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799Y1 - 코넥터플러그 - Google Patents

코넥터플러그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799Y1
KR900008799Y1 KR2019860006259U KR860006259U KR900008799Y1 KR 900008799 Y1 KR900008799 Y1 KR 900008799Y1 KR 2019860006259 U KR2019860006259 U KR 2019860006259U KR 860006259 U KR860006259 U KR 860006259U KR 900008799 Y1 KR900008799 Y1 KR 900008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ver
cylindrical metal
cover
insulating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6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5403U (ko
Inventor
타다요시 에즈레
시게미 세끼구찌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154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54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01Connector hood or shell
    • Y10S439/903Special latch for inse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01Connector hood or shell
    • Y10S439/904Multipart shel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넥터플러그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의한 코넥터플러그의 외관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플러그에 사용하는 절연커버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플러그의 조립공정중의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제 5 도는 케이블을 접속하지 않은 상태의 코넥터플러그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사용하는 통형상메탈커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케이블클램프에 의해서 케이블을 클램프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 8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플러그를 결합시키는 코넥터소켓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 9 도는 종래의 코넥터플러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 10 도 내지 제 12 도는 종래의 코넥터플러그의 각종 정면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제 13 도는 종래의 코넥터플러그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제 14 도는 종래의 코넥터플러그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통형상메탈커버 101A : 반통형상 메탈커버편
101E : 절결부 101F : 돌출편
102 : 절연보디 103 : 콘택트핀
104 : 절연커버 104A : 직경이 작은 원통부
104B : 직경이 굵은 절연커버본체 105 : 케이블 보호부
106 : 주위치결정용돌조 107A, 107B : 보조돌조
109 : 절연기둥형상체 300 : 케이블
305 : 케이블클램프
본 고안은 음향기기 혹은 개인용컴퓨터등의 상호 접속을 하는일 등에 사용되는 코넥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일본국 실원소 57-174865호에서 "코넥터플러그"라는 명칭으로 코넥터플러그를 제안했다. 이앞서 제안한 코넥터플러그는 소형이면서도 코넥터소켓에의 결합력을 강하게 얻을 수 있어, 다소의 인발력에 대해서도 저항력이 강하고, 코넥터소켓으로부터 빠지는 사고가 일어나기 어려운 구조로 한 점과, 소형이면서도 코넥터소켓에의 결합시에 핀상호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구조로 한 점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 9 도 내지 제 14 도를 사용해서 일본국 실원소 57-174865호로 제안한 코넥터플러그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 9 도에 앞서 제안한 코넥터플러그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면중(101)은 통형상메탈커버를 표시한다.
이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중공부에 절연보디(102)를 끼워 맞추고 절연보디(102)에는 복수의 콘택트핀(103)을 설치한다.
이 예에서는 5개의 콘택트핀, 즉 5핀의 경우를 표시한다. (104)는 메탈커버(101)의 후단쪽을 덮는 절연캡을 표시하며, 이 절연캡(104)의 후단쪽에 케이블보호부(105)를 형성하고, 케이블보호부(105)를 통해서 케이블(300)이 도출된다.
이 코넥터플러그의 특징으로 하는 구조는 메틸커버(101)를 통형상으로 한 점과, 이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선단쪽에 주위치결정용돌조(突弔)(106)와, 이 주위치결정용돌조(106)외에 복수의 보조돌조(107a)(107b)를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안쪽으로 향해서 돌출형성한 점이다.
주위치결정용돌조(106)와 보조돌조(107a)(107b)의 구별은 형상의 크기의 차이에 의해 구별된다. 즉, 보조돌조(107a)(107b)는 주위치결정용돌조(106)보다 둘레방향의 폭과 높이를 작게 하고 있다. 이 형상의 차이에 의해 주위치결정용돌조(106)가 보조돌조(107a) 또는 (107b)와 계합하는 소켓쪽의 오목홈에 계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플러그의 꽂아넣는 방향으로 규정하도록 하고 있다.
주위치결정용돌조(106)와 보조돌조(107a)(107b)의 선단쪽의 위치는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선단에서부터 일정한 거리(L)를 띄워서 가지런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선단에 형성한 절결부(108)는 소켓쪽에 설치되는 부재와 맞붙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이에 의해 소켓의 형상을 소형화하는 것이다.
