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133B1 -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133B1
KR900009133B1 KR1019870013498A KR870013498A KR900009133B1 KR 900009133 B1 KR900009133 B1 KR 900009133B1 KR 1019870013498 A KR1019870013498 A KR 1019870013498A KR 870013498 A KR870013498 A KR 870013498A KR 900009133 B1 KR900009133 B1 KR 900009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stabilizer
vehicle
contro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265A (ko
Inventor
노부오 시바타
도시오 스즈키
다카시 후지이
증 이치 아라이
히사미 가토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지도오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무리 켄소오
가야바고오교오가부시키가이샤
다 베 다케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6384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71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7776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22615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지도오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무리 켄소오, 가야바고오교오가부시키가이샤, 다 베 다케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지도오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6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a releasabl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2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left and right unit on sam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40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0Manual control or setting mea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의 약시도.
제2도는 제어 실린더의 회로도.
제3도는 제어 실린더의 종단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 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의 약시도.
제7도는 쇽크 압소버의 일부 절결 종단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테빌라이저 3 : 제어 실린더
5a, 5b : 작동첵크밸브 6 : 리저버실
9 : 실린더체 12 : 피스톤
A, B : 상하실 13a, 13b : 소공
L1, L2, L3: 유로 14 : 중립위치
15 : 유공 16a, 16b : 스프링
16c, 16d : 스프링 20a, 20b : 포펫트
30a, 30b : 푸쉬로드 F : 인장력
R : 액튜에이터 P : 쇽크 압쇼버
C : 콘트롤러 a : 선택신호
b : 검출신호 c : 검출신호
본 발명은 차량의 좌우의 차륜간에 장비되는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같이, 차량의 현가계에 있어서의 스테빌라이저 기구는 스테빌라이저의 양단을 링크 로드를 통하여 로위 암에 고정하고 그 중간부를 차체측에 회동자재로 지지시키고 차량의 좌우륜이 동위상으로 상하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저에 의한 스프링 작용이 생기지 않지만, 상기 좌우륜의 상하 이동이 역위상으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저의 중앙을 토션바로서 일정한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상기좌우륜의 역위상의 상하 이동시에 그 위상차를 보정하도록 상기 스테빌라이저의 스프링력을 작용시켜 차량의 롤(roll)에 대한 강성을 높이게 되어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기구에 의하여 롤강성의 강화를 도모하면 현가계의 전체 스프링 정수의 증대를 수반하여 차량의 스프링상의 진동이 증대되고, 차량의 좌우륜이 역위상의 상하 이동을 행하게 될 울퉁블퉁한 도로면을 차량이 주행할 시에는 오히려 차량의 승차감이 악화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승차감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예컨대, 미합중국 특허 제 2,802,674호, 등 제 4,206,935호등의 명세서에 개시된 차량의 롤 콘트롤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스테빌라이저의 단부에 제어 실린더를 배치하고, 제어 실린더가 신축 가능한 상태에 있을시는 스테빌라이저의 비틀림 롤크가 로워 암에 전달되지 않아서, 그 결과, 차량이 울퉁블퉁한 도로면을 주행할 시에 차량의 스프링상의 진동이 증대되어서 차량의 승차감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제어 실린더가 록크 상대로 되어서 신축이 정지되어 있을시는 스테빌라이저의 비틀림 롤크가 로워암으로 전단되어 평단 도로상을 주행시에 있어서의 차량의 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롤 콘트롤 시스템에서는 제어 실린더의 록크 상태가 반드시 중립위치에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고, 피스톤이 중립위치 이외의 개소에서 정지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그 결과, 제어 실린더의 록크시에 그 상단측을 항시 일정한 레벨로 유지시킬 수는 없어서 자체측에 있어서 좌우의 레벨차가 생기게 되어 차량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어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결함이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제어 설린더의 록크시 차량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어 실린더의 중립위치 복귀가 신속하고 확실하게 행해지는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 실린더에 설치된 2개의 작동첵크밸브를 파이롯트 조작으로 동시에 작동시킴에 의해 스테빌라이저의 스프링 정수를 가변으로 할 수 있는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좌우의 차륜간에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저의 스프링 정수를 가변으로 함과 동시에 차량의 주행상황에 따라 차체와 차축과의 사이에 설치된 쇽크 압쇼버의 발생 감쇄력을 고저로 조정하는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제어 실린더를 구성하는 실린더 체내로 배설된 스프링에 의해 양 방향에서 힘을 받는 피스톤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체내에서 상.하실을 구획하고, 이 상.하실을 리저버실로 연통하는 각 유로증에 작동첵크밸브가 각각 배설되며, 상기 각 작동첵크밸브는 하나의 파이롯트조작에 의하여 동시에 개방되고 또한, 상기 실린더 체내의 피스톤 스트로크 구역의 중립위치로 되는 이 실린더 체에는 리저버실과 연통하는 유로의 유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있다.
