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505Y1 - 저항용접기용 전극 - Google Patents

저항용접기용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505Y1
KR900009505Y1 KR2019860001515U KR860001515U KR900009505Y1 KR 900009505 Y1 KR900009505 Y1 KR 900009505Y1 KR 2019860001515 U KR2019860001515 U KR 2019860001515U KR 860001515 U KR860001515 U KR 860001515U KR 900009505 Y1 KR900009505 Y1 KR 900009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ameter
cylindrical projection
cooling wat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1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3098U (ko
Inventor
도시히로 니시와끼
Original Assignee
오바라 킨조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오바라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바라 킨조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오바라 히로시 filed Critical 오바라 킨조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130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30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5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09Pressure electrodes
    • B23K11/3018Cooled pressur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05Non-consumable electrodes; C-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항용접기용 전극
제 1 도는, 본 고안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포인트 타입 전극의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극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극의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
제 4 도는, 종래의 포인트 타입 전극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극 2 : 냉각수통로
3 : 앞끝단직경 4 : 원기둥형상의 돌기
5 : 나선 형상의 홈 6 : 테이퍼
7 : 앞끝단부 8 : 첨공
9 : 종방향홈
본 고안은, 저항용접기의 생크(shank)에 부착되는 수냉식 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그 머리부의 타입이 포인트, 도움(Dome) 코운(Cone)편심등, 또는 끝단이 캡(cap), 끼워넣기, 스트레이트(straight)중 어느 타입의 전극에도 적용된다.
종래에, 상기 어느타입의 전극도, 표준 앞끝단직경에 이르는 이전까지의 몸통직경부가 상당이 큰 몸통직경부에서 냉각수 통로가 끝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 앞끝단부의 냉각이 불출분하고, 또한 앞끝단직경 부근은 그 직경이 급증하는 형상이어서, 용접타점 회수의 증가에 따른 전극의 앞끝단부의 소모에 따라 전극의 앞끝단부에 머시루움(mushroom)형상이 형성된 경향이 크고, 그 때문에 전류 밀도가 작아지게되어 너기트(Nugget)형성이 불량하게되는 염려가 있었다.
그래서, 이것을 개량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의 앞끝단부에 원기둥 형상의 돌기의 바깥둘레에 링형상의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머시루움의 형성을 적게하게끔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그런데, 제 4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냉각수 통로(12)를 가진 전극(11)의 앞끝단부에 기점(13)으로부터 원심 둥형상의 돌기(14)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돌기의 바깥둘레에 고리상의 요철(15)를 형성한 것, 즉 원기둥형상의 돌기(14)의 직경이 대소 교호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는 용접타점 회수의 증가에 따라서 돌기(14)의 가장 앞끝단이 점차 소모되어, 그 돌기(14)가 횡방향으로 확대하여 머시루움 형상이 형성되는 것이나, 이 머시루움 형상은 돌기의 직경이 큰 