매설되는 케이싱을 격벽에 의해 힌지축 설치공간부와 실린더부로 구획하고 힌지축 설치 공간부에는 케이싱 상부로 돌출되어 출입문의 하단자축부를 지지하는 힌지축을 그 내부 바닥과 상부 캡 사이에 베어링으로 지지하며 상기 힌지축에는 삼각형 캠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실린더부내에는 볼이 삽입된 오리피스공을 보유하는 피스턴을 설치함과 아울러 작동유를 주입하고 피스턴에 힌지연결된 피스턴롯드를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힌지축 설치공간부로 연장하여 그 선단부에는 상기 삼각형 캠을 안내하는 상하안내판을 고정설치하며, 상기 삼각형의 캠의 외주연부에는 정지홈을 형성하고 상하안내판에는 삼각형캠의 외주면이 안내되며 상기 정지홈에 걸리는 안내 및 정지로울러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삼각형캠의 닫힌 상태 정지홈이 안내 및 정지로울러에 걸려서 출입문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회전문을 열때에는 힌지축이 회전됨에 따라 삼각형캠의 회전되어 상기 안내 및 정지로울러가 삼각형캠의 닫힌 상태 정지 홈에서 벗어나 외주연부에 압착되며 이에 따라 삼각형캠과 피스턴간의 캠작용에 의해 안내판과 피스톤롯드를 통해 피스턴이 힌지축쪽으로 견인되며 이때 삼각형캠과 안내 및 정지로울러간에는 스프링에 의한 접촉저항이 생기게 되어 출입문은 이러한 접촉저항에 의하여 완속으로 열리게 되며 출입문이 소정각도로 열리면 삼각형캠의 열리상태 정지홈에 안내 및 정지홈에 걸려서 출입문은 열린상태로 유지되고 다시 문을 닫을때에는 열때와 역으로 작동하게 되는바, 이때 피스턴이 후퇴할때 피스턴에 형성된 오리피스와 작동유의 작용에 의해 완속으로 닫히게 되도록 한 것이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로어 힌지에서는 출입문의 개폐시 안내 및 정지로울러가 삼각형캠의 외주연부에 압착되면서 이때 발생되는 접촉저항에 의해 출입문이 완속개폐를 기하고 있으나 삼각형캠의 외주연부는 그 곡률반경이 크기 때문에 로울러와의 접촉각이 크게 되어 접촉저항이 크게 됨에 따라 출입문개폐가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란 삼각형캠과 상하안내판 및 안내 및 정지로울러등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케이싱 힌지축 설치공간부에 지지된 힌지축에 원형편심캠을 고정설치하고 케이싱의 피스턴부에서 힌지축설치공간부로 연장된 피스턴롯드의 선단에는 상기 원형편심캠이 삽입되는 안내링을 고정설치하며 원형편심캠의 외주면에는 정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정지돌기가 삽입 정지되는 정지홈을 형성하여 원형편심캠과 안내링간의 접촉각도를 작게 함에 따라 접촉저항을 출입문 완속개폐에 적당하게 함으로써 출입문의 개폐가 원활하게 되고, 출입문을 열린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게 되도록 한 플로어 힌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하 플로어 힌지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을 격벽(2)에 의해 힌지축 설치 공간부(3)와 실린더부(4)로 구획하고, 힌지축설치공간부(3)에는 케이싱(1)상부로 돌출되는 힌지축(6)을 그 내부 바닥과 상부캡(5) 사이에 베어링(7)(8)으로 지지하며, 상기 실린더부(4)내에는 볼(10)이 삽입되 오리피스(11)를 보유하는 피스턴(9)을 삽입하여 선단부가 격벽(2)의 통공(2a)을 통해 힌지축설치공간부(3)내로 연장된 피스턴롯드(12)를 힌지(13)로 연결하고, 피스턴(9)과 격벽(2)사이에는 압축스프링(14)을 삽입하며, 케이싱(1)내부에 작동유를 주입충전하고 실린더부(4)의 후단캡(15)으로 밀폐한 것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6)에는 원향편심캠(16)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피스턴롯드(12)의 선단에는 안내링(18)을 연결핀(20)으로 연결고정하며, 상기 원형편심캠(16)의 외주면에는 한상의 정지돌기(17a)(17b)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링(18)의 내주면에는 상기 정지돌기(17a)(17b)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정지홈(19)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플로어 힌지는 케이싱(1)을 출입구바닥에 매설하고 힌진축(6)에 출입문(21)의 지축부를 지지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작동에 있어서 제 1 도 및 제 2a 도에 도시한 출입문(21)이 닫힌상태에서는 힌지축(6)에 고정된 원형편심캠(16)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지돌기(17a)(17b)가 안내링(18)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있고 피스턴(9)은 실린더부(4)의 후단측으로 후퇴된 상태로 유지되며, 원형편심캠(16)과 안내링(18)사이에는 압축스프링(14)에 의한 탄성력이 피스턴(18)과 피스턴롯드(12)를 통해 전달되어 서로 압착되어 출입문(21)이 바람에 의해 임의로 열리거나 흔들리지 않고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태에서 출입문(21)은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열면 힌지축(6)이 회전됨에 따라 원형편심캠(16)의 회전되면서 안내링(18)과의 캠작용에 의해 피스턴롯드(12)를 통해 피스턴(9)을 견인하게 되며 이때 피스턴(9)과 격벽(2)사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4)이 피스턴(9)에 의해 압축되고 상대적으로 원형편심캠(16)과 안내링(18)간에는 접촉저항이 생겨 힌지축(6)의 회전을 저지하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출입문(21)은 완속으로 원활하게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피스턴(9)의 전진시에는 피스턴(9)의 케이싱(1)내에 충진된 작동유를 밀게 되는 바, 피스턴(9)에 형성된 오리피스(11)는 전단측이 좁고 후단측이 넓으므로 작동유는 오리피스(11)내의 볼(10)을 밀치면서 후단캡(15)측으로 통과되어 작동유의 압축현상에 의한 원형 편심캠(16)과 안내링(18)간의 접촉저항이 증가하는 발생되지 않는다.