제어 실린더가 신축 가능한 작동상태에 있을 시에는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의 비틀림 롤크가 실린더내의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에서 로워 암측에 전달되므로, 소위 스테빌라이저 소프트의 상태로 되고, 제어 실린더가 액압 록크상태로 있을 시에는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의 비틀림 톨크가 로워 암측으로 전달되어 차량에 있어서의 롤에 대한 강성이 증대하게 된다.
또한, 제어 실린더의 액압 록크시에 실린더 체내의 피스톤이 중립위치 이외에 있어서도 피스톤 스트로크구역의 중립위치에 대응하도록 실린더체에 형성된 유공을 통하여 오일이 리저버실로 유출하게 되어 피스톤이 완전한 증립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이 완전한 중립위치에로의 피스톤 복귀시에 상기 유공이 피스톤의 외주로 폐색되어서 제어 실린더의 완전한 록크상태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 실린더의 액압 록크 작동상태가 실린더내의 피스톤이 중립이외에 있을 시에 행해져도, 상기 제어 실린더가 연통 가능한 상태로 있고 스프링으로 양 방향으로 부터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중립위치로 복귀되어 진다.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연관된 스테빌라이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스레빌라이저(1)에 있어서의 절곡 암부(1a), (1a)의 일측단을 서스펜션 부재인 로워 암(도시안됨)에 링크 로드(2)를 통하여 연결하고, 타측의 암부(1a)단위 로워 암 결합부에 제어 실린더(3)를 배설한다.
또한, 이 경우 제어 실린더(3)는 스테빌라이저(1)의 스트로크를 크게 하기 위하여 양단에 각각 설치하여도 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서는 적어도 일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테빌라이저(1)는 그 중간부(1b)에 배설된 차체측 복수개의 지지부(4), (4)를 통하여 차체(도시안됨)에 대하여 회동자재로 취부되어 있다.
상기 제어 실린더(3)는 그 상실(A) 및 하실(B)를 작동첵크밸브(5a), (5b)를 통하여 연통하도록 됨과 동시에 리저버실(6)에 상기 상하실(A), (B)이 각각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어 실린더(3)내에는 별도의 유로로서 리저버실(6)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1도 중에서 7a는 우측차륜을 나타내고, 7b는 좌측차륜을 나타난다.
상기 제어 실린더(3) 자체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2도는 나타낸 바와 같이, 로워 암측에로의 취부부(10)를 갖는 실린더체(9)에 상기 스테빌라이저(1)에로의 취부부(10)를 갖는 피스톤 로드(11)에 연달아 설치된 피스톤(12)을 습동자재로 삽입시키고, 이 피스톤(12)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체(9)내부를 상실(A)과 하실(B)로 구획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체(9)의 양단 근방에 내벽에는 소공(13a), (1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각 소공(13a), (13b)에는 각각 유로(L1), (L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체(9)의 내벽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2)의 유효 스트로크 구역의 중립위치(14)에는 유공(15)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유공(15)은 상기 실린더체(9)내의 상실(A)측 또는 하실(B)측 어느 측이든 일측에 상기 피스톤(12)이 있을 시, 상기 실린더(9)내부를 유로(L3)에 접속하고, 이 유로(L3)는 리저버실(6)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첵크밸브(5a), (5b)는 상기 유로(L1), (L2)중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유로(L3)중에는 특별히 밸브가 배설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상기 실린더체(9)내에는 한쌍의 스프링(16a), (16b)이 배설되어 있고, 이 한쌍의 스프링(16a), (16b)은 상기 피스톤(12)에 양방향으로 부터 힘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2)이 상기 중앙위치(14)에 있을 시에 상기 한쌍의 스프링(16a), (16b)이 균형이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첵크밸브(5a), (5b)가 개방되어서 상하실(A), (B)이 상호 연통되는 상태로 있을 시에는, 실린더체(9) 또는 피스톤 로드(11)에로의 하중의 부하작용에 의하여, 피스톤(12)은 어느 일측의 스프링(16a) 또는 스프링(16b)을 수축시켜 제어 실린더(3)의 신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각 작동첵크밸브(5a), (5b)는 기계식 파이롯트 조작에 의하여 개방상태로 되어, 소위 양 방향 흐름을 허용하지만, 그 해제로 되면 그 이후는 소위 첵크밸브로 되어 일방향 흐름만 허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린더체(9)내에 있어서 스톱피(17a), (17b)가 상기 피스톤(12)의 상단면측 및 상기 실린더체(9)의 내저면측에 각각 배설되어 피스(12)의 지나친 이동을 규제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첵크밸브(5a), (5b)가 개방상태로 있을시 제어 실린더(3)는 그상하실(A), (B)이 상호 연통상태로 되고, 피스톤(12)의 유효 스트로크의 범위내에서 그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 소위 자유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주행중의 차량의 좌측차륜(7b)의 상하 동작에 응하여 차륜쪽에 취부된 실린더체(9)가 상하 이동함과 동시에 타측의 우측차륜(7a)의 상하 동작에 응하여, 스테빌라이저(1)가 요동하여 이에 따라서 암부(1a)쪽에 취부된 피스톤(12)이 상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첵크밸브(5a), (5b)의 개방상태에서는, 스테빌라이저(1)가, 그 구속측의 우측차륜(7a)에 연동되어 암부(1a)의 선단이 선회 이동하게 되는 소위 스테빌라이저 소프트의 상태로 된다.