직경으로부터 작은 직경으로 이동하는 위치에서 절단됨으로, 머시루움 형상방지 효과는 충분히 인정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런 종류의 전극은, 용접타점 회수의 증가에 따른 가장 앞끝단부의 소모에 의하여 앞끝단부의 직경이 큰 직경부로부터 급격히 작은 직경부로, 혹은 작은 직경부로부터 급격히 큰 직경부로 교호로 이행함으로, 전류 밀도가 교호로 급변하는 결과로 되어 너기트의 형성이 균일하게 되지 않아서 정밀한 용접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너기트 형성을 균일로 하기 위하여 전류밀도가 될 수 있는 한 변화하지 않는 전극의 돌기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즉, 상기의 문제점인 머시루움의 발생과 이로인한 너기트 형성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극의 앞끝단부의 소모되는 부분이 어떠한 위치에서도 직경이 일정하게하여 전류밀도가 균일하게 되게하고, 앞끝단부의 소모에 의하여 발생하려는 머시루움 형상을 절단하여 생성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문제해결의 수단으로서의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 대응하는 제 1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호 (1)은 수냉식 저항 용접기용 전극으로서, 냉각수가 들어가는 냉각수 유입구멍(2´)과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관(2˝)으로 형성된 냉각수통로(2)가 전극(1)의 앞끝단 직경(3) 가까이 까지 형성되고 있으며, 이 전극(1)의 앞끝단부에는 앞끝단 직경(3)에서부터 원기둥 형상의 돌기(4)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돌기(4)의 바깥둘레에는, 나선형상의 홈(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냉각수 통로(2)는 냉각수가 들어가는 냉각수 유입구멍(2´)과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관(2˝)으로 전극(1)의 앞끝단 가까이 까지 형성되어 냉각수가 전극(1)의 냉각을 충분히 행하게 하며, 원기둥형상의 돌기(4)는 용접타점 회수의 증가에 따른 전극의 앞끝단부의 소모에 따라 전극의 앞끝단부의 머시루움 형상이 형성되는 것과 이에 따른 전류밀도가 작게되는 것을 방지하게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2개의 전극(1)을 각각의 생크(도시하지 않음)에 고정하여, 냉각수 통로(2)에 냉각수를 보내면서 양전극간에 피 용접재를 끼어잡는 상태에서, 전극(1)에 통전을 하면, 적합한 너키트가 형성되어서 피 용접재는 용접된다.
용접타점회수의 증가에 수반하여 원기둥형상의 돌기(4)의 가장 앞끝단은 점차 소모되어가고, 원기둥형상의 돌기(4)가 횡방향으로 확대된 상태에서 부착된 채로 되어 그 결과, 이 가장 앞끝단에는 머시루움 형상이 형성되려고 한다.
그러나, 원기둥형상의 돌기(4)의 바깥둘레에는, 나선형상의 홈(5)이 형성되어 있어서, 원기둥 형상의 돌기(4) 앞끝단의 소모에 의하여 발생하려고 하는 머시루움 형상은, 원기둥형상의 돌기(4)의 바깥둘레에 형성된 나선홈의 홈(5)에 의하여 절단되어서 거의 생성하지 않아, 머시루움의 발생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형상의 홈(5)은 원기둥형상의 돌기(4)의 바깥둘레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단면을 보더라도, 그 단면적의 변화는 없다.
그러므로 원기둥형상의 돌기(4)가 소모하여 점차 짧아져가더라도, 어떠한 위치에서도 단면적의 변화는 없고, 전류밀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본 고안은 제 1 도에서의 전극(1)은 끝단이 캡(cap)타입으로서 머리부가 포인트 타입의 것을 개량한 것이며, 전극(1)의 몸통하부는 생크(도시하지 않음)에 전극(1)을 고정하기 위하여 그 안쪽직경이 아래끝단을 향하여 점차 커질수 있도록 테이퍼(6)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는 테이퍼(6)의 끝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몸통두께가 균일한 두께로 되도록 균일한 안쪽직경의 냉각수 통로(2)로 되어 있다.
이 냉각수 통로(2)의 앞끝단부(7)는 점점 그 직경이 축소되고 그리고, 그 앞끝단부(7)의 끝단부는 전극 중심선상 부근에서 급경사의 테이퍼로 되어, 그것에 의하여 첨공(8)을 형성하여, 첨공(8)의 가장 앞끝단 즉 냉각수 통로(2)의 가장 앞끝단은 원기둥 형상돌기(4)의 시작점인 앞끝단직경(3)과 대략 같은 위치까지 뻗어있다.
이와같은 냉각수통로(2)의 형성에 의하여 몸통의 두께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각별히 엷게되고, 또한 그 냉각수 통로(2)의 가장 앞끝단이 앞끝단직경(3) 가까이 까지 뻗어 있음으로, 전극(1)은 충분히 냉각된다.