절연보디(102)에는 콘택트핀(103) 이외에 절연기둥형상체(109)를 돌출해서 설치한다. 이 절연기동형상체(109)는 절연보디(102)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된다. 이 절연기둥형상체(109)는 절연보디(102)에 설치되는 콘택트핀의 핀수의 차이에 따라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제 10 도 내지 제 12 도에는 핀수의 차이에의한 절연기둥형상체(109)의 위치의 틀림을 예시한다. 제 10 도는 3핀의 경우의 예를 표시하며, 제 11 도는 4핀의 경우 제 12 도는 8핀의 경우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8핀을 최대의 핀수로하며, 최대핀수의 경우는 절연기둥형상체(109)는 생략되고, 3~7핀의 것에 대해서는 절연기둥형상체(109)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소켓쪽에는 이 절연기둥형상체(109)를 수용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 절연기둥형상체(109)와 소켓의 구멍과의 관계에 의해 소켓과 플러그와의 사이에 있어서틀리는 핀수의 것이 서로 결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절연기둥형상체(109)는 콘택트핀(103)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여, 이 절연기둥형상체(109)가 소켓쪽의 구멍에 계합해서 비로서 콘택트핀(103)이 소켓쪽의 각 콘택트수납구멍에 삽입이 허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 13 도에 이 코넥터플러그의 내부구조를 도시한다. 절연보디(102)에는 미리 콘택트핀(103)을 예를 들면 압입에 의해 삽입해서 지지시킨다.
콘택트핀(13)을 삽입지지한 절연보디(102)를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방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경우, 절연보디(102)에 설치한 콘택트핀(103)의 후단은 절연보디(102)의 후단면에서부터 돌출하며, 이 돌출한 콘택트핀에 케이블(300)의 각 심선(芯線)을 납땜에 둔다.
통형상케탈커버(101)는 판재를 통형상으로 둥글게하여 형성하고, 판재의 맞붙이는 자리를 자유단으로 해두므로서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을 할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주위면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돌출부(301)가 복수개 형성되며, 이 돌출부(301)가 절연보디(102)에 형성한 오목한 절결부(302)에 계합하도록 위치맞춤해서 통형상메탈커버(101)에 절연보디(102)를 삽입한다.
절연보디(102)의 오목한 절결부(302)에 돌출부(301)가 계합하는 위치까지 절연보디(102)를 삽입하면, 통형상메탈커버(101)에 형성한 절기편(切紀片)(303)이 절연보디(102)의 후단쪽에 형성한 오목한 절결부(304)에 계합하고, 절연보디(102)는 돌출부(301)와 절기편(303)에 의해서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중공부에 끼워 맞추어진다.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단에는 케이블클램프(305)를 설치한다. 이 케이블클램프(305)는 반원형상의 덮개부(306)와 이 덮개부(306)와 통형상메탈커버(101)를 연결하는 연결부(307)에 의해 구성된다.
덮개부(306)의 안쪽둘레쪽에는 복수개의 이빨(308)을 형성한다. 절연보디(102)를 통형상메탈커버(101)에 장착한 후에 케이블클램프(305)를 구성하는 덮개부(306)를 안쪽으로 절곡하여 이빨(308)을 케이블(300)의 절연피복에 파고 들게 한다. 이빨(308)이 절연피복에 파고들므로서 케이블(300)은 통형상메탈커버(101)에 고정된다.
케이블클램프(30)에 의해 케이블(300)을 통형상메탈커버(101)에 고정한 후, 통형상메탈커버(101)를 수지성형용 금형에 삽입하여, 캡(104)과 케이블보호부(105)를 성형한다. 캡(104)과 케이블보호부(105)를 수지재에 의해 형성할때에 수지재가 절기편(303)을 형성한 부분의 창을 통해서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중공부에 침입하며, 제 1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형상메탈커버(101)와 케이블(300)은 캡(104)과 케이블 보호부(105)에 의해 성형된다.