그래서, 상기 피스톤 자유 동작상태하에 제어 실린더(3)내에 있어서 부족되는 작동유는, 리저버실(6)로부터 보충되고, 역으로 제어 실린더(3)내에 있어서 여분의 작동유는 상기 리저버실(6)로 흡수된다.
반면에, 작동첵크밸브(5a) 및 작동첵크밸브(5b)를 소위 첵크밸브로 하면, 제어 실린더(3)내의 상하실(A), (B)이 상호 격리되므로, 이 양실(A), (B)사이의 작동유의 이동이 차단되며, 이 결과 피스톤(12)의 신측(伸側) 및 압측(壓側)방향으로 이동이 전부 록크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테빌라이저(1)와 좌우륜측이 강체결합의 상태로 되어, 우차륜(7a)과 좌차륜(7b)과의 역위상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기 스테빌라이저(1)에 비틀림 톨크가 발생하게 되어 소위 스테빌라이저 작용의 상태로 된다.
상기한 각 작동첵크밸브(5a), (5b)가 파이롯트 조작의 해제에 의하여 단지 첵크밸브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그 후 피스톤(12)의 실린더체(9)내에서의 이동은 이 실린더체(9)의 중앙위치(14)에 설치된 유공(15)에 의하여 제어하게 된다.
즉, 예컨데 피스톤(12)이 하실(B)측에 있을 시에는 스프링(16b)의 반발력을 받은 피스톤 로드(11)가 실린더체(9)내에서 물러남에 수반하여, 상실(A)측의 작동유는 유공(15)을 통하여 리저버실(6)로 흡수됨과 동시에 하실(B)내에서는 부족한 작동유는 상기 리저버실(6)로 부터 작동첵크밸브(5b)를 통하여 보충되어 피스톤(12)이 피스톤 스트로크 구역의 중립위치(14)에 달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12)의 외주가 상기 유공(15)를 폐쇄하게 되어, 상실(A)내에 오일 록크 상태를 초래하여 상기 피스톤(12)의 그 이상의 이동이 지지되어 제어 실린더(3)의 신축이 저지된 액압 록크상태로 된다.
그리고, 피스톤(12)이 상실(A)측에 있을시에도 스프링(16a)의 반발력을 받은 피스톤(12)의 이동에 의하여 부압(負壓)으로 된 상실(A)내에는 작동첵크밸브(5a)를 통하여 리저버실(6)로 부터 작동유가 보충됨과 동시에 하실(B)내의 작동유는 유공(15)을 통하여 리저버실(6)내로 흡수되어 피스톤(12)이 피스톤 스트로크구역의 중립위치(14)에 달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12)의 외주가 상기 유공(15)을 폐쇄하게 되어 하실(B)내에 오일 록크상태릍 초래하여서 상기 피스톤(12)의 그 이상의 이동이 저지되어 제어 실린더(3)의 신축이 저지된 액압 록크상태로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되어서 제어 실린더(3)가 완전한 중립위치에서 록크상태로 되면, 스테빌라이저(1)의 암부(1a)와 로워 암이 소위 강체상태로 연결되어 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첵크밸브(5a), (5b)가 개방상태로 있을시, 제어 실런더(3)가 스트로크를 크게 신축하여도 실린더체(9)의 양단부는 피스톤(12)이 소공(13a) 또는 소공(13b)를 폐색하여 소위 액압록크상태를 초래하게 되어서 과잉신장 및 저면과 접촉할 위험을 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신장 한계 및 저면과 접촉한계를 초과하는 스트로크로 되어도 스톱퍼(17a), (17b)에 의하여 그 이상의 신장 및 저면 접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에서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어 실린더와 그 회로는 소정의 하우징(H)내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서 소위 콤팩트화된 형태로 되어 있다.
즉, 하우징(H)내에는 제어 실린더(3)와 2개의 작동첵크밸브(5a), (5b)와, 리저버실(6)과, 상기 제어 실린더(3)내의 상실(A) 및 하실(B)과, 상기 리저버실(6)과의 연통을 허용하는 유로(L1), (L2)와, 상기 제어실린더(3)와, 상기 리저버실(6)과의 연통을 허용하는 유로(L3)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H)의 일부를 돌출시켜서, 제어 실린더(3)에 있어서의 로워 암측으로 취부부(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H)의 일부에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체(9) 내에는 피스톤(12)이 습동자재로 설치되고, 이 피스톤(12)이 상기 실린더체(9) 내부를 상실(A)과 하실(B)로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2)은 피스톤 너트(12a)를 통하여 피스톤 로드(11)의 하단에 연속 설치됨과 동시에 이 피스톤 로드(11)는 그 상단을 상기 실린더체(9)의 상단측 외부로 돌출시켜 이 돌출단부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저(1)에로의 취부부(10)를 갖고 있다.