앞끝단직경(3)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돌기(4)는 대략 3mm정도의 높이와 RWMA의 표준 너기트 직경보다 1mm정도 큰 직경으로 되어 있으며, 이 원기둥형상의 돌기(4)의 바깥둘레에는 1조의 나선형상의 홈(5)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전극을 사용하여 다수회의 용접을 행하면, 전극(1)은 원기둥형상의 돌기(4)의 가장앞끝단으로부터 점차 소모되어 간다.
이것에 의하여 용해된 부분은 횡방향으로 확대되어 머시루움 형상으로 되는 경향이 있지만, 소모에 의한 원기둥형상의 돌기(4)의 가장 앞끝단이 바깥둘레의 나선형상의 홈(5)에 도달하면, 상기 횡으로 확대된 것은 여기에서 바깥둘레의 직겨이 급변하여서 작아짐으로 절단되고, 그 결과 원기둥형상돌기(4)에 머시루움이 생장할 염려는 없다.
그런데 이 나선형상의 홈(5)은 나선형상으로 돌기의 바깥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원기둥형상의 돌기(4)의 소모에 수반하여 이 나선형상의 홈(5)의 위치는 점차 이동하게됨으로, 전체적으로 보아서 원기둥의 돌기(4)의 단면적인 항상 일정한 것이다.
제 2 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4)의 바깥둘레에 2중의 나선형상의 홈(5´),(5˝)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나선형상의 홈(5´)과 (5˝)과의 위상을 180˚어긋나게 한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머시루움형상이 형성되려고 하여도, 원기둥형상의 돌기(4)는 항상 원기둥의 각 단면 양끝단면에서 절단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1조의 나선형상의 홈을 형성한 것에 비하여 더욱 머시루움 형상의 절단은 양호하게 된다.
또한, 제 3 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4)의 바깥둘레에 나선형상의 홈(5)을 형성함과 동시에 종방향 홈(9)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 종방향 홈(9)을 형성하면, 머시루움 형상이 형성되려고 하면 이것이 그 둘레방향에서도 절단되게 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기술해온 바와같은 나선형의 홈(5)의 작용과 아울러서 머시루움 형상의 형성은 더욱 적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 2, 제 3 도에 도시하는 실시예 있어서도 원기둥 형상의 돌기(4)의 단면적은 어느 위치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나선형상의 홈(5)의 단면형상은 산형 혹은 각형 어느것이라도 좋으며, 또한 전극의 타입은 어느것이라도 좋다.
본 고안에 의한 전극(1)은, 냉각수 통로(2)를 앞끝단직경(3) 가까이 까지 형성하였기 때문에 전극(1)의 냉각수 충분히 행하여지며, 또한 원기둥 형상의 돌기(4)의 바깥둘레에 나선형상의 홈(5)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용접타점회수의 증가에 수반하여 원기둥 형상의 돌기(4) 앞끝단이 점차 소모하여도 머시루움이 형성되는 일이 없을뿐만 아니라, 전류 밀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어서 최적의 너기트 형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극(1)내에 냉각수 통로(2)의 앞끝단부(3)가 점점 그 직경이 축소되어 그 앞끝단부(7)의 끝단부가 전극(1)의 원기둥 형상의 돌기(4)의 중심선상 부근에서 급경사의 테이퍼로된 첨공(8)을 형성하고, 상기 원기둥형상의 돌기(4)의 바깥둘레에 나선형상의 홈(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용접기용 전극.
KR2019860001515U 1985-04-16 1986-02-11 저항용접기용 전극 KR90000950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55549 1985-04-16
JP1985055549U JPH0244947Y2 (ko) 1985-04-16 1985-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098U KR860013098U (ko) 1986-11-08
KR900009505Y1 true KR900009505Y1 (ko) 1990-10-13

Family

ID=1300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1515U KR900009505Y1 (ko) 1985-04-16 1986-02-11 저항용접기용 전극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28769A (ko)
JP (1) JPH0244947Y2 (ko)
KR (1) KR9000095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5004521A (es) * 2002-11-01 2005-07-26 Rieke Corp Pico soldador.