앞서 제안한 코넥터플러그에 의하면 이하에 기재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가) 메탈커버(101)를 통형상으로 하므로서(이 코넥터플러그를 제안하기 전까지는 반통형상체를 합체해서 통형상메탈커버를 형성하고 있다) 직경방향의 탄성을 강하게 할수 있다. 이에 의해 소켓에의 파지력이 강하게 되어 인발력에 대해서 저항력이 큰 코넥터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나) 주위치결정용돌조(106)외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돌조(107a)(107b)를 형성했기 때문에, 이들 복수개의 돌조(106)(107a)(107b)가 코넥터소켓의 원주형상부 주변에 계합하여, 플러그를 지지하므로, 통형상메탈 커버(101)의 선단을 코넥터켓의 환형상 오목홈에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플러그를 회전시켜서 플러그의 꽂아넣는 위치를 찾는 경우 플러그가 기울어짐이 없이, 플러그의 축선과 코넥터소켓의 축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플러그를 회전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플러그의 꽂아넣는 위치를 찾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 또 절연기둥형상체(109)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는 코넥터소켓과 코넥터플러그와의 핀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플러그와 소켓의 접속이 허락되지 않으므로, 틀리는 핀수의 플러그가 잘못하여 코넥터소켓에 삽입되는 일이 없으며, 이에 의해 착오접속을 방지할수 있다. 또 절연기둥형상체(109)와 소켓쪽의 구멍과의 계합에 의해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서 흔들리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또 8핀의 경우에는 8번째 콘택트핀(103h)(제 12 도)의 위치가 다른 핀수의 코넥터플러그에서의 절연기둥형 상체(109)의 위치와 틀리는 위치에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기둥형상체(109)가 없어도 다른 핀수의 코넥터 소켓, 특히 7핀의 코넥터소켓에 잘못하여 꽂아 넘어지는 일은 없다.
(라) 절연기둥형상체(109)를 콘택트핀(103)보다 약간 길게 선정하였으므로 절연기둥형상체(109)가 소켓쪽의 구멍에 삽입되지 않는한 콘택트핀(103)이 코넥터소켓의 콘택트수납구멍에 삽입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위치결정용 돌조(106)(107a)(107b)에 의한 위치결정외에, 절연기둥형상체에 의한 위치결정작용을 얻게되어, 위치결정 작용을 2중화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러그의 정규의 꽂아넣는 위치를 찾을때에 잘못하여 클러그의 콘택트핀이 소켓쪽의 다른 틀린회로의 콘택트에 접속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마) 또 내부구조에 있어서 케이블클램프(305)를 반원형상의 덮개부(306)에 의해서 구성하고, 이 덮개부(306)의 안쪽둘레쪽에 이빨(308)을 형성하여, 덮개부(306)를 절곡하여 통형상메탈커버(101)의 단면부를 폐쇄하므로서 이빨(308)을 케이블(300)의 피복에 파고들게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종래의 케이블클램프의 구조보다 플러그의 길이를 짧게할수 있는 이점을 얻게된다.
앞서 제안한 코넥터플러그는 절연보디(102)에 설치한 콘택트핀(103)에 케이블(300)을 접속하고, 그후에 절연보디(102)를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중공부에 끼워 맞추고, 이 끼워 맞춘상태에서 케이블(300)의 단부, 즉 통형상메탈커버(101)를 수지성형용금형에 삽입하여, 절연커버(104)와 케이블보호부(105)를 형성하는 공정을 거쳐서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므로 제조가 불편하다.
특히 케이블(300)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의 통형상메탈커버(101)를 수지성형용 금형에 삽입하여, 소정의 위치에 지지시키는 작업이 불편하며, 일손이 드는 결점이 있다.
또 통형상메탈커버(101)를 덮도록 절연커버(104)를 모울드성형하는 것이므로 케이블(300)과 콘택트핀(103)간의 접속이 풀어졌을 경우에는 수리를 행할수 없는 결점도 있다.
또 종래의 이런 종류의 코넥터플러그의 절연커버(104)의 형상은 제9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영상 메탈커버(101)의 외주면에 비교적 얇은 외피가 씌워진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 때문에 절연커버(104)의 선단부쪽을 잡았을 경우에 절연커버(104)의 부재가 얇기 때문에 손가락이 통형상 메탈커버(101)에 접촉되기 쉬운 불편이 있다.