상기 실린더체(9)의 상단측은 캅부재(18)의 장착에 의하여 폐색되고, 이 캅부재(18)의 측심부를 상기 피스톤 로드(11)가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18)의 내주측에는 오일 씨일(18a) 및 베어링(18b)가 배설되어 있어서 이 오일 씨일(18a) 및 베어링(18b)의 내주면이 상기 피스톤 로드(11)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18)의 외주단측에는 오링("O"ring)(18C)이 끼워 넣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체(9)의 내저면상에는 스톱퍼(17b)가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12)의 상단면상에는 스톱퍼(17a)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12)이 상기 실린더체(9)내를 스트로크를 크게 하여 미끄럼 접합할 시의 스트로크 규제수단으로서 상기 각 스톱퍼(17a), (17b)가 작용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체(9)내에서 상기 피스톤(12)을 이 실린더체(9)내에 있어서의 피스톤 스트로크 구역의 중립위치(14)로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한쌍의 스프링(16a), (16b)이 끼워 넣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 각 스프링(16a), (16b)은 상기 피스톤(12)에 양 방향으로 부터 힘을 가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한쌍의 스프링(16a), (16b)은 소위 이중구조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며, 예컨대, 각 내측으로 별도의 스프링(16a), (16b)을 갖고 있다.
상기 유로(L3)는 상기 피스톤(12)이 실린더체(9)내의 중립위치(14)에 있을시에 그 유공(15)을 상기 피스톤(12)의 외주가 폐색하도록 위치가 결정되어서 뚫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12)의 외주 중앙에는 백업(back up)링(12c)에 의해 힘을 받는 피스톤 링(12c)이 끼워넣어 설치되어 있어서 이 피스톤 링(12)이 상기 유로(L1), (L2)의 개구 및 유공(15)을 폐색한다.
상기 유로(L1), (L2)의 중간위치에는 각각 작동첵크밸브(5a), (5b)가 배설되어 있지만, 이 각 작동첵크밸브(5a), (5b)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소위 포펫트 밸브 형식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H)내에는 슬리브체(body)(19a), (19b)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 슬리브체(19a), (19b)내로 상하이동자재로 설치된 포팻트(20a), (20b)를 가지고 있어서 이 포펫트(20a), (20b)가 폐색하고 있을 시에 이 포펫트(20a), (20b)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연통을 차단하고, 또한 포펫트(20a), (20b)가 열려 있을시에는 이 포펫트(20a), (2b)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연통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포펫트(20a), (20b)는 상기 슬리브체(19a), (19b)를 하우징(H)내로 장착시키기 위하여 나사결합된 캡부재(21a), (21b)의 측면에 그 일단이 걸린 스프링(22a), (22b)의 타단이 맞닿게 되어 폐색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체(19a), (19b)의 외주측에는 유로(L), (L)에 각각 연통하는 환상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환상홈은 상기 슬리브체(19a), (19b)에 뚫어 설치된 유공(19'a), (19'b)를 통하여 이 슬리브체(19a), (19b)의 내주측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포펫트(20a), (20b)에는 푸쉬 로드(30a), (30b)의 선단이 대향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H)에는 리저버실(6)이 배설되어 있지만, 이 리저버실(6)은 상기 하우징(H)내로 유실(26)과 공기실(27)을 구획하여 형성하고 있는 고무막(28)을 가지고 있으며, 이고무막(28)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공기실(27)과 외부와를 차단하도록 하우징(H)에 나사결합된 캔부재(29)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실(26)은 상기 작동첵크밸브(5a), (5b)를 통하여 유로(L1), (L2)와 연통됨과 동시에 유로(L3)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실(2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29)에 뚫어 설치된 개구(29a)를 통하여 외부로 연통되어 있으며 소위 대기압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포펫트(20a), (20b)에 대향하는 푸쉬 로드(30a), (30b)는 하우징(H)에 나사결합된 캡부재(31a), (31b)내로 습동자재로 설치되며, 스프링(32a), (32b)에 의하여 외부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푸쉬 로드(30a), (30b)의 외단에는 앵글재(33a), (33b)가 고착되어 있고, 이 각 앵글재(33a), (33b)는 연결간(34)에 의하여 동시에 연동하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간(34)에는 부랏켓트(35)가 연결되어 있고, 이 부랏켓트(35)에 끼워져 있는 핀(36)에는 조작레버(37)의 선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조작레버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하우징(H)에 부설된 부랏켓트(38)에 핀(39)을 통하여 피복되어 있으며, 이 단부에 끼워진 핀(40)을 통하여 연결부(4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41)에 와이어등의 인장재(42)가 연결되어 있어서 이 인장재(42)에로의 인장력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조작레버(37)의 후단을 