US20080182119A1 (en) * 2007-01-30 2008-07-31 General Electric Company Projection weld and method for creating the same
US20090152256A1 (en) * 2007-12-12 2009-06-18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amped/heated part from a steel sheet plated with aluminum alloy
US8653399B2 (en) * 2008-01-29 2014-02-18 Honda Motor Co., Ltd Steel sheet heat treatment/stamp system and method
US20100282716A1 (en) * 2009-05-07 2010-11-11 Venkatasubramanian Ananthanarayanan Welding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for welding, mechanically deforming and heat treating materials
US8963043B2 (en) * 2009-05-07 2015-02-24 Innovative Weld Solutions, Ltd. Welding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for welding and heat treating metals and metal alloys
US9808797B2 (en) * 2012-06-19 2017-11-07 Leco Corporation Resistance analytical furnace
US10730135B2 (en) * 2013-10-25 2020-08-04 Bryan Prucher Welding electrodes and adapter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9187A (en) * 1943-12-11 1945-06-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Welding and brazing electrode
US2392736A (en) * 1944-05-02 1946-01-08 Mallory & Co Inc P R Welding electrode cooling
US3426172A (en) * 1965-10-24 1969-02-04 Texas Instruments Inc Method of welding a terminal tab to the plate of an electrochemical cell
SU517435A1 (ru) * 1974-12-08 1976-06-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М-5539 Электрод дл контактной точечной сварки
DE2632251A1 (de) * 1976-07-17 1978-01-19 Ralf Borgelt Elektrode fuer die elektrische widerstandsschweissung mit einer neuen kuehlung
DE3024067A1 (de) * 1980-06-26 1982-01-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usbildung der elektrodenform fuer effektive kuehlung zum intermittierenden schweissen
SU959953A1 (ru) * 1981-03-03 1982-09-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М-5671 Электрод дл контактной точечной сварки деталей неравной толщины
JPS5836457U (ja) * 1981-08-31 1983-03-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読取デ−タ入力装置
US4476372A (en) * 1983-02-04 1984-10-09 Prucher Bryan P Spot welding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44947Y2 (ko) 1990-11-28
KR860013098U (ko) 1986-11-08
JPS61172675U (ko) 1986-10-27
US4728769A (en) 198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7922B1 (en) Plasma torch
KR900009505Y1 (ko) 저항용접기용 전극
US4059743A (en) Plasma arc cutting torch
US4728765A (en) Spot welding electrode
US6191381B1 (en) Tapered electrode for plasma arc cutting torches
US4629371A (en) Throw-away insert
US5416296A (en) Electrode for plasma arc torch
JPH01100887A (ja) 内燃機関用点火プラグ
US2138388A (en) Welding electrode
JPS6228084A (ja) プラズマ・ジエツト・ト−チ
US6252194B1 (en) Assembly of electrode body and electrode carrier for a plasma torch
US6765168B2 (en) Electrode of vacuum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producing electrode of vacuum circuit breaker
EP0480034A1 (en) Plasma torch
JPH07237020A (ja) ガンドリル
US4864097A (en) Plasma arc torch with confined and controlled plasma jet column
SU1719176A1 (ru) Электродный узел дл контактной точечной и рельефной сварки
CN112676690B (zh) 增强的电阻焊接帽
JP2000094137A (ja) Tig溶接トーチ
JPH0329023Y2 (ko)
JPH09192844A (ja) プラズマ切断トーチにおける電極棒
US20240196509A1 (en) Electrode Made by Surface Increase of Cooling Surfaces Connecting Emitter Cutter Tip (Insert) for Plasma Cutting Torches with Copper Electrode Body
JPH07314151A (ja) 抵抗溶接用電極
JPS632230Y2 (ko)
CA3214730A1 (en) Electrode made by surface increase of cooling surfaces connecting emitter cutter tip (insert) for plasma cutting torches with copper electrode body
RU2023127292A (ru) Электрод, изготовленный путем увеличения площади охлаждающих поверхностей, соединяющий эмиттерный режущий элемент (вставку) для плазменных резаков с медным корпусом электр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