출입문(21)이 열림에 따라 힌지축(6)과 원형편심캠(16)이 소정각도(도시예에서는 출입문(21)이 90도 열리는 각도 즉 90도)만큼 회전되면 제 2b 도와 같이 원형편심캠(16)의 정지돌기(17a)가 안내링(18)의 정지홈(19)에 삽입되면서 정지되어 출입문(21)을 열린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출입문(21)이 열린상태 즉 제 2b 도의 상태에서 출입문(21)을 닫으면 원형편심캠(16)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정지돌기(17a)가 안내링(18)의 정지홈(19)에서 벗어나게 되고 정지돌기(17a)가 안내링(18)의 내주면에 압축된 상태에서 캠 작용을 하게 되며 피스턴(9)은 출입문(21)의 회전과 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해 후퇴되면서 작동유를 밀리게 하는 바 이때 상기 오리피스(11)는 볼(10)에 의해 막히므로 피스턴(9)과 후단캡(15)간의 작동유가 압축되며, 상대적으로 원형편심캡(16)과 안내링(18)간의 접촉저항이 발생되어 출입문(21)이 완속으로 닫혀서 제 1 도 및 제 2a 도의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작동에서는 출입문(21)을 시계방향으로 열경우인바, 출입문(21)을 반시계방향으로 여는 경우에는 원형편심캠(16)의 반대측 정지돌기(17b)가 안내링(18)의 정지홈(19)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출입문(21)을 상기 원형편심캠(16)의 정지돌기(17a)(17b)가 안내링(18)의 정지홈(19)에 걸리는 각도(90도)만큼 열지 않고 그 이하로 열었을 경우에는 출입문(21)을 밀어닫지 않더라도 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턴(9)이 후퇴됨에 따라 피스턴롯드(12)가 안내링(18)을 당기게 되어 안내링(18)과 원형편심캠(16)간의 캠작용에 의해 힌지축(6)이 회전되어 출입문(21)은 스스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출입문(21)의 완속개폐작용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원형편심캠(16)의 정지돌기(17)와 안내링(18)간의 접촉각도가 작으므로 출입문(21)의 완속개폐에 필요한 접촉저항이 필요이상으로 크게 되지 않게 되어 출입문(21)의 개폐가 원활하게 되며, 원형편심캠(16)의 정지돌기(17a)(17b)와 안내링(18)의 정지홈(19)에 의하여 출입문(21)을 열린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힌지축설치공간부(3)와 실린더(4)로 구획되고 작동유가 충전된 케이싱(1)과, 상기 힌지축설치공간부(3)에 지지되어 상부로 돌출된 힌지축(6)과, 상기 실리더부(4)내에 설치되며 오리피스(11)를 보유하는 피스턴(9)과, 상기 피스턴(9)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축설치공간부(3)로 연장된 피스턴롯드(12) 및 상기 피스턴(9)을 후방으로 탄지하는 압축스프링(14)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6)에는 원형편심캠(16)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피스턴롯드(12)의 선단에는 상기 원형편심캠(16)이 삽입되는 안내링(18)을 핀(20)으로 유설하며, 상기 원형편심캠(16)의 외주면에는 한쌍의 정지돌기(17a)(17b)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링(18)의 내주면에는 상기 정지돌기(17a)(17b)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정지홈(19)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힌지.
KR2019870022090U 1987-12-14 1987-12-14 플로어 힌지 KR900009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090U KR900009667Y1 (ko) 1987-12-14 1987-12-14 플로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090U KR900009667Y1 (ko) 1987-12-14 1987-12-14 플로어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479U KR890013479U (ko) 1989-08-09
KR900009667Y1 true KR900009667Y1 (ko) 1990-10-19

Family

ID=1927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2090U KR900009667Y1 (ko) 1987-12-14 1987-12-14 플로어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6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479U (ko) 198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5449A (en) Self-closing hinge
KR101920970B1 (ko) 도어 힌지
US3032806A (en) Door closers
KR101950877B1 (ko) 핀롤러가 구비된 도어용 플로어 힌지 장치
US3044103A (en) Door closer
KR900009667Y1 (ko) 플로어 힌지
KR960024181A (ko) 냉장고
KR970002859Y1 (ko)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등의 개폐장치
KR100585277B1 (ko) 프리스톱 및 슬로우다운 힌지장치
US3568241A (en) Hinge
US1999274A (en) Door closer and check
JP2759828B2 (ja) ダンパ付きドアヒンジ
US3409934A (en) Door check
KR200366450Y1 (ko) 플로어힌지
KR100252659B1 (ko) 김치통 저장고의 도어힌지구조
KR100699252B1 (ko) 플로어힌지
JPH0681876A (ja) 回転ダンパ
KR940002556Y1 (ko) 도어체크 일체형 경첩
TWI746205B (zh) 360度可旋轉油壓閉門器
JPS5938862Y2 (ja) ドア−チェツクのバツクチエツク装置
US2027170A (en) Doorcheck
KR970005507Y1 (ko) 댐퍼 부착힌지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US980592A (en) Combined spring-hinge and check.
KR970004287Y1 (ko) 냉장고의 도어 로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