회전운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동첵크밸브(5a), (5b)는 기계식 인장력 또는 인위력(F)의 작용에 의하여 전진하는 푸쉬 로드(30a), (30b)로서 포펫트(20a), (20b)가 개방상태로 됨과 동시에 상기 인장력(F)의 해제로서 푸쉬 로드(30a), (30b)가 후퇴하는 것에 의하여 포펫트(20a), (20b)가 폐색되어, 유로(L1), (L2)를 일방향 흐름의 통로하는 첵크밸브로서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제6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부가하여 쇽크 압쇼버를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서스펜션 제어장치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된 서스펜션 구조에 의하여 구현화된 것이지만, 이 서스펜션 구조는 차량의 4륜 각부의 차체측(B)과 차축측(A)사이에 장비된 쇽크 압쇼버(P)와, 차량의 좌우의 차튠(T)사이에 장비되는 스테빌라이저(1)와, 스테빌라이저(1) 일단과 로워 암(Q)사이에 배설되는 제어 실린더[3)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쇽크 압쇼버(P)는 액튜에이터(R)의 작동에 의해 그 발생 감쇄력을 가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실린더(3)는 액튜에어터(S)의 작동으로 그 롤 강성의 경연(硬軟)을 조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쇽크 압쇼버(P)는 그 신축시에 소정의 감쇄 작용을 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되는 것이고, 특별한 한정은 없지만, 예컨대,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쇽크 압쇼버(P)는 실린더(42)내를 로드측 유실(43)과 피스톤측 유실(44)로 구획되는 피스톤부(45)를 이 실린더(42)내로 습동자재로 삽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42)의 외방에는 아우터 투우브(46)를 가져서 이 아우터 튜우브(46)와 상기 실린더 간의 사이에 리저버실(47)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리저버실(47)은 상기 실린더(42)의 하단 내저부에 배설된 베이스 밸브부(48)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측 유실(44)과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45)가 실린더(42)내를 상하 이동할 시에 이 피스톤부(45)에서 소정의 신축 감쇄력이 상기 베이스 밸브부(48)에서 소정의 압측 감쇄력이 각각 발생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49)는 상기 피스톤부(45)를 그 하단에 연속설치시킴과 동시에 그 상단을 상기 실린더(42)의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그 축심부에는 콘트롤 로드(50)가 회동자재로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로드(50)의 하단에는 로타리 밸브(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로타리 밸브(51)는 상기 로드측 유실(43)과 피스톤측 유실(44)과 연통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49)의 하단에서부터 하단 근방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통로(52)내에 회동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콘트롤 로드(50)의 상단은 상기 피스톤 로드(49)의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이 콘트롤 로드(50)의 상단에는 상기 액튜에이터(R)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타리 밸브(51)는 그 회동시 상기 통로(52)내를 통과하는 오일의 축소저항을 제어하는 것은 물론인 것이다.
"로타리 밸브(51)은 콘트롤 로드(50)을 통하여 액튜에이터(R)과 연결되어, 액튜에이터(R)을 회전구동하면 로타리 밸브(51)이 회전한다. 로타리 밸브(51)에는 복수개의 직경이 다른 상단의 오리피스 a, b, c…n과 같이 하단의 오리피스 A, B, C…N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피스톤 로드(49)에는 로드측 유실(43)으로 구멍트여 있는 상단의 포오트(E)와 하단이 포오트(F)가 형성되어, 액튜에이터(R)을 통하여 로타리 밸브(51)을 회전하면 오리피스 a, b, c…n의 어느 하나가 상단의 포오트(E)에 대항하고 똑같기 오리피스 A, B, C…N의 어느 하나가 하단의 포오트 F에 대항한다.
이러기 때문에, 피스톤부(45)의 상하 이동시에 로드측 유실(43)의 기름이 포오트(E), (F)에서 선택된 오리피스를 통하여 통로(52)에서 하방실(44)로 유출되거나, 또는 피스톤 유실(44)의 기름이 통로(52)에서 선택된 오리피스와 포오트(E), (F)를 통하여 로드측 유실(43)로 유출되며, 이때에 선택된 오리피스의 개구면적에 응한 유동저항에 의해 감쇄력이 발생한다.
선택된 오리피스의 개구면적이 제일 적은 경우에는 감쇄력이 제일 높고, 개구면적이 제일 큰 경우에는 감쇄력이 제일 낮다. 오리피스 a, b, c…n와 오리피스 A, B, C…N은 포오트(E), (F)에 동시에 개구하는 경우도 있으며, 동시에 닫혀 있는 경우도 있고, 혹은 한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닫혀있는 경우도 있어, 이들의 조합에 의해 감쇄력을 가변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실린더(42)내를 피스톤(45)가 상하 이동할시에 액튜에이터(R)를 작동시켜서 통로(52)를 통과하는 작동유의 축소저항을 가변으로 하여 상기 피스톤(45)에 발생되는 신축 감쇄력, 또는 상기 베이스 밸브부(48)에서 발생된 압측 감쇄력을 고저로 변경하고 이 쇽크 압쇼버(P)의 신축시에 있어서의 감쇄효과를 차량의 주행상황이나 차량자세 또는 조장자의 취향에 따라서 자재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쇽크 압쇼버(P)에 있어서의 액튜에이터(R)의 작동 및 그 작동의 선택은 콘트롤러(C)에서의 지령신호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것이고, 이 콘트롤러(C)에 입력되는 신호로서는 수동조작에 의한 선택신호(a), 검출수단인 차속 센서에서의 검출신호(b) 및 검출수단인 핸들 각(角)센서에서의 검출수단(c)등이 입력된다(제6도 참조).