통형상메탈커버(101)에 손가락이 접촉되었을 경우, 인체에 대전한 전하가 통형상메탈커버(101)에 방전하며 그 방전전압이 케이블(300)을 통해서 장치의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등에 전달되어, 거기에 접속되어 있는 반도체소자등을 파손시키는 사고가 일어나는 일이 있다.
또 상술한 케이블클램프(305)에 의하면 확실하게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으나, 그 반면 소형화때문에 통형상 메탈커버(101)의 판재는 얇은 재료를 사용한다. 따라서 케이블클램프(305)를 통형상메탈커버(101)와 일체적으로 형성했을 경우에는 케이블클램프(305)의 강도는 약한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앞의 제안에서는 케이블클램프(305)를 포함해서 통형상 메탈커버(101)의 후단부쪽을 절연커버(104)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내에 매설하여 케이블클램프(305)의 보강을 행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선단부쪽 형상 및 절연보디(102)의 형상등에 대해서는 앞서 제안한 코넥터플러그와 동일구조로 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플러그가 특징으로 하는 점은 절연커버를 단독으로 형성해두고, 통형상메탈커버의 위에 이 절연커버를 씌우는 구조로 한 것이다. 즉 통형상메탈커버의 후단쪽을 절연커버를 형성하는 수지내에 매설함이 없어, 조립식의 구조로 한 것이다.
조립식의 구조로 하므로서 절연커버는 단독으로 성형하면 되므로 절연커버의 성형을 자동기계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조립식이기 때문에 케이블의 심선과 콘택트핀과의 접속이 떨어졌을 경우에는 절연커버를 빗기므로서 수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수율의 향상이 달성된다.
또 본 고안에서는 통형상메탈커버의 후반부에 있어서 통형상메탈커버의 후반부에 반통형상메탈커버편을 장착하고, 이 반통형상메탈커버편을 떼어 내므로서 통형상메탈커버의 후반부에 큰 절결부(切決部)를 형성할수 있는 구조로하고, 이 절결부를 이용해서 절연보디를 통형상메탈커버의 중공부에 삽입하는 구조로하고 있다.
이 반통형상메탈커버편을 형성한 구조에 의해 절연보디를 통형상메탈커버의 중공부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완성한 상태에서는 통형상메탈커버의 절결부에 반통형상탈커버편이 장착되기 때문에 절연커버의 내부는 원통형상의 통형상메탈커버가 심(芯)으로서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커버가 외력에 의해서 변형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형상이 안정되게 유지되고 내구성이 높은 구조로 할수 있다.
또 본 고안에서는 케이블클램프를 통형상메탈커버를 구성하는 판재와는 다른 두께가 두꺼운 판재에 의해서 형성하여, 케이블의 파지강도가 강한 케이블클램프의 구조도 제공하는 것이다. 또 이 케이블클램프에는 케이블의 파지면쪽에 클릭을 돌출형성하여, 이 클릭을 케이블의 외피에 파고들게 하므로서 더욱 강한 케이블파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 1 도 내지 제 8 도를 사용해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플러그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면중 (101)은 통형상메탈커버를 도시한다. 이 통형상메탈커버(101)는 앞서 설명한 코넥터플러그에 있어서의 통형상메탈커버(10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전판을 원통형상으로 둥글게해서 형성하고, 그 맞붙인 자리를 자유단으로 해두므로서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 그 선단부쪽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선출원의 코넥터플러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위치결정용돌조(106)와 보조돌조(107A) 및 (107B)를 가지며,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중공부에 절연보디(102)를 끼워 맞추고, 이 절연보디(102)에 절연기둥형 상체(109)와 복수개의 콘택트핀(103)을 설치한다. 이들 절연보디(102)와 절연기둥형상체(109) 및 콘택트핀(103)은 제 13 도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의 구조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플러그는 절연커버(104)를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독으로 형성하고, 이 절연커버(104)를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방으로부터 꽂아넣어 제 1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반부에 씌우는 구조로 하였으며, 또한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반부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통형상메탈커버(101A)를 설치하고, 이 반통형상메탈커버(101A)를 장착하기전의 상태에서는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반부에 큰 절결부(101E)를 형성할 수 있고, 조립완료시에는 전체가 통형상으로 되는 구조로 하였다.