따라서, 예컨대, 차량을 조정하는 운전자의 취향에 의하여 수동 조작으로 발생 감쇄력을 소위 하드(hard)로 하는 선택신호(a)를 콘트롤러(C)로 입력하면, 쇽크 압쇼버(P)에 있어서의 발생 감쇄력이 고감쇄력으로 되어서 차량의 황지(荒地)주행시의 주파성이 향상된다.
또한, 발생 감쇄력을 소위 소프트(soft)로 하는 선택신호(a)를 콘트롤러(C)에 입력하면, 쇽크 압쇼버(P)에 있어서의 발생 감쇄력이 저감쇄력으로 되어 차량의 평단로 주행시의 승차감이 우수하게 된다.
그래서, 수동조작으로 상기 어느 것이든 선택신호(a)가 콘트롤러(C)에 입력되어 있을시에 있어서도, 예컨대, 차량이 급선회하여 롤 현상이 초래될 시에는 차속 센서, 핸들각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b), (c)가 콘트롤러(C)에 입력되어 각 쇽크 압쇼버(P)의 발생 감쇄력이 고저로 제어되는 상기 롤현상, 즉, 차량자세가 제어되어 지게되는 것이다.
스테빌라이저(1)의 제어 실린더(3)는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실시예와 동일하게 차량의 좌우의 차륜(T)사이에 장비되는 스테빌라이저(1)의 일단과 차량의 로워 암측(Q)과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어서, 제어실린더(3)에 접속된 액튜에이터(S)의 작동으로 그 신축의 가, 불가가 선택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테빌라이저(1)의 타단은 링크 로드(S1)를 통하여 차량의 로워 암(Q)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스테빌라이저(1)의 중간부는 차량의 차체측(U)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 실린더(3)에 있어서의 액튜에이터(S)의 작동 및 그 작동의 선택은 상기 쇽크 압쇼버(P)에 있어서의 액튜에이터(R)의 작동과 동일하게 콘트롤러(C)에서의 지령신호에 의하여 행해지지만, 수동에 의하여 인위력을 이용하여 행해도 되는 것이다.
제어 실린더의 작용, 효과는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제6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4륜 각부의 차축측과 차체축과의 사이에 장비되는 쇽크 압쇼버의 발생감쇄력을 고저 조정함과 동시에 차량의 좌우 차륜간에 배설되는 스테빌라이저의 롤강성을 경연 선택하여서 차량의 주행상황에 응하여 제어를 할 수 있어 차량에 있어서의 승차감과 조정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실린더내의 상하실이 통로를 통하여 상호 연통항과 동시에 리저버실과 연통하고, 또한 각 유로내에는 작동체크밸브가 각각 배설되어서 이 작동첵크밸브에로의 밸브 개폐조작만으로 스테빌라이저의 경연, 즉 그 스프링 정수를 가변으로 할 수 있어서, 차량의 주행로 상태에 따른 차량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조작, 즉 기계식 인장력 또는 인위력이 의부로 부터의 파이롯트 조작이 하나이더라도, 동시에 2개의 작동첵크밸브를 해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소위 작동지연이 생기지 않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실린더의 록크상태를 초래할 시에 항시 완전한 중립위치에서 제어 실린더의 록크상태가 신속하게 초래되어 차량의 자세를 신속하게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차량에 있어서의 좌우륜의 상하 동작에 따라서 비틀림 톨크를 발생하도록 배설된 스테빌라이저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으로 하도륵 제어 실린더의 배설되어 있는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있어서, 제어 실린더(3)를 구성하는 실린더체(9)내로 피스톤(12)을 습동자재로 삽입하고, 이 피스톤(12)은 상기 실린더(9)에 배설된 한쌍의 스프링(16a, 16b)에 의해 양방향으로 부터 힘을 받음과 동시에 실린더체(9)내에 상하실을 구획하며,이 상하실을 리저버실(6)로 연통시키는 유로(L1, L2)중에는 작동첵크밸브(5a, 5b)가 각각 배설되고, 이 각 작동첵크밸브(5a, 5b)는 하나의 파이롯트 조작에 의하여 동시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실린더체(9)내의 피스톤 스트로크 구역의 중립위치(14)로 되는 이 실린더체(9)에는 리저버실(6)과 연통하는유로(L3)의 유공(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파이롯트 조작이 인장력등의 인위력(F)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1).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체크밸브(5a, 5b)는 푸쉬 로드에 대향하는 포펫트를 가지며, 기계식 파이롯트조작시에 푸쉬 로드가 전진하여 포펫트를 후퇴시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1).
  4. 제1항에 있어서, 차량에 있어서의 좌우륜의 상하 동작에 따라서 비틀림 톨크를 발생하도록 배설된 스테빌라이저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하는 제어 실린더(3)와, 상기 제어 실린더(3)의 타단에 차량의 차체측과 서스펜션부재와의 사이에 액튜에이터(R)의 작동으로 그 발생 감쇄력을 가변으로 하는 쇽크 압쇼버(P)와 장비함과 동시에 이 쇽크 압쇼버(P)의 액튜에이터(R)는 콘트롤러(C)에서의 지령신호로서 각각 작동되고, 또한 콘트롤러(C)에 수동 조작에 의한 선택신호(a) 및 차속센서, 핸들각 센서등의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b, c)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1).
  5. 차량에 있어서의 좌우륜의 상하동작에 따라서 비틀림 톨크를 발생하도록 배설된 스테빌라이저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하도록 제어 실린더를 배설하여서 된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있어서, 제어 실린더(3)를 구성하는 실린더체(9)내로 피스톤(12)을 습동자재로 삽입하고, 이 피스톤(12)은 상기 실린더체(9)에 배설된 한쌍의 스프링(16a, 16b)에 의해 양방향으로 부터 힘을 받음과 동시에 실린더체(9)에 상하실을 구획하며, 이 상하실을 리저버실(6)로 연통하는 각 유로(L1, L2)중에는 작동첵크밸브(5a, 5b)가 각각 배설되고, 이 각 작동첵크밸브는 하나의 개폐조작용 액튜에이터에 의하여 동시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실린더체(9)내의 피스톤 스트로크 구역의 중립위치(14)로 되는 상기 실린더체(9)에는 리저버실(16)과 연통하는 유로의 유공(15)이 형성되어서 중립위치에 있어서만 록크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실린더의 타단에 차량의 차체측(U)과 차륜측 로워 암(Q)과의 사이에 액튜에이터(R)작동으로 그 발생 감쇄력을 가변하는 쇽크 압쇼버(P)를 장비하고, 또한 이 쇽크 압쇼버(P) 및 상기 제어 실린더(3)의 각 액튜에이터는 콘트롤러(C)에서의 지령신호로서 각각 작동되고, 콘트롤러에는 수동조작에 의한 선택신호(a) 및 차속센서, 핸들각센서등의 검출수단으로 부터의 검출신호(b, c)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1).
KR1019870013498A 1986-12-01 1987-11-28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 KR900009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86384 1986-12-01
JP286384 1986-12-01
JP28638486A JPH0717139B2 (ja) 1986-12-01 1986-12-01 スタビライザ−のばね定数可変装置
JP?62-1777767 1987-07-16
JP177767 1987-07-16
JP62177767A JPS6422615A (en) 1987-07-16 1987-07-16 Controlling method for suspen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265A KR880007265A (ko) 1988-08-26
KR900009133B1 true KR900009133B1 (ko) 1990-12-22

Family

ID=2649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498A KR900009133B1 (ko) 1986-12-01 1987-11-28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05929A (ko)
EP (1) EP0270327B1 (ko)
KR (1) KR900009133B1 (ko)
DE (1) DE378026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35729B1 (fr) * 1988-08-02 1993-06-18 Peugeot Dispositif de correction d'assiette d'un vehicule automobile
JPH02274609A (ja) * 1989-04-17 1990-11-08 T R W S I Kk スタビライザ及びその制御方法
JPH035224A (ja) * 1989-05-31 1991-01-11 Chuo Spring Co Ltd 車輌用スタビライザ装置
FR2670716B1 (fr) * 1990-12-21 1993-02-19 Renault Dispositif de securite monte sur un verin hydraulique d'anti-roulis actif.
US5494302A (en) * 1991-06-11 1996-02-27 Cannondale Corporation Suspension assembly for a vehicle
DE4136262C2 (de) * 1991-11-04 2000-10-26 Mannesmann Sachs Ag Fahrwerk eines Kraftfahrzeuges
US5288101A (en) * 1992-05-28 1994-02-22 Minnett Milford M Variable rate tors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suspension
FR2697474B1 (fr) * 1992-11-04 1994-12-30 Renault Dispositif anti-roulis et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un tel dispositif.