이하에 각부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절연커버(104)는 선단부쪽에 직경이 작은 원통부(104A)를 가지며, 이 원통부(104A)의 후방에 직경이 굵은 절연커버본체(104B)를 가지고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절연커버본체(104B)는 이 예에서는 일부에 평탄면(104C)을 형성하고, 통형상메탈커버(101)의 방향, 즉 주위치결정용돌조(106)와 보조돌조(107A)와 (107B)의 방향이 이 평탄면(104C)에 의해서 촉각에 의해 풀리는 구조로 하고 있다.
절연커버(104)의 형상을 이와같이 2단구조로 한 코넥터플러그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직경이 굵은 절연커버 본체(104B)를 가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결과 가령 절연커버본체(104B)의 선단부쪽을 손가락(특별히 도시하지 않음)으로 잡았다고 해도 손가락과 통형상메탈커버(101)와의 사이의 틈새는 절연커버보체(104B)의 직경과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직경의 차로 나타난다. 이 결과 손가락과 통형상메탈커버(101)와의 사이의 틈새는 종래의 경우보다 커져서 손가락이 통형상메탈커버(101)에 직접 닿는 비율을 적게 할수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플러그는 예를들면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중계용 시일드코넥터(400)에 결합시킨다. 이 중계용 시일드코넥터(400)는 양단에 플러그접속구를 가지며, 이 플러그접속구에 본 고안에 의한 플러그를 결합시킨다. 이 결합에 의해 케이블의 상호를 중계 접속하여, 예를들면 개인용 컴퓨우터 상호간을 접속하는 일에 사용한다.
이 중계용 코넥터에 있어서 콘택트를 지지하는 절연보디(401)의 면은 절연커버(402)의 개구단면으로부터 거리(D)만큼 오목하게 들어가게 한다. 이 오목하게 들어간 거리(D)는 코넥터플러그의 직경이 작은 원통부(104A)의 길이(D)와 대략 같게 선정하여, 플러그의 원통부(104A)를 중계용 시일드코넥터(400)에 형성되는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계합시킨다.
이 결과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플러그를 오목하게 들어간 면을 가진 중계용 시일드코넥터에 접속한 상태에서는 외부에 도쳅무분이 노출되는 열이 전혀 없다. 그러므로 외부로부터 인체등에 대전한 전하가 코넥터플러그의 통형상메탈커버(101)등에 방전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우터 상호의 접속관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제 6 도에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플러그에 사용하는 통형상메탈커버(101)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코넥터플러그에 사용하는 통형상메탈커버(101)의 구조상의 특징은, 후반부에 반통형상메탈커버편(101A)을 설치한 점이다. 즉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반부에 반통형상부(101B)를 형성하고, 이 반통형상부(101B)에 반통형상 메탈커버편(101A)을 계합시키므로써 원통형상으로 완성시킨다. 반통형상메탈 커버편(101A)의 끝가장자리에는 프레스가공에 의해서 오목부(101C)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101C)에 반통형상부(101B)쪽에 형성한 돌출편(101D)을 계합시키므로서 반통형상메탈커버편(101A)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 반통형상메탈커버편(101A)을 반통형상부(101B)로부터 떼어 내므로서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반부에는 큰 절결부(101E)가 형성된다. 이 절결부(101E)가 형성되므로서 이 절결부로부터 절연보디(102)를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원통부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제 5 도에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중공부에 절연보디(102)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주위면에는 제13도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내주면으로 향해서 3개의 돌기(301)를 형성하고, 이 돌기(301)에 절연보디(102)에 형성한 오목부(302)(제 13 도 참조)를 계합시킨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절연보디(102)의 탈출방지는 1개의 설편(303)에 의해서 행하도록 구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주위면에 형성한 돌기(301)에 의해서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목부에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표시한 절연커버(104)의 내벽면에 형성한 3개의 돌기(104D)를 계합시켜, 절연커버(104)의 탈출방지를 행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절연커버(104)의 내벽면에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축심방향을 따라서 돌조(104E)를 형성한다. 이에 비해 통형상메탈커버(101)에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홈(101G)을 형성하여, 이 오목홈(101G)과 절연커버(104)에 형성한 돌조(104E)를 계합시켜, 통형상메탈커버(101)와 절연커버(104)와의 상호간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절연커버(104)의 내벽면에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단부쪽에서부터 소정의 거리의 위치에 단부(段部)(104F)를 형성하고, 이 단부(104F)에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단부를 계합시켜 삽입위치를 규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또한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단부에 제 4 도 및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편(101F)을 돌출해서 설치하고, 이 돌출편(101F)의 단부에 케이블클램프(305)를 부착한다. 케이블클램프(305)는 통형상 메탈커버(101)를 구성하는 판재보다 두께가 두껍고, 충분히 강도가 강한 판재를 사용한다. 케이블클램프(305)의 형상은 대략 U자형상으로 하여 U자형상의 오목박면에 돌출편(101F)을 용접하여 부착한다. U자형상 양쪽의 유단부(遊端部)에는 안쪽으로 향해서 절기시킨 클릭(305A)(305B)을 형성한다. 이 클릭(305A)과 (305B)은 케이블클램프(305)의 유단부를 케이블(300)을 향해서 죄었을 경우에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블(300)의 외피에 파고 들어가서, 케이블(300)을 클램프한다. 이때 케이블(300)로부터 벗겨내서 엮은 시일드선(300A)을 케이블클램프(305)로 꼭끼워서 케이블(300)의 엮은 시일드선(300A)과 통형상메탈커버(10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플러그에 의하면 먼저 제안한 코넥터플러그의 구조에 의해서 얻어지는 작용효과에 추가해서 하기에 일거하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반부에 반통형상메탈커버편(101A)을 부착, 이 반통형상메탈커버편(101A)을 떼어내므로서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반부에 절결부(101E)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결부(101E)를 통해서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중공부에 절연보디(102)를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절연보디(102)를 장착한 후 통형상메탈커버(101A)의 후반부는 반통형상메탈커버편(101A)에 의해서 씌워져서 통형상의 상태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그 위에 절연커버(104)를 씌웠을 경우, 절연커버(104)의 대략 전체는 원통형상의 통형상메탈커버(101)가 심으로 되어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커버(104)는 외력이 가해져도 변형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형상을 유지하고 내구성이 높은 코넥터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나)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절연보디(102)에 설치한 콘택트핀(103)에 케이블(300)의 심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그 상태에서 절연보디(102)를 절결부(101E)를 통해서 통형상메탈커버(101)의 중공부에 장착하여, 케이블(300)을 케이블클램프(305)에 의해서 클램프한후에 절연커버(104)를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반부에 씌우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조립공정에 절연커버(104)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성형 공정을 포함시킬 필요가 없고, 따라서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절연커버(104)를 단독으로 형성하면 되므로 제조가 용이해진다.
(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절연커버(104)를 통영상메탈커버(101)에 씌우는 구조, 즉 조립식의 구조로 하였으므로 케이블(300)과 콘택트핀(103)의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풀어졌을 경우에는 절연 커버(104)를 떼어낼 수 있어, 수리가 가능해지고 따라서 수율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라) 또한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절연커버(104)의 형상을 통형상메탈커버(101)의 도출부만을 직경이 작은 원통부(104A)로 하고, 절연커버본체(104B)의 직경을 크게 하였으므로 코넥터플러그를 잡았을때 손가락등이 통형상메탈커버(101)에 접촉하는 비율을 적계할 수 있다.
이 결과 인체에 대전한 전하가 통형상메탈커버(101)에 방전하는 비율을 낮게할 수 있어서, 장치에 악영향을 주는 기회를 저감시킬 수 있다.
(마) 또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케이블클램프(305)를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판재보다 두꺼운 재료로 형성하고, 또 케이블(300)에 파고 들어가는 클럭(305A)(305B)을 형성하였으므로 케이블(300)에 대해서 강한 파지력을 줄수 있다.

Claims (1)

  1. 복수의 콘택트핀(103)을 설치해서 유지한 절연보디(102)와, 이 절연보디(102)의 외주에 끼워 맞춘 통형상 메탈커버(101)와, 이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절연보디(102)를 통형상메탈커버(101)의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절결부(101E)을 형성하는 반통형상메탈커버편(101A)과, 상기 통형상메탈커버(101)에 반통형상메탈커버편(101A)을 장착한 상태에서 통형상메탈커버(101)의 후반부를 씌우는 절연커버(104)로 이루어지는 코넥터 플러그.
KR2019860006259U 1985-05-13 1986-05-06 코넥터플러그 KR90000879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70221 1985-05-13
JP1985070221U JPH031903Y2 (ko) 1985-05-13 1985-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403U KR860015403U (ko) 1986-12-30
KR900008799Y1 true KR900008799Y1 (ko) 1990-09-24

Family

ID=1342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6259U KR900008799Y1 (ko) 1985-05-13 1986-05-06 코넥터플러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4684199A (ko)
EP (1) EP0205868B1 (ko)
JP (1) JPH031903Y2 (ko)
KR (1) KR900008799Y1 (ko)
AT (1) ATE46060T1 (ko)
DE (1) DE366538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0101A6 (fr) * 1987-02-03 1988-03-22 Anner Res And Dev Ltd Connecteurs electriques.
US4916804A (en) * 1987-04-30 1990-04-17 Hirose Electric Co., Ltd. Shielded electric connector and wire connecting method
JPH07107865B2 (ja) * 1987-04-30 1995-11-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
JPH0244270U (ko) * 1988-09-21 1990-03-27
JPH0250979U (ko) * 1988-10-04 1990-04-10
US4985002A (en) * 1988-10-25 1991-01-15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Shielded circular plug connector
JPH0622942Y2 (ja) * 1989-02-28 1994-06-15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333977U (ko) * 1989-08-11 1991-04-03
JPH0734373B2 (ja) * 1989-11-15 1995-04-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455428Y2 (ko) * 1989-12-11 1992-12-25
US4960389A (en) * 1989-12-20 1990-10-02 Amp Incorporated Circular DIN electrical connector
US4972575A (en) * 1989-12-20 1990-11-27 Amp Incorporated Circular din plug connector method
US4960388A (en) * 1989-12-20 1990-10-02 Amp Incorporated Circular cross section DIN connector and DIN connector assembly
US5127843A (en) * 1990-05-30 1992-07-07 Amp Incorporated Insulated and shielded connector
US5199903A (en) * 1991-02-28 1993-04-06 Amp General Patent Counsel Ferruleless back shell
US5180316A (en) * 1991-03-25 1993-01-19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SE469767B (sv) * 1991-09-20 1993-09-06 Tommy Jenving Anordning vid anslutning av ledning
US5288248A (en) * 1991-10-28 1994-02-22 Foxconn International Totally shielded DIN connector
TW334180U (en) * 1993-04-22 1998-06-11 Whitaker Corp High density connector
JP3404832B2 (ja) * 1993-10-15 2003-05-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
US5967817A (en) 1995-11-21 1999-10-19 Heartstream, Inc. Medical connector apparatus
US5716236A (en) * 1996-03-01 1998-02-10 Molex Incorporated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US6234816B1 (en) 1999-03-30 2001-05-22 Agilant Technologies, Inc. Medical connector apparatus
ES2211680T3 (es) * 2000-03-30 2004-07-1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Conector electrico para la conexion de conductores electricos a un aparato electrico.
US6773289B1 (en) * 2003-11-25 2004-08-10 Allis Electric Co., Ltd. Electrical plug mechanism and electrical receptacle for electrical cell
US20060073719A1 (en) * 2004-09-29 2006-04-06 Kiani Massi E Multiple key position plug
KR100677423B1 (ko) * 2004-12-31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잭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08108675A (ja) * 2006-10-27 2008-05-08 Toshiba Corp プラグ
JP5018740B2 (ja) * 2008-11-10 2012-09-05 日立電線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3481433U (zh) * 2009-07-10 2014-03-12 伍德哈德工业有限公司 高强度电连接器
US8202121B2 (en) * 2010-09-23 2012-06-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ress fit cable connector
JP5884135B2 (ja) * 2012-01-25 2016-03-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
US9125563B2 (en) * 2012-10-23 2015-09-08 Cas Medical Systems, Inc. Signal monitoring system including EMI-shielding coupler
DE102015003935B3 (de) * 2015-03-26 2016-06-02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Verbinder, Verfahren und Verwendung
US9680249B2 (en) * 2015-09-30 2017-06-13 Apple Inc. Molded enclosures having a seamless appearance
US10128613B2 (en) * 2015-10-29 2018-11-13 Puleo International Inc. Pin connector assembly
US10622752B2 (en) 2018-05-31 2020-04-14 Apple Inc. Ultrasonic weld joint with integral flash trap
US10505308B1 (en) * 2018-05-31 2019-12-10 Apple Inc. Dual cup enclosure for electronic devices
DE102019130743A1 (de) * 2019-11-14 2021-05-2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HF-Terminal für einen HF-Verbinder, sowie Verfahren zur Gütesteigerung einer Signalintegrität eines männlichen HF-Verbinders oder einer HF-Steckverbindung
TWI724802B (zh) * 2020-02-25 2021-04-1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連接器
CN113555702A (zh) * 2020-04-24 2021-10-26 豪利士电线装配(中山)有限公司 紧凑型电源连接器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2119A (en) * 1955-06-28 Straw relief for electric cord
US1953594A (en) * 1932-06-13 1934-04-03 Harry A Douglas Contact carrier
US2012689A (en) * 1933-05-22 1935-08-27 Electric Service Supplies Co Device for and method of protecting lightning arresters and the like against moisture
US2089844A (en) * 1934-03-28 1937-08-10 Alf E Anderson Electrical connecter
US2247386A (en) * 1940-03-12 1941-07-01 Arthur R John Cable connector
US2831948A (en) * 1955-08-29 1958-04-22 United Carr Fastener Corp Fastening device
US2874366A (en) * 1956-01-27 1959-02-17 Emile S Fromer Electric light socket
GB947627A (en) * 1961-12-28 1964-01-22 Hubbell Inc Harvey Multi-wire connector and plug with selective central key means for different voltages
US3281756A (en) * 1964-08-24 1966-10-25 Amp Inc Coaxial cable connector
US3986765A (en) * 1975-02-07 1976-10-19 Amp Incorporated Power cord connector
US4178054A (en) * 1977-08-22 1979-12-11 Amp Incorporated Plug termination for coaxial cable
US4634208A (en) * 1983-01-31 1987-01-06 Amp Incorporated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method of terminating a cable therewith
US4493525A (en) * 1983-01-31 1985-01-1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therefor
JPS59166382U (ja) * 1983-04-25 1984-11-0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ル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65380D1 (en) 1989-10-05
JPH031903Y2 (ko) 1991-01-21
US4684199A (en) 1987-08-04
JPS61186177U (ko) 1986-11-20
US4737124A (en) 1988-04-12
KR860015403U (ko) 1986-12-30
ATE46060T1 (de) 1989-09-15
EP0205868B1 (en) 1989-08-30
EP0205868A1 (en) 198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799Y1 (ko) 코넥터플러그
KR900010951Y1 (ko) 코넥터 플러그
JP2906469B2 (ja) シールド線用コネクタ
JPS641740Y2 (ko)
US5498176A (en) System for connecting shielding wire and terminal
JP2001135422A (ja) 機器直付けの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
US6254430B1 (en) Coaxial connector
JPH08250218A (ja) シールド線のシースずれ防止構造
KR910003860Y1 (ko) 핀플러그
JPH04319275A (ja) 差込みコネクタ
JP293722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344437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H10144405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H0212691Y2 (ko)
JP2537568Y2 (ja) コネクタ
JPH0245976Y2 (ko)
JP341963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310454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および端子金具の接続方法
JP304231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H04264376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へのシールド線結合方法
JPH0823622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H035112Y2 (ko)
JP306754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325797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54242U (ja) コネクタ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0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