US5505480A (en) * 1995-03-03 1996-04-09 Ford Motor Company Controlled stabilizer bar attachment apparatus for improved suspension articulation
DE19510719A1 (de) * 1995-03-24 1996-09-2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Stabilisators eines Fahrzeugs
FR2742382B1 (fr) * 1995-12-19 1999-04-16 Allevard Sa Dispositif de suspension pour vehicules
GB9626045D0 (en) 1996-12-14 1997-01-29 Rover Group A vehicle roll stabilising system
FR2786133B1 (fr) * 1998-11-25 2001-01-12 Renault Systeme de liaison d'une barre anti-roulis a un organe mobile du train d'un vehicule automobile
US6481732B1 (en) 2000-05-24 2002-11-19 Meritor Light Vehicle Technology, Llc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ecouplable stabilizer bar
US6457730B1 (en) * 2001-02-16 2002-10-01 Trw Inc. Anti-roll bar with link actuator for controlling torsional rigidity
CN100419347C (zh) * 2001-08-07 2008-09-17 Bsst公司 热电个人环境装置
US6854750B2 (en) 2001-12-14 2005-02-15 Meritor Light Vehicle Technology, Llc Variable rate bushing for stabilizer bar
US6811166B2 (en) 2001-12-18 2004-11-02 Meritor Light Vehicle Technology, Llc Clutched stabilizer bar
DE102004025806B4 (de) 2004-05-24 2008-10-23 Zf Friedrichshafen Ag Stabilisato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verstellbarer Pendelstütze
EP1765616A4 (en) * 2004-06-02 2008-06-25 Kelsey Hayes Co SEMI-ACTIVE ROLL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STRATEGIES FOR SEMI-ACTIVE ROLLER CONTROL
DE102005045177A1 (de) * 2005-09-21 2007-03-22 Zf Friedrichshafen Ag Fahrzeug
DE202005017434U1 (de) * 2005-11-08 2006-01-05 Trw Automotive Gmbh Antikavitations-Fluidspeicher
US7493199B2 (en) * 2006-10-17 2009-02-17 Trw Automotive U.S. Llc Method of controlling a roll control system for improved vehicle dynamic control
WO2009073701A2 (en) * 2007-12-03 2009-06-11 Z F Group North American Operations, Inc. Variable compliance suspension bushing
DE102008005247A1 (de) * 2008-01-19 2009-06-18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verstellbaren Stabilisator
JP4877240B2 (ja) * 2008-01-29 2012-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KR101328713B1 (ko) * 2008-04-11 2013-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DE102011075890A1 (de) * 2011-05-16 2012-11-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ankstabilisator eines Kraftfahrzeuges
FR3070901B1 (fr) * 2017-09-12 2021-03-12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anti-devers a moyens d’action pilotes par un circuit de controle hydraulique, pour un train de ve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09185A5 (ko) * 1970-10-06 1972-05-26 France Etat
GB2006131A (en) * 1977-10-21 1979-05-02 Vauxhall Motors Ltd Motor vehicle roll control system
DE2849015A1 (de) * 1978-11-11 1980-05-22 Daimler Benz Ag Stabilisatoranordnung fuer kraftfahrzeuge
DE3016248C2 (de) * 1980-04-26 1986-10-23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Hinterachse für Fahrzeug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S60169314A (ja) * 1984-02-14 1985-09-0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スタビライザ
CH663767A5 (de) * 1984-04-19 1988-01-15 Bucher Guyer Ag Masch Stabilisator fuer fahrzeuge.
JPS61150806A (ja) * 1984-12-25 1986-07-09 Toyot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US4589678A (en) * 1985-03-19 1986-05-20 Allan J. Kuebler Anti-roll system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70327A1 (en) 1988-06-08
KR880007265A (ko) 1988-08-26
EP0270327B1 (en) 1992-07-08
DE3780268D1 (de) 1992-08-13
DE3780268T2 (de) 1992-12-17
US4805929A (en) 198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133B1 (ko) 스프링 정수 가변형 스테빌라이저 장치
US7628414B2 (en) Vehicle roll stabilizing damper system
US4345661A (en) Anti-roll system for vehicles
US4826207A (en) Compound suspension system
US5217245A (en) Switchable roll-stabilizer bar
US5975541A (en) Strut-type suspension apparatus for a vehicle
US5080392A (en) Suspension unit
US5911290A (en) Step motor actuated continuous variable shock absorber
US6332622B1 (en) Suspension apparatus having two interconnected shock absorbers
GB2111168A (en) Hydraulic damper with bypass
GB2244539A (en)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JPH0585371B2 (ko)
US5788031A (en) Control cylinder unit for varying spring constant of vehicular stabilizer
US11492062B2 (en) Shock absorber assembly of a vehicle with selective kinematic locking, vehicle suspension group and related vehicle
JPH023060B2 (ko)
JP2632684B2 (ja) サスペンションの制御装置
JPS6364654B2 (ko)
JP2618237B2 (ja) サスペンションの制御装置
JP3079338B2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2804792B2 (ja) 減衰力可変型液圧緩衝器
JP2651578B2 (ja) スタビライザーのばね定数可変装置
JP3025854B2 (ja) 油圧緩衝器
JPS58116213A (ja) 減衰力調整式シヨツクアブソ−バ
JPS63137009A (ja) スタビライザー装置
JPH0799184B2 (ja) 車